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도에서 조류의 생태연못 이용에 관한 연구

        김인규,한승우,김관주,손석준,이준우 한국조류학회II 2022 한국조류학회지 Vol.29 No.2

        Unmanned sensor cameras (camera trapping) were installed in two ecological ponds (Sites 1 and 2) of the forest road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from November 6, 2021, to June 23, 2022,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birds using the ecological pond. The total number of birds using the entire ecological pond was 1,108 individuals from 21 species, with the Azure-winged magpie Cyanopica cyanus, the Oriental Turtle Dove Streptopelia orientalis, and the Chinese Grosbeak Eophona migratoria being the most frequent birds. Site 1 pond had 888 birds of 12 different species, while Site 2 pond had 220 birds of 15 different species. There was a very sligh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bird species that used the two ponds; however, there was a marked difference in the number of individuals. After analyz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birds, such as drinking (D), resting (R), bathing (B), and flying (F), it was revealed that at Site 1, drinking (D) was the most common characteristic with 393 individuals from 7 species, and at Site 2, resting (R) was the most common with 95 individuals from 11 species. The ecological pond was found to be most popular in the spring from March to May, observ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birds’ usage by season. Most birds were found at Sites 1 and 2 between 15:00 and 19:00, and the highest number of species were found during the daytime from 10:00 to 15:00. As a result, in the case of ecological ponds built incidentally on forest roads, the number of birds using the old ecological pond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newly created ecological ponds; however, there was no substantial difference in the number of species, behavioral characteristics, season, and time of birds used. Therefore, ecological ponds a serve as both shelters and sources of drinking water. There was insufficient data on the same type of ecological pond in this study, and it was necessary to analyze the results sufficiently for the four seasons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in the future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necessity of creating an ecological pond when building a forest road, as well as the species, behaviors, and usage characteristics of birds using the ecological pond. 2021년 11월 6일부터 2022년 6월 23일까지 대전광역시 임도 개설지의 생태연못 2개 지점(Site 1, 2)에 무인센서카메라를 설치하여 생태연못을 이용하는 조류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체 생태연못을 이용한 조류는 총 21종 1,108개체였으며, 가장 많이 이용한 조류는 물까치 Cyanopica cyanus, 멧비둘기 Streptopelia orientalis, 밀화부리 Eophona migratoria의 순이었다. Site 1 연못을 이용한 조류는 12종 888개체, Site 2 연못을 이용한 조류는 15종 220개체로 종수는 Site 2 연못이 많았고, 개체수는 Site 1 연못이 많았으나 두 연못 간 이용하는 조류의 종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개체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조류의 행동특성인 물마시기(D), 머무름(R), 목욕(B), 비행(F)을 분석한 결과 Site 1은 물마시기(D)가 7종 393개체로 가장 많았고, Site 2는 머무름(R)이 11종 95개체로 가장 많았으나 두 연못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계절별 이용하는 조류를 분석한 결과 Site 1, 2 모두 3월부터 5월인 봄에 가장 많이 이용하였다. 시간대별 생태연못을 이용하는 조류를 분석한 결과 Site 1, 2 모두 15시부터 19시인 오후에 가장 많은 개체가 이용하였고, 10시부터 15시인 낮 시간에 이용 종수는 가장 많았다. 결과적으로 임도에 부수적으로 개설되는 생태연못의 경우 오래된 생태연못이 새로 조성한 생태연못 보다 이용하는 조류의 개체수는 많으나, 나머지 이용 종수, 행동특성 및 계절별, 시간대별 이용 조류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생태연못은 더위에 대한 피신처 및 식수원으로써의 역할이 더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동일한 형태의 생태연못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부족함이 있으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사계절에 대한 충분한 결과분석도 추가로 필요하다. 본 연구는 향후 임도 개설시 생태연못의 조성 필요성과 생태연못을 이용하는 조류의 종류와 행동 및 이용 특성에 대한 기초자료로써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한국 중서부 지역의 논을 이용하는 조류상

        손석준(Seok-Jun Son),최그린(Green Choi),도민석(Min-Seock Do),남형규(Hyung-Kyu Nam) 한국조류학회 2020 한국조류학회지 Vol.27 No.2

