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 문헌에 나타난 이론의 경향과 향후과제

        조성숙(Cho, Sung-Sook)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1

        본 연구는 최근 지역사회복지 문헌에 나타난 이론들을 새롭게 조망하여 지역사회복지 이론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지역사회복지의 학문적 정체성 및 이론적 체계의 확립을 위한 과제를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최근 약 10년간 한국과 미국에서 출간된 지역사회복지 문헌을 편의표집하여 문헌에 나타난 지역사회복지 이론의 경향을 파악하였고, 주요 이론들을 상호작용 범위에 따라 재분류하였다. 나아가 지역사회복지 문헌에 나타난 이론들의 한계점을 제시하였고, 지역사회복지의 전문성 향상 및 발전을 위한 향후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raw limitations of community welfare theories by newly examining theories appeared in the recent community welfare literatures and further seek for future tasks toward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and theoretical systems of community welfare. To achieve these purposes, this study explored the recent trends of community welfare theories based on the community welfare literatures published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pproximately the last ten years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and further reclassified these main theories according to the scale of interaction. Finally, this study concluded by presenting the limitations of community welfare theories appeared in the literatures and the future tasks for development of community welfare.

      • KCI등재

        읍면동 복지기능 강화에 따른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사회복지협의회의 협력방안

        채현탁(Chae, Hyun-tak)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52

        본 연구는 정부의 읍면동 복지기능 강화로 인해 제기된 지역사회복지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사회복지협의회가 적절히 기능할 수 있는 협력방안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두고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정부의 사회복지전달체계 개편에 따른 방향성을 지역성, 통합성, 주체성으로 도출하였고, 이를 중심으로 두 조직의 활동 및 협력실태와 문제점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역성 측면에서 읍면동 단위에서의 협력 논의는 시기적으로 매우 빠른 감이 있으나 정부의 강한 정책 추진 의지에 따라 새로운 협력 방안 모색이 요구되고 있다. 통합적 측면에서는 두 조직 모두 통합성을 구현할 기반이 취약하고, 지역사회의 한정적인 자원으로 인해 자원 확보 경쟁 및 이로 인한 갈등 가능성마저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주체성 측면에서는 사회복지협의회의 주민참여 활동 경험을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의 협력을 위해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를 중요한 과제로 제시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역성(읍면동 단위 등)을 고려한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의식화, 지역사회복지협의체는 보장적 기능/사회복지협의회는 개발적 기능으로 핵심 기능 정립, 지역사회복지협의체는 주민생활 중심/사회복지협의회는 복지 중심으로 조직 구성상의 통합성 강화, 지역사회복지협의체는 공식적 자원 조직화/사회복지협의회는 비공식적 자원 조직화로 읍면동 단위의 다중 안전망 구축 등을 제안 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strategies for cooperation between Community Social Welfare Association and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for their adequate functioning in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s of community social welfare suggested by the government’s reinforcement of the welfare function of eup, myeon, and dong. With this purpose, this study derived regionality, integrity and subjectivity as the directions of community social welfare in response to the government’s restructuring of the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and in terms of these directions, examined the activities and cooperation of the two organizations and related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s follows. From the aspect of regionality, it may be too early to discuss cooperation in the units of eup, myeon, and dong, but it is required to find new cooperation strategies in response to the government’s determined will to promote the policy. In the aspect of integrity, both of the two organizations do not have a solid foundation for implementing integrity, and even the limited resources of community communities may cause competition and conflicts for securing resources. From the aspect of subjectivity, it is an important question how the experience of resident participation activities of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will be utilized for its cooperation with Community Social Welfare Association In order to resolve these issues, this study suggested conscientization for community social welfare in consideration of regionality (the units of eup, myeon, dong, etc.), establishment of welfare function and developmental function as the key functions of, respectively, Community Social Welfare Association and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reinforcement of the integrity of organizational structure centering on residents’ life for Community Social Welfare Association and on welfare for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and construction of multi?layered safety net for the units of eup, myeon, and dong through organizing official resources by Community Social Welfare Association and unofficial resources by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etc.

