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의 연령별 일본 이미지와 관련 요인 -국민의식과 일본에 대한 관심을 중심으로-

        카가미토미요 ( Kagami,Tomiyo ),박애스더 ( Esther Park ),오카무라카요 ( Okamura Kayo ),코마츠미도리 ( Komatsu Midori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5 日語日文學硏究 Vol.94 No.2

        이 연구는 한국인의 연령별 국민의식과 일본에 대한 관심도가 일본 이미지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 인터넷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2012년 12월 현재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13-18세, 20세, 25-29세,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의 각 연령, 총 1049명이다. 설문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일본 이미지 척도는 카가미 토미요, 박지선 외 (加賀美常美代·朴志仙 ほか, 2010)에서 사용한 형용사 19항목에 사회적, 환경적인 내용을 추가하여 40항목을 작성하였다. 국민의식 척도는 카라사와 미노루(唐澤穰, 1994)의 ‘국민의식 척도 일본어판’을 토대로 한국인 유학생 5명의 인터뷰를 통해 얻은 항목들을 추가하여 작성하였다. 일본에 대한 관심은 카가미 토미요, 박지선 외 (2010)의 18항목으로 구성된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은 SPSS에 의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 이미지의 요인 분석 결과, ‘신뢰성’, ‘집단주의적 선진성’, ‘재해·사회문제의 심각화’, ‘공격성’, ‘개방성’의 5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한국인의 국민의식에 관한 요인 분석 결과, ‘한국인으로서의 자존심’, ‘국가적 우월성’, ‘외국에 대한 개방성’, ‘저(低)자기 관여적 배타성’, ‘한국의 발전 우선’의 5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셋째, 일본에 대한 관심에 관한 요인 분석 결과, ‘일본과의 적극적 접촉’, ‘국제적 문제’, ‘일본 대중문화’, ‘한일간 영토·역사문제’의 4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인의 국민의식과 일본에 대한 관심이, 일본 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기 위해 일본 이미지를 종속변수, 국민의식·일본에 대한 관심을 독립변수로 한 중회귀 분석을 연령대별(10대, 20대, 30·40대, 50대 이상)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긍정적 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일본에 대한 관심의 하위 요인 중 ‘일본과의 적극적 접촉’과 ‘일본 대중문화’의 2개 요인으로 밝혀졌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동시에 있을 경우, ‘신뢰성’, ‘개방성’과 같은 일본에 대한 친화적 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것(카가미, 2013)으로 나타났다. 10대~40대까지는 영토·역사문제에 대한 관심의 정도가 낮은 것이 신뢰성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일본과의 적극적 접촉’은 ‘집단주의적 선진성’과 같은 다양하고 다각적인 일본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점이 명확해졌다. 한편, 부정적 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국제적 문제’임이 밝혀졌으며, 10-40대까지는 국제적인 문제에 관심을 갖는 경우, 이것이 일본의 공격성 이미지와 관련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터넷이나 TV에 의해 국제적인 문제를 일상적으로 접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더욱이 30대 이상의 연령층은 국민의식 중 ‘국가적 우월성’을 가진 경우, 이것이 일본의 공격성 이미지와 관련이 있었다. 이처럼 일본 이미지 형성 요인에 한국인의 사회적 아이덴티티가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는 일본 이미지의 형성에 관한 새로운 측면으로, 한국인의 일본에 대한 적극적 접촉이나 일본의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의 정도뿐만 아니라, 한국인의 국민의식이 관련 요인으로써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Koreans’ National Identity(NI) in different age groups and their interests in Japan relate to the perception of Japan. This investigation was performed through online survey. The survey, completed on December 2012,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1049 samples in 5 different age groups: age 13-18, 20, 25-29, 30-39, 40-49, 50-59, and +60. In terms of the subjects’ residential distribu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different areas: 374 for Seoul, 260 for Gyeonggi-do, 262 for metropolitan cities, and 180 for other areas. There was no skewed effect based on location. Conten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to assess barometer for image toward Japan, 40 items including 19 adjectives from Kagami, Park, et al(2010) and other social and environmental items were used. Barometer of NI was composed after inspecting ‘Scale of NI-Japanese version’devised by Karasawa(1994) as a reference. 18 items from Kagami, Park, et al(2010) were utilized to scrutinize interest toward Japan.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pertaining to image toward Japan, five factors including ‘credibility’, ‘collectivistic advancement’, ‘deterioration of natural disaster and social problems’, ‘belligerence’, and ‘openness’ were extracted. As a result of analysis pertaining to Koreans’ NI, five factors including ‘pride as Korean’, ‘national superiority’, ‘openness toward foreign nations’, ‘exclusivity toward low relevance’, ‘development of Korea first’ were also extracted. As a result of analysis pertaining to interests in Japan, four factors including ‘active contact with Japan’, ‘international problems’, ‘popular culture of Japan’, ‘territorial and historical dispute between Korean and Japan’ were extracted as well. Based on these findings, to investigate how NI and interests in Japan influence Koreans’ perception of Japan, regression analysis via stepwise method was conducted by setting ‘the image toward Japan’ as a dependent variable and ‘NI’ and ‘interest regarding Japan’ as independent variables. Respective analyses were conducted in different age groups (13-18, 25-29, 30-49, +50). As a result, ‘active contact’ and ‘popular culture’ turned out to be the factors that affect Image of Japan positively. Furthermore, these two factors appeared to have influence on ‘credibility’ and ‘openness’ that endorse friendly image to Japan. Low interests in territorial and historical problem from teens to subjects in the 40s affected ‘credibility’. Furthermore, ‘active contact toward Japan’ appeared to affect various and multidimensional image of Japan, such as ‘collectivistic advancement’. On the other hand, ‘international problems’ turned out be a factor that affects image of japan negatively. For subjects from teens to the 40s who showed concerned over ‘international problems’, they appeared to relate their opinions to ‘belligerence’. Furthermore, subjects +30 appeared to perceive that there are relations between ‘Japan’s belligerence’ and ‘national superiority’. Based on these outcomes, it can be stated that Korean’s social identity can have possible effect in forming image of Japan. As outcomes from the above indicate, this particular study revealed some of new factors that have tremendous influence in forming image of Japan. These factors include ‘active contact with Japan’, degree of interests in the‘popular culture of Japan’ as well as ‘Korean’s NI’.