        쌀은 과거부터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가장 중요한 작물이며, 벼가 재배되는 논은 다양한 조류의 서식지로서도 중요한 기능을 가진다. 한국은 전체적으로 논 면적이 넓게 분포하여 다양한 조류가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 논 이용 조류상에 관한 정보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서부 지역의 논에서 관찰된 조류상의 현황을 정리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중서부 지역의 61개 지점의 논에서 휴식 및 취식 중인 조류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총 44과 144종의 조류가 논을 이용하였다. 그 중 오리과가 가장 많았으며(14%), 그 다음으로 도요과, 백로과, 수리과, 멧새과, 할미새과, 까마귀과, 되새과 등의 순이었다. 논 이용 조류 144종 중 도래시기에 따른 논 이용 조류는 벼 재배기에 33%, 비재배기에 40%, 재배기와 비재배기 모두 관찰된 종은 27%이었다. 또한 관찰된 조류 중 멸종위기종은 약 34.9%이며, 천연기념물 조류는 약 41.3%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중서부 지역 논에 도래하는 조류 군집의 정보 및 특성을 파악하여 서식지로서의 기능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다양한 지역을 대상으로 논 이용 조류 현황 조사가 필요하고, 나아가 논의 생태적 특성과 구조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Rice is arguably the most important crop in terms of past effects on global land use and rice field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habitats for various bird species. Although South Korea is know to have a wide range of rice fields and used by various bird species, the actual information on avifauna using rice fileds is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the avifauna observed in rice fields in the mid-western region of South Korea is summarized and its characteristics are to be grasped. From 2013 to 2018, the survey was conducted on birds resting and feeding in 61 survey sites in the mid-western region, and a total of 44 families and 144 species of birds used the rice fields. Anatidae was the best represented family, followed by Scolopacidae, Ardeidae, Accipitridae, Emberizidae, Motacillidae, Corvidae, Fringillidae. Among the 144 species of birds used in rice fields, birds used in rice fields according to season were 33% during growing season, 40% during non-growing season, and 27% in all season. In addition, about 34.9% of the birds observed were endangered species, and about 41.3% were natural monuments. In this study, in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ies in the rice fields in the mid-western region of South Korea were identified and the function as a habitat was confirmed. It is necessary to survey the current status of birds using rice fields in various areas and study the ecological charateristics of rice fields.

      • KCI등재

        Bird accidents in Southern Mongolia

        Onolragchaa Ganbold,Gi-Chang Bing(빙기창),Erdenetushig Purevee,Munkhbaatar Munkhbayar,Won-Suk Choi(최원석),Ariunbold Jargalsaikhan,In-Hwan Paik(백인환),Zoljargal Purevdorj,Namsrai Jargal,Woon-Kee Paek(백운기) 한국조류학회II 2018 한국조류학회지 Vol.25 No.2

        몽골의 초원이나 사막과 같은 개방지역에 설치된 송전선로에서 발생하는 조류 감전사고는 매우 흔하게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조류피해조사를 위해 2017년 몽골 남부지역의 준사막 지역에 설치된 15-kV의 송전선로에 4월, 7월, 9월 등 총 3회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250개의 전신주 구간에서 총 12종 45개체의 감전사한 조류를 확인하였다(10㎞마다 1.12% 사망률). 주요 감전 피해 조류는 멸종위기종인 Falco cherrug (n=11)와 Milvus migrans (n=11)로 나타났다. 본 연구지역과 같이 개방된 환경에서의 조류를 위한 잠자리 또는 휴식처의 부족은 보다 많은 조류의 감전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특히 몽골의 다른 개방지역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사고현장에서 종동정이 어려운 개체의 경우, 시료의 유전자 증폭 등을 통해 DNA 분석을 실시하여 동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몽골의 개방지역에서 조류의 감전사고는 조류에게 발생하는 위험요소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맹금류에게 빈번하며, 간헐적으로 이동철새에게도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방된 지역일 경우 조류의 감전사고가 더 잘 발생할 수 있으며, 감전사고와 같은 조류의 위험요소를 보다 잘 이해하는 것은 멸종위기종과 같은 종보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Bird electrocution on contact with electricity lines is well reported and is quite common in Mongolian open areas. We visited 15-kV electricity distribution pole lines in a Southern Mongolian semi-desert region three times in 2017, in April, July, and September, to assess their risks to birds. The carcasses of 45 electrocuted birds representing 12 species were identified from 250 poles (overall mortality rate of 1.12% every 10 km). The majority of these electrocuted birds were endangered Saker Falcon (n=11) and common Black Kite (n=11). The lacks of roosting or perching sites in our study sites (indeed other open areas in Mongolia) may resulted for such high rate bird electrocution. A 751-base pair (bp) cytochrome c oxidase I (COI) gene was amplified for DNA sequence-based identification of carcasses that were difficult to identify directly. Our findings revealed the high electrocution risk for birds in Mongolian open areas, especially for the birds of prey, with relatively low-efficiency electrocution mitigation approaches. The findings also indicate that there is a ne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isk of bird electrocution, particularly in the open areas. This will contribute to the conservation of endangered species.

