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청소년활동에 대한 청소년지도사의 경험 연구

        장여옥 ( Chang¸ Yo Ok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1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7 No.2

        배경: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하여 비대면 청소년활동으로의 전환과 새로운 청소년활동에 대한 인식 변화가 요구되고 있는 시점에서 청소년시설에서 비대면 청소년활동을 경험해본 청소년지도사의 경험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청소년활동을 실시하는 청소년지도사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특별시 청소년수련시설에서 근무하는 청소년지도사 9명을 선정하여 2021년 4월에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주제분석법을 사용하여 질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결과는 5개의 대주제와 12개의 하위주제, 18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첫째, 코로나19로 인한 청소년시설의 변화는 진입장벽의 어려움과 소규모 청소년활동 및 민감해진 방역활동이었다. 둘째,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청소년활동은 초기 혼란스러웠던 비대면활동, 비대면 청소년활동의 어려움, 비대면 청소년활동 평가, 비대면 청소년활동에서 청소년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노력이었다. 셋째, 코로나19 상황에서 청소년 지도사에게 필요한 역량은 프로그램 기획 및 디지털 기기 활용 능력이었다. 넷째, 코로나19 상황에서 청소년 지도사에게 필요한 교육은 관계형성 기술, 영상촬영 및 편집 교육, 온라인 학습 도구 활용 교육 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청소년활동 방향은 혼합형 청소년활동의 활성화였다. 시사점: 본 연구는 비대면 청소년활동을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 비대면활동에 필요한 청소년지도사 역량 강화, 청소년센터의 예산지원 및 평가방식에 대한 변화의 필요성을 시사점으로 제언하였다. Background: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youth workers who experienced non-face-to-face activities at youth facilities is needed at a time when the change of non-face-to-face youth activities and a change in perception of new youth activities are required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youth workers who conduct youth activities in the situation of COVID-19. Methodology: Nine youth workers working at the Seoul youth training facility were selected an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held in April 2021.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method. Finding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5 major topics, 12 sub-themes, and 18 semantic units were derived. First, the changes in youth facilities due to COVID-19 were difficulties in entry barriers, small-scale youth activities, and sensitive quarantine activities. Second, youth activities in the COVID-19 were initially confusing non-face-to-face youth activities, difficulties in non-face-to-face youth activities, evaluation of non-face-to-face youth activities, and efforts to promote youth participation in non-face-to-face activities. Third, the competency needed for youth workers in the COVID-19 was the ability to plan programs and use digital devices. Fourth, the education required for youth workers in the COVID-19 was found to be relationship formation skills, image photographing and editing education, and education using online learning tools. Lastly, the direction of youth activities in the post-corona era was the activation of mixed youth activitie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to establish a systematic for non-face-to-face youth activities, to strengthen the competency of youth workers for non-face-to-face activities, and to change the budget support and evaluation methods of youth facilities.

      • KCI등재

        청소년 요구를 통한 청소년활동의 필요성과 방향성 인식

        전명순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2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8 No.2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의 요구를 통해 청소년활동과 정책방향 및 지역에서의 청소년활동의 특성화 방안을 마련하여 청소년활동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청소년들이 원하는 활동과 지역에 필요한 시설, 청소년활동의 이해와 인식도, 청소년활동의 지원인식, 코로나19시대 청소년활동의 지원형태 등에 대하여 경기도 청소년 1987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진행하였고, 청소년 10명을 대상으로 FGI를 수행하였다. 결과: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의 청소년시설에서 앞으로 만들어 제공해 주기를 원하는 활동은 특별한 목적보다는 쉼과 여가를 즐기는 활동, 모험도전활동, 진로지도활동의 필요가 가장 높았다. 둘째, 청소년들이 원하는 형태의 활동 및 청소년지도사에 대한 요구에 있어서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단순한 참여보다는 어느 정도 자신들의 주도적인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활동의 형태를 원했다. 셋째, 청소년들이 지역에 만들어지기를 원하는 시설은 진로체험시설, 문화예술활동시설, 스마트헬스케어 특성화시설, 스포츠시설 등에 대한 요구가 크게 나타났다. 넷째, FGI를 통해 청소년시설의 홍보, 청소년의 자기주도적이고 체험 강화 프로그램 적극 추진, 진로영역의 프로그램과 신체활동, 동아리활동 등 움직이는 활동의 필요, 비대면시대에 대면 전환 가능한 프로그램 마련 등의 요구를 나타냈다. 시사점: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활동의 발전을 위해 청소년의 주도성을 발휘할 수 있는 활동과 진로와 신체활동의 다양한 활동을 제공해야 한다는 점, 청소년시설의 홍보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 비대면시대에 체험의 느낌이 나는 활동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는 점, 포트폴리오 제작을 해야 한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요구를 통해 청소년활동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한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청소년의 스마트폰의존도 변화추이와 청소년 활동의 동시 및 지연효과 연구