      • KCI등재

        者敬語を表す文体における日韓比較 - 韓国ドラマの韓日対訳から見る文体使用の違い -

        김지은 한국일어일문학회 2022 日語日文學硏究 Vol.123 No.-

        한국어와 일본어의 청자 대우를 나타내는 문체에는 존댓말과 반말의 대응이 있다. 이런 공통점으로 인해,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는 일본어의 정녕체(丁寧体)와 보통체(普通体)의 문체도 한국어의 존댓말과 반말하고 똑같은 운용을 한다고 생각한다(田所2015). 그러나, 한국 드라마의 한일 번역 자료에서 두 언어의 문체 사용을 비교한 결과, 다른 점도 있었다. 발화 5개 중 1개 이상이 두 언어의 문체가 일치하지 않았는데, 이는 곧 두 언어의 청자 대우 문체의 운용이 반드시 같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언어의 각 문체의 사용 빈도를 보면, 원본의 한국어에 비해서 번역본의 일본어에서는 정녕체가 적은 반면에 문체생략체(文体省略体)와 보통체가 많았다. 두 언어의 문체가 불일치 하는 타입은 6가지가 있는데, 그 중 가장 많은 것은 한국어의 존댓말에 일본어 보통체가 대응하는 타입이었다. 먼저, 한국어의 반말에 일본어 정녕체가 대응하는 경우는, 한국어의 추량형과 명령형의 반말을 여성 화자가 사용할 때, 일본어로는 정녕체인「でしょう」「なさい」로 바뀌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한국어의 반말을 일본어에서는 문 말을 생략하는 문체생략체를 사용함으로써 공손함을 조절하는 양상이 보였다. 한편, 한국어의 존댓말이 일본어에서 보통체가 되는 것은 합쇼체보다 해요체에 많았다. 그리고, 한국어의 존댓말이 일본어에서 보통체가 되는 요인으로는 화자의 속성과 심리 상태, 그리고 번역 상의 문제를 생각해볼 수 있는데, 그 중 변동적인 화자의 심적 요인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 KCI등재

