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지체 특수학교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 조사

        김경애 ( Kyung Ae Kim ),문장원 ( Jang Won Moo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2

        문화예술교육은 2008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창의적 재량활동이 전 학년에 걸쳐 주당 평균 2시간 이상의 수업 시간 수가 재량활동에 배당되어 학교의 실정에 따라 융통성 있게 운영하도록 확대되면서 부터이다. 이것이 2010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창의적 체험활동과 함께 학교 교육의 재량권이 대폭 확대되면서 개별 학교의 실정에 맞도록 재량(창체)활동 교과를 정할 수 있도록 되면서 특수학교에서 문화예술을 재량활동 혹은 교과 시간에 운영하면서 교육과정에 포함시키게 되었다. 정신지체학생의 문화예술교육이 짧은 기간 적용 운영되면서 학교 현장에서 정신지체학생에게 알맞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의식 부족과 특수교사가 인식하고 요구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정신지체학생에게 맞는 문화예술교육 내용과 방법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부산광역시에 있는 정신지체 특수학교에 근무하고 특수교사 1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조사 결과 정신지체학생 문화예술교육을 위해 문화예술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분명히 세워서 정신지체학생이 사회적, 문화적 의사소통과정에서 소외되는 경우를 예방하도록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사회 관계 형성 지원과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요구하고 있다. Art & cultural education has been offered since the revised 2008 special school curriculum allowed each school to let every student engage in two or more school hours of optional activities in a flexible way in consideration of its own circumstances. The 2010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offered creative hands-on programs and gave schools the drastic discretion to decide on which subject is taught in optional activities. So special schools are authorized to offer education on art and culture during optional activities or normal classroom hours as part of their curriculums, and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ve accordingly received art & cultural education for a short period of time. However, school administrators don`t yet have a full understanding of art & cultural education, and no studies have ever attempted to find out the wa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perceive art & cultural education and what they expect from it. The purpose of 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on art & cultural education and their needs for that in a bid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how to tailor art & cultural education to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30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special schoo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en a survey was conducted, they requested that the goal of art & cultural education and what to teach should carefully be determined to help students to build good social relationships without being left out from others, to express themselves.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의 대학기반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 실행에 대한 관계자의 인식 및 현황 분석

        임은주 ( Eun Joo Lim ),최승숙 ( Seung Sook Choi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3 지적장애연구 Vol.15 No.3

        특수교육 분야에서 통합교육과 평생교육을 지향하면서 발달장애인들의 중등이후 교육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을 기반으로 한 발달장애학생들의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관계자들의 인식과 현황을 알아보았다. 현재 발달장애학생이 교육받고 있는 대학의 교직원, 장애학생, 부모, 고교 진학지도 특수교사, 장애인 고등교육 전문가들에게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대학기반 중등이후 교육의 필요성과 가능성, 교육과정, 학사지원 등에 관하여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발달장애학생들의 대학 기반 교육의 필요성으로 통합교육의 기회제공과 발달장애학생들의 역량강화, 성인으로서의 자립생활 준비를 언급하였다. 현행 교육과정이나 학사지원에서는 학교마다 달리 적용하고 있었고 관계자마다 이들의 학교생활에 대한 인식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학생의 특성과 정도를 고려한 대학기반 중등이후 교육과정의 운영과 수요자 중심의 학사지원, 국가차원의 행·제도적인 지원을 통한 적절한 교육 방법 모색 등의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As special education seeks inclusive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the needs of postsecondary educ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s been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perception of persons concerned on postsecondary education based on university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total of 11 participants including professors, directors of support center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ents,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For the interview questions, the purpose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content of curriculum currently being applied, and academic support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suggested. As result, participants replied the purpose of postsecondary education based on university is to provide the opportunity of inclusive education, empower students themselves, and teach independent life as an adult. Because the curriculum is being applied different from universities, the participants expressed various perceptions regarding university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ith regard to develop postsecodary education system based on university were discussed.