      • KCI등재

        위기취약 대상자 발굴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지역사회 아웃리치 실천 기술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박미진(Park, Mi Jin),김진(Kim, Jin) 한국지역사회학회 2018 지역사회연구 Vol.2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들이 지역사회 아웃리치를 어떻게 경험하고 있고, 이를 위해 사용하는 실천기술들이 무엇인지를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지역사회 아웃리치 경험이 있는 지역사회 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심층면접을 통해 이루어졌고, 질적연구방법중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사회 아웃리치 실천과 기술에 대한 경험은 74개의 의미단위, 12개의 드러난 주제, 7개의 본질적 주제로 범주화되었다. 본질적 주제는 지역사회 아웃리치 개념, 필요성, 지역사회 아웃리치 장애요소, 지역사회 아웃리치 대상자, 지역사회 아웃리치 실천기술에 대한 개별적 접근 (클라이언트와 관계맺기, 동기부여하기), 조직적 접근(기관차원에서 정기적으로 하기, 기관정책 차원에서 체계마련하기), 지역적 접근(지역주민과 함께 하기, 지역사회 기관들과 함께 하기)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사회복지사들의 실천경험토대 지역사회 아웃리치 인식, 장애물, 기술 구조화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사들의 지역사회 아웃리치에 대한 개입과 실천방법에 대한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how social workers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use their community outreach skills. This study used Giorgi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to in-depth interview 15 social workers.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phenomenon of community outreach, as experienced by social workers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is analysed. The interviews referenced 74 meaning units, 12 revelatory themes and seven core themes. Core themes identified four: community outreach concepts(meaning of community outreach, going to the clients), necessity of community outreach, clients’ type of community outreach, obstacles of community outreach. Community outreach practice skills fell into three themes: individual approach(relationships with clients centered, motivating clients), organizational approach(approaching with regulary, with a system at the agency level), and community aprroach(being with community citizens, being with commingy agencies).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some of the implications of community outreach practice for social workers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 KCI등재

        지역복지 네트워크 모델 비교

        최균(Choi, Gyun),장영신(Jang, Young-Shi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5

        본 연구에서는 지역복지 네트워크 이론인 사회교환이론, 상호조직이론, 사회자본이론을 중심으로 평택시 사회복지협의회와 남양주시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분석하고, 지역복지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를 하였다. 이를 위해 평택시 사회복지협의회와 남양주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지역복지 네트워크 모델을 비교했다. 분석결과에 의한 지역복지 네트워크 모델은 평택시 사회복지협의회의 경우, 상호조직이론과 사회자본이론을 중심으로 활용한 지역복지 네트워크 모델이고, 남양주시 지역복지협의체는 사회교환이론을 중심으로 활용한 지역복지 네트워크 모델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복지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으로 시 군 구사회복지협의회와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기능 강화, 시군 구사회복지협의회 확대설치,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조직운영 강화 등을 제언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with community welfare network models and to suggest what is the best way to activate community welfare network. This study made analysis and comparison of roles and functions between Pyeongtaek Council of Social Welfare(PCSW) and Namyangju Community Welfare Council(NCWC) based on social exchange theory, interaction organization theory, social capital theory. As a result, PCSW"s medel was found that had more elements of interaction organization theory and social capital theory, NCWC" model had more elements of social exchange theory.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community welfare network that empowerment of Local Council of Social Welfare and Community Welfare Council, establishment of Local Council of Social Welfare, and reinforcement of ability of organizational operation at Community Welfare Council should be performed successfully.