        일제의 동화정책에 이용된 신화

        Hosaka, Yuji 한국일어일문학회 1999 日語日文學硏究 Vol.35 No.1

        일제시대 한국에서의 동화정책은 특히 1930년대에 들어와서 「일선동조론(日鮮同祖論)」을 철저화시키는 가운데 진행되었다. 1937년에 조선총독에 취임한 미나미지로오(南次郎)는「내선일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한국에서의 총동원 체제를 만들어 나갔다. 그리하여 조선총독부는「內鮮史實의 再認識」을 실천정책 목표들 중 하나로 삼았다. 이러한 정책의 일환으로 한국에서의 국사 교과서가 수차례 개정되어,「일선동조론」 애 대한 기술이 점차 강화되어 갔다. 즉 일본의 국조신인 아마테라스 오오미카미(天照大神)의 동생 수사노오(소전명존)가 신라에 강림하여 한국의 시조가 되었다는 내용이 국사교과서에 등장하게 되었다. 그 뿐만 아니라 수사노오와 檀君이 異名 同一神이라는 연구도 활발히 나와,「일선동조론」에 일조하고 있었다. 일제는「일선동조론」 에 반대하는 입장에서서 학설을 주장했던 츠다(津田左右吉)에게 유죄를 선고하는 등 언론탄압을 강화해 갔다. 「일선동조론」 은 조선총독이 공개적으로 말할 정도로 한국통치이념으로 작용되고 있었다. 그 당시 친일파들은 이러한 역사적 동화이념을 받아들이는 논리를 펴고 있었다. 그 논리는 다음과 같다. 한일은 고대에서 같은 신을 모신 같은 민족이었는데 한국이 중국의 영향을 받아 중국화되어 본연의 모습을 잃어 버렸다. 그래서 한일병합은 본연의 모습으로 회귀하는 것이고 일본과 하나가 되는 길만이 한국의 회생의 길이다. 3.1독립운동선언문을 쓴 최남선도 친일행각을 했으나, 「일선동조론」 의 핵심인 수사노오(소전명존) 한국시조설에는 반대하고 있었다. 그는 한국어 말살정책이 진행되던 일제말인 1943년에 한국어로 쓴 역사책을 펴내, 수사노오가 한국의 시조가 되었다는 「일선동조론」을 조용히 부정했다. 신화를 동원한 일제의 동화정책은 최남선과 같은 학자의 반대에 부딪치기도 하면서 여러가지 모순이 내재된 상태였다고 하겠다.

      • KCI등재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일본문화 관심도에 관한 일고찰 -일본어교재를 개발하기 위한 시점을 중심으로-

        윤호숙 ( Youn Ho-sook ),윤정훈 ( Yoon Jeong-hun ),최진희 ( Choi Jin-hui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6 日語日文學硏究 Vol.99 No.1