      • KCI등재

        판례 분석을 통해 바라본 장애인 교육권의 실천적 함의

        김경열 ( Keoung-yeol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7 지적장애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법률적 지원의 확장이 장애인 교육환경을 개선으로 이어졌는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부족한 현실에서 사법기관인 법원의 판결문과 준 사법기관인 국가인권위원회의 결정문을 내용분석법을 통해서 장애인 교육권 보장을 위한 구체적인 특수교육 실천노력이 어떠한 것인지 있는지 알기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장애인 교육권 보장과 관련된 판결(결정)의 주요 쟁점은 무엇인가? 둘째, 각 판결(결정)들에서 사용한 장애인 교육권과 관련된 법률내용은 어떠한가? 셋째, 장애인 교육권 보장과 관련된 판결과 결정내용이 주는 특수교육적 함의는 무엇인가? 본 연구를 통해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보장과 관련된 판결(결정)의 주요 쟁점은 학교의 보호감독의무위반, 장애인 교육시설이용에서 발생한 차별, 장애인 교육관련 편의시설 미설치 등이다. 둘째, 각 판결(결정)들에서 사용한 장애인 교육권과 관련된 법률내용은 「교육기본법」,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14조,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제13조,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제16조,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제2조, 제39조, 제40조,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시행령 , 「국가인권위원회법」 제 2조,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제 32조,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제 13조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장애인 교육권 보장과 관련된 판결과 결정내용이 주는 특수교육적 함의는 장애학생에 대한 보호 감독에 의무가 학교에 어디까지 인정되는가이다. 그리고 평생교육시설 이용에 대한 장애인 차별여부에 대한 것이다. 장애인 교육관련 편의시설에 따른 조치정도에 관한 것이다.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find the methods to improve the quality of special education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y through legal precedents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rist, school governance must provide individuals with disability with positive policy for right to special education. Second, all the educational institute should not segregate individuals with disability from access to educational opportunity. Finally, individuals with disability can`t be guaranteed the right of access. It limits their rights of special education. It is the reality of policies for handicapped persons. Guaranteeing the right of access is most important thing with our situations.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중등교육이후 전환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이성하 ( Seong Ha Lee ),나운환 ( Woon Hwan Na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4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중등교육이후 전환프로그램의 구성 요인들을 추출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발달장애인 중등교육이후 전환프로그램 요인을 구명하고, 전환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밝히기 위해 전환교육의 이론적인 모형과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요인을 중심으로 문헌 분석하고 수집한 내용을 토대로 전문가 대상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 후 델파이 방법에 의한 설문조사를 2차에 걸쳐 실시하고 프로그램 구성요인에 대한 합의는 평균, 표준편차, 왜도로 나타냈으며 분석의 타당성을 밝히기 위해 켄달의 W검정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구명된 중등교육이후 전환프로그램 요인을 최종적으로 탐색하여 한국형 발달장애인 중등교육이후 전환프로그램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발달장애인 중등교육이후 전환프로그램 구성요인은 크게 운영구성요인과 프로그램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운영구성요인에서 운영주체는 특수학교, 장애인복지관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장애인복지관 등 지역사회기관에서 운영하는 것이 적절하다. 교육연한은 2~3년이 적절하며, 스텝구성은 직업재활전문가, 특수교사, 상담사, 사회복지사로 구성한다. 재정은 국가지원 무상교육이거나 국가와 본인이 적절하게 배분하여 부담하는 것이 적절하며, 연령은 18세~25세 혹은 18세~30세로 비슷한 연령대로 구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입학 자격은 고등학교 졸업 또는 이와 동등한 학력을 가진 자이며, 입학사정에서는 고등학교생활기록부 또는 IEP, 면접, 시험이 필요하고 이 중 면접이 가장 적절한 방법이다. 생활 형태는 기숙사 생활, 가정에서 생활, 이를 혼합한 형태 모두가 적절하다. 프로그램 요인은 크게 독립생활, 지역사회생활, 기능적 학업, 직업생활, 지원서비스 5개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한국형 발달장애인을 위한 중등교육이후 전환프로그램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모형은 고등학교에서 사회로의 전환, 특히 고등교육으로의 전환에 초점을 두며 계속적인 추수지도와 지원, 기관간의 협력을 강조하는 모형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 model of th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tudy suggested the key factors of th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and developed a model of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fter a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by the experts for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Then questionnaire surveys which asked about essential factors of the program were conducted twice with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ofessors, experts for th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The data from surveys was analyzed by using Delphi method. The consensus on the factor of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marked with mean, SD and skewness. To clarify the validity of analysis, Kendall`s W test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ssential ingredients for th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were categorized into 13 factors. 8 operating factors include the central operating body, period of training, staffs, funding, age of participations, requirements, admission, and place of the living. 5 program factors include the independent living skills, community-based living skills, functional academic skills, employment, supportive service. Second,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are divided operation factors and program factors. Among the operating factors,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local organizations as the welfare center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qualified for management agent. That proved 2~3 years training period is most effective and the rehabilitation counselor, special educators, social workers are needed as staffs. For funding, most of specialists think both local government and one`s own self are responsible for it. Program factors are divided into 5 major factors - Independent living, Community- based living, Functional academic skills, Employment, and Supportive service. Third,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model of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presented. This model focused on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hat emphasized the independent living and cooperation between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and community agencies, follow-up services.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 인식 비교 연구

