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의 기업가정신 활동: 2009년 글로벌기업가정신연구(GEM) 일반성인조사(APS)를 중심으로

        반성식,김상표,송경모,조동환,박종해,차민석 한국창업학회 2010 한국창업학회 Conferences Vol.2010 No.-

        글로벌기업가정신연구(GEM: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의 목적은 창업기업가들의 태도, 활동 및 열망에 대한 국제적인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창업에 대한 보다 많은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전 세계의 정부, 기업가, 교육자 등이 정책을 설계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은 물론 창업을 꿈꾸는 개인들이 글로벌비즈니 스 환경 하에서 성공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GEM 연구에 참여한 각국의 연구진은 참여국가 별로 18세에서 64세 사이의 최소한 2,000명 이상을 대상으로 일반성인조사(APS; Adult Population Survey)를 시행하고 있다. 한국은 20개의 고소득 혁신주도형 국가 중 하나로 분류되어 있다. 한국은 20개의 혁신주도형 경제 국가들 내에서 8번째로 높은 초기창업활동(Early-stage entrepreneurial activity: TEA) 수준 (7.0%)을 보이고 있다. TEA 수준이 가장 높은 국가들은 아랍에미리트와 아이슬란드, 그리스 등인데, 이들 국가는 최근에 금융위기로 국가부도 사태를 겪거나 위험 징후를 보이고 있는 국가들이다. 따라서 단순히 TEA 비율이 높다는 것이 국가의 경제상태가 좋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혁신주도형 경제 내에서 동일한 아시아권인 일본은 반면에 제일 낮은 TEA 수준(3.3%)을 보이고 있다. 글로벌기업가정신조사에 의하면, 창업활동에 영향을 주는 세 그룹의 구조적 여건들 (framework conditions)은 경제활동을 위한 기본적 요건, 효율성 강화제도, 창업활동 및 혁신 요소등과 깊이 연관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조적 여건들은 각국의 경제성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성인조사는 국제적 신용위기의 주요 영향이 세계적으로 확산되기 이전인 2009년 5월에 시행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의 조사에서 이미 경기침체의 하락 신호가 나타났다. 그러나 경기침체의 실제 영향에 대해서도 2008년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서 2009년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상당 부분 파악 할 수 있다. 창업활동에 대한 태도 분야에서는 한국인의 경우 향후 6개월 이내에 사업을 시작할 좋은기회로 보는 경우가 거의 없었으며, 대부분의 경우 본인이 사업을 시작할 능력을 지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동시에 한국인들은 다른 혁신주도형 국가들에비해 창업활동을 매력적인 것으로 보고 있었고,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낮고, 향후 3년간 사업 을 시작하기를 원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창업활동을 측정함에 있어 창업활동의 단계를 ①잠재적인 예비단계(potential), ②태동기(nascent), ③초창기(new), ④기업설립 후 안정기(established) 창업단계의 네 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이러한 네 단계중에서도 우선 초기창업활동비율(TEA)을 구성하는 태동기의 창업활동과 초창기 창업활동에 초점을 맞추었다. 한국은 2008년 이 비율이 성인인구의 10%에 달하였으나 2009년의 7.0%로 낮아졌으며,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였을 때 여성에 비해남성의 초기단계 창업활동의 감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생계형 창업활동과 기회포착형창업활동 모두 감소하였으나, 생계형 창업활동의 감소폭(2008년에는 4.0%, 2009년에는 3.1%)보다 기회포착형 창업활동의 감소폭(2008년의 5.8%에서 2009년에 3.7%로 감소)이 상 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사업중단(폐업)비율(rate of business discontinuation) 역시 다른혁신주도형 국가들에 비해 한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국의 창업활동에서 한 가지 눈에 띄는 점은 창업활동에 있어서의 남녀 비율이었다. 이비율은 전체 표본 국가들 간에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혁신주도형 국가들의 경우 일반적으 로 여성 대비 남성의 창업활동비율이 2배로 나타났고, 미국과 독일의 경우는 이 보다 다소낮게 나타났으나 한국은 3배에 달했다. TEA에 있어서 우리나라의 남성(10.4%)과 여성(3.5%)의 상대적 비율은 사회적 창업활동에서도 같이 나타났다(남자 0.6%, 여자 0.2%). 