        국제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일본어 학습의 문화 이해와 문화 학습의 중요성에 의해 한국인일본어학습자가 구체적으로 어느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연구에서는 일본어교육의 관심도에 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고 특히 문화에 관한 관심도 연구는 대부분이 제2언어에 있어서의 동기부여의 요인 가운데 하나로 다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인일본어학습자를 대상으로 일본문화에 대한 관심도에 관해 상세하게 고찰하였다. 그 결과 한국인일본어학습자가 높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는 일본문화는 `일본의 미디어` `일본의 일상생활(특히 식문화)` `일본 여행`이고 낮은 관심도를 나타내고 있는 일본문화는 `일본의 개요` `일본의 대중문화`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일본어교육 시 필요한 학습항목에 관해 알 수 있었으며 한국인일본어학습자가 높은 관심도를 나타내고 있는 `일본의 미디어` `일본의 일상생활` `일본 여행`이 앞으로 일본어 수업과 교재개발 시 가장 우선시되어야 할 학습내용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관심도가 낮은 항목이라고 해도 교육적인 관점에서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할 내용은 존재한다. 즉, 학습자가 관심이 높다고 해서 `일본의 미디어` `일본의 일상생활` `일본 여행`에만 너무 국한되면 교육의 기본 가치가 문제시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본어와 일본 문화를 학습할 때 전제가 되는 `일본의 개요` 등은 교재개발과 수업에 반드시 고려해야 하며 `유학` 등 장기체류를 희망하는 학생들에게는 `일본의 생활 정보`에 관한 학습내용도 필요하다. 본고의 의의는 선행연구에 비해 구체적인 조사항목을 추출하여 세부적으로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관심도를 조사할 수 있었으며 일본어교육과 교재개발에 고려할 점을 시사하였고 학습내용의 방향성을 규명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규명된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일본문화에 관한 관심도를 더욱 검토하여 금후 일본어 교육과 교재개발에 적극 활용하려고 한다. Due to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understanding on learning Japanese and learning culture of the target language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 investigation on the interest of Korean learners of Japanese is required. However, there were not much research conducted on this area which concerned i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previous studies. Especially, cultural impact has been merely dealt with as a motivational factor in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review as detailed the degree of the interest in Japanese culture of Korean learners of Japanese as possible. In the result of that, Korean learners of Japanese are highly interested in Japanese culture such as “Japanese Media”, “Japanese daily life style (Specially about food)” and “Travel to Japan” whereas “Overview of Japan” and “Japanese public Culture” are less popular. Thus, this issue of learning items is needed for the Korean learners of Japanese in future and the items like “Japanese Media”, “Japanese daily life style” and “Travel to Japan” are considered to put in priority when people make lesson plans and its textbooks. However, the parts which the learners felt less interested in is also needed to be considered carefully since there are some learnable contents in it. In other words, it would cause some problems when instructors only focus on this area which learners prefer to learn. Therefore, the part like “Overview of Japan”, a prerequisite to learn Japanese language and its culture, must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lesson planning and textbook development.Also“General information about living in Japan”is recommended to learners who want to stay in Japan for a longer perio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dentifying the direction and we can examine the specific survey items which detailed in Korean Japanese learner`s interest. To further examine the interest of the Japanese culture, Korean Japanese learners will identify through this study. They can take advantage of the future development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nd textbooks.Media`, `Japan`s daily life`, `Travel to Japan`. Therefore, the part like `Overview of Japan`, a prerequisite to learning the Japanese language and its culture, must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lesson plan and textbook development. Also, `General information about living in Japan` is recommended to the learners who want stay in Japan for a longer period of tim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dentifying the direction and we were able to examine the extract specific survey items detailed in interest in Korean Japanese learners in comparison to the previous study was uninteresting points to consider in the Japanese education and textbook development considering the high learning content future needs was is that. To further examine the interest of the Japanese culture, Korean Japanese learners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will try to take advantage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nd textbooks.

