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활용(再活用) 대상(對象) 폐자원( 廢資源)의 물리적(物理的) 성상(性狀) 분석(分析)에 관한 연구(硏究)

        최우진,윤균덕,Choi, Woo Zin,Yoon, Kun Duk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2 資源 리싸이클링 Vol.21 No.5

        일반적으로 재활용대상 폐자원은 가정에서 분리 배출된 후 재활용선별장에서 수선별에 의해 유가자원으로 회수된다. 그러나 기존의 재활용선별장에 반입되는 폐자원의 경우 성상이 매우 다양하고 복잡 할 뿐만 아니라 이물질의 함량이 높아 기존의 회수방법으로는 선별효율이 매우 낮은 실정이다. 따라서 선별장에서 재활용품 회수 후에 발생되는 잔재물은 대부분 매립 또는 소각되고 있어서 그로인한 2차환경오염 및 잔류물로부터 추가적인 유가자원의 회수는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활용선별장에 반입되는 폐자원에 대한 성상조사를 실시하여 폐자원의 발생특성 변화를 파악하였으며, 전처리시설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입도분석을 통하여 향후 재활용 선별시설 구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In general, recyclable items are separately discharged from households and then, hand-sorted into different types of valuables at materials recovery facilities (MRF). However, most of residues after hand-sorting are finally end up with landfill and/or incineration due to lack of separation technologies and economical reasons. In the present study, physical properties on recyclable items obtained from an MRF are investigated to improve the recovery of valuable items. The results of physical compositions based on the sizing tests are also presented.

      • KCI등재

        환경부(環境部) "폐금속자원(廢金屬資源) 재활용(再活用) 대책(對策)"의 주요(主要) 내용(內容)

        김수경,Kim, Soo-Kyung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0 資源 리싸이클링 Vol.19 No.4

        금속광물자원은 특정한 소수국가에 편재되어 있어 공급제한, 고가판매 등 자원의 무기화 전략이 확산되고 있으며 국제 금속가격이 급등하고 수급이 불안한 가운데 95% 이상의 금속을 수입하고 있는 우리나라로서는 지속적으로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는 폐금속자원에 대한 재활용 대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환경부에서는 국내 금속 자급률을 제고하고 국가경쟁력 강화 및 녹색성장 달성을 견인하는 동력으로 재활용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범정부 차원의 종합대책을 추진하게 되었으며, 지난 '09년 9월 22일(화) 국무회의에서 지식경제부 등 관계부처(기획재정부교육과학기술부국방부지식경제부국토해양부) 합동으로 "폐금속자원 재활용 대책(일명 "숨은 금속자원 찾기 프로젝트")"을 수립하고 확정발표하였다. 본 대책은 10년 계획의 장기적인 종합대책으로서 1단계와 2단계로 구분한 후, 단계별 정책목표를 설정하여 추진함으로써 '20년까지 재활용 기술 및 산업의 선진화, 폐금속 재활용율 75% 달성, 무역역조 연간 12.5억불 이상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다. Countries which have a lot of metal resources are weaponizing metal resources such as supply limitation, high price sale. It's necessary for us to establish the countermeasure for recycling of used metal resources on a government basis. Ministry of Environment has established and announced the project for finding and reuse the hidden metal resources as pan-government department pass the Cabinet meeting at September 22, 2009. This countermeasure, 10 years project, is classified into 2 steps. Aim of this project is advance of the recycling technology and industry, achievement of recycling rate, 75%, improvement in adverse balance of trade, 1.25 billion US$.

      • KCI등재

        물질흐름지표를 이용한 한국(韓國)의 지속가능한 자원관리(資源管理) 평가 연구(硏究)