또 다른 두드러진 특징으로는 한국의 창업기업가들의 교육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고학력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 열망(aspiration)의 측면에서는 다른 일부 국가와 마찬가지로 창업기업가들이 그들의 사업에서 높은 수준의 성장을 달성하기 위해애쓰고 있었다. 그러나 새로운 제품, 새로운 시장과 같은 높은 수준의 혁신을 통한 생산은 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국제화 정도는 중간 수준에 그쳤다. 이 보고서에서는 글로벌기업가정신지수(GEI: Global Entrepreneurship Index)도 소개하고있는데, 이는 특정 국가에서 창업활동을 위한 환경을 평가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이 지수에 따르면, 한국에서 창업 활동과 그 열망은 비교적 건강하게 나타났으나, 창업기업가의 태도는 그보다는 덜 건강한 것 The purpose of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GEM) i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entrepreneurial attitude, activity, and aspiration in the globally comparative perspective.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provide more comprehensive and profound knowledge of entrepreneurship in Korea to the government officers, entrepreneurs, and scholars. International research consortium has been built to execute annual global survey, called Adult Population Survey(APS) that has more than 2,000 people from 18-64 years old. Last year participatory countries are 54 including Korea. Approximately 7.0 % of the adult population in Korea has engaged in early-stage entrepreneurship activity (TEA) in 2009. Among the countries with highest level of TEA, Arab Emirate, Iceland, and Green are those that have unstable economic conditions. So the adequate level of entrepreneurship of those countries are questionable. On the other hand, Japan has the lowest level of TEA(3.3%) within a group of innovation-driven countries. A saturated economy might not have active entrepreneurship. Male entrepreneurial initiatives represent 10.4% of the adult population, and 3.5% females started a business. Looking at the motivation of entrepreneurial activities, ratio of opportunity-driven start-up decreased from 5.8% in 2008 to 3.7% in 2009. Moreover, rate of business discontinuation is highest among innovation-driven countries. Entrepreneurial aspiration was not high in new technology adop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though firms try to achieve higher growth. The 2009 GEM survey shows that the entrepreneurship sector is healthy but has been affected by global crisis with a medium level of opportunity-based motives and growth aspiration.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m, investors and entrepreneurs are not willing to take a risk to pursue new business opportunities due to the declining economic situation and more uncertainty. While the private sectors are shrinking after the crisis, the role of government has become crucial to balance the shortage of credits and opportunity. We need more proactive and diverse entrepreneurship policies and execution to overcome the current challenges in the economy.