      • KCI등재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구말 음조 패턴에 관한 고찰-일 한 동일 문장을 사용한 비교 대조-

        키타노타카시 ( Kitano Takashi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9 日語日文學硏究 Vol.108 No.-

        이 연구는 한국어 서울 방언을 모어로 하는 일본어 학습자의 어미에 나타나는 음조 패턴에 대해서 같은 내용의 문장을 사용해서 일본어와 한국어 양언어로 어떤 차이와 공통점들이 있는지 실험과 고찰을 실시한 것이다. 그 결과 모든 피험자의 일본어와 한국어의 음조 패턴이 높은 빈도로 같은 음조 패턴이 관찰되어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어미 상승은 발화 의도를 거의 가지지 않는 모국어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기존의 선행연구는 한국인의 어미 상승 현상은 그들의 모국어인 한국어 서울 방언의 특징인 무악센트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지만 일본어 모어화자 중에서 어미 상승현상이 많이 나타나고 있는 점을 근거로 한국인 학습자가 일본어 모국어 화자를 모방하고 있다는 견해도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에서 나타나는 어미 상승현상의 원인을 보다 확실히 할 목적으로 키타노(2017) 의 연구에서 같은 문장을 낭독해서 조사의 사용경향을 분석한 결과 특정 조사와의 공기관계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한국인 학습자의 어미 상승 현상은 의도적인 발화 의도를 가지지 않는 단순한 모국어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키타노 (2017) 의 연구결과를 보강해서 한국인 학습자의 어미 상승 현상의 원인을 발화 의도를 가지고 있는 의식적인 언어 활동이라는 면보다 모국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언어 현상이라는 가설이 설득력을 얻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describe the results of an examination of the UPTALK phenomenon among Korean learners, which is categorized by the pitch patterns made by Korean learners with Japanese and Korean sentences that have the same meaning. Clear similarities were demonstrated in the position and patterns of UPTALK in Japanese and Korean sentences among many of the participants. Previous researchers have also demonstrated that UPTALK among Korean learners is not a conscious language behavior and it is simply influenced by the Seoul Korean, which is known as a intonational dialect . It has also been observed that Korean learners imitate the UPTALK behavior of native Japanese speakers, especially among young females, such as when UPTALK has been observed in conversations. My previous research (Kitano 2015) provided clear evidence that Korean learners’ UPTALK is a language behavior influenced by their mother language but not a conscious language behavior, providing evidence that Koreans learning Japanese use UPTALK for case-marking particles, while Japanese native speakers mostly use UPTALK for conjunctive particles. This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Korean learners’ UPTALK is a language behavior mainly influenced by their mother language and it is not a conscious language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additional analysis, which is described in this paper, indicate clear differences between the UPTALK patterns of Korean learners and Japanese native speakers. Korean learners use UPTALK with both Japanese and Korean sentences with clear similarities in the position and pattern of the UPTALK phenomenon, while Japanese native speakers use less UPTALK with Japanese sentences. This again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Korean learners’ UPTALK is a language behavior mainly influenced by their mother language but not a conscious language behavior with intended meaning of intonation

      • KCI등재

        초급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동사テ형 습득

        아키하타카코 ( Takako Akiha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6 日語日文學硏究 Vol.98 No.1

