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청소년탄력성 모델의 적용

        박다현,황정하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2 청소년복지연구 Vol.24 No.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ife satisfaction of out-of-school adolescents in a holistic perspective by applying Hasse's Adolescent Resilience Model. Variables such as health, social support, local community relationships, self-esteem were selected as a major influential variable and some structural relations among variables were empirically explor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nationally collected data from 646 out-of-school adolescents in total. The results of analysis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as follows. First, subjective health significantly affected self-esteem. In addition,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silience. It implies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it was found that subjective health significantly affected resilience. Also,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esilience leading to life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local community relationship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resilie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leading to life satisfaction was also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intervention methods allowing the life satisfaction of out-of-school adolescent to be enhanced, and self-esteem and resilience to be increased simultaneously were proposed.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총체적인 관점으로 살펴보기 위해, Hasse의 청소년자아탄력성모델을 적용하여 학교 밖 청소년의 탄력성과 그 밖의 다양한 변인들(건강, 사회적 지지, 지역사회 관계, 자아존중감)을 주요한 영향변인으로 설정하여 이들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646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최종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이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자아존중감은 탄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 주관적 건강이 탄력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삶의 만족도에 이르는 탄력성의 매개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의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 지역사회 관계가 탄력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삶의 만족도에 이르는 탄력성의 매개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증진과 더불어 자아존중감 및 탄력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초기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방식과 삶의 목표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연구

        이주연,신준섭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9 청소년복지연구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ident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youths’ perceived parenting styles and purpose of life. Data from the 7th-year panel data of the Korea Child Youth Penal Survey in which 1,675 respondents who were the first grade middle school participated. Results showed that in terms of parenting styles, ‘affection’, ‘excessive expectation’, and ‘excessive interven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youths’ purpose of life. Self-identity significantly influenced their purpose of life. It was found that self-identity played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in which affection and excessive expectation that were subcategories of youths’ perceived parenting styles affected youths’ purpose of life. In particular, excessive interven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youths’ purpose of life. Considering that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self-identity, it implies that endeavors to reduce parents’ intervention may help early youths to achieve their self-identity and to have their purpose in lif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parents have unconditional affection and high expectation for their teenage children but should not excessively intervene their teenage children. These parents’ behavior will enable their teenage children to have high self-identity, design their life, and have a purpose for life. 본 연구는 초기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방식, 자아정체감, 삶의 목표 간의 관계 및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조사(KCYPS) 패널데이터 7차년도 중학교 1학년 1675명 대상의 설문조사자료를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응답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방식 중 애정, 과잉기대, 과잉간섭은 자아정체감과 삶의 목표에 유의한 영향력을 보였으며, 자아정체감 역시 삶의 목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아정체감은 응답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방식 중 애정과 과잉기대가 삶의 목표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의 과잉간섭이 청소년의 삶의 목표에 부정적인 효과를 가지며, 자아정체감이 의미 있는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음을 감안할 때 부모의 과잉간섭을 줄이는 노력이 초기청소년 자녀의 자아정체감 형성과 삶의 목표설정에 긍정적 영향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에 따라 부모는 자녀에 대해 무조건적인 애정을 가지면서도 과도한 간섭을 하지 않는 가운데 높은 기대를 부여한다면 청소년기 자녀의 자아정체감을 높여서 그들이 인생을 설계하고 목표를 구상하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여자 흡연청소년은 담배를 어떻게 구매 또는 획득하는가?: 성 상품화 및 성매매 노출 위험을 중심으로

        김지희,허원빈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3 청소년복지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여자 흡연청소년의 담배 구매(획득) 경험에 대한 탐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여자 흡연청소년 4명과 청소년기 흡연 경험이 있는 여자 대학생 4명을 대상으로 개별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이후 주제분석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여자 흡연청소년은 여성 흡연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 인식과 지인을 통한 담배 구매의 어려움으로 인해 대리구매를 선호하고 있었다. 대리구매는 온, 오프라인 모두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대부분 남성 지인 또는 모르는 남성을 통해 담배를 구매(획득)하고 있었다. 특히 여성 흡연청소년은 남자에게 담배 구매를 요청하고 있었으며, 남성 구매자는 담배 구매에 대한 대가로 개인적인 연락이나 입고있던 속옷 판매 등을 요구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여자 흡연청소년에게 담배 구매(획득)를 대가로 제안되는 성 상품화 및 성매매 노출 위험은 흡연행동 이상의 문제로 이어질 위험이 큼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여자 흡연청소년이 담배를 구매(획득)하는 경험에 대한 파악을 바탕으로 또 다른 문제 발생을 예방하는 데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나아가, 여자 흡연청소년의 담배 구매(획득)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고 억제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Primary Socialization Theory에 기반한 미국 보호관찰 대상 청소년의 알코을 및 약물 관련 범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변요인 연구