      • KCI등재

        주요 국가의 기업가정신 교육 현황 및 효과 연구: 2016년 글로벌 기업가정신 지수의 비교

        남정민,이환수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 벤처창업연구 Vol.12 No.6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start-up foundations by country in order to find ways to improve the domestic entrepreneurial environment and to promote the recognition of desirable entrepreneurship practices. It also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will, and the level of opportunity-based entrepreneurships, by using data from the 2016 Global Entrepreneurship Trend Report (GETR). First, the results show the urgent need for the expans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Korea. In the GETR category of 'experienc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Korea was ranked very low (19th place), among the 20 countries. In the 'college' and 'lifelo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categories, it procured a mid-level ranking (15th). While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all ages is being promoted globally,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middle-aged individuals in Korea is relatively weak. This implies that the expans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o lifelong education and education for employees and retirees is required. Second, the individual's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Korea was 3.8 points, implying a mid-level ranking (15th), and it ranked the lowest in terms of opportunity-based entrepreneurship (20th). In comparison to China (4.55) and the United States (4.01),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Koreans was found to be low. The level of opportunity-driven entrepreneurship was also found to be very low, compared to China (4.35), Japan (4.04) and the United States (4.59). In general, the proportion of the level in opportunity-driven entrepreneurship, increases from the factor-driven and efficiency-driven, to the innovation-driven type. In Korea, the percentage of entrepreneurial ventures centered around involuntary entrepreneurship and small businesses is high. It is also interpreted that opportunity-based entrepreneurships are low in number because of this high proportion of involuntary start-up and small businesses. Last,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all types (factor-driven, efficiency-driven, and innovation-driven) was exceptionally high. It has been confirmed that exposure to all entrepreneurship education (elementary, junior high, university, and lifelong education) in innovation-driven countries, greatly increases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the case of Korea, which is an innovation-driven country, qualitative improvement based on quantitative expans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expected to be a major driving force for individuals’ entrepreneurial intention to obtain a mid-level ranking (15th). 본 연구는 국내 창업 환경 개선 및 바람직한 창업 인식 조성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2016 글로벌 기업가정신 트렌드 보고서(GETR)의 데이터(20개국 40,354명)를 활용하여 주요 국가의 기업가정신 교육 현황 및 국가별(유형별) 창업 실태, 그리고 기업가정신과 창업 의지 및 기회형 창업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먼저 한국은 기업가정신교육의 확대가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의 ‘초중고 기업가정신교육 경험’은 20개국 중 최하위수준(19위)이었으며, ‘대학’ 및 ‘평생교육’은 중위권(15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기업가정신교육은 연령대를 불문하고 활성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중고령자에 대한 기업가정신교육은 상대적으로 미약한 수준이었다. 이는 향후 평생교육 차원의 교육 확대가 요구되며, 재직자 및 은퇴예정자 대상 기업가정신 교육 개발 및 확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로, 한국인 개인의 창업의지는 3.8점으로 중하위권(15위)이었고, 기회형 창업수준은 최하위(20위)였다. 중국(4.55) 및 미국(4.01)과 비교할 때 한국인의 개인 창업의지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기회형 창업 수준 또한 한국은 3.43점으로 중국(4.35), 일본(4.04), 미국(4.59)에 비해 매우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반적으로 요소주도형→효율주도형→혁신주도형으로 전환될수록 기회형 창업의 비중은 높아지는데, 한국의 경우 비자발적 창업 및 소상공 중심의 창업 비중이 높아 기회형 창업 수준이 낮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요소주도형, 효율주도형, 혁신주도형 모든 유형에서 기업가정신교육 참여에 따른 창업의지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혁신주도형일수록 모든 기업가정신 교육(초중고, 대학, 평생교육) 참여여부에 따라 신규창업의지는 크게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혁신주도형인 한국의 경우 기업가정신교육의 양적 확대를 기반으로 질적 제고를 이룬다면, 지금의 중하위권(15위)에 머문 국민의 창업의지를 상승시킬 주요한 원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의 창업의도 영향요인과 국가 간 차이: 창업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정부지원정책을 중심으로

        박재춘,남정민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 벤처창업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인특성(창업효능감)과 환경적 특성(사회적지지, 정부지원정책)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였다. 특히, 개인 및 환경적 특성과 창업의도의 관계에서 국가 간 차이(한국, 중국)의 조절효과를 실증하였다. 한국 및 중국 대학생 626명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창업효능감, 사회적지지 및 정부지원정책 모두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특히, 한국 대학생들의 창업의도에는 사회적지지, 창업효능감, 정부지원정책 순으로 영향력을 주었다. 둘째, 중국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창업효능감, 사회적지지 및 정부지원정책 모두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특히, 중국 대학생들의 창업의도에는 정부지원정책, 창업효능감, 사회적지지 순으로 영향력을 주었다. 셋째, 환경적 특성(사회적지지, 정부지원정책)과 창업의도의 관계는 국가 간 차이에 의해 조절되었다. 특히 환경적 특성(사회적지지, 정부지원정책)과 창업의도의 긍정적 관계는 중국 대학생이 한국 대학생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즉, 한국과 중국은 집단 문화적 특성을 보이나 중국은 ‘꽌시’를 중요시 하는 관계 지향적 문화특성이 높고, 창업을 새로운 창업기회로 인식하는 불확실성 회피성향이 낮은 문화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중국 대학생이 한국 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 및 중국 대학생들의 창업의도에 대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한국 및 중국 대학생에 초점을 둔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후보

        청년의 창업교육 참여가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

        유현경,남정민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1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5 No.2

