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동유럽지역 한국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

        안남일 중동유럽한국학회 2014 중동유럽한국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논문은 중동유럽지역 관련 한국학 연구에 대한 현황을 통해 한국학 연구의 제문제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통해 확인되는 학위논문 및 국내학술지논문으로 연구 대상을 한정하였다. ‘한국학’, ‘유럽’, ‘동유럽’, ‘중동유럽’을 주요 키워드로 삼아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서 검색한 바, 학위논문 3편과 국내학술지논문 32편을 확인하였다. 우선 한국학의 개념에 대해 재고하고 해외 한국학 동향을 파악한 후, 대상 논문을 해제하여 중동유럽지역 한국학 연구의 문제점을 살펴본 바 연구 테마의 유사성, 연구 방법의 도식성, 어문학교육과 문화교육의 횬효성에 대한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바람직한 한국학 연구를 위해 리터러시를 기반으로 한 문화교육, 공동 연구교류의 활성화, 한국어교육 연구자의 연구지원 확대, 국내 연수 교육을 통한 현지 해외 연구 인력 양성이라는 네 가지 제언을 하였다. The paper aims to inspect several problems that Korean Studies research has, through the current situation on it concerned with Middle-East Europe. For this, the subject is confined to graduate thesis and paper in domestic scholarly journal verified through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which is provided by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KERIS). Taking 'Korean Studies', 'Europe', 'East Europe', and 'Middle-East Europe' as primary keywords, I checked three theses and thirty-two papers in domestic scholarly journal. First, I reconsider on the concept of Korean Studies and grasp trend of Korean Studies. After that, I analyze theses and examine the problems of Korean Studies. From those examination, I found that problems are in the similarity of research themes, diagram of research methods, and confusion betwee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and cultural education. In these respects, for desirable Korean Studies I gave four suggestions: (1) Cultural education based on literacy (2) Activating of exchange in collaborative research (3) Expansion research support for researcher of Korean education (4) Foreign research manpower training in country.

      • 한국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안남일(An Nam Il) 중동유럽한국학회 2014 중동유럽한국학회지 Vol.15 No.-

        본 논문은 중동유럽지역 관련 한국학 연구에 대한 현황을 통해 한국학 연구의 제문제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통해 확인되는 학위논문 및 국내학술지논문으로 연구 대상을 한정하였다. '한국학', '유럽', '동유럽', '중동유럽'을 주요 키워드로 삼아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서 검색한 바, 학위논문 3편과 국내학술지논문 32편을 확인하였다. 우선 한국학의 개념에 대해 재고하고 해외 한국학 동향을 파악한 후, 대상 논문을 해제하여 중동유럽지역 한국학 연구의 문제점을 살펴본바 연구 테마의 유사성, 연구 방법의 도식성, 어문학교육과 문화교육의 횬효성에 대한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바람직한 한국학 연구를 위해 리터러시를 기반으로 한 문화교육, 공동 연구교류의 활성화, 한국어교육 연구자의 연구지원 확대 및 국내 연수 교육을 통한 현지 해외 연구 인력 양성이라는 세 가지 제언을 하였다. The paper aims to inspect several problems that Korean Studies research has, through the current situation on it concerned with Middle-East Europe. For this, the subject is confined to graduate thesis and paper in domestic scholarly journal verified through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which is provided by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KERIS). Taking 'Korean Studies', 'Europe', 'East Europe', and 'Middle-East Europe' as primary keywords, I checked three theses and thirty-two papers in domestic scholarly journal. First, I reconsider on the concept of Korean Studies and grasp trend of Korean Studies. After that, I analyze theses and examine the problems of Korean Studies. From those examination, I found that problems are in the similarity of research themes, diagram of research methods, and confusion betwee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and cultural education. In these respects, for desirable Korean Studies I gave four suggestions : (1) Cultural education based on literacy (2) Activating of exchange in collaborative research (3) Expansion research support for researcher of Korean education and Foreign research manpower training in country. (Korea University)