      • KCI등재

        시·도 지역사회복지계획 발전 방안 모색을 위한 탐색적 연구

        유애정(Yoo, Ae-Jung),김동화(Kim, Dong-Hwa)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6

        최근 지역복지 활성화를 통한 지역주민들의 참여의식 제고와 복지체감도 향상, 복지향상을 위한 지역단위 기반 정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측면에서 지방자치단체가 지역사회복지계획을 4년 단위로 수립·실천하고 있다. 시·군·구는 지역복지 추진의 주체가 되어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시·도는 시·군·구 단위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들을 중심으로 ‘지원자’ 적 역할을 수행해야 하지만, 현 시·도 단위 지역사회복지계획은 단순히 기초단위 지역사회복지계획 내용을 취합, 중앙정부로부터 시·군·구에 하양 전달되는 사업 중심으로 구성, 일부 전문가 및 관계자들에 의해 계획이 수립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도도부현 지역복지지원계획’의 추진사례를 분석하여 한국의 시·도 단위 지역사회복지계획의 발전을 위해 첫째, 지역사회복지계획의 개념 확립 및 시·도 역할의 명확화 필요, 둘째, 시?도 단위 지역사회복지계획의 방향성 전환 검토, 셋째, 지역주민 참여 활성화 및 사회복지위원회 기능 강화 등의 구체적인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Recently, interest in improvement of participating intention of local residents, in enhancement of welfare feeling thermometer and in local infra arrangement have been increased through local welfare activation, and practice local welfare plan every 4 years from this perspective. Although City?Gun?Gu should act as the subject of local welfare performance, City and Do (Province) should perform supportive roles for difficult tasks that City ?Gun?Gu cannot tackle, current City and Do local welfare plan is configured with the projects that are collected from local welfare plan of local communities and delivered to City?gun from central government. The plan of local welfare is established by some experts and related people.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followings were proposed based on best practices ‘Municipal Government Welfare Support Plan in Japan’; first, it is needed to establish concept of local welfare plan and to clarify the roles of city and Do. Second, it is needed to consider changing direction of local welfare plan of City and Do. Third, it is needed to establish City?Do local welfare plan from mid to long term perspectives, to activate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and to enforce function of social welfare committee.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 교육의 현황과 개선방향

        최현숙(Choi, Hyeon-suk),최경인(Choi, Kyeong-i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0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 교육의 정체성과 방향을 찾기 위하여 지역사회복지 교육의 표준화 과정을 검토 분석하고, 지역사회복지론 교과목 지침서(2010)의 내용을 분석틀에 근거하여 교육과정(목표, 교재, 내용, 방법) 현황과 지역사회복지 교육의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에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에 가입한 75개 대학/개인회원 중 지역사회복지론 담당교수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이메일)를 실시하였으며, 분석대상은 25명이다. 조사결과, 지역사회복지 교육의 개선을 위한 제언으로 현장과 밀착된 교육과 더불어 지역사회복지 실습 강화, 한국적 지역사회복지 실천모형의 연구 보완, 실천방법/기술 교육의 강화, 새로운 분야 포괄, 지역사회복지론 교수방법을 위한 연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tandardization Process of CWE(Community Welfare Education) and present that current situation of a curriculum and improvement direction on analysis form of subject guide(2010). Survey was carried out by Delphi method to charge professors of community welfare subject among 75 university/individual members who are joined in Korean Council on Social Welfare Educa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Strengthening practice and education that weld in first-hand field, Supplement study for Korean practical model, Solidify education about practice method/technology, Including new boundary, Necessity of study for instructional method based on the survey result.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 거버넌스를 위한 지방정부의 대응전략에 관한 연구

        채현탁(Chae, Hyun-tak)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50

        본 연구는 지방정부의 지역사회복지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대응전략을 모색하고자 지역단위(시?군?구)에서 사회복지서비스를 집행하는 지역사회복지실천 주체들 간의 혼란과 갈등 현상을 구체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이를 통해 지역단위에서는 다양한 지역사회복지 추진체계들이 활동하고 있지만 지방정부 중심의 형식적 거버넌스 형태, 민간부문의 부족한 역량과 공공부문과의 제한적이고 수직적인 관계 양상, 지역사회 중심적인 사업 수행보다 공공조직 중심적인 사업 수행 등의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대응전략으로 지방정부가 중심이 된 거버넌스에서 벗어나 지역사회복지 거버넌스로 변화시키려는 인식 전환과 이를 위한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며, 지역 내 민간부문의 역량을 강화하여 제한적이고 수직적인 관계를 다차원적이고 수평적인 관계로 전환?개선하려는 노력이 요구되고, 지역사회 혁신에 초점을 두고 이를 지역사회와 공유하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concretely examined chaos and conflicts between bodies of community welfare practicing social welfare services in regional district units (shi, gun, gu) to explore coping strategies for establishing local government’s community welfare governance. Through the exploration above, this study identified problems such as formal governance types centered on local governments, lacking competence of civil sectors and their limited and vertical relation aspects with public sectors, and public organization centered work performances other than community centered ones. As for coping strategies to improve tho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make systemic improvement for perceptional shift to community welfare governance by breaking away from local government centered governance, which requires endeavors to convert and improve relations from limited and vertical to multi-dimensional and horizontal by reinforcing civil sector competence within the region, and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be necessities of endeavors to share them with the community focusing on community innovation.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 정체성 탐색

