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학생에 대한 한국대학생의 인식유형 연구

        이송이 ( Song Yi Lee ),심태은 ( Tae Eun Shim )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8 주관성연구 Vol.- No.41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들이 유학생들을 어떻게 생각하는지의 주관적 인식을 토대로 공통적인 특징과 다양성을 도출하고 이를 유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한국 대학생들의 유학생들에 대한 인식의 유형을 구분하여 살펴보기 위해 Q방법을 사용하였고, Q표본은 한국 대학생들의 인식과 관련된 문헌고찰, 인터뷰내용, 설문지 등을 통하여 최종 33개를 선정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P 샘플 수는 한국대학생 총 31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요인분석을 실시하고 관련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학생들에 대한 한국대학생들의 인식유형은 5가지로, 유형 1은 유학생들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며 학교에서 함께 학업을 수행하는 동료의식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특성을 반영하여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는 긍정적 공존형’, 유형 2는 유학생들에 대해 배타적이며 경쟁적인 느낌을 반영하는 ‘공정성 추구의 배타적 방어형’, 유형 3은 대학생활을 하면서 본인이 느끼는 유학생들에 대한 감정을 자신의 문제로 바꾸어 인식하는 ‘세계관이 좁은 자기중심적 판단형’, 유형 4는 유학생들을 미래 한국 사회의 구성원으로 생각 할 의향은 있으나 현재는 대학 생활에서 보이는 모습에 거부감을 느끼고 있는 ‘피해보기 싫은 거부형’, 유형 5는 유학생에 대해 관심을 가지되 개인적인 거리감을 두는 ‘관계를 거부하는 이성적 수용형’ 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한국 대학생들과 유학생 두 집단의 소통과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derive typology of how Korean students perceive international students by sorting the features of responses by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order to achieve this, we used Q method, and Q samples were selected from literature reviews,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and 33 questions were finalized. QUANL program was used for factor analysis on 31 subjects. As a result, total number of valid types of perception of Korean college students were five. Type 1 is a ‘positively coexisting for synergy ‘group that refers to group of students who think positively about international students, have a sense of collectivity, and actively accept them as a partner in college. Type 2 is a ‘exclusively defensive for equitability’group that holds exclusive and competitive feeling towards international students. Type 3 is a ‘critically egocentric with a narrow world view’ group which tends to be critical about international students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 and Type 4 has a willingness to think of international students as members of Korean society in the future, but it is named ‘rejective avoiding disadvantage’ type because they refrain from coworking with international students due to their reluctant attitude and behavior. Type 5 is a ‘reasonably acceptive without relationship’ group that car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but keeps personal distance from them. This result is expected to contribute as a basis for promoting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Korean and international students.

      • KCI등재

        Q모집단으로부터 Q표본 구성 과정에 대한 분석: 학술지 주관성 연구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1996∼2014)