      • KCI등재

        A Study on Images of Korea in the Arab : 아랍에서 한국의 이미지 연구

        Lee In-Seop(이인섭),Kim Neung-Woo(김능우),Yu Hong-Sik(유홍식),Youn Yong-Su(윤용수),Chang Se-Won(장세원),Hwang Sung-Yon(황성연) 한국중동학회 2007 韓國 中東 學會 論叢 Vol.27 No.2

        본 연구는 고대 신라시대부터 교역을 시작하여 오랜 교류의 역사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학문적 영역에서 관심을 기울이지 못한 중동지역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2003년 발발한 이라크전쟁은 이 지역에 대한 다양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한국이 미국의 요청으로 3천명 이상의 병력을 이라크에 파견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라크전 이후 중동 미디어들과 중동인들이 한국을 어떻게 생각하고 평가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5개국(이집트, 이라크, 레바논, 요르단, 아랍 에미리트)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이들 국가에서 응답자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미디어와 한국에 대한 뉴스를 가장 많이 접하는 미디어는 텔레비전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신문과 인터넷으로 나타났지만, 텔레비전과는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응답자들은 텔레비전을 통해 한국과 관련된 뉴스보다는 일본과 중국과 관련된 뉴스를 더 많이 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응답자들이 한국산 제품을 접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산 제품에 더 만족도 높은 사람들일수록 한국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응답자들은 중동지역의 신문들이 한국에 대해 우호적인 시각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으며, 이러한 중동지역 신문들의 시각은 중동지역 사람들에게 한국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미국과의 관계에 대해 요르단, 레바논 응답자들은 다소 종속적인 관계로, 이라크와 아랍 에미리트 응답자들은 동반자적/우호적 관계로 평가하였다. 한국의 이라크 파병에 대해 이라크 응답자들을 제외한 다른 국가들의 응답자들은 다소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자국의 미디어들이 한국의 이라크파병에 대해 다소 긍정적인 보도를 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하지만, 응답자들은 파병한국군이 미군과 함께 전투 활동을 벌이고 있다고 잘못 인식하거나, 파병활동을 전혀 알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Exposure to Culture for Foreigners in the Reading Texts of Korean and English Textbooks

        김소영(Kim, So Young),최권진(Choi, Gwon-Jin) 중동유럽한국학회 2013 중동유럽한국학회지 Vol.14 No.-

        문화를 가르치는 것은 외국어 학습자의 언어 능력과 상호작용 능력을 증진하는 데 필수적이다. 이는 외국어로서 또는 제2언어로 한국어를 가르치는 데에 있어서도 예외가 아니다. 교실에서 한국어를 교육하는 현 상황에서 교재는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 문화를 접하는 중심 원천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와 영어의 읽기 교재에 포함된 문화 요소를 분석하여 문화의 측면에서 두 교재를 비교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문화의 개념 그리고 언어와 문화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중급 학습자 대상의 연세 한국어 읽기 3권과 4권, 그리고 Journeys Reading 1권과 2권에 포함된 문화 요소를 분석했으며 이 두 종류의 교재에 문화 요소가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비교했다.

      • Educational Aspects of Korean Antiquarian Books

        Anastasia Guryeva 중동유럽한국학회 2016 중동유럽한국학회지 Vol.16 No.-

        한국 문학사는 한국학 교육의 불가분리한 과목으로 여겨져 있는 동시에 한국 문화의 중요한 요소인 서적 문화는 한국 외에서 교육과정에 주목을 거의 받지 않는다. 본 글은 한국 문화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알려 줄 수 있는 현상으로서의 한국 고서의 특징을 다루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글의 내용은 고서를 검토함으로써 서적문화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한국의 문화에 대한 포괄적이고 관건적인 정보를 알 수 있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필자는 상트 페테르부르크 국립 대학교 동양학부에서 한국 서적 문화에 대한 교육 과목을 개발하고 교육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접근으로 이 글도 교육적인 면이 강하다. While literature is an integral part of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studies, book, i.e. the space, which comprises literature and other types of texts, which equally belongs to the intellectual culture of the nation, is rarely represented in curricula outside Korea. This paper is an attempt to bring attention to the phenomenon of book as a valuable source that is worth not to be neglected in the education on the field of Korean studies. This paper deals with a Korean antiquarian book not only as an object that contains own specific features, but also as a valuable source on Korean culture in general, an object that illustrates and sometimes explains some of its important features. The author acquired this approach as a result of the experience of teaching the course on Book in intellectual culture of Korea and Book in the Far East at the M.A. course at Saint Petersburg State University, Faculty of Asian and African Studies. Therefore, the paper has a distinctive educational purpose and aims at drawing attention to the phenomenon of Korean book in its antiquarian format and demonstrating how it may be used in academic process relating to Korean studies.