        정슬기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03 청소년복지연구 Vol.5 No.1

        청소년기의 알코올 및 약물 남용은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알코올과 약물 복용은 청소년기에 신체와 정신에 끼치는 여러 해악을 떠나 성인이 된 이후에까지 많은 폭력과 범죄로 이어질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Primary Socialization Theory에 의하면 가족, 또래집단, 학교, 지역사회, 문화 등의 주요한 요인(Primary source)들이 청소년의 가치와 신념과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가족과 청소년간의 약한 유대 또는 학교와 청소년간의 약한 유대관계는 청소년의 알코올 및 약물 관련 범죄행동과 같은 일탈행동으로 이끄는 위험요소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미국 서부에 위치한 한 주(State) 내 475명의 보호관찰 대상 청소년을 대상으로 Primary Socialization Theory의 가장 기본 요소인 가족, 또래집단 및 학교가 이들 청소년의 음주 및 약물에 관련한 일탈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가족의 지지, 부모의 약물 복용, 또래집단의 약물 복용, 그리고 학교 생활이 청소년들의 알코올 및 약물 관련 범죄 행동과 어떠한 연관이 있는지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구조 모델의 결과는 RMSEA=0.034; CFI=0.95; IFI=0.96; 2=263.31, df=169, p<.01로써 수용할만한 모델적합도를 나타내었다. 4개의 독립잠재변수는 보호관찰 대상 청소년 약물관련 범죄행동 변량의 72%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도 또래집단의 약물행동이 청소년의 약물관련 범죄행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과거의 연구들은 또래 혹은 친구들의 약물 복용이 청소년의 약물행동의 주요한 요임을 밝힌 바 있다. 본 연구는 단순 약물행동에서 조금 더 나아가 약물복용과 관련된 범죄행동까지 범위를 확산함으로써 청소년의 범죄행동을 감소시키는 개입전략을 고안하는데 있어 그 청소년의 또래집단 혹은 친구들의 약물행동까지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함의를 강조한다.

      • KCI등재

        빈곤지위로 본 청소년의진로성숙도 예측요인 및 단기종단적 변화

        정희선,박성희,방혜나,윤혜미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8 청소년복지연구 Vol.20 No.4

        Recent socioeconomic polarization and dramatic changes to work environments brought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lls for special attention to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The research aimed to explore and find the factors with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s on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and categorized the factors as individual factors, family factors, and social factors, and whether the change in the family's poverty status over time affects the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The fourth and seventh wave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KOWEPS), which incorporated the questions examining career maturity, were analyzed. The sample size was 512. The findings show that for middle school students, parental participation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while for high school students, psycho-social school environment, participation in community activities and access to community services ha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areer maturity. Peer attachment and self-esteem proved to be two strong common influencers of bo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groups. As for poverty status,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from families of poverty was lower than those from the higher income families. The analysis of short-term changes in career maturity revealed that while adolescents whose families are not at poverty enjoyed higher career maturity, changes in family poverty status such as being newly reclassified as poor or no longer being considered poor did not exert any significant influences on adolescent career maturity. These results call for a differentiated approach to minimize career barrier for adolescents from poor households. 양극화 현상을 보이는 최근의 사회경제적 상황과 4차산업혁명에 따른 직업 환경의 변화로 인해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관심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가구 빈곤지위(빈곤/비빈곤)에 따른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영향요인을 개인요인, 가족요인, 사회요인으로 나누어 그 영향력을 파악하고 청소년의 성장에 따라 가구의 빈곤지위가 변화하면 진로성숙도도 변화하는지를 동태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료로는 한국복지패널의 진로성숙도 문항이 신설된 4차년도와 7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512명의 응답이 분석되었다. 진로성숙도의 예측요인과 시간에 따른 진로성숙도 변화 및 변화를 주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2.0을 사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과 다항로지스틱 모델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진로성숙도의예측요인으로는 중학생은 부모의 교육참여정도가, 고등학생은 심리사회적 학교환경과 지역사회에서의참여활동 및 서비스 이용경험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다. 친구애착과 자아존중감은 중학생과 고등학생 모두에서 중요한 예측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빈곤지위별로는 빈곤가구 청소년의 진로성숙도가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성숙도의 변화를 단기종단적으로 살펴본 결과, 비빈곤가구 청소년의 진로성숙도는 향상되었으나 새로 빈곤에 진입하거나 빈곤을 탈출하는 등 가구의 빈곤지위 변화가 청소년의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빈곤가구 청소년의 진로성숙도향상을 위해 진로장벽을 최소화하기 위한 차별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생각이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또래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래혁,장혜림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3 청소년복지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또래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에 초점을 두고,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생각이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 의해서 만들어진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의 원자료에서 415명의 표본을 선정하고, SPSS Process macro의 모델 4와 8을 활용하여 매개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 각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생각의 수준이 진로장벽의 수준과 부적으로 관련이 됨을 발견했다. 즉, 미래에 대한 생각이 진로장벽에 있어서 보호역할을 하였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미래에 대한 생각이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였다. 즉, 미래에 대한 생각의 수준이 자아존중감의 수준을 증가시켰고, 이어서 진로장벽의 수준을 감소시켰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의 또래지지가 미래에 대한 생각의 진로장벽에 대한 직접적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모두를 조절하였다. 또래지지의 수준이 증가할 때, 직⋅간접적인 부적 영향 모두가 증가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장벽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략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청소년의 차별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부모와 대화시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유지희,황숙연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8 청소년복지연구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discrimination experiences on the depression of adolescent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time of parent-child convers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discrimination experiences and depression.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conducting in 2015 was analyzed by using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discrimination experienc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pression of adolescent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econd, the effect of time of parent-child conversation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discrimination experiences and depression. Based on these results, measures to lower depression and decrease discrimination experiences which multicultural adolescents go through were discussed. Practical strategies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parents and adolescents as well as to increase time of parent-child conversation in multicultural families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차별경험이 이들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부모와의 대화시간이 차별경험과 우울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다문화가정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문화청소년의 차별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살펴보았고, 차별경험과 우울감과의 관계에서 부모와의 대화시간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청소년의차별경험은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와의 대화시간은 다문화청소년의 차별경험과 우울간의 관계에 대해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청소년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 부모와의 대화시간을 비롯한 부모-자녀관계 강화를 위한 실천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을 통해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