        청년을 대상으로 한 창업 교육이 기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의 구성 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창업 교육이 자기효능감에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주는지, 자기효능감의 구성 요소가 창업교육과 기업가정신을 각각 어떻게 매개하고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또한 창업 교육을 통해 기업가정신이 만들어지는 경로에서 창업 교육의 유형(정규교과 및 비교과 창업교육프로그램) 및 참여 횟수에 따라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소와 기업가정신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지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창업 교육의 참여는 기업가정신,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업도전감에 정(+)의 영향을 주었고 자기조절효능감, 과업도전감은 기업가정신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업도전감은 창업 교육 참여 횟수와 기업가정신을 매개한다. 정규교과창업교육과 비교과창업프로그램 횟수의 증가에 따라 기업가정신,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업도전감에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왔으며 특히 비교과 창업교육프로그램은 기업가정신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창업 교육의 목적에 맞는 교육과정 설계와 개인의 교육 참여 계획을 통해 창업 교육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By analyzing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and self-efficacy on young people under 39, we studied how entrepreneurship affects self-efficacy and how components of self-efficacy mediates start-up education and entrepreneurship respectively. The types of start-up education were divided into regular lectures, comparisons, and start-up programs to study whether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ship significantly increase with the number of participati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participation in start-up education affected entrepreneurship, confidence, self-regulation efficacy, task challenge preference, self-regulation effectiveness, and task preference. In addition, the sense of self-regulation and task challenge mediates participation in start-up education and entrepreneurship.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regular curriculum start-up education and comparison and start-up programs has led to significant changes in entrepreneurship, confidence, self-regulation, and task advancement. Especially comparison and start-up programs have a more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ship.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tart-up education through the design of curriculum which i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start-up education and individual education participation plans.

      • 창업멘토링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창업가 역량의 매개효과 검증

        조한지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19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2 No.2

        본 연구는 정부 및 민간의 창업지원 멘토링을 1회 이상을 경험한 업체를 표본 대상으로 한 창업멘토링이 창업가 역량을 통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05개를 표본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창업멘토링의 경력(능력) 개발 기능 및 심리사회적 기능과 역할모델 기능 모두 경영성과와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러나 창업가 역량이 매개변수로서 유의미한 영향은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 정부 및 민간 멘토링 제도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창업 초기의 멘토링도 필요하지만 창업가가 경영을 하면서 지속적으로 멘토링을 받을 수 있는 제도의 정착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이런 창업멘토링 제도의 효율적인 활용 방안에 관해 향후 보다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mentoring on the performance of entrepreneurship by analyzing 105 entrepreneurial mentoring cases. As a result, it was proved that career development ability, psychosocial function and role model function of entrepreneurship mentoring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lationship with management performance. However, it has been shown that the entrepreneurial capacity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as a paramet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stitution that can receive continuous mentoring while the entrepreneur is in charge of management, even though mentoring is needed at the beginning of the company as a way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domestic government and private mentoring system.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be more active in the future on how to effectively utilize such entrepreneurial mentoring system.