      • KCI등재

        A Survey of Muslim Immigrants in Korea-Focussed on Adaptation to Korean Lifestyle and Religious Observation

        이희수(Lee, Hee-Soo),조영주(Joh, Young-Joo) 한국중동학회 2012 韓國 中東 學會 論叢 Vol.33 No.1

        우리나라가 다문화사회로 급속하게 진입하면서 외국인 이주민들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늘어나고 있다. 무엇보다 전통적으로 서구와 가장 뚜렷하게 맞서고 있는 이슬람 문화권 이주민들인 경우 최근 우리사회에서 일고 있는 이슬람포비아 문제나 일부 기독교 우파단체들에 의한 한국의 이슬람화 가속화 우려 표명과 맞물려 더욱 세심한 접근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그동안 국내거주 무슬림들에 대한 연구는 한국중동학회, 한국이슬람학회를 중심으로 조희선, 안정국, 오종진, 김효정 등과 같은 연구자들에 의해 사회학-인류학적 설문조사와 통계분석을 포함하는 비교적 대규모의 정교한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이번 연구는 기존 설문배분방식에 의존한 조사에서 나타나는 결과의 신뢰성 약화라는 오랜 문제점을 보완하고 설문답변의 유효성과 기대효과를 높이기 위해 시간이 걸리더라도 설문집중도 분위기 조성을 통한 심층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국내무슬림 공동체를 블루칼라, 화이트 칼라 등으로 대별하여 살펴본 이전의 개략적인 조사를 보다 정교하게 분석하기 위해 6개월(2011년 4월∼9월)에 걸친 “1대1” 심층 설문 인터뷰 방식으로 국가별로 200여 명에 대한 체계적이고 폭넓은 조사를 진행하였다. 특히 말을 통한 소통 전통(Oral Tradition)이 강한 중동과 이슬람권 무슬림들로부터 설문을 통한 필답 답변은 자칫 원하는 기대치에 크게 벗어날 위험성이 상존한다. 여기에는 피면접자와의 라포형성과 대화를 통한 설문내용의 예비적 인지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비교적 높은 표본 집단인 148명의 유효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된 국내거주 무슬림 이주민들의 현황과 그들의 한국 생활양식 적응도, 종교적 의무수행을 분석하고 해석한 것이 이 논문이다. 조사대상 범위는 한국생활 양식 적응도와 종교 생활의 지속성 여부와 변화라는 연구주제에 보다 근접하기 위해, 종교적 공동체 형성이 비교적 잘되어 있는 안산과 이태원의 모스크 주변 지역을 설정하였으며, 서남아, 동남아 무슬림들에 집중하였다. 그러다 보니 상대적으로 종교성이 약한 중앙아시아 출신 이주민 무슬림들에 대한 조사를 포함하지 못했다. 나아가 이번 연구는 아시아 각국의 무슬림 이주민 현황 비교연구라는 일본 와세다 대학 부설 <아시아 무슬림 연구소>의 장기 연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기획되어 향후 비교자료로서의 성격도 동시에 갖게 된다. 한국의 무슬림 이주민들은 80% 이상이 고졸 이상의 학력(그중 50%이상이 전문대 이상)을 갖고 있으며 주로 100만 원 미만의 월급을 받는(30.4%) 3D 업종(40.5%)에서 돈을 벌기 위해 내한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들의 한국문화 적응도에서는 47.3%가 한국어 말하기-쓰기에서 충분하지 않다고 대답했으며, 8.8%는 한국어가 전혀 통하지 않는 상태였다. 이는 그들이 국적별 공동체를 이루며 공동체 내에서 한국말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도 한국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여건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생활 만족도에서는 만족이 59.5%, 매우 만족이 12.8%로 72.3%가 만족한다고 답했다. 신앙생활 준수 부분에서는 응답자의 32.4%가 이슬람의 계율을 철저히 지키고 있었으며, 42.6%는 비교적 철저히 지킨다고 답함으로써 75% 이상이 한국에서도 자국에서와 조금도 다르지 않게 이슬람의 가르침을 따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상생활에서의 이슬람 계율준수 여부를 알 수 있는 할랄음식 선호여부에서도 35.8%가 일주일에 2번 이상 할랄 점포를이용하고 있었으며, 43.9%가 일주일에 1번 이상으로 그들 절대다수(98.6%)가 이슬람식으로 허용되는 재료와 음식을 찾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슬람 신앙의 가장 중요한 계율인 예배준수 여부에서도 거의 대부분이 모스크에 가서 예배를 근행하고 있었으며, 단지 4.1%만이 종교적 의무예배를 망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의 이슬람화 노력의 잣대가 되는 무슬림 이주민들의 선교활동에 대한 설문에서는 약 40% 정도가 전혀 선교에 관심을 두지 않았거나 무응답이었으며, 1번이라도 이슬람을 전한 경험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60%가 그렇다고 대답했다. 그런 경우에라도 가두 선교나 대중 설교의 형식보다는 관심 있는 주변 친구들에게 이슬람에 대한 설명과 소개가 중심이 되어 조직적이고 지속가능한 선교전략은 크게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국내 거주 무슬림들에 대한 종합적이고 광범위한 연구의 집대성이라는 측면에서 그 의미가 있다 하겠다.

