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유정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23 자원리싸이클링 Vol.32 No.1
공급망 관리가 산업의 지속적 성장의 핵심 요소가 되면서 국가적 차원에서 또는 기업적 차원에서 원료가 되는 광물자원의 확보가 중요해지고 있다. 그리고 산업구조에 따라서 광종별 경제적 위상과 공급리스크가 상이하다. 본 연구에서는 광종별 경제적 위상을 살펴보고 위해, 산업별 수요구조와 비용, 비중 등을 반영하여, 광물자원별 국내 산업 경제중요도를 정량할 수 있는 지수(index)를 개발하고 산정하였다. 그 결과 Li, Al, Cu, Si, Co, Ni 등이 우리나라의 산업적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산업별로 1차금속제조·일반기계·조립금속은 Al, Cu, Zn, Pb 등 베이스메탈이, 정밀기기는 Sn, Ba, Ti이, 반도체는 Si, Ga이, 전자부품은 Li, Ni, Co, Si 등이 산업적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급망 리스크 등을 추가적으로 반영하여 핵심광물 등을 선정․관리하고 이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도시광산(都市鑛山) 재자원화기술(再資源化技術)의 진보(進步)와 과제(課題) - 일본(日本)과 한국(韓國)의 비교(比較) -
오재현,김준수,문석민,민지원,Oh, Jae-Hyun,Kim, Joon-Soo,Moon, Suk-Min,Min, Ji-Wo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2 자원리싸이클링 Vol.21 No.2
ELV 및 E-waste의 재자원화기술은 일본과 한국이 대동소이하나 일본과 비교해서 한국이 개선해야할 몇 가지 과제(개선책)를 지니고 있다. ELV에 있어서는 잠재성 오염물질(프레온가스, 에어백, ASR)의 처리가 불충분하다. ASR 70% 이상의 리싸이클링 없이는 ELV 재활용율 95% 달성은 불가능하다. E-waste에 있어서는 리싸이클링 산업체간의 심한 기술수준 격차를 평균화해야 한다. 또 투명한 유통경로와 리싸이클링 처리량의 향상을 위한 처리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일본의 정부 주도 리싸이클링 대형프로젝트는 좁은 분야로 집중되어 있고, 산업체의 참여비중이 높다.
국내(國內) 산업(産業) 폐자원(廢資源)의 발생(發生)·처리(處理)·재자원화(再資源化) 현황(現況) 및 자원효율성(資源效率性) 향상(向上) 방안(方案)
강홍윤,이일석,김경환,Kang, Hong-Yoon,Lee, Il-Seuk,Kim, Kyung-Hwa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3 자원리싸이클링 Vol.22 No.3
자원 수급의 불확실성이 점차 고조되고 있는 글로벌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효율적인 자원관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자원 수급과 관련하여 국제 환경에 매우 취약한 산업구조를 나타냄에 따라 국가 자원효율성의 획기적인 제고 방안 마련이 절실히 요구된다. 우리나라는 대표적인 자원빈국으로서 자원효율성 제고를 위해 산업내에서 발생하는 산업 폐자원의 재자원화 추진 등 자원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노력이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산업 폐자원의 발생, 처리, 재자원화 현황 분석 및 일본 현황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자원효율성 측면에서 주요 이슈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가 자원효율성 향상을 위한 산업 폐자원 재자원화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성유,신가영,김두환,황용우,강홍윤,홍성민,김다연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23 자원리싸이클링 Vol.32 No.3
본 연구에서는 비촉매분야에서 사용된 로듐의 재자원화 시, 경제적 및 환경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 경제적 효과 분석은비용편익분석과 자원절감효과분석을 적용하였으며, 환경적 효과 분석은 전과정평가를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경제적 측면에서 B/C 값은1.28로 사업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용절감은 재자원화 로듐 1 g 기준으로 237,000원로 나타나 2025년 로듐 재자원화량 71.7억원으로 나타났다. 환경적 효과는 로듐 1 kg 기준의 재자원화 시와 해외매각 시에 대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비교하였다. 산정 결과, 로듐 1 kg 기준으로 재자원화 시 온실가스 배출량은 65 kg CO2eq./kg-Rh, 해외매각 시 28,800 kg CO2eq.으로 나타나, 99.8%가 저감되었다. 본연구결과는 비촉매분야에서 사용되는 로듐의 재자원화 시 경제적 및 환경적 효과 분석을 통해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에서 로듐 재자원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할 수 있었다.