        김유정,Kim, Yu-Jeong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1 資源 리싸이클링 Vol.20 No.6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자원생산성(및 원재료 생산성), 물질순환이용율, 디커플링팩터 등의 3가지 지표를 산정하는 것을 통해 국내 경제활동과 자원소비간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고 탈물질화 정도를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의 자원생산성은 2000년 1.32백만원/톤에서 2007년 1.61백만원/톤으로 22% 증가하였으며 2000년~2007년간 자원생산성 연평균증가율은 2.88%로 나타났다. 원재료물질투입량은 국내물질소비량(DMC)의 약 73%~76%를 차지하고 있으며, 원재료생산성은 2007년 2.11백만원/톤으로, 2000~2007년간의 연평균증가율은 3%로 나타났다. 배출된 폐기물은 재활용 및 에너지화를 통해 경제계로 순환되는데 국내 물질순환이용율은 2000년 10.9%에서 2007년 15.6%로 증가하였으며,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연평균 5.3%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전년대비 증가율의 변화율이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로 나타났다. 또한 우리나라 경제활동과 자원소비량 간의 디커플링이 발생하여 탈물질화로 진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calculated the three indices of Korea's resource productivity (and raw material productivity), material circulation rate and decoupling factor to evaluate the sustainability of domestic economic activities and resource consumption and examine the extent of dematerialization. Korea's resource productivity improved 22% from 1.32 million KRW/ton in 2000 to 1.61 million KRW/ton in 2007, with the annual average growth of resource productivity during the period standing at 2.88%. Raw material inputs accounted for 73-76% of domestic material consumption (DMC); raw material productivity for the year 2007 was 2.11 million KRW/ton, growing 3% on annual average from 2000 through 2007. The wastes released are circulated into the economic system through recycling and energization. Korea's material circulation went up from 10.9% in 2000 to 15.6% in 2007, growing by an annual average of 5.3% during the period. The rate of change in year-on-year growth, however, was found to be on the gradual decrease. This study also showed that Korea's economic activities were decoupled with its resource consumption as the country heads toward dematerialization through sustainable resource management.

      • KCI등재

        동의 폐자원흐름분석을 통한 자원순환 활성화 방안

        이희선,우정훈,이재천,Lee, Hi Sun,Woo, Jeong-Hun,Lee, Jae-Chu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4 資源 리싸이클링 Vol.23 No.2

        The materials flow of copper can be analyzed into up-stream and down-stream stages based on the literature survey. Discharge and recycling stages in the down-stream have been particularly analyzed through the field survey. The waste nickel resources circulation flow may conveniently be grouped into 4 stages discharge import, collection disuse, resource recovery and product production export, the resources mainly consist of copper scrap and stainless steel scrap in 2010. The resource circulation rate of 36.83% is obtained from the above flow. Various plans are therefore, suggested in each stage to increase resource circulation rate. At discharge import stage, it is suggested to consider this kind of waste as an important resources if it is appropriately classified in detail, basides applying quota tariff to this kind of waste. At collection disuse stage, the plan of stabilizing supply and demand is suggested through the improvement of bidding system. Resources professional cycling stage crushing and grinding companies foster coexistence between large and small plans and strategies were suggested. At product production export stage, the integrated approval is suggested approval for licensing to register units as waste-treating facilities instead of exempting registration under the present condition to activate recycling industries. 기존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국내의 구리에 대한 물질흐름 분석을 Up-stream과 Down-stream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으며, 2010년 기준 폐기물로 배출된 이후의 폐기 재활용 흐름에 대해서 현장조사를 통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배출 이후의 물질흐름을 배출 및 수입, 수거 및 폐기, 자원회수, 제품생산 및 수출의 4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별로 분석했다. 재활용 단계에서 36.8%의 자원순환율 도출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각 단계별로 자원순환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여러 방안을 제시하였다. 배출 및 수입 단계에서는 지정을 세분하여 적절한 경우 이를 폐기물 자원으로 분류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런 폐자원에 대해서 할당관세를 적용을 제안하였다. 수거 및 폐기 단계에서는 부과세 편취 해결과 입찰제도의 개선을 통한 수급 안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자원순환단계에서는 전문적인 파쇄 및 분쇄 업체를 육성방안과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상생방안을 제시하였다. 제품생산 및 수출 단계에서는 현재 구리스크랩 재활용 상황에서 재활용 활성화를 위해서 폐기물 처리시설의 등록 면제 요청하고 있으나 이보다는 폐기물 처리시설로 등록을 위해서 필요한 모든 인허가를 통합적으로 처리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의 광물자원 산업적 경제중요도 지수 산정 연구

        김유정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23 資源 리싸이클링 Vol.32 No.1

        공급망 관리가 산업의 지속적 성장의 핵심 요소가 되면서 국가적 차원에서 또는 기업적 차원에서 원료가 되는 광물자원의 확보가 중요해지고 있다. 그리고 산업구조에 따라서 광종별 경제적 위상과 공급리스크가 상이하다. 본 연구에서는 광종별 경제적 위상을 살펴보고 위해, 산업별 수요구조와 비용, 비중 등을 반영하여, 광물자원별 국내 산업 경제중요도를 정량할 수 있는 지수(index)를 개발하고 산정하였다. 그 결과 Li, Al, Cu, Si, Co, Ni 등이 우리나라의 산업적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산업별로 1차금속제조·일반기계·조립금속은 Al, Cu, Zn, Pb 등 베이스메탈이, 정밀기기는 Sn, Ba, Ti이, 반도체는 Si, Ga이, 전자부품은 Li, Ni, Co, Si 등이 산업적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급망 리스크 등을 추가적으로 반영하여 핵심광물 등을 선정․관리하고 이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건설폐기물(建設廢棄物)의 리싸이클링 현황(現況)과 연구동향(硏究動向) - 국내자원(國內資源)의 유효이용(有效利用)을 위한 처리(處理) 및 회수기술동향(回收技術動向)(4) -