        백평구 ( Pyoung Gu Baek )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5 주관성연구 Vol.- No.30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화 가능성, 신뢰도와 타당도 문제에 대한 Q연구자의 대응 유형과 의미를 구체화하는 데에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연구 문제와 관련된 이론의 개입 정도, 그리고 연구 수행과정에서 연구자 주도의 수준을 기준으로 다섯 개의 유형을 설정하고, 한국주관성연구학회의 학술지 주관성 연구의 1996년 창간호부터 가장 최근인 2014년 12월 발간 29호까지 총 221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먼저 비구조화 Q표본이 구조화 Q표본에 비해 더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이는 Q표본 도출 과정에서 이론의 개입 정도 보다는 타인의 관점 반영이 주관성 연구를 통해 논문을 게재한 Q연구자의 주요 관심사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Q방법론은 범주화의 시점, 인터뷰의 유형과 적용 등에 있어서 질적 연구의 전통과는 다른 고유한 연구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Q방법론의 이론과의 차이로는 이론적으로 강조된 것에 비해 신뢰도 확보 절차에 대한 노력이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았다고 판단된다. 타인의 관점으로는 전문가 집단에 의한 동료 검토가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Q표본 도출 방법 중 주체별 체계적 표집과 단순 무작위 표집의 활용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Q방법론 연구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한 가이드라인의 활용, 그리고 Q모집단에서 Q표본을 도출하는 과정에 한정해 타당도라는 표현의 대안 모색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y how Q researchers handle the issue of generalizability, reliability, and validity in their own Q research and its meaning. For the purpose, the author considered the five types based on the degree of theoretical dependency and researcher autonomy. Total of 221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cientific Study of Subjectivity from 1996 to 2014 were analyzed in the current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at first, unstructured Q sampling was used more than structured one. This implies the Q researchers` main interests were researcher autonomy (i.e. considering other person`s opinion) rather than theoretical dependency on the transition from Q population to Q sample. Next, Q methodology adopts the authentic research procedures in that it differs from the traditions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concerning the starting point of developing categories, the types of interview and its applications. The gap between theoretical guidelines of Q methodology and Q methodological research papers lie in performing actions for acquiring the reliability doing Q methodology. The way considering the other person`s opinion was mainly with peer review. Systematic sampling and simple random sampling were relatively less used in constructing final Q sample. Based upon findings, the author suggests the application of Q methodological research guidelines ensuring effective doing Q research and the adoption of alternative term as to validity on the transition from Q population to Q sample.

      • KCI등재

        지역방송 연구영역에 대한 주관성 분석: 전문가의 인식 유형을 중심으로

        김선남,김명성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9 주관성연구 Vol.- No.4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area which is needed to revitalize local broadcasting programs. Depending upon Q methodology, data were collected from experts who were believed to watch local programs. Experts' subjectivities were categorized on the basis of their perceptions. Three types of research fields were found from the orientations directed by experts. The first type was "program content analyzing type." Those who were in this type were 58% of respondents. They understood that the research relevant to the program content development is the most important in the field. The second type was "financial support structure analyzing type." Those who belong to this type were 24% of respondents. They perceived that the research relevant to financial bases and business environment is the most crucial in the field. The third type was "audience's needs analyzing type." Those who were in this type were 18% of respondents. They thought that what is important in the research is to analyze viewer rating, locality and oth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help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find the direction to which the future policies addresses for the revitalizing local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방송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어떤 유형의 연구영역이 필요한지를 살피는데 있다. 이에본 연구는 지역방송 시청자 가운데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지역방송 연구영역에 관한 주관성 구조를 유형화했다. Q분석 결과, 지역방송 관련 전문가들이 지향하는 지역방송 연구영역은 세 가지로 나타났다. 제1유형은 “프로그램 콘텐츠 분석형”이다. 이 유형은 지역방송 프로그램 콘텐츠 개발 관련 연구가 중요하다고 인식한 스타일로, 전체 응답자의 약 58%를 차지했다. 제2유형은 “재정적 지원 구조 분석형”이다. 이 유형은 방송사 운영에 필요한경제적 기반 및 환경 분석 연구가 중요하다고 인식한 스타일로, 전체 응답자의 약 24%를 차지했다. 제3유형은“수용자 욕구 분석형”이다. 이 유형은 ‘시청률’, ‘지역성’ 등의 개념을 중시하고 이와 관련한 시청자의 욕구를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인식한 스타일로, 전체 응답자의 약 18%를 차지했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방송의 활성화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 좋은 삶: 징조, 웰빙의 자원과 성취감; 또는 SWB의 주관성

        John Eric Carr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3 Journal of Human Subjectivity Vol.11 No.1