      • KCI등재

        Korea"s Participation and Structural Change in the Middle East Construction Market

        SHIM Ui Sup(심의섭) 한국중동학회 2007 韓國 中東 學會 論叢 Vol.28 No.1

          현재 중동의 건설시장은 제2의 호황기를 누리고 있으며 구조 조정을 하고 있다. 1970-1980년대의 1차 건설호황과 2000년대 중반의 2 차 건설 호황은 모두 풍부한 석유수입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1980년대의 건설호황과 2000년대 중반의 건설호황은 그 성격을 달리하고 있다. 수요측면에서 볼 때 1980년대 호황은 주로 GCC 산유국을 중심으로 사회간접자본 건설에 대한 발주가 많았으며, 2000년대 중반의 건설호황은 역시 GCC 산유국을 중심으로 일어나고 있으나 공종은 플랜트사업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이 차이이다. 이는 1차 건설호황을 통하여 현지의 사회간접자본의 건설이 거의 마무리 되었으며, 이제 2차 호황기에는 석유의존적인 경제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산업구조 조정적인 차원에서 플랜트 공사의 발주증가로 이루어지고 있다.<BR>  이와 같은 특징이 수요측면의 특성이라면 공급측면에서는 1, 2차 호황기를 통하여 한국의 해외건설업계의 진출이 두드러지고 있다. 한국의 해외건설업계는 중동 일변도 진출을 벗어나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기울이고 있지만 아직도 중동시장 의존도는 높은 편이다. 또한 한국의 플랜트 수주 비중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것도 수주면에서의 두드러진 특징이다. 한국정부의 장기 진출 전략인 해외건설 진흥계획에 의하면 전 세계 건설시장에서 한국의 수주비중을 2004년도 2%에서 2020년도에는 10%로 올리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BR>  한국 건설업계의 또 다른 특징은 중소건설업체들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중동국가들은 대부분의 공사에서 자국화시책을 강화하고, 비산유국에서는 공급자 신용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은 ODA 자금과 EDCF 자금을 사용하여 비산유개도국의 건설사업에의 참여를 확대할 수 있다. 물론 한국의 해외건설업계는 R&D 투자를 높여야하며, 현재 진행 중인 GCC와의 FTA에 체결에 대비하여 능동적인 진출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 슬로베니아의 한국학 자료 연구 : 류블랴나 역사문서보관소(Zgodovinski arhiv Ljubljana) 자료를 중심으로