      • 흰뺨검둥오리(Anas poecilorhyncha) 수컷의 새끼 살해 행동

        최창용(Chang-Yong Choi) 한국조류학회II 2008 한국조류학회지 Vol.15 No.2

        조류에서 새끼 살해(infanticide)는 주로 만성성 조류에게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1997년 6월 29일 충청남도 태안군 천리포수목원의 연못 내부에서 흰뺨검둥오리(Anas poecilorhyncha) 수컷 1개체가 암컷과 새끼로 구성된 가족군을 공격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이로 인해 새끼 1개체가 수컷에 의해 살해당하였다. 이런 현상은 높은 밀도로 서식하는 소규모 서식지에서 자원 경쟁을 줄이기 위한 행동일 수도 있으나, 암컷의 추가 번식을 유도하기 위한 수컷의 고의적인 살해 행동일 가능성이 더욱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처럼 조성성 조류에서 발생한 새끼 살해에 대한 관찰 기록은 일본의 흰뺨검둥오리 암컷이 자원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살해 사례 이후 두 번째 보고에 해당한다. 그러나 본 기록은 조성성 조류에서 추가적인 번식 기회를 얻기 위한 의도의 새끼 살해(sexually selected infanticide)가 확인된 최초 보고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Infanticide is generally recorded in altricial, but not in precocial avian species. A male Spot-billed Duck Anas poecilorhyncha attacking a conspecific family group comprising a female and her six offsprings was observed on 29 June 1997 in a small pool at the Chollipo Arboretum, Taean-gun, Chungnam Provincem Korea. As a result, one of six youngs was killed from the aggressive behavior and the others fled away with a female. Because there was no clear reason or evidence of strong resource competition between a free-ranging male and ducklings, infanticide by an adult male was probably intended to take an additional chance of mating. This is the second report on confirmed infanticide in precocial birds following the first report that a female Spot-billed Duck killed the offsprings of neighbors to have a competitive advantage in Japan. However, this report suggests that sexually selected infanticide is also occurred in precocial birds.

      • KCI등재후보

        캄보디아 동북부 열대낙엽활엽수림지역에서 우기와 건기의 조류 군집 특성

        임신재(Shin-Jae Rhim),손승훈(Seung Hun Son),이은재(Eun-Jae Lee),이우신(Woo-Shin Lee),Masphal Kry 한국조류학회II 2009 한국조류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는 캄보디아 동북부에 위치한 몬둘킬리 보호림내 열대낙엽활엽수림지역에서 우기와 건기에 조류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지역내에 생육하고 있는 수목은 대부분 흉고직경 30㎝ 미만이었으며, 엽층의 피도량은 우기가 건기에 비해 모든 엽층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층 식생과 상층 임관의 피도량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였다. 총 84종의 조류가 관찰되었으며, 시기별로 살펴보면 우기에 68종, 건기에는 52종의 조류가 기록되었다. 물총새류와 백로류, 솔새류, 탱기물떼새류, prinias 등의 조류가 계절적으로 우기와 건기 사이에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조사지역의 숲은 건기와 우기에 하층식생 및 상층임관 피도량의 급격한 변화를 보였으며, 이러한 서식환경의 변화에 따라 조류 군집의 종 구성 및 특성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ies between rainy and dry seasons in tropical broadleaved deciduous forest in Mondulkiri Protected Forest of the northeastern Cambodia. Most of the trees in the study sites were belong to small DBH (diameter at breast height) classes which were less than 30㎝. All the average foliage profiles were higher in rainy than dry seasons in the study sites. Total eighty four bird species were recorded in the study sites. Also, sixty eight species were observed in rainy season and fifty two species were in dry season. Kingfishers, herons, warblers, lapwings and prinia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rainy and dry seasons.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ies seem to be strongly effected by changes of habitat condition, such as decrease of coverages in understory vegetation and canopy.