        Whereas a number of research studies have examined the structure of subjective wellbeing, typically framed as a coherent phenomenon with subsidiary components and situational stimulants, yet few studies have enquired concerning the possible diversity of patterns of personal preferences, and accordingly this paper reports upon a Q-methodology study which seeks to elaborate the subjectivities underlying subjective wellbeing. Following upon focus-group identification of aspects of wellbeing, a Q-sort of 77 items was completed by 57 participants ranking the issues according to how essential each was deemed to be for their wellbeing and feeling of fulfillment. Q-methodological analysis and interviews with exemplars identified four central patterns of preferences and conceptualisations of ``The Good Life``, with three groups portraying the primary sources and manner of being which they felt were required to achieve wellbeing, and one group portraying the main signs or characteristics which they felt functioned as indicators that they had achieved wellbeing. The four subjectivities may be characterized as: (1) La Dolce Vita:- Signs of the feel-Good Life; (2) The be-Good Life: Value-Guided Private Living; (3) The do-Good Life: Mahatmas and Ensouled Living; (4) The make a-Good Life: Self-Establishment/Enhancement. While advancing the study of wellbeing by elaborating the patterns of meaning comprising the deep structures of subjectivity, and extending previous findings concerning subjective patterns of valuing, the findings also challenge a number of prevailing conceptions of wellbeing and especially of the happiness literature. 주관적 웰빙의 체계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있지만 대개 부수적인 구성요소와 상황적 자극요소라는 일관적인 현상으로 구성되어 있을 뿐, 개인적인 선호 형태에 대한 가능한 다양성과 관련해 조사한 연구는 거의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웰빙의 근원이 되는 주관성에 대해 Q 방법론을 이용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웰빙이라는 측면과 연관짓는 표적 집단을 따라, 57명의 참여자들은 그들의 웰빙과 성취감의 느낌에 대한 77개 Q 표본에 대해 어떻게 중요하게 생각하는지에 따라 순위를 매김으로써 Q 소트를 완성했다. Q 방법론적 분석과 면담을 통해 ``좋은 삶``에 대한 선호와 개념화의 네 가지 중심 형태로 나뉘어졌는데, 이 중 세 그룹은 웰빙을 이루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자원들과 태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다른 한 그룹은 그들이 이룬 웰빙의 지표처럼 기능하는 주요 징후나 특성들을 나타내고 있다. 네 가지 주관성은 (1) 근심걱정 없는 삶: 기분 좋은 삶의 징표, (2) 좋은 삶: 가치가 이끄는 개인적인 삶, (3) 도움이 되는 삶: 마하트마와 혼을 불어넣는 삶, (4) 좋은 삶을 만드는 것: 자아정립/자아고양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주관성의 근간을 이루는 형태를 서술함으로써 웰빙에 대한 연구에 진보를 이룬 동시에 가치에 대한 주관적 형태에 대한 이전의 연구를 확장시켰으며, 또한 특히 행복과 웰빙에 대해 만연해있는 많은 개념들에 대해 의문을 던졌다.

      • Q 방법론의 주관성

        Amanda Wolf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0 Journal of Human Subjectivity Vol.8 No.2

        Subjectivity is at the heart of Q methodology. Many published Q-methodology studies justify the use of Q methodology on the grounds that it enables the ``scientific study of subjectivity``. However, as numbers of publications of applied Q-methodology studies have grown over recent years, specific attention to the conceptual components of the scientific study of subjectivity has decreased. This article draws from the work of William Stephenson to offer a fresh look at ``subjectivity``. It positions the consideration of subjectivity in the overall design of a Qmethodology study, which starts with selecting a topic of interest, and continues through indentifying the concourse, sampling from the concourse, setting conditions of instruction, Q sorting, finding operant factors, and gaining insights and understanding. Q methodologists who give close attention to conditions of instruction, are aware of the Q sorters`` connection to concourse, and look beyond simple factor interpretations to the ``modes of behaviour`` of individuals will produce studies with depth and insight. 주관성은 Q 방법론의 핵심이다. 발행된 Q 방법론의 많은 연구들은 ``주관성의 과학적 연구``가 가능하게 한다는 이유로 Q 방법론의 사용을 정당화시키고 있다. Q 방법론을 적용한 연구들의 많은 출판물들은 최근 증가했으나 주관성의 과학적 연구에 대한 개념적 요소들에 구체적 관심을 두는 연구는 감소했다. 본 논문은 윌리엄 스티븐슨의 연구에서부터 ``주관성``에 대해 신선한 시각을 제공하는 것까지 다루고 있다. Q 방법론 연구를 위해 흥미로운 주제를 선택하고 콘코스 확인을 계속적으로하고, 콘코스로부터 샘플링을 하고 지시조건을 만들고, Q 소팅, 조작적 요인 발견, 통찰력과 이해를 얻는 전체적 설계 내에는 주관성에 대한 고려가 자리를 잡고 있다. 지시조건에 대해 면밀히 연구하는 Q 방법론자들은 콘코스에 대한 Q 분류자들의 연관성을 알고, 그리고 개인의 ``행동방식``에 대한 단순한 요인 해석을 예견하는 것은 연구에 대해 깊고 통찰력있는 결과를 만들어 줄 것이다.