        이응택,오승근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2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8 No.4

        배경: 최근 청소년들의 스마트폰과의존이 심각해짐에 따라 이를 예방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청소년활동은 스마트폰과의존 예방과 치료현장에서 중요하게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청소년활동과 스마트폰과의존의 관련성을 살펴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며, 종단적 연구도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활동과 스마트폰과의존의 관련성을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스마트폰과의존 변화를 확인하고 청소년활동이 스마트폰과의존에 미치는 동시 및 지연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데이터 중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남학생 1,401명(54.2%), 여학생 1,182명(45.8%)으로 총 2,564명이었다. 결과: 첫째, 청소년기 스마트폰과의존의 변화추이를 살펴본 결과, 선형적으로 스마트폰과의존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중학교 시기의 청소년활동 참여횟수가 스마트폰과의존에 미치는 동시효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그러나 중학교 2학년 시기에 청소년활동 참여횟수는 스마트폰과의존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청소년활동 참여만족도는 중학교 3학년시기를 제외하고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연효과는 중학교 1학년 시기에 청소년활동 참여횟수와 중학교 2학년 시기의 스마트폰과의존의 관계에서 확인되었다. 시사점: 청소년기 스마트폰과의존 예방과 치료를 위해 청소년활동을 제공해야 한다. 특히 스마트폰과의존 예방을 위한 중학교 1학년 시기에 청소년활동은 스마트폰과의존 예방에 효과적임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활동의 효과에 대한 유형화 분석

        박경미 ( Park Kyoungmi ),박한솔 ( Park Hansol ),최연정 ( Choi Yeonjeong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0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활동의 효과성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이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10년 1월부터 2020년 4월까지 출판된 학술 논문 66편을 PRISMA단계를 거쳐 선정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문헌은 대부분 횡단연구로 수행되었으며 실증적 분석을 통한 청소년활동 효과성 연구는 감소하는 추세에 있었다. 둘째, 청소년활동은 동아리, 교류, 문화예술, 자원봉사, 모험탐사, 참여, 복합적 활동 등 일곱 개 영역으로 유목화 되었으며, 청소년활동은 참여여부와 횟수, 시간 등으로 측정되는 경향이 파악되었다. 셋째, 청소년활동 효과는 삶의 만족, 자아개념, 진로정체감, 학교적응, 문제행동, 시민의식, 개인역량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청소년활동 효과성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언하고 청소년활동의 중요성을 논하였다. This study is to review and understand the empirical papers focusing on the impact of youth activit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66 academic papers published between 2010 and 2020 through PRISMA. There are three main results. First, most studies are corss-sectional analysis and the number of studies have gradually decreased. Second, youth activities in the studies are categorized into 7 activities; youth circles, youth exchange, cultural, volunteerism, exploration, participation, integrated activity. Third, the impact of youth activities are life satisfaction, self-concept, career identity, school adaptation, reduction in the problematic behavior, citizenship, individual competence. Based on this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future studies regarding the impact of youth activities and discussed the importance of youth activities for the young.