      • KCI등재후보

        강원도 삼척 산불 피해지의 조류 군집 특성

        이은재(Eun-Jae Lee),손승훈(Seung Hun Son),이우신(Woo-Shin Lee),임주훈(Ju-Hun Im),임신재(Shin-Jae Rhim) 한국조류학회II 2009 한국조류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는 강원도 삼척시 검봉산 내 산불피해지역에서 2008년 2월부터 12월까지 실시되었다. 본 지역은 산불피해 후 8년 동안 자연복원되면서 참나무류를 중심으로 흉고직경이 10㎝ 미만이며, 수고가 5m 미만인 아교목들이 우점하는 양상을 보였다. 총 10회에 걸쳐 선조사법을 통해 조류 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25종 248개체의 조류가 관찰되었다. 영소 길드와 채이 길드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영소 길드의 경우 수관과 지상 및 하층식생에서 둥지를 짓는 조류가 종수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개체수는 이차수동 조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채이 길드의 경우 지상 및 하층식생에서 먹이를 찾는 조류가 종수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체수는 엽층을 탐색하며 먹이를 찾는 조류가 높게 나타났다. 자연복원에 의해 생육하고 있는 아교목은 1차 및 2차 수동 조류의 번식 둥지를 제공하지는 못하나 방치되어 있는 고사목이 번식 및 먹이자원 제공 등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산불 피해 후 조류의 종다양성 및 종풍부도를 유지하기 위한 일부 지역의 고사목 방치가 필수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between February and December 2008 in the forest fired area of Gumbong Mt., Samcheok, Gangwon Province, Korea. The study site is naturally restored for eight years, and Quecus spp. (DBH< 10㎝, tree height< 5m) were dominant. We made 248 detections of 25 bird species through 10 times line transect surveys. In result of analyzing nesting and foraging guild, densities of secondary cavity nesters and foliage searchers were highest in the study site. Snags could be positive effects for birds such as supply of nests and food resources. Snag retention could be considered for bird inhabitation in burned forest areas.

      • KCI등재후보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 결과 분석을 통한 멸종위기조류의 국내 분포현황

        김창회(Chang-Hoe Kim),강종현(Jong-Hyun Kang),이윤경(Yunkyoung Lee),김동원(Dong-Won Kim),서재화(Jae-Hwa Suh),김명진(Myungjin Kim) 한국조류학회II 2010 한국조류학회지 Vol.17 No.1

        이 조사는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일환으로 1997년부터 2005년까지 3월에서 10월 사이에 남한 전역을 연차별로 나누어 1회 수행되었다. 이 조사에서 멸종위기조류Ⅰ급은 10종(전체 멸종위기조류Ⅰ급 중 76.9%), 멸종위기조류Ⅱ급은 38종(전체 멸종위기조류Ⅱ급 중 79.2%)이 관찰되었다. 멸종위기조류Ⅰ급은 검독수리 Aquila chrysaetos, 넓적부리도요 Eurynorhynchus pygmeus, 노랑부리백로 Egretta eulophotes, 노랑부리저어새 Platalea leucorodia, 두루미 Grus japonensis, 매 Falco peregrinus, 저어새 Platalea minor, 청다리도요사촌 Tringa guttifer, 혹고니 Cygnus olor, 흰꼬리수리 Haliaeetus albicilla이었으며, 멸종위기조류Ⅱ급은 가창오리 Anas formosa, 개구리매 Circus spilonotus, 개리 Anas cygnoides, 검은머리갈매기 Larus saundersi, 검은머리물떼새 Haematopus ostralegus, 검은목두루미 Grus grus, 고니 Cygnus columbianus, 긴점박이올빼미 Strix uralensis, 까막딱다구리 Dryocopus martius, 독수리 Aegypius monachus, 뜸부기 Gallicrex cinerea, 말똥가리 Buteo buteo, 물수리 Pandion haliaetus, 벌매 Pernis ptilorhyncus, 붉은해오라기 Gorsachius goisagi, 비둘기조롱이 Falco amurensis, 뿔종다리 Galerida cristata, 삼광조 Terpsiphone atrocaudata, 새홀리기 Falco subbuteo, 솔개 Milvus migrans, 쇠황조롱이 Falco columbarius, 수리부엉이 Bubo bubo, 알락개구리매 Circus melanoleucos, 알락꼬리마도요 Numenius madagascariensis, 올빼미 Strix aluco, 재두루미 Grus vipio, 잿빛개구리매 Circus cyaneus, 조롱이 Accipiter gularis, 참매 Accipiter gentiles, 큰고니 Cygnus cygnus, 큰기러기 Anas fabalis, 큰덤불해오라기 Ixobrychus eurhythmus, 큰말똥가리 Buteo hemilasius, 털발말똥가리 Buteo Lagopus, 팔색조 Pitta nympha, 흑기러기 Branta bernicla, 흑두루미 Grus monacha, 흰목물떼새 Charadrius placidus이었다. This survey has conducted throughout South Korea from March to October for 9 years (1997-2005). The Endangered Birds Species Level Ⅰ designa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was 10 species (76.9% of the Endangered Bird Species Level Ⅰ) and the Level Ⅱ was 38 species (79.2% of the Endangered Bird Species Level Ⅱ). The Endangered Birds Species Level Ⅰ was Golden Eagle Aquila chrysaetos, Spoon-billed Sandpiper Eurynorhynchus pygmeus, Chinese Egret Egretta eulophotes, Eurasian Spoonbill Platalea leucorodia, Red-crowned Crane Grus japonensis, Peregrine Falcone Falco peregrinus, Black-faced Spoonbill Platalea minor, Spotted Greenshank Tringa guttifer, Mute Swan Cygnus olor,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and the Endangered Birds Species Level Ⅱ was Baikal Teal Anas formosa, Eastern Marsh Harrier Circus spilonotus, Swan Goose Anas cygnoides, Saunder's Gull Larus saundersi, Eurasian Oystercater Haematopus ostralegus, Common Crane Grus grus, Tundra Swan Cygnus columbianus, Ural Owl Strix uralensis, Black Woodpecker Dryocopus martius, Black Vulture Aegypius monachus, Watercock Gallicrex cinerea, Common Buzzard Buteo buteo, Osprey Pandion haliaetus, Oriental Honey Buzzard Pernis ptilorhyncus, Japanese Night Heron Gorsachius goisagi, Amur Falcon Falco amurensis, Crested Lark Galerida cristata, Japanese Paradise Flycatcher Terpsiphone atrocaudata, Eurasian Hobby Falco subbuteo, Black Kite Milvus migrans, Merlin Falco columbarius, Eurasian Eagle Owl Bubo bubo, Pied Harrier Circus melanoleucos, Far Eastern Curlew Numenius madagascariensis, Tawny Owl Strix aluco, White-naped Crane Grus vipio, Hen Harrier Circus cyaneus, Japanese Sparrowhawk Accipiter gularis, Northern Goshawk Accipiter gentiles, Whooper Swan Cygnus cygnus, Bean Goose Anas fabalis, Schrenck‘s Bittern Ixobrychus eurhythmus, Upland Buzzard Buteo hemilasius, Rough-legged Buzzard Buteo Lagopus, Fairy Pitta Pitta nympha, Brent Goose Branta bernicla, Hooded Crane Grus monacha, Long-billed Plover Charadrius placidus, respectively.