      • KCI등재

        바람직한 대통령 이미지에 대한 유권자 인식 연구: 대통령의 능력과 자질을 중심으로

        한효임 ( Hyo Im Han ),김창남 ( Chang Nam Kim )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7 주관성연구 Vol.- No.37

        이 연구는 바람직한 대통령 이미지에 대한 유권자 인식을 탐색해 보았다. 대통령의 이미지에 대한 유권자의 인식이란 개인적인 느낌, 가치, 판단 등에 의해 형성되는 주관적 영역이기 때문에 인간의 주관성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데 효과적인 Q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유권자들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는 3가지 유형의 대통령 이미지를 찾아냈다. 요인 A는 “비전과 현실타개능력을 겸비한 실천가”로서의 대통령 이미지를 나타낸다. 요인B는 “신뢰감을 주는 소통인”으로서의 대통령 이미지를 보여준다. 요인 C는 “사회 안정을 견인하는 상황대처능력자”로서의 대통령 이미지를 제시한다. 이 세 가지 유형의 대통령 이미지는 현 시점에서 국민의 바램, 인식, 가치판단 등이 반영된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기존의 정치인 이미지 구성요소에 대한 연구결과를 확인하기도 했지만, 기존의 연구결과에 배치되거나 새로운 관점의 유권자 인식을 찾아냈다. 이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어려운 문제들에 직면한 대한민국을 번영으로 이끌 정치지도자의 바람직한 전형을 탐색한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 연구는 연구주제의 선택, 연구방법론 등의 측면에서 정치인 이미지에 대한 기존의 연구결과를 보완하고 진화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연구는 이 시대 국민이 바라는 바람직한 대통령 이미지가 무엇인지 가늠하게 해줄 것이며, 대통령을 비롯한 정치지도자들의 바람직한 이미지 형성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voters` perception of presidents` desirable image. Three meaningful types of perception were identified through Q-methodology. The three types of perception respectively represent `a doer who possesses vision and the ability for resolving difficult reality`, `a reliable communicator`, and `a person of full capacity who can cope with various critical situations`. These three types of voters` perception of presidents` desirable image reflect the public`s current hope, cognition, value-judgement, and so on. Though this study confirms the results of many precedent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politicians` image, it suggests some new aspects of voters` perception, contrary to the results of many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can contribute to the inquiry about the paradigm of politicians who have the responsibilities and power for our nation facing various difficulties.