      • KCI등재

        국내 3개 대학기업가센터 공동 캐시클래스의 실전 창업체험형 교육사례연구 : 설계, 운영 및 창업효능감 상승효과를 중심으로

        김규동(Kyudong Kim) 한국창업학회 2018 한국창업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는 창업교육에 있어서 다양한 인적자원의 제공을 통한 팀 구성과 활동 및 시제품 제작 지원금을 제공하였을 때 학생들의 창업에 대한 인식과 의도의 변화를 기업가적 과정의 행동 론적 요소로 확인하였다. 구체적 연구목적은 서울소재의 3개 대학기업가센터에서 공동으로 운영한 캐시클래스의 활동경험에서 나타나는 창업의도의 다양한 변화 양상을 조명하는 것이다. 공동 캐시클래스에 참여한 대학생 14명을 대상으로 팀활동 상황 및 멘토링 등을 통한 사전 인터뷰와 학기말에 심층 서면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생들은 보다 실제적인 창업체 험을 원하며 그 결과물이 성취되었을 때 보다 높은 창업효능감을 보여주었다. 둘째, 팀 구성원간의 협력관계와 의사소통의 정도에 따라 활동의 적극적 지속성이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셋째, 지원금을 통해 보다 실제적인 활동이 가능하였으며, 학생들은 다양한 창업체험을 통해 실제 창업을 하여 활동을 하는 대리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공동 캐시클래스에 참여한 학생들의 팀활동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팀활동 과정이 창업체험에 미치는 영향정도와 활동에 따른 변화과정을 확인함으로써 실전에 가까운 창업체험이 제공되는 창업교육에 대한 연구, 개발 및 운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case study investigated how students’ perceptions of and attitudes toward entrepreneurship would change when they had taken experiential entrepreneurial education with team formation, funding for prototyping, and provision of a variety of human resourc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highlight various aspects of startup intentions that were reflected in the working experiences of cash class which was jointly operated by three university entrepreneurial centers in Seoul.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pre-interviews with 14 college students who took part in the communal cache class via team activities and mentoring as well as in-depth written interviews at the end of class. First, the study found that students wanted to have a more hands-on experience and were more effective when the results were achieved.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ve relationships among the team members were influenced by active persistence in various activities. Third, the support money enabled more practical activities and a variety of start-up experiences which provided surrogate effects of real business experiences. Focusing on the team activities of students who were involved in a communal cache class, this case study found that the cache class provided the students with a sense of initiative that enabled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ir start-up experience and change their activities, thus providing a sense of hands-on enterprise experience.

      • KCI등재

        문화콘텐츠산업의 창업지원정책 효과 분석 :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지원정책을 중심으로

        윤소영(Yoon, Soyoung),김민호(Kim, Minho),민보연(Min, Boyeon) 한국창업학회 2018 한국창업학회지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iciency of the Korean government s start-up support program from the perspective of participants since 2014, focusing on the support program of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which is specialized in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It is meaningful in that this paper covers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which has not been addressed much in the existing research on entrepreneurship.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reveal that the government’s support programs showed positive effects on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aspects. The most effective program for founders is the direct fund support. In terms of financial performance, support for entrepreneurship consultation is found to be efficient while in terms of non-financial performance, entrepreneurship support project is efficient. In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managerial performance such as immediate sales does not occur. Thus, it is not easy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start-up support program. It is also difficult to generalize our results because the number of years of start-up support program is relatively short. We leave the further pursuit of this topic to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산업분야에 특화되어 있는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지원책을 중심으로 2014년부터 현재까지 창업지원사업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정부의 창업지원 사업에 대한 효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창업관련 연구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던 문화콘텐츠산업 분야 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창업지원 정책들은 재무적, 비재무적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창업자들이 가장 효율적으로 느끼는 지원사업은 창업자금지원 사업이었다. 재무적 성과측면에서는 창업컨설팅지원이, 비재무적 성과 측면에서는 창업경영지원사업이 효율적으로 나타났다. 문화콘텐츠산업 특성상 즉각적인 매출발생 등 경영성과가 발생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아 창업지원책에 대한 효과분석이 쉽지 않았고, 창업지원사업 년 수가 짧아 표본수가 비교적 적어 일반화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어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창업교육의 전문성과 다양성이 창업동아리 구성원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지원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가록,이재은 한국창업학회 2021 한국창업학회 Conferences Vol.2021 No.1

        본 연구는 창업동아리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창업교육의 전문성과 다양성이 창업동아리 구성원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대학 지원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실증분석하고 있다. 전라남북도에 위치한 12개 대학교에서 수집된 657부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교육의 전문성은 창업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특화된 창업분야에서 전문적 교육은 깊이 있는 이해도를 통해 자신감을 높여 창업동기를 자극하기 때문에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둘째, 창업교육의 다양성은 창업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폭넓고 다양한 창업교육은 융복합적 창업지식 습득을 통해 창업과정에서 문제에 직면하였을 때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창업의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셋째, 대학 지원수준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대학 지원수준은 창업교육 전문성과 창업의도 간의 관계를 정(+)의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의 지원수준이 창업에 대한 간접 경험을 통해 비즈니스 기회를 추구하여 창업동기를 높여 창업교육 전문성과 창업의도 간의 관계를 강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넷째, 대학 지원수준의 조절효과 분석에서 창업교육 다양성은 창업의도와의 관계를 정(+)의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의 지원수준이 창업동아리 학생들에게 융복합적 지식을 적용시켜 볼 수 있게 함으로써 창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제고할 수 있기 때문에 창업교육 다양성과 창업의도와의 관계를 강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창업교육을 전문성과 다양성의 측면으로 구분하여 대학교 창업동아리 구성원들의 창업의도 간 연관성을 규명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그 관계에서 대학 지원수준의 조절효과를 보이고 있다는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창업교육 연구 분야에 의미 있는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소상공인의 사회적 자본이 자기효능감, 창업의지와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창기,김창완 한국창업학회 2018 한국창업학회지 Vol.13 No.2