        강다영,강현아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2 청소년복지연구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진로태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 경로에서 학교적응의 하위요인으로서 교우관계․학업․교사와의 관계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1기의 6차-8차년도(2016년-2018년) 조사에 모두 참여하고 주요변수에 성실히 응답한 다문화청소년 1,158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과 팬텀변수 모델링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쨰,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진로태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학교적응의 하위요인 중 교우관계와 학업을 통해 진로태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진로태도 간의 관계에서 학교적응의 하위요인 중 교사와의 관계는 매개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경험한 다문화청소년이 학교에서 적절히 진로태도 형성해 나가기 위한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자원상담원의 보호관찰청소년 상담경험에 관한 연구

        신혜란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9 청소년복지연구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probation counseling, and to examine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counseling for juvenile delinquents under probation based on the volunteer counselor’s counseling experience. Eleven volunteer counselors, who are currently counseling for adolescent probationers at the probation office, were interviewed in depth. Data were analyzed by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o identify the relevance of categories. The approach of the grounded theory designed by Strauss and Corbin (1998) as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he core category representing the topic of this study was that ‘a volunteer counselor enthusiastically started to counsel adolescent probationers but retained consistently counseling them, realistically negotiating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y did as possible as they could.’ However, it was identified that understanding the system of the probation, the characteristic of volunteer counseling, and the emo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juvenile delinquents was necessary. The result shows that volunteer counselors were classified into 4 types; ‘intimate counselor,’ ‘parental counselor,’ ‘counselor with time-limited counseling,’ and ‘educational counselor’. It was found that the process of counseling consisted of 4 steps, ‘Getting to know’, ‘Waiting’, ‘Melting into’, and ‘Moving forward’ and all of these steps repeatedly happened when counseling adolescent probation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uld be used as fundamental data which allows the whole process of counseling adolescent probationers to be viewed. Plus, the role and the awareness of volunteer counselors were verified. The need and importance of counseling adolescent probationers at the national level were covere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further studies to explore detailed methods which are not only to more understand adolescent probationers but to help practical probation counseling. 본 연구는 자원상담원의 보호관찰청소년 상담경험을 통해 보호관찰 상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이며, 보호관찰청소년 상담과정과 상담의 특성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근거이론 접근방법의 주요절차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서울지역 보호관찰소에서 보호관찰청소년들을 상담하고 있는 자원상담원 11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고, 심층면접을 통해 얻은 원자료를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하여 범주들 간의 관련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중심 주제를 대변하는 핵심범주는 ‘의욕적으로 보호관찰청소년 자원상담을 시작했다가, 내가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현실적인 타협을 해가며 앞으로 계속 나아감’으로 나타났다. 자원상담원들은 비행청소년에 관한 관심, 사춘기 자녀를 이해하고 싶은 마음, 사회봉사 하고자 하는 의지, 기존 상담영역을 확장하고 싶은 마음, 상담교육 후 상담경험을 시작하고 싶은 마음 등으로 보호관찰청소년상담을 시작했지만 보호관찰 제도와 자원상담의 특성, 비행청소년의 정서적- 환경적 이해가 필요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보호관찰청소년을 상담하면서 상담원들은 4가지로 유형 - ‘친근형’, ‘부모대리형’, ‘상담한계 설정형’, ‘교육지도형’으로 각기 다른 방식의 상담을 진행하고 있었고, 상담과정은 ‘알아가기’, ‘기다려주기’, ‘내어주기’, ‘녹아들기’, ‘나아가기’ 의 단계를 반복적으로 갖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보호관찰청소년 상담과정을 전체적으로 조망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자원상담원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며, 국가적인 차원에서 보호관찰청소년 상담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이해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그리고 본 연구가 보호관찰청소년을 조금 더 이해하고 실질적인 보호관찰 상담에 도움을 주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찾아가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