      • KCI등재

        성격 인식 유형 탐색을 통해 본 한국인의 마음의 지도

        황상민,이란희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09 주관성연구 Vol.- No.18

        성격이란 사람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자신이나 타인을 지각하는 방식이다. 실제 생활 속에서 경험하는 성격의 주관성을 탐색하기 위해 Q 방법론이 적용되었다. 이때 Q 샘플은 빅 파이브의 다섯 가지 성격 특성에 기초한 80개의 행동 및 태도 문항들이며, Q 분석을 통해 다섯 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다. 다섯 가지 요인은 한국 사람들이 자신의 성격을 인식하는 다섯 가지 성격 유형으로 리얼리스트, 로맨티스트, 휴머니스트, 아이디얼리스트, 그리고 에이전트로 명명되었다. 우리 한국 사람들이 자신을 인식하는 주관성은 곧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성격에 대한 표현들이었다. 각 주관성 요인을 대표하는 행동 및 태도 문항들은 각 성격 유형에 대한 심리적 의미를 표상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가 일상생활 속에서 자신이나 타인의 성격을 파악할 때에 빅 파이브의 다섯 가지 성격 특성 각각에 고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판단하기보다는 그 특성들 중 그 사람을 뚜렷이 드러내는 한두 가지 특성에 준거하여 판단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성격을 파악할 때에도 이들 성격 특성들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작동한다는 뜻이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다섯 가지 성격 유형 각각은 그 유형들만의 준거점이라는 주관성이 존재한다. The personality in real life is emerged when we perceive ourselves. Q methodology was used to investigate the subjectivity of personality in daily context. Based on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80 behavior and attitude statements were derived for Q samples. From the Q analysis, 5 factors were identified. They were interpreted as implying five personality types in Korean: Realist, Romantics, Humanist, Idealist and Agent. The subjectivity that we perceive ourselves were the expression of personalities we use in everyday life. The behavior and attitudes statements in each subjectivity factor represent the psychological meanings of each personality types. This study showed that we don’t grasp one’s personality based on the five traits of Big Five equally. However, one of them was a main feature to characterize ourselves. The personalities of our self were subjectivity of our perceptions on theses personality traits. One of those Big Five of personality was used as a reference point to perceive our personality. Five personality types from this study specifically had their own reference subjectivities.

      • KCI등재

        중년 미혼 여성의 삶의 만족감에 관한 주관성 연구

        권미형,김분한,김윤정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09 주관성연구 Vol.- No.18

        This study designed to satisfaction of life in middle-aged single women types using Q methodology, 21 middle-aged single women sorted 34 statements selected in-depth personal interview. The statement positions on the sorting continuum were scored from +4(representing the highest level of agreement) through 0(at the neutral position on the continuum) through to -4(representing the highest level of disagreement). Factor analysis of the data was undertaken using PC QUANL software to determine if any patterns were discernible. The four factors extracted all had eigenvalues greater than 1.0 and explained approximately 52% of the variation in responses. Four middle-aged single women who located to factor 1 “type one is The self-satisfaction”. Five middle-aged single women who located to factor 2 “type two is The burden”. Six middle-aged single women who located to factor 3 “type three is The self-centered spirit”. Six middle-aged single women who located to factor 4 “type four is The marriage hope”. The finding of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satisfaction of life in middle-aged single women. The study results can be utilized in both fields of education and counseling.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중년 미혼 여성의 삶의 만족감 유형을 구분하고 각 유형별 특성과 유형별 차이점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대상자는 40∼59세 중년 미혼 여성 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삶의 만족감의 유형을 확인하기 위한 Q 표본은 박미현(2007)과 조수용(1996)의 문헌과 심층면담을 통해 총 34문항의 진술문으로 구성하였다.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여 동의를 구한 후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질문지를 작성하였고, Q 진술문을 읽게 한 후 Q 진술문들을 대상자 자신의 의견에 따라 강제분포를 하게 한 후 PC용 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Q 요인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중년 미혼 여성의 삶의 만족감 유형은 ‘자기만족형’, ‘부담형’, ‘자기중심적 생기형’, ‘결혼 희망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중년 미혼 여성의 삶의 만족감에 관한 유형별 이해를 돕고, 유형별 제공될 수 있는 중재방안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이를 통한 중년 미혼 여성의 삶의 질 향상과 동시에 질 높은 노후를 준비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뉴노멀 시대 MZ세대의 라이프스타일 변화 유형에 관한 연구