        최옥채(Choi, Ok-Chai)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38

        이 연구는 기본적으로 문헌연구 방법을 적용해 사회복지실천 측면에서의 지역사회복지 정체성을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사회복지실천 관점과 사회복지실천 정체성과 지역사회복지 핵심범주로부터 지역사회복지 정체성 요건을 도출해 지역사회복지가 갖추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 즉 사회복지실천 측면에서 지역사회복지는, 1) 지역사회복지를 통찰하는 지식, 2) 지역사회복지를 규정하는 목표, 3) 지역사회복지를 이끄는 기술, 4) 지역사회복지를 견제하고 지원하는 환경, 5) 지역사회복지를 지향 및 통제하는 가치와 윤리를 바탕으로 형성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아울러 이 같은 요건은 개인이나 집단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복지실천과 공통 사항을 철저히 가려 지역사회복지론 내용을 사회복지실천론과 사회복지실천기술론교과목에 분산 배치해야 함을 강조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dentity of Community Welfare and Practice in the context of Social Work Practice. Five requisites which revealed the identity of Community Welfare Practice are convinced from the analytic frame composed by the perspective and identity of Social Work Practice and the core themes of Community Welfare Practice. That is, the contents of Community Welfare Practice could be structured as follows; knowledge for penetrating Community Welfare and Practice, objectives for prescribing Community Welfare and Practice, skills for leading Community Welfare and Practice, environment for restraining and supporting Community Welfare and Practice, and values and ethics for aiming and controling Community Welfare and Practice. Additionally, differentiated contents from that of Community Social Welfare and Practice should be distributed to Theories of Social Work Practice and Skills and Techniques of Social Work Practice accordingly.