        이문정 ( Mun Joung Lee ),이성하 ( Seong Ha Lee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3 지적장애연구 Vol.15 No.3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중등이후교육에 관한 방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특수교사와 장애학생 보호자 간의 중등이후교육에 관한 필요성과 운영에 관한 요인, 활성화방안에 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고 향후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의 발달장애학생을 지도하는 특수교사와 장애학생 보호자를 대상으로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학생 보호자와 특수교사 모두 발달장애인의 중등이후교육의 다양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중등이후교육의 운영요인에서는 장애학생 보호자와 특수교사의 의견이 운영환경, 통합형태, 교육연한, 비용부담, 교육대상, 스텝 요인에 있어서는 상이한 결과가 나타났으나 교육내용, 운영주체, 거취형태, 교육형태, 직업경험이나 기회제공, 지원서비스 영역에서는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셋째, 중등이후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재정적 지원과 책무성 강화, 다양한 형태의 전문교육기관과 교육비용 지원 및 교육관련 서비스 지원이 확대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발달장애인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parents groups regarding the necessities and requirements which th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suggested direction of th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 reviewed to theoretical background related th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samples consisted 107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114 parents who are residing in Daegu and Gyeongbuk areas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parents perceived that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very necessary. Second, the government need to take responsibility and support funding for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and operate a variety of views. Finally, the compare on the operating factors betwee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concerned shows that two groups have the difference of perceptions in some items. Both agreed on factor of curriculum, operating body, place of the living, type of operating, vocational experience, supportive service but disagreed on environment of operating, type of mainstream, period of training, staffs, funding, object of training.

      • KCI등재

        비디오모델링을 활용한 노동인권교육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직업 관련 자기옹호에 미치는 영향

        이종민 ( Lee Jong Min ),김유리 ( Kim Yu Ri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1 지적장애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비디오모델링을 활용한 노동인권교육’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직업 관련 자기옹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특수학교에 재학하는 고등학교 지적장애 15인을 대상으로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를 사용하여 총 15회기의 노동인권교육을 제공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동인권교육 실시 이전과 이후의 실험집단의 자기 옹호 총점을 비교한 결과 자기옹호 사후점수가 사전점수 총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진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노동인권교육 실시 이후 노동인권침해의 4가지 상황(‘임금체불’, ‘폭언·폭행·성희롱’, ‘산업재해’, ‘안전사고’) 모두에서 실험집단의 자기옹호 평균점수가 실시 이전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노동인권교육 실시 이전과 이후 실험집단의 직업 관련 자기옹호의 구성요소인 문제상황인식과 의사소통 모두 향상하였다. 특히 유의한 평균 차이의 정도를 측정하는 효과크기를 계산하기 위해 산출한 자기옹호 총점과 구성요인의 Cohen’s d와 Hedge’s g 모두 통상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큰 효과크기의 기준인 .8보다 큰 값을 보였다. 이를 통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직업 관련 자기옹호 향상에 비디오모델링을 활용한 노동인권교육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근로자의 권리와 의무를 포괄적으로 다룬 노동인권교육을 진행하였으며 근로 환경이라는 구체적인 상황에 근거한 자기옹호를 교수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비디오모델링과 같이 학생들의 동기를 유발하는 교육 자료 및 교육 방법을 사용하였고 교사와 학생 간의 역할극을 통해 자기옹호를 연습하였다는 점에서 실천적인 중재로서의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using video modeling on self advocacy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consisted of a total of 15 sessions.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were provided the education program. A single group pre-post-inspection design was employ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advocacy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improved following the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in both problem situation awareness and communication skills that were sub-skills included in self-advocacy following the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Mean pre-post effect sizes(Cohen's d and Hedge's g) were greater than .8(the normally accepted criterion). Overall, the findings showed that labor rights education using video modeling had a positive impact on self-advocacy in job settings among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tudy ha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developed comprehensive education program covered workers' rights and obligations and evaluated effective instructional methods to teach self advocacy in job settings, including video modeling, role-play, etc.