        강병융 중동유럽한국학회 2014 중동유럽한국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슬로베니아의 한국(학) 관련 자료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전체 연구과제의 일부로서 류블랴나(Ljubljana) 지역을 그 연구대상으로 한 것이다. 슬로베니아 수도 류블랴나에는 역사문서보관소(Zgodovinski arhiv Ljubljana)와 슬로베니아 국립문서보관서(Arihiv Republike Slovenije) 2개의 문서보관소가 있다. 구(舊) 유고슬라비아의 수도가 베오그라드(Beograd)였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상대적으로 류블랴나에 한국(학) 관련 자료가 많지 않다는 점을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 그럼에도 한국전쟁 전후부터 구(舊) 유고슬라비아는 꾸준히 남북문제와 한반도 정세에 관심을 가져 왔기 때문에 자료가 전무한 것은 아니다. 이번 류블랴나 지역의 소장자료 현황 파악을 시작으로 슬로베니아 내의 한국학 관련 자료는 물론이고, 더 나아가 구(舊)유고슬라비아 전체로 연구대상을 넓혀 발칸 지역 학자들과 함께 자료 발굴의 가능성과 더불어 필요성을 함께 인식하고, 더불어 류블랴나의 한국학 자료를 공개 및 공유하여 한국학 여러 분야의 학자들이 이를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 한국어 조사 사용의 오류에 대한 통합적 이해

        손명기(Son Myung ki) 중동유럽한국학회 2014 중동유럽한국학회지 Vol.15 No.-

        언어학습은 일반적으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로 구분되지만 한국어를 가르칠 때는 모든 영역을 종합적으로 가르쳐야 한다. 언어수행의 각 영역은 서로 유기적으로 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중국어를 모국어로 삼는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쓰기에 나타나는 조사 사용의 오류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1차 2010년에 수집한 자료는 학습자가 쓰기과제에 따라 작성한 문장에 나타나는 오류를 학습자 스스로 수정한 것이다. 2차 2012년에 수집한 자료는 'TV 동화 행복한 세상-4,7' 중 학습자가 각각 한 편씩 감상한 후 대사를 받아쓰기 한 것이다. 1차 자료가 쓰기 영역에서 나타나는 조사 사용의 오류에 대해 문법적인 설명만이 가능하다면 2차 자료는 듣기 활동에 대한 수행 결과인 쓰기를 통해 문법적 측면뿐만 아니라 음운론적, 음성학적 측면에서 그 원인을 설명할 수 있다. 조사된 내용에 따라 주격조사, 목적격조사, 관형격조사의 생략과 조사 사용의 오류에 대한 양상을 분석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문법적, 음운론적, 음성학적인 측면에서의 교수방법을 모색하였다. 본고의 조사결과는 조사 사용의 오류가 단순히 학습자의 문법적 능력만이 아니라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운체계 및 음성학적인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이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수자는 학습자의 모국어와 한국어와의 음성학적, 음운론적 비교를 통해 언어수행 능력을 고취시킬 것이다. 더 나아가 학습자들에게 나타나는 개별적인 오류 유형을 파악하고 지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In general, learning language has four parts which is speaking, hearing, reading, and writing. These are related which all together that is why Korean language teachers should teach whole parts to students. This thesis is on mistakes of using case markers on writing by Chinese students. In 2010, Chinese students wrote an essay according to their writing theme. In 2012, they watched an animation and then dictated its conversation. I collected the data from their writings. According to the first data(2010), to Korean teachers those data can be explained grammatically through the mistakes of case markers by Chinese students. According to the second data(2012), to Korean teachers those data can be explained not only grammatically but also phonologically and phonetically through the mistakes of case markers. Through the data, I have analyzed the reason why those students make mistakes and also I suggest Korean teachers how to teach Chinese students. In particular, I have stuided on incorrect use and ellipsis about subjective case marker (-이/가), objective case marker(-을/를) and genitive case marker(-의) in the data. I confirm the reason why Chinese students make mistakes about the case markers on writing through the result of the research. Chinese students' mistakes occur in difference of phonological system and phonetic character between Chinese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as well as grammatical ability. So Korean language teachers should know the difference of phonological sytem and phonetic character between Korean and other languages. If Korean language teachers have linguistic knowledge they could raise the ability of Korean language to foreign students. Furthermore Korean language teachers can understand and correct foreign students' individual mistakes very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