        오재현,김미성,신희덕,민지원,Oh, Jae-Hyun,Kim, Mi-Sung,Shin, Hee-Duck,Min, Ji-Wo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8 資源 리싸이클링 Vol.17 No.2

        우리나라 사업장 폐기물의 51.7%에 해당되는 47,294천톤이 건설폐기물이고, 이 폐기물의 96.7%가 재활용되는 것으로 집계되어 있다. 한편 고품질 순환골재의 생산을 일부기업에서 시도하고 있으나, 천연골재를 대체하기에는 아직 미급한 것 같다. 우리나라의 경우 혼합폐기물의 정의가 애매하여, 혼합폐기물의 선별자원화가 매우 부실하다. 폐목재의 경우 PB(particle board)용으로 수요가 많으나, 현장에서 폐목재의 수집이 쉽지 않다. 2005년 대형국책과제를 수행하는 $\ulcorner$건설폐기물재활용연구단$\lrcorner$이 발족하였다. (사)한국자원리싸이클링 학회지에 게재된 건설폐기물 관련 보문은 주가 폐기물을 이용해서 건설자재로 재활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었다.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data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47million tons of construction waste were generated, and 96.7% of them was recycled in 2005. However, the recycled products seem to be remained under low quality. Because mixed demolition and construction waste, so called DC Waste, including concrete, brick, plaster, lumber, plastics building materials, paper and some dirt and stone, is very variable and difficult to estimate its exact composition, it is regarded as having little or no value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Research group on recycling of construction waste' was started by the Housing & Urban Research Institute(KNHC), which is sponsored as a large scale national project by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This research group intends to establish recycling system through planing, processing, developing practical technology, and eventually contribute to save natural resource and to vitalize the industry. In this paper an overview of DC waste management and recycling technology is given in some detail. Particularly, "recycling law of construction waste" and recent research trends on recycling of construction waste are discussed.

      • KCI등재

        국내(國內) 산업(産業) 폐자원(廢資源)의 발생(發生)·처리(處理)·재자원화(再資源化) 현황(現況) 및 자원효율성(資源效率性) 향상(向上) 방안(方案)

        강홍윤,이일석,김경환,Kang, Hong-Yoon,Lee, Il-Seuk,Kim, Kyung-Hwa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3 資源 리싸이클링 Vol.22 No.3

        자원 수급의 불확실성이 점차 고조되고 있는 글로벌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효율적인 자원관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자원 수급과 관련하여 국제 환경에 매우 취약한 산업구조를 나타냄에 따라 국가 자원효율성의 획기적인 제고 방안 마련이 절실히 요구된다. 우리나라는 대표적인 자원빈국으로서 자원효율성 제고를 위해 산업내에서 발생하는 산업 폐자원의 재자원화 추진 등 자원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노력이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산업 폐자원의 발생, 처리, 재자원화 현황 분석 및 일본 현황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자원효율성 측면에서 주요 이슈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가 자원효율성 향상을 위한 산업 폐자원 재자원화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Recently, the importance of efficient resource management has been highlighted due to the uncertainty of its security. Korea has thus made an effort to improve the resource productivity in various fields such as the increase of recycling rate and the establishment of methodical resource management system. It is still necessary to draw the innovative improvement measure of national resource efficiency. This study derives major issues of recycling potential in the domestic industry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generation, treatment and recycling of industrial wastes in Korea. Futhermore, main tasks for promoting the improvement of national resource efficiency through the recycling of industrial wastes in Korea have been propo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th the comparison of Japan's situation.

      • KCI등재

        해수(海水)로부터 희유금속(稀有金屬) 회수(回收) 연구동향(硏究動向)

        김종헌,노경란,김상우,최성배,길상철,Kim, Jong-Heon,Noh, Kyung-Ran,Kim, Sang-Woo,Choi, Sung-Bae,Kil, Sang-Cheol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3 資源 리싸이클링 Vol.22 No.6