      • KCI등재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청소년 활동과 역량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연구

        조현주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0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를 통해 청소년활동과 역량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역량 중심의 청소년활동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textom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청소년+활동, 청소년+역량, 청소년+활동+역량을 검색어로 하여 온라인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는 두 번의 정제과정을 거쳤으며, 단어빈도를 바탕으로 상위 키워드 50개를 선정하였다. 사회연결망 분석을 위해서 상위 키워드를 매트릭스 데이터로 변환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청소년 활동에 관한 사회적인 인식에는 봉사활동이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봉사활동과 연구가 청소년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밀접한 요인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활동으로서 봉사활동과 관련된 연구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청소년 역량의 빈도분석 결과, 청소년, 연구, 지원, 프로그램, 역량, 교육 순으로 빈도가 높았다. 에고 네트웍크 시각화에서는 교육과 프로그램이 청소년 역량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색어였던 청소년과 역량 키워드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청소년 역량과 관련해서는 프로그램에 초점을 맞춘 역량교육을 중요한 키워드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청소년, 활동, 역량을 모두 고려할 때, 사회적인 인식은 역량개발, 프로그램요소, 청소년 연구주제, 활성화의 4가지 토픽으로 대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역량 중심의 청소년 활동을 위한 시사점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체험활동과 지역사회인식이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김영애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0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6 No.2

        청소년기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다양한 활동을 들 수 있다. 다양한 활동에 있어서 긍정적으로 형성되어 있는가에 따라 진로정체감을 향상시키고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맥락적 요인 중, 청소년의 체험활동과 지역사회인식을 중심으로 하여 이들이 진로발달 및 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에서 수집하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KYPS: Korea Youth Panel Survey) 데이터 중학생용 3차년도의 자료를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는 2010년 당시 초등학교1학년과 4학년, 중학교 1학년이었던 학생들의 전반적인 성장과 발달 과정을 2016년까지 7년 동안매년 추적 조사하고 자료를 축적해 나가는 것이 목적이며, 본 연구에서 사용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3차년도(2012) 자료는 1차년도 조사결과 최종 표본으로 구축된 2,351명의 청소년들과 그들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자료이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체험활동과 지역사회인식의 다양한 영역의활동은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을 조성하는데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체험활동과 지역사회인식에서의 다양한 활동은청소년기의 자아 및 진로정체감 확립에 미치는 영향을 발견하였다. 둘째, 청소년들이 자아실현과진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사회적인 합의가 필요하다. 셋째, 직・간접적인 지역사회 참여를통해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정체감을 개발하고 확립할 수 있도록 다양한 영역에서 사회와 타인에 대한 관심과 관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예비청소년지도사의 청소년 관련 봉사활동 경험 탐색

        조발그니,류정희,김은지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19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5 No.4

        이 연구는 예비청소년지도사들이 청소년 관련 봉사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청소년 관련 학과 대학생 1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그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해 봉사활동 경험의 유형을 탐색하였다. 예비청소년지도사들은 청소년 관련 봉사활동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경험을 하였다. 첫째, 셀프리더 십의 형성이다. 예비청소년지도사들은 봉사활동을 통해 프로그램을 기획, 진행, 운영, 평가하였으며 이러한 성취 경험을 통해 다른 대학생들과 함께 동아리를 조직하기도 하고, 다른 활동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목표를 설정하고 동기부여를 하였다. 둘째, 관계형성을 하는 기회가 되었다. 예비청소년지도사들은 교수, 기관관리자들의 추천을 계기로 봉사활동을 시작하기도 하였으며, 선후 배, 동료들 간의 관계 유지를 통해 봉사활동을 지속하였다. 셋째, 진로를 탐색하고 결정하는 계기가 되었다. 예비청소년지도사들에게 봉사활동은 단순한 봉사가 아니라 청소년지도사로서 진로를 탐색 하고 자신의 적성을 찾는 계기가 되었다. 넷째, 연구 참여 대학생들은 봉사활동을 통해 청소년지도 사의 일이 무엇인지 ‘간파’하고 그 일에 대한 ‘제한’을 체험했다. 예비청소년지도사들은 대학에서 배우지 못한 청소년지도사의 현실을 간파하고 지위에 따른 일의 한계를 인식하는 ‘제한’을 알게 되었다. 다섯째, 연구참여자들은 봉사활동을 통해 현장 경험을 할 수 있었다. 이 경험은 이들에게 현장 실무의 중요성을 알게 하고, 청소년의 문화와 심리를 파악하는 기회를 제공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이 연구는 청소년지도사를 양성하는 대학 혹은 기관의 훈련 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자율동아리활동 참여특성에 따른 청소년활동 핵심역량 차이분석

        김한솔,장여옥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19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5 No.3