재활용(再活用) 대상(對象) 폐자원( 廢資源)의 물리적(物理的) 성상(性狀) 분석(分析)에 관한 연구(硏究)
최우진,윤균덕,Choi, Woo Zin,Yoon, Kun Duk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2 자원리싸이클링 Vol.21 No.5
일반적으로 재활용대상 폐자원은 가정에서 분리 배출된 후 재활용선별장에서 수선별에 의해 유가자원으로 회수된다. 그러나 기존의 재활용선별장에 반입되는 폐자원의 경우 성상이 매우 다양하고 복잡 할 뿐만 아니라 이물질의 함량이 높아 기존의 회수방법으로는 선별효율이 매우 낮은 실정이다. 따라서 선별장에서 재활용품 회수 후에 발생되는 잔재물은 대부분 매립 또는 소각되고 있어서 그로인한 2차환경오염 및 잔류물로부터 추가적인 유가자원의 회수는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활용선별장에 반입되는 폐자원에 대한 성상조사를 실시하여 폐자원의 발생특성 변화를 파악하였으며, 전처리시설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입도분석을 통하여 향후 재활용 선별시설 구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건설구조물(建設構造物)의 장수명화(長壽命化)와 건설폐기물(建設廢棄物)의 유효이용기술(有效利用技術)
김규용,최형길,남정수,송하영,이도헌,Kim, Gyu-Yong,Choi, Hyeong-Gil,Nam, Jung-Su,Song, Ha-Young,Lee, Do-Heu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9 資源 리싸이클링 Vol.18 No.3
최근 지구환경의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각됨에 따라 자원절약 및 자원의 유효이용이라는 측면에서 일상생활에서부터 각종 산업분야에 이르기까지 재활용과 자원절약에 관한 관심이 날로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지구 온난화 방지, 자연환경파괴의 방지,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 방지 등 지구환경보전 측면에서 콘크리트용 골재 자원의 고갈, 시멘트 소성에너지, $CO_2$ 저감 등은 해결이 불가피한 문제로서의 당면한 과제이다. 이에 따라 건설 산업의 분야에 있어서도 건축물의 내부에 축적되어 있는 막대한 양의 자원을 유효하게 활용하고 내구수명이 길게 설계된 장수명화 건축물을 안전하고 쾌적하게 유지 관리함으로써 불필요한 건설행위를 억제하여 지구자원 및 에너지를 절감하는 창조적인 사고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건설폐기물 발생 억제 및 유한한 지구자원의 유효이용과 재활용을 활성화시킴으로서 지구환경부하 저감을 위한 건축생산 및 건축물의 성능설계 측면에서 건축적 요구와 지구환경을 고려한 건축물의 장수명화를 위한 방법 및 건설폐기물의 유효이용기술에 대해 소개하였다. Recently the problem of global environment is became by social issue. Accordingly the interests to recycling and saving of resources are growing from daily life to varieties field of industry. To preserve the global environment, prevent global warming, environmental destruction, environmental pollution by wastes, the drain of aggregate, plasticity energy of cement and decrease in carbon dioxide are an urgent problem that must be resolved. So there is to a field of building industry and stands but on the inside of the building the many double meaning resources usefully, applies. Also the seller masterpiece building where the service life is long planned is safe and comfortably, maintenance, suppresses the construction which is not necessary is unnecessary. Also the seller masterpiece building where the service life is long planned is safe and comfortably, maintenance, suppresses the construction which is not necessary is unnecessary. By revitalizing effective use of limited earth resources, recycling and controling production of construction waste, this study introduced to a method for Long-Term Durability of Construction Structure and Effective Use of Technology for Construction Waste considering architectural demand and earth environment. It is for reduction of an earth environment load from the side of construction production and performance design of a structure.