      • 한국 근대 민간사회복지 연구 동향과 과제 : 관련 저서를 중심으로

        이방원 한국사회복지역사학회 2020 사회복지역사연구 Vol.3 No.-

        본 논문은 사회복지역사 개설서와 한국 근대(1876-1945) 사회복지에 관한 심화된 연구서의 내용 분석 을 통해 한국 근대 민간복지의 연구동향을 분석한 연구이다. 먼저, 한국 근대 사회복지에 대한 내용이 수록된 21종의 사회복지역사 개설서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 서구 중심의 선진국 사회복지 변화의 한 부분으로 한국의 사회복지 변천을 살펴보고 있어 한국 복지의 변천을 집중적으로 살펴보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 대상인 근대 민간복지 부분에 대한 서술은 한국 최초의 사회복지역사서라고 할 수 있는 구자헌의 한국사회복지사 이후 최근 출간된 사회복지역 사 개설서까지 서술 내용은 크게 발전되었다고 볼 수 없다. 또한 각 저서에 소개된 민간복지 기관의 기 본정보가 잘못 서술된 것이 종종 눈에 띈다. 한국 사회복지역사 연구가 집적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내 용 보완 및 수정에 대해 앞으로 전면적인 고민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한국 근대 사회복지에 관해 이전 사회복지역사 개설서와 차별되는 심화된 내용이 수록되어 있 는 홍금자, 안상훈 외, 박정란, 오토모, 이방현 외의 저서 5개를 분석했다. 5종의 저서를 통해 한국 근 대 민간복지에 대한 시대구분 및 개관, 각 시기에 존재하였던 주체, 대상, 민간복지 기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고, 주요 기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활동의 내용과 그 평가를 읽을 수 있었다. 그러나 각 저자마다 활용 사료의 범주가 상이하고, 관점의 차이로 서술의 내용과 평가에도 차이가 나타난다. 앞으 로 한국 근대 민간복지의 주체별, 분야별, 지역별 연구가 다양한 각도에서 이루어져 연구자들 간에 존재 하는 차이의 간극을 메꾸어 나가고, 한국사회복지역사의 비어 있는 내용들이 채워지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f modern Korean private welfar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opening of the social welfare history and the in-depth research on modern social welfare in Korea(1876-1945). First of all, the analysis of 21 types of social welfare history books containing information on social welfare in modern Korea showed that there was a limit to focusing on the transformation of Korean welfare as it was part of the social welfare changes in advanced countries centered on the West. The description of the modern private welfare section,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cannot be considered to have been greatly improved since Koo Ja-heon's "Korean Social Welfare History," the first Korean social welfare history book. It is also often noticeable that the basic information of private welfare institutions introduced in each book is misrepresented. In a situation that research on Korean social welfare history is being concentrate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upplementing and revising the contents. Next, five books on modern social welfare in Korea written by Hong Keum-ja, Ahn Sang-hoon, Park Jeong-ran, Otomo, and Lee Bang-hyun which are different from previous social welfare history books were analyzed. The five books provided information on the classification and opening of modern Korean private welfare, subjects, and private welfare institutions that existed during each period, and detailed activities and evaluations of major institutions were read. However,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the description and evaluation are seen due to differences in each author's perspective and each author using a different category of utilization feed. Through future research, it is believed that evaluation of modern Korean private welfare by subject, sector, and region should be conducted from various point of view.

      • KCI등재

        지역재생사업 내 사회복지 거시실천 양상 이해를 위한 새뜰마을 민관협력형 주민돌봄사업 사례연구

        정소익(Soik Jung),김은혜(Eunhye Kim),김성미(Sungmi Kim) 한국지역사회학회 2021 지역사회연구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재생사업 현장에서 사회복지 거시실천이 추진되고 있는 양상과 그 맥락을 살펴봄으로써 지역재생사업에 필요한 사회복지실천의 방향성을 탐색해보는 것이다. 지역쇠퇴와 관련한 지역사회의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현안에 대응하기 위해 막대한 공공예산을 들여 계속되고 있는 지역재생사업의 대부분은 일회성 건설사업 중심으로 진행되어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마중물이라는 사업 기본 취지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그 원인과 향후 개선 방향을 사회복지 거시실천 관점에서 찾아보고자 안동, 전주, 진안, 평택의 새뜰마을 민관협력형 주민돌봄사업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지금의 돌봄사업은 사회복지 거시실천 수준까지 나아가지 못하고 서비스 전달에 머물고 있어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마중물이라는 사업 목적 달성에 유용하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사회복지 거시실천 방법론을 정비하고 이를 적극 적용할 수 있도록 사업 체계를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 거시실천이 지역재생사업과 개념적, 방법론적 맥을 같이 하고 있음을 보여주면서 상호 접목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더하여 지역재생사업의 구조적, 실천적 방향성을 재설정하는 데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social work practice necessary for local regeneration projects by examining the aspects and contexts of the social work macro practice in the work field. Most of the local regeneration projects, which are ongoing with huge public budgets to respond to the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issues of the local community related to regional decline, are mainly one-time construction project, so does not meet the basic purpose of the projects to be the priming water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is study, to find the cause and future improvement direc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work macro practice, a case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private-public partnership based human care projects of Saeddeul Village in Andong, Jeonju, Jinan, and Pyeongtaek. Implications drawn from the study are (1)the current projects do not advance to the level of macro practicing and remain in service delivery, so they are not useful in achieving the project purpose of priming sustainable development, (2)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social work macro practice methodology and re-establish the project system so that it can be actively applie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