        본 연구는 자율동아리활동 참여특성에 따른 청소년활동 핵심역량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고등학교 중 자율동아리활동을 실시하고 있는 두 곳의 일반 고등학교 청소년 176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분석은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과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청소년활동 핵심역량의 차이를 보였다. 성별의 경우 여성이 남성보다 협업 역량에서 높게 나타났다. 학년의 경우 고등학교 2학년이 다른 학년에 비해서 의사소통, 협업, 창의력, 사회정서, 진로개발 역량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율동아리활동 참여지속성, 참여유형, 참여기간, 참여정도에 따라 청소년활동 핵심역량은 차이가 있었다. 자율동아리활동의 참여지속성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의사소통과 협업 역량이 높았다. 자율동아리활동 참여유형 중 청소년단체활동은 청소년의 의사소통, 사회정서, 진로개발 역량을 높였다. 활발하게 자율동아리활동에 참여한 청소년들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들보다 의사소통과 협업 역량을 높게 보였다. 반면에 자율동아리활동 참여기간에 따른 청소년활동 역량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율동아리활동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활동시설 이용경험과 참여활동이 청소년활동정책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활동 지원정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박동진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2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8 No.4

        배경: 본 연구는 청소년정책참여에 있어서 청소년들의 정책인지도 제고를 위해 청소년활동과 관련된 청소년의 시설이용경험, 참여활동, 청소년활동 지원정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모색하기 위한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활동시설 이용경험과 청소년활동정책 인지도의 관계에서 참여활동의 매개효과와 청소년활동 지원정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방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2018 청소년활동 참여실태조사 연구’에 참여한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에 이르는 청소년 9,041명의 데이터를 SPSS 27.0과 SPSS PROCESS macro 4.1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청소년활동시설 이용경험은 청소년활동정책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활동시설 이용경험과 청소년활동정책 인지도의 관계를 참여활동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활동시설 이용경험과 참여활동의 관계를 청소년활동 지원정도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활동시설 이용경험과 청소년활동정책 인지도의 관계에 있어서 청소년활동 지원정도는 참여활동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 청소년활동정책 인지도 제고를 위해서는 청소년활동시설 이용경험, 참여활동의 확대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청소년활동에 대한 가정, 지역사회 등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19 시대 청소년활동과 청소년정책의 과제

        박선영 ( Sun Young Park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0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6 No.4

        2020년 코로나19는 한국사회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청소년기관이나 청소년현장에서의 청소년활동은 처음 겪는 코로나 여파로 매우 혼란한 상황에 처해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코로나가 촉발시킨 새로운 환경과 사회에서 청소년활동의 방향성을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첫째, 코로나가 촉발시킨 다양한 문제들을 문석하고, 둘째, 코로나 시대와 코로나 이후 청소년활동과 청소년지도, 청소년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과 유럽연합, 유럽평의회 공식 보고서와 관련 홈페이지의 문서를 활용하여 청소년현황과 실태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내용으로는 유럽과 청소년이 가지고 있는 문제들에 대한 분석과 청소년기관이 처한 어려운 상황에 대한 이해 및 대응 방안의 탐구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제언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코로나19 이후 청소년활동은 디지털 청소년활동으로 전환되어야 하며 이때 디지털 청소년활동은 디지털 기기를 바탕으로 한 대면활동과 비대면 활동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청소년활동과 청소년지도는 공교육의 중요한 파트너로서의 역할 확장과 재개념화가 있어야 할 것이며 정부 역시 청소년활동 생태계 보전을 위한 예산 지원과 정책 지원이 있어야 한다. Covid-19 has effected a lot in Korean society. In particular, youth centres and youth work agencies are having struggles in the management of youth work due to the for the first time experiences for all.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ways and development of youth work in the new era which had initiated by Covid-19. This study aims firstly, to investigated the issues around young people caused by Covid-19. The second aim is to find out the problems of young people and youth work.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aims, this study analysed the official documents from South Korea Youth Work Agency, European Commission, and the Council of Europe. Research finding are firstly, there were universal problems of youth work around the world especially funding for the youth work management. Secondly, this research found that loc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governments should work together to overcome aftermath of Covid-19.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e reconceptualisation of youth work such as digital youth work, and th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to preserve and make youth work effective for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