        As the low growth and the economic recession are prolonged, the entrepreneurial environment is becoming more and more competitive, and especially the low entry barriers are making the business environment of small businessmen more difficult. It is, then, very important for small businesses to reduce the uncertainty of the future, to constantly search for new opportunities, and to discover and expand the growth engine of the enterprise. Therefore, social capital, which is the source of sustainable competitiveness, is accepted as an important factor of corporate grow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 social capital of small business owner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efficacy,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performance. The constructs were derived and metrics were devised. The hypothesis tests were empirically analyzed with 203 small and midsize companies nationwid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ocial capital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Second, trust and reciprocal norms among social capital factors do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will to start up. Third, self-efficac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will to start a business. Fourth, self-efficacy and willingness to start a business have a positive effect on start-up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possible to increase entrepreneurial will through systematic entrepreneurship education to promote social capital formation and self-efficacy. 저성장,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창업환경은 생존경쟁이 매우 치열해지고 있으며 특히, 낮은 진입장벽으로 인해 소상공인의 경영환경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미래의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고 새로운 기회를 끊임없이 모색할 필요성과 효율적인 창업 환경조성을 위해 기업의 성장 동력을 키우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따라서 지속경쟁력의 원천이 되는 사회적 자본은 기업성장의 중요한 요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상공인의 사회적 자본이 자기효능감, 창업의지, 창업성과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소상공인의 창업성과, 창업의지, 사회적 자본의 구성개념을 구체화하여 측정항목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항목에 대한 실증적 적용가능성을 검증하고자 전국에 있는 소상공인 CEO 203명을 대상으로 가설 검증을 하였다. 연구가설 검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자본은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자본요인 중 신뢰와 호혜적 규범은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효능감, 창업의지는 창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상공인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자본 형성의 적극적인 노력과 자기효능감을 촉진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창업교육을 통해 창업의지를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조절초점 성향이 기업가지향성, 창업동기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배병윤(Bae, Byung Yun),이주헌(Lee, Joo-Heon) 한국창업학회 2018 한국창업학회지 Vol.13 No.2

        최근 국내에서 대학생들의 창업에 대한 관심이 점점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해외에서 발표된 연구와 차별화된 국내 실증연구는 그렇게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분야 실증연구 분야에 새로운 변수인 조절초점을 소개하였다. 조절초점이론은 심리학과 마케팅에서 많이 연구 되고 있으나 아직 창업분야에 적용된 실증연구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생들의 조절초점성향, 기업가지향성, 창업동기, 창업의지 사이의 관계를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촉진초점은 기업가지향성, 경제적 창업동기 및 비경제적 창업동기에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가지향성은 경제적 창업동기 및 비경제적 창업 동기 모든 변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경제적 창업동기와 비경제적 창업동기는 국내 대학생들의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ly, there have been growing interests on entrepreneurship especially for young people in Korea. However, there have not been many Korean studies different from the articles published in other countries. In this article, we introduce a new construct, regulatory focus, to the literature of entrepreneurship. The regulatory focus theory has been applied to the research on psychology and marketing. We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regulatory focu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Korean college student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omotion focus has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ship, economic and non-economic entrepreneurial motivations. Second, entrepreneurship positively affects both economic and noneconomic entrepreneurial motivation. Inaddition,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to economic entrepreneurial motivation, non-economic entrepreneurial motivation does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Korean colleg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