        동사의 テ형은 일본어교육에 있어서 초급과정에서 배우는 문법 항목 중에서도 활용이 복잡하고 학습자에게 습득하기 곤란한 항목의 하나이다. 습득이 어려운 이유는 동사를 テ형으로 변환할 때 먼저 동사의 종류를 식별해야 하고, 활용어미의 음편화에 의한 형성이 복잡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급한국인일본어학습자가 テ형 습득에서 항목학습 또는 규칙학습의 어느 쪽을 사용하고 있는 가 (연구과제1), 활용어미가 다른 동사종류 중에서 어디에 어려운 점이 있는 가 (연구과제2)를 살펴보기 위하여 초급한국인 일본어학습자를 대상으로 テ형 변형과제를 이용한 조사를 실시하여 통계적 검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연구과제1에 관해서는 같은 초급학습자 가운데 에서도 テ형의 습득 자체가 아직 진행되고 있지 않은 학습자는 항목학습으로 テ형의 변형을 하고 있는 한편, テ형의 습득이 진행되고 있는 학습자는 규칙학습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초급단계에서는 항목학습에서 규칙학습으로 이행하는 것이 분명해졌다. 연구과제2에 관해서는 종합적 일본어능력시험으로 분류한 상위군과 하위군에서는 습득의 양상이 다르지만, 공통점은 -ru의 습득이 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mong the grammatical items taught to the beginners of Japanese, the -te form of verbs is commonly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difficult items to acquire. The conjugation of verbs to their -te forms requires the understanding of grammatical differences between verbs of "Godan" class, verbs of "Ichidan" class, and the irregular verbs; this conjugation paradigm is further complicated by euphonic changes that may occur at a verbal ending. This study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part aims to examine whether the Korean beginners of Japanese use either "Item Learning" or "Rule Learning" strategies in their acquisition of the -te form (Research Question1). The second part explores whether different verbal endings affect the acquisition of -te form. For these purses, a questionnaire-based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sed (Research Question2). For Research Question1,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beginners of Japanese employ the "Item Learning" strategy to convert verbs to their -te forms if they are not familiar with the grammatical rules itself. On the other hand, the learners with the knowledge of the-te form employ the "Rule Learning" strategy. It is also shown that there is a shift from "Item Learning" to "Rule Learning," even at the beginner level. For Research Question2, the upper group and the lower group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each participant`s overall Japanese ability) differ in terms of acquisition styles, but both groups display a lack of understanding in the acquisition of -ru.

      • KCI등재

        한일 한시문에서의 의성적 한어오노마토페의 수용 양상 -사물이 부딪칠 때 나는 소리를 묘사한 첩어를 중심으로-

        권경애 ( Kwon Kyoung-ae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7 日語日文學硏究 Vol.102 No.1

        본고에서는 한어 오토마토페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옛날 중국의 한시문에 보이는 첩어 중 의성어로 쓰인 용례들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첩어의 의성성이 인정되는 용례들 중, `사물이 부딪칠 때 나는 음을 묘사`한 `轟轟(굉굉, ゴ一ゴ一[go:go:])` `??(린린, リンリン[riN·riN])` `丁丁(정정, チョ一チ ョ一·ト一ト一[cho:cho: , to:to:])` 등을 중심으로 중국의 한시문에 사용 된 의미 를 고찰하고, 그것들이 한국과 일본의 한시문에서 어떤 의미로 해석되는지를 살펴본 후 어떻게 수용되고 어떤 의미 변화를 거쳐 왔는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수용 초기 단계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한시문에서도 세 첩어 모두 의성어로 사용된 용례들을 많이 볼 수 있었다. 그러나 한국어에서의 쓰임은 1950년대를 기점으로 거의 나타나지 않는 반면에 일본어의 경우, 세 단어 모두 2000년대 이후의 기사나 블로그 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린린(??)`의 경우 한국 어에서는 두음법칙으로 인하여 `인린하다[in ㆍrin ㆍhada]`와 같이 오노마토페의 동 음반복성이 사라지고 동사의 어근으로서만 사용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일본어 에서는 고유의 오노마토페 `リンリン[riN ㆍriN]`과 단어 음형이 동일한 점도 작용 하여 의성어적 성격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 한편 `轟轟(굉굉, ゴ一ゴ一 [go:go:])` 이나 `丁丁(정정, チョ一チョ一·ト一ト一[cho:cho: , to:to:])`는 의태적 용법이나 일반어휘화 되는 양상을 엿볼 수 있었다.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reiteratives used as imitative words in ancient Chinese poetry, as part of a study on the onomatopoeia of Chinese origin. Specifically, I analyzed the meanings of reiteratives in Chinese poetry in China with a focus on `轟轟(gueng · gueng, go:go:)`, `??(rin · rin, riN·riN)` and `丁丁 (jeong · jeong, cho:cho: , to:to:)`, which describe the sounds of things that hit each other. Furthermore, I reviewed what they mean in ancient Chinese poetry in Korea and Japan and then how they had been accepted and what change of meaning they had undergone. In the early stage of acceptance, all three reiteratives were also used as imitative words in ancient Chinese poetry in Korea and Japan. However, they have rarely appeared in Korean since the 1950s, but they have also been found in Japanese newspaper or magazine articles or blogs since 2000. In Korean, `??(rin · rin, riN·riN)`, as seen in `in · rin· hada`, showed no same sound repeatability of onomatopoeia and was used only as a verb root, according to the initial law of Korean. In Japanese, however, `rin·rin` maintained its onomatopoeic character, since it had the same sound form as `リンリン [riN·riN]`, an imitative word native to Japanese. On the other hand, `轟轟(gueng · gueng, go:go:)` or 丁丁(jeong · jeong, cho:cho: , to:to:) was used as a mimetic word or general vocabulary.