      • KCI등재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한 국내 조류학 연구동향

        진채령(Chaelyeong Jin),어수형(Soo Hyung Eo) 한국조류학회II 2018 한국조류학회지 Vol.25 No.2

        국내 조류학 연구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금까지 어떤 분야에서 연구를 해 왔는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는 텍스트마이닝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하여 어떤 분류군에서 어떤 주제로 조류학 연구가 진행되어 왔는지를 정량적으로 연구하였다. 한국조류학회지 논문 372편을 분석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개체군 및 군집 모니터링, 미기록종 보고 및 번식생태, 조류 체내 중금속 오염 등의 주제와 관련한 단어가 연구 논문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또한, 청둥오리, 민물도요, 흰뺨검둥오리 등 특정 조류에 연구가 편중되었다는 것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국내 조류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하여 지금까지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연구주제와 분류군이 어떤 것인지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미가 있을 것이다. For balanced development of ornithological research in Korea, it is important to review what birds and what research topics have been studied so far. We quantitatively investigated the trends of domestic ornithological research using text-mining and co-word analysis. As a result of studying 372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Ornithology, which is the most representative ornithological journals, words related to research topics such as population and community monitoring, first record of species and breeding ecology, and heavy metal pollution in birds have been widely used in research articles. Except for subjects such as monitoring and first record of species, studies have not been conducted widely. It was also found that research were concentrated on specific birds such as Anas platyrhynchos, Calidris alpina, and Anas poecilorhyncha. The present study, which analyzed the research topics and avian taxa that were relatively active until now and those which were insufficient, suggests what we should do in the future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ornithological research in Korea.

      • KCI등재후보

        제주도의 조류목록

        김완병(Wan-Byung Kim),김영호(Young-Ho Kim),오홍식(Hong-Shik Oh) 한국조류학회II 2011 한국조류학회지 Vol.18 No.1

        2010년에 확인된 검은슴새 Bulweria bulwerii, 긴꼬리도둑갈매기 Stercorarius longicaudus, 작은뻐꾸기사촌 Centropus bengalensis, 붉은가슴딱새 Nitava davidi, 갈색양진이 Leucosticte arctoa 등 제주도 미기록종 5종을 포함하여 제주도조류목록을 18목 67과 384종으로 정리하였다. We are confirming the checklist of birds in Jeju island that contained 18 orders, 67 families and 384 species. Some of the species, Bulweria bulwerii, Stercorarius longicaudus, Centropus bengalensis, Nitava davidi and Leucosticte arctoa, newly recorded in Jeju island in 2010 were introdu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