        김기연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22 주관성연구 Vol.- No.59

        This interpretative Q study aims at exploring typologies of the MZ’s lifestyle change according to respondents’ MBTI types under the pandemic environment in the new normal era. As the millenials and generation Z become a major social class or consumer group in the market worldwide, related academic studies also tend to increase. Different from previous generations, their consumption behavior and lifestyle are creating new trends. 31 P-sample respondents for each of the 16 MBTI types participated in the Q-sorting of 34 Q samples collected from Q-population statements on ‘How the pandemic has changed my lifestyle?’. As a result, four types were discovered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based on abductory Q research. The first type was named the value consumption of ‘Zipcoktem’ (A term referring to items necessary to enjoy indoor life) type, the second type is a healthy-life challenger, the third type was named H-YOLO tribe, and the last is couch potato type. The new theoretical definition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as the basis for further researches or industrial application. 본 논문은 Q 방법론과 MBTI 유형 이론을 적용하여 팬데믹 이후 뉴노멀 시대의 MZ세대 라이프스타일 변화 유형을 탐색한 해석적 연구이다. 전 세계적으로 MZ세대가 주력 소비자층이자 사회계층으로 위상이 높아지고 새로운 트렌드를 주도하면서 관련 연구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팬데믹이 나의 라이프스타일을 어떻게 변화시켰는가’의 연구문제에 대해 Q 모집단 진술문으로부터 최종 34개의 Q 표본을 구성하였고, 16개의 MBTI 유형별로 선정된 총 31명의 P 표본 응답자들이 Q 분류에 참여하였다. 가설생성적 Q 연구를 통한 데이터 분석 결과, 4개의 유형을 발견하였다. 제1유형은 집콕템(실내생활을 즐기기 위한 아이템) 가치소비 형, 제2유형은 헬시라이프 챌린저(healthy-life challenger) 형, 제3유형은 횰로(H-YOLO) 형, 제4유형은 카우치 포테이토(couch potato) 형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는 MZ세대의 자아개념을 기초한 라이프스타일 변화 유형의 개념 및 특성을 이론화함으로써 후속 연구나 실용적 활용의 선험적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유학생활 적응에 대한 지방대학 몽골 유학생의 인식 유형 연구

        문세진 ( Se Jin Moon ),조완성 ( Wan Sung Jo ),김민 ( Min Kim )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20 주관성연구 Vol.- No.53

        본 연구는 한국유학생활 적응에 대한 지방대학 몽골 유학생의 인식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심층면접을 통해 총 344개의 진술문으로 구성된 Q 모집단을 구축하였으며, 분류과정을 거쳐 34개의 진술문을 Q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지방대학 몽골 유학생 31명을 대상으로 Q 분류를 진행하였으며, 최종 27개의 Q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 한국유학생활 적응에 대한 지방대학 몽골 유학생의 인식 유형은 총 3개로 확인되었다. 1유형은 ‘한국문화 수용을 통한 적응형’, 2유형은 ‘몽골인 간의 유대를 통한 적응형’, 3유형은 ‘한국어 실력 향상을 통한 적응형’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지방대학에 재학 중인 몽골 유학생의 관점에서 한국유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심층적으로 파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모든 유형에서 몽골인 서포터 제도가 한국유학생활 적응에 도움이 되었다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방대학 내 몽골인 서포터 제도의 확대 시행을 제안하였다. The study focused on exploring the perception of Mongolian students at local universities about their adaptation of study abroad life in South Korea. Q population consisting of a total of 344 statements was constructed by literature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s. Through the sorting, 34 of the statements were selected as final Q samples. The Q sorting was conducted by 31 Mongolian students attending local universities, and the final 27 Q sort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were classified that there is a total of three types of perception among Mongolian students at local universities regarding adaptation to study abroad life in Korea. Type 1 was referred to as ‘adaptive through acceptance of Korean culture’, type 2 was called ‘adaptive through bonding between Mongolian’. The third type was named ‘adaptive by improving Korean skills’. This study has the meaning that understands the factors which affect adaptation study abroad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Mongolian students attending local universities. It also proposed the expansion of the Mongolian supporters system in local universities,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at the Mongolian supporters system in all types helped adapt to the life of a study abroad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