      • KCI등재

        일본 대학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

        강영숙 ( Young Sook Kang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4 日語日文學硏究 Vol.89 No.2

        日本での韓國語敎育は韓流をきっかけに急激に增加した。とくに、2000年 以降の日本の大學における韓國語に關連する授業の開講の增加は韓國と日本 のいろんな關係において意味のある現狀であると思う。 語學は單純にその國の言葉を習うことで終わらず、その國を理解する手段 であるといえる。そのため、日本の大學における韓國語敎育の普及が意味す るのは、韓國と日本の今後の關係と理解をさらに深められる方向へもってい く大きな手段になれるので、このような現狀は望ましい狀況であるとも言え よう。現狀として日本の大學の50%を超える大學に、韓國語まだは韓國語關連の 授業が開講されている。語學がもつ役割の意味を考えると、今後においても 日本における韓國語敎育の數を維持し、より展開·發展させていくべきであ り、日本での韓國語敎育に關する持持的な檢討と硏究が大事である。 この論文は筆者が?當していた大學生を對象に、韓國語の授業に關する學 生達の意見を聞き、韓國語の授業向上に反映することはなにかを檢討してい る。このアンケ一ト調査が意味するのは、ただ韓國語の敎育改善というだけ ではなく、現實に大學生を對象にしたアンケ一ト調査や硏究が少ないなか で、今後、日本の大學における韓國語敎育に參考になる硏究であったと思わ れる。 また、學生の韓國語學習の目標を把握し、持持的な韓國語學習へとつなぐ ようにしないといけないという主張をしている。そのために、今まで初級·中 級·高級の三段階となっている學習課程を大學の4年間學習できるように四段階 に構成するのが望ましいと提案した。 そのほかに、韓國語の指導敎員の專門性に關する檢討と敎材開發の必要生 の提案や韓國語敎育に對する韓國政府の積極的な關心と參加が必要であるこ とを主張した。 In Japa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rapidly increased with Korean wave. Especially, newly-opened or increased college courses of Korean language or Korean related in Japan since 2000 do have meanings related to various areas between Korea and Japan on top of increase of language education. Linguistics is a huge way not only to learn words of a certain country, but also to learn the whole country itself. Therefore, such dissemin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Japanese colleges could become a huge means to positively develop understandings and various futur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Currently, almost half of colleges in Japan are opening courses of Korean language or Korean related. Considering such wide meaning of linguistics, it would be necessary to maintain and expand the number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Japan in the future. Thus it is required to have continuous reviews and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Japan. This survey-based thesis aims to ask college students(charged by the researcher) about Korean language course to reflect them to improvement of Korean language course. Furthermore, it is also significant to provide useful data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Japanese colleges as we have lack of survey with the current college students in Japa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it was suggested that learning of Korean language should be continued by establishing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based on learning time and motivation, and also understanding each student`s objectives of learning Korean language. And proposed that currently three-step learning process in college learning program to make for a four-step learning process. It was also suggested to have professionalism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o develop contents of textbooks. It would be also necessary to have Korean government`s active participation in establishing relationship with Japan through linguistics. Through this thesis, it was possible to review meanings and proble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Japanese colleges,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Japanese colleges.