      • KCI등재

        경도 정신지체 중,고등학생의 성교육 내용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들의 인식: 서울시를 중심으로

        김유리 ( Yu Ri Kim ),김정효 ( Jeong Hyo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0 지적장애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경도 정신지체 중·고등학생을 위한 성교육 내용의 상대적 중요성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정신지체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중·고등부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교육인적 자원부(2003)에서 출간한 `성교육 교사용 지도 지침서`에 포함된 11개의 대단원과 24개의 소단원, 그에 따른 57개 제재를 근거로 개발되었으며, 연구참여자들이 57개의 문항 각각에 중요도를 표시하도록 작성하였다. 성교육 내용에 대한 중요도 분석을 위해서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연구참여자의 배경변인에 따른 중요도 인식 차이는 두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 분산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학교 중·고등부 교사들은 정신지체학생을 위한 성교육 내용 영역 전반에 걸쳐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가운데 성폭력 예방과 관련 된 `성폭력`, `성건강`, `성행동 및 성적 의사결정` 영역을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반면 `결혼과 가정`, `임신·출산·피임` 영역은 중요도를 가장 낮게 평가하였다. 정신지체 특수학교 중·고등부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성교육 내용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경도 정신지체 중·고등학생의 요구에 적합한 성교육 프로그램 시행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special-education teacher perception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sexual knowledge and skills in sex education for secondary student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The study used a written survey in which the teachers were asked to rate each of 57 questions in terms of how important they perceived it to be. The survey on sex education were sent to 239 teachers and yielded responses from 186 participa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teachers thought that all sexual knowledge and skills were important to the student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Sexual abuse,` `sexual health,` and `sexual behavior and decision-making` received the highest rating scores by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hile such areas as `marriage and family` and `pregnancy·childbirth·birth control` received the lowest rating scores. The findings of the study ha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relevant sex education programs for secondary student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 KCI등재

        고등교육 환경에서의 전환 활동이 발달장애대학생의 직업능력과 학업능력에 미치는 효과

        박정식 ( Jung Sik Par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3 지적장애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평생교육과정으로서 발달장애대학생들에게 대학기반(campus-based)의 직업중심, 학업중시, 생활중심의 전환활동을 제공하고 있는 고등교육 기관의 프로그램 효과를 알아보는 실증연구이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으로 고등교육 환경에서의 전환활동이 발달장애대학생의 직업능력과 학업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자 했다. 연구방법으로 경북에 소재하고 있는 D 대학교 평생교육 산하에 설치된 K-PACE에 재학 중인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K-PACE의 전환활동 프로그램을 4개월간에 실시한 후 직업능력과 학업능력 검사를 통해 그 효과성을 검정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고등교육 환경에서의 전환활동은 발달장애대학생의 직업능력에 효과가 있었다. 특히, 직업적인 영역인 진로선택 및 계획과 고용관련 지식 및 기술에 모두 효과가 있었다. 둘째, 고등교육 환경에서의 전환활동은 발달장애대학생의 학업능력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학업적인 영역인 중등학교 졸업 이후 교육, 기능적 의사소통, 자기결정 모두 에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고등교육은 학업적, 직업적, 그리고 사회적으로 통합된 교육과 정으로 구조화 될 때 효과가 나타나고 사회에 필요한 전환능력을 갖출 수가 있다. 이러한 연구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발달장애학생의 중등학교 이후 교육에 대한 함의를 높이는데 기여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campus-based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that providing vocational, academic, and independable transition activities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pecific purpose is to verify the effects of transition activities to promote vocational and academic skill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higher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universit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nrolling K-PACE program under lifelong education at D University. These students participated in transition activities of K-PACE program for four months and vocational and academic ability were assess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ransition activities of higher education setting showed positive effect for improving vocational abilitie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specially, these activities showed effect in areas of career decision & planning and knowledge & skills related to employment. Second, transition activities of higher education setting showed positive effect for improving academic abilitie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specially, these showed effect in areas of postsecondary learning skills, functional communication, and self-determination. Therefore, higher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ll be effective and helpful for students to be prepared to have transition skills when these program comprise integrated curriculum academically, vocationally, and socially. This study will contribute for increasing the recognition of needs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미국의 지적장애학생 중등과정 이후 교육 현황과 함의