폐리튬이온전지로부터 유가금속을 회수하기 위한 암모니아 침출법
구희숙,정여진,강가희,김송이,김수경,양동효,이강인,손정수,권경중,Ku, Heesuk,Jung, Yeojin,Kang, Ga-hee,Kim, Songlee,Kim, Sookyung,Yang, Donghyo,Rhee, Kangin,Sohn, Jeongsoo,Kwon, Kyungjung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5 자원리싸이클링 Vol.24 No.3
전기자동차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리튬이온전지의 생산량도 증가하여 효율적인 전지 재활용 기술이 요구된다. 폐리튬이온전지를 재활용하는 방법에는 크게 건식제련과 습식제련에 기반한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사용된 폐리튬이온전지의 양극활물질을 습식제련에 기반한 암모니아침출법을 이용하여 활물질 내의 유용금속인 Ni, Mn, Co의 침출거동을 조사하였다. 물리적으로 처리된 활물질의 입자크기는 -65 mesh이며, 주된 원소는 14.0 wt% Ni, 13.0 wt% Mn, 5.7 wt% Co이다. 암모니아, 환원제 (아황산암모늄), pH 완충제 (탄산암모늄 혹은 황산암모늄)의 존재하에 각 금속의 침출거동을 확인하고, 또한 침출시간과 온도에 따른 침출률의 영향도 조사하였다. 환원제의 존재는 Ni과 Co의 침출률 향상을 위해 필수적이다. 암모니아침출법은 산침출법과 달리 Ni/Co와 Mn의 선택적인 침출이 가능하여 침출된 유용금속을 분리하는 단계를 줄일 수 있고, 산침출 후 수반되는 침전과정 시 필요로 하는 추가 염기성 시약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
유종영,양대영,신희동,손일,Yu, Jong Yeong,Yang, Dae Young,Shin, Hee Dong,Sohn, Il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5 자원리싸이클링 Vol.24 No.3
Raw materials in steel industry decide on the productivity, quality and price competitiveness. Utilizing iron-containing by-products as raw materials for steel products can save the cost of cleaning up iron-containing by-products and solve environmental issues. Iron-containing by-products have a small particle size. If they are directly inserted in a steel making process, it cause a problem such as poor heat flow and scattering. To solve these problems and induce the additional reduction, study concern with iron ore-coal mixed briquette technique are conducted by many researchers. In this paper, method of making carbon composite briquette iron(CCBI) using iron-containing by-products was studied. The effect of composition of Fe-containing process wastes, reducing agent, flux and binder on formability of CCBI (carbon composite briquette iron) was measured.
습식산화법을 이용한 제강분진 내 아연회수를 위한 최적조건 도출에 관한 연구(Part I; 침출공정)
문대헌,안상우,김한래,김지태,장순웅,Moon, Dea-Hyun,Ahn, Sang-Woo,Kim, Han-lae,Kim, Ji-Tae,Chang, Soon-Woong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5 자원리싸이클링 Vol.24 No.3
EAFD (Electric Arc Furnace Dust) is considered as pernicious pollutant, assigned hazardous waste. Since this dust is a by-product of industry, it contains valuable metals such as Fe, Zn, Ni, Cu which can be turned into resources by recycling process. In this study, hydrometallurgical process was applied to recover Zn from Electric Arc Furnace Dusts. The result showed 95% Zn recovery at 3M $H_2SO_4$, Solids/Liquid ratio 1:2 and aeration of 1.8L/min for 2hr. However there was 80% Zn recovery at lower $H_2SO_4$ concentration apply for pilot scale plant.
신기웅,강용호,안재우,현승균,Shin, Gi-Wung,Kang, Yong-Ho,Ahn, Jae-Woo,Hyeon, Seung-Gyu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5 자원리싸이클링 Vol.24 No.3
In order to recover tin from the waste tin plating solution, we used the ion exchange method using three types of ion exchange resins. The ion exchange resin with tertiary functional group(Lewatit TP 272) has not adsorption ratio of tin. The ion exchange resin with iminodiacetic functional group(Lewatit TP 207) has high adsorption ratio of tin, but impurity content in the recovered tin solution was relatively high. Whereas, in case of the ion exchange resin with functional group of ethylhexyl-phosphate(Lewatit VP OC 1026), adsorption ratio of tin was less than that of Lewatit TP 207. However, it was possible to remove impurities in the recovered tin solution by controlling the pH of the solution. High purity tin solution can be recovered by removing the organic materials with water washing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