        Marine mineral resources are classified into submarine and seawater mineral resources. In seawater, huge amounts of useful minerals, such as uranium, lithium, magnesium, aluminum, zinc, iron, silver, copper, vanadium, nickel, titanium and cobalt are present. If the rare metals recovery technology from seawater is developed,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precess will be possible. For the 21st century, countries rich in resoures tend to weaponize the resources, according to the depletion of reserves and quality degradation of metal resources in the land. Therefore, Korea that relies on imports for most of the metal resources, should focus o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rare metals recovery technology from seawater by using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untry that is on three sea-sides. 해양광물자원은 크게 해저면에 부존되어 있는 해저광물자원과 해수 중에 녹아 있는 해수광물자원으로 대별된다. 해수에는 막대한 양의 유용광물이 녹아 있어 회수기술 개발이 완료되면 상업화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21세기에 들어 육상금속자원의 저품위화 및 매장량 고갈에 따라 자원 보유국들이 자원을 무기화 하는 경향이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금속자원을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인 지리적 특성을 살려 해수로부터 희유금속 회수기술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해수로부터 희유금속 회수관련 논문분석 결과, 미국이 495편의 논문을 게재하여 양적 질적으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기관별로 보면 Chinese Acad. Sci.가 152편의 논문을 게재하여 양적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31편의 논문을 게재한 Univ. Oxford는 질적으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자동차(自動車)리싸이클링의 현황(現況)과 리싸이클링모델의 제시(提示)

        오재현,강정호,Oh, Jae-Hyun,Kang, Jung-Ho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7 資源 리싸이클링 Vol.16 No.1

        1982년에 폐차제도가 도입되고, 1987년에는 자동차관리법이 제정되어, 우리나라 폐차업은 폐차(ELV)의 회수체계 및 등록말소 등에는 다른 나라에서 볼 수 없는 우수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현재 폐차는 유상으로 시장경제원리에 의해서 처리되 있다. 그러나 폐차의 자원으로서의 인식과, 재활용율의 제고 그리고 환경성을 감안한 폐기물의 적정처리에 있어서는 규제와 노력이 미흡한 현황임을 부정할 수 없다. 한편, 정부에서는 지금 자동차리싸이클링에 관한 법률을 제정 중에 있다. 이 시점에 즈음하여 필자는 자동차리싸이클링에 관계되는 법 제도의 변천, 폐자동차의 리싸이클링 현황과 문제점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한국적 자동차리싸이클링 모델의 골격을 제시하여, 우리나라 자동차리싸이클링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추구하였다. The Korean Auto industry has developed remarkably over the past 30 years. In 2005 alone, Korea produced 3.7 million vehicles, and the number of vehicles registered surpassed the 15 million marks. The rapid growth in registration, however, has given increasing problems to the traffic congestion and the environmental pollution. The system for handling of ELV in Korea is governed by the 'Motor management law'. The law places the responsibility for vehicle scrapping directly on the vehicle owners. The take-back rate of ELV reaches nearly 100% in Korea since 1987. To further entourage recycling, the government introduced the 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 system(EPRS) starting January 1, 2003, which imposes waste recycling obligations on producers or importers. According to the system, producers must recycle home appliances and packaging materials. This system, however, did not involve the automobiles. In 2006, the automobiles recycling law is under preparing now by the government. This article is concerning current status for End-of-Life vehicle's recycling and the recycling system model for advanced ELV industries in Korea.

      • KCI등재

        자원순환사회 형성을 위한 "자원순환기본법"이 나아가야 할 방향

        이일석,강홍윤,Lee, Il-Seuk,Kang, Hong-Yoo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6 資源 리싸이클링 Vol.25 No.6

        2016년 5월, 제19대의 마지막 정기 국회에서 "자원순환기본법"이 제정되었다. 본 법은 향후 우리나라의 자원순환 정책의 큰 방향성을 제시하여야 할 최상위의 기본법이므로 그 파급력을 고려하였을 때 법의 취지, 주요 내용, 정책적 방향성을 심도있게 분석하고 이해할 필요가 있다. 특히, 2018년 1월부터 본 법이 시행될 예정이므로 이 법의 원래 취지인 자원순환사회로의 전환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법률 체계 및 내용을 제대로 갖추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하위법령 제정 시 그 내용이 편향되지 않도록 이해관계자들의 적극적 참여를 통한 심도있는 협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조항별 구체화된 법안들이 도출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원순환기본법의 체계 및 주요내용 검토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법률의 실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하위법령 제정과정에서의 주요 조항별 논점과 구체적 시행방향에 대해 검토, 제시하고자 한다. The framework act on resource circulation was got through the Korea National Assembly in May, 2016. It is the most important to analyze and understand its purpose, main contents, and policy direction of the framework act because this act will lead the resource circulation policy. Korea government is going to enact subordinate statutes such as its enforcement decree and regulation to enforce the act in January, 2018. No later than enforcement of the act, its subordinate statutes should be studied indepth and consulted without any bias in order to satisfy the intent - promotion of transition toward a resource circulation society - of the ac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oints in dispute in the act are indicated and the issues and specific directions of key articles are reviewed. The idea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its subordinate statutes are also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