        정동영 ( Dong Young Chu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적장애학생들의 중등과정 이후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미국의 지적장애학생 중등과정 이후 교육과 관련된 법률과 그 현황을 고찰한 다음, 미국의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중등과정 이후 교육 현황과 실제를 분석하고, 그 함의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 미국의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중등과정 이후 교육경로와 교육모형의 현황과 실제는 우리나라 지적장애학생의 중등과정 이후 교육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하여 중등학교와 대학에 이중 또는 동시 등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경로를 다원화하며, 혼합·혼성모형과 통합모형을 개발하여 교육모형을 다양화하고, 이를 위하여 인간중심계획, 교육적 코칭, 멘토링 등을 제도화하는 일이 필요함을 함의해 준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최근 증대되고 있는 지적장애학생들의 중등과정 이후 교육을 위하여 미국의 현황과 실제를 토대로 미국의 지적장애학생 중등과정 이후 교육모형은 우리나라에 지적장애학생들의 중등과정 이후 교육을 위하여 교육경로와 교육모형을 다양화하고, 우리의 실정에 적합한 지원 제도를 마련하는 일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legislation and its current status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U.S.A, analyse its current states and practices and analyse out a implication to seek a way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current states and practices of educational paths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U.S.A implicate that Korea need multiple ways for expanding opportunity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by not only having college-initiated program and individual- or family-initiated supports program but also developing dual or concurrent enrollment program Second, current states and practices of educational models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U.S.A implicate that Korea should diversify educational model by developing mixed/hybrid model and inclusive individual model as well as separate model, and then, to achieve these, Korea need to establish person-centered planning and systematize educational coaching and mentoring and so on. Therefore Korea must rush in preparing legislation and system appropriate for its actual condition to deal with increasing needs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recent years based on current states and practices in U.S.A.

      • KCI등재

        그림 어휘력 검사를 통한 정신지체아동의 수용어휘 발달 수준 탐색

        조인수,시옥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00 지적장애연구 Vol.2 No.-

        정신지체아동과 일반아동의 수용 어휘 능력을 그림 어휘력 검사를 통하여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언어 특성에 맞는 효과적인 교수 전략과 교육 대책을 마련하여 학습 지도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의 대상인 정신지체아동의 정신지체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초등부학생과 특수학급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 20명을 선정하였고, 일반아동은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에서 생활연령이 정신지체아동과 유사한 아동으로 20명씩 표집하였다. 연구결과 정신지체아동의 수용언어 발달수준에서 정신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수용 어휘력은 향상을 보이나 일반 아동에 비해 점차 뒤떨어지며, 이에 반해 일반아동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어휘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집단간의 수용언어 발달수준의 차이는 같은 연령의 경우 모든 연령대에서 정신지체아동과 일반아동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원점수와 백분위점수에서는 3세의 경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지체아동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 결과는 정신지체아동의 교육에 있어 비록 정신연령이 낮더라도 생활연령을 고려한 학습 장면의 구성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It is important to prepare an effective teaching strategy suitable the language feature and consider an educational counterplan for basic material of teaching plan by means of a comparative analysis about the receptive vocabulary capacity of the mentally retarde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development features of the mentally retarde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as for their receptive vocabulary according to age through a picture vocabulary test.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let each 20 mentally retarded children and nomal children whose mental age is 3,5,8 test their vocabulary ability. After putting out the original score, it can be found the age equivalent, percentile score according to a calculated list. And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ly, in receptive vocabulary ability, the receptive language of the mentally retarded children develops as much as their mental age increases but it is inferior to the normal children gradually. As regarding mental age, chronological age makes little difference. And the higher his age is, the higher original score and age equivalent is. But percentile score shows a tendency to decrease. Compared by age, children whose mental age are high make high score in original score and age equivalent but regarding the percentile score, children of 3 years old show a tendency to make higher score than 8 years old. That chronological age makes little difference though the mental age increases means that individual difference among the children is wide. Also it is said that we should consider this fact when we constitute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a percentile score shows a relative position so in the case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the fact that as their age increases percentile score shows a tendency to decreases tells that their receptive vocabulary ability is falling behind comparing normal children of the age. Secondly, in the case of normal children, the more their age is, the higher their receptive vocabulary rises. As their mental age increases, statistically original score and age equivalent makes a wide difference but percentile score does not. That tells a stable tendency compared with whole children. Compared among each age, the higher their mental age increases, the higher their chronological age increases and original score and age equivalent do, too. Thirdly, on whole age, the development level of receptive vocabulary between mentally retarde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makes no difference but in the case of original score and percentile score, the children of 3 years old make a difference and mentally retarded children reach a little higher score. The fact that the mentally retarded children of 3 years old reach higher in the original score and percentile score than normal children and then gradually make a low score as they grow older means the limitations of the mentally retarded children's receptive language. In comparison among the groups, the fact that the mentally retarded children of 3 years old reach a little higher score shows, in the case of the mentally retarded children, can be put out by means of testing instruments and that they can recognize things to that degree. And in special school, minimum students have higher chronological age by 10 years because they have more learning experience than general children. This result requires that we should constitute the learning environment considered their chronological age even though their mental age is low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