      • KCI등재

        한일 성서의 복합조사 대응어에 관한 연구 -일본어 「との」「への」「からの」「としての」를 중심으로-

        고은숙 ( Ko Eun-sook ) 한국일어일문학회 2022 日語日文學硏究 Vol.121 No.-

        稿は日本語の「との」「への」「からの」「としての」を研究対象語に選定し、これに対応する韓国語「와(과)의」「에의」「에서의」「(으)로서의」の成立過程を調査した。本稿の調査でわかるように、韓国開化期と日本による植民地時代の後半以前までは、「との」「への」「からの」「としての」を直訳して使われた「와(과)의」「에의」「에서의」「(으)로서의」の使用例がほとんどない。 しかし、日本による植民地時代語になって現れ始め、光復以降からは「との」「への」「からの」「としての」に対応する韓国語「와(과)의」「에의」「에서의」「(으)로서의」が使われ始め、現在では習慣的に使用している。特に「との」の場合、韓国語「와(과)의」の表現は現在聖書にも使われるほど馴染みのある表現となっている。本稿は日本語を韓国語に翻訳した資料を歴史的に調査した。韓国開化期の資料は、『日韓會話辭典』(1906), 『警察學』(1909), 『日文譯法』(1909) などであり、日本による植民地時代の資料は、『旅乃出直志』(1923), 『同じ海へ』(1924), 『道志る扁』(1926), 『汝等の背後より』(1926), 『眞宗信仰の精髓』(1928), 『新生の力』(1928), 『光への導き』(1930), 『淸福乃道』(1933), 『求安錄』(1934), 『麥と兵隊』(1939), 『昭和國民讀本』(1939), 『わが愛する生活』(1941), 『西住戦車長傳』(1941), 『二千六百年史抄』(1941) などである。そして光復以降の資料には、『長崎の鐘』(1949), 『敗戰學校』(1950), 『流れる星は生きている』(1950), 『愛と認識との出発』(1954), 『死線を越えて』(1956) などを調査した。韓国と日本との聖書の資料はテキストを収集してコーパスを構築して検索した。 言語は昨日の姿が今日の姿と違うのは当然のことだ。現在の言語を過去の姿の言語として使うことはできないのだ。しかし、慣用的に固まっている言葉でも、根本的な言葉の表現を考え直す必要はある。韓国語の表現に日本語の影響で発生した語法を使う時は、無理がなければもう一度他の表現を探してみる努力は必要である。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examples of usage in Japanese , mainly in the Japanese complex postposition 「との」「への」「からの」「としての」and 「(와)과의」「에의」「에서의」「(으)로서의」use to the Korean language that corresponds to it. Translation materials were divided and examined after the Japanese colonial era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Biblical material between Korea and Japan was collected and a corpus was constructed and searched. The Bible is still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famous books compared to general novels, newspapers, and other writings when it comes to language materials. As such objective language data, it is cited in many articles and used for educational sentence expressions, so I think it is a valuable resource that should be investigated first. It is natural that language is different from what it was in the past. The present language cannot be used as the language of the past. However,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fundamental expression of words, even if they are becoming idiomatic. When using the grammar generated by the influence of Japanese in Korean expressions, it is necessary to try to find another expression if it is not too difficult.

      • KCI등재

        《조선어역》 일본어문에 보이는 호선부호에 대하여

        토가사키유이치 ( Togasali Yuichi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7 日語日文學硏究 Vol.101 No.1

        《조선어역(朝鮮語譯)》은 간엔(寬延) 3년(1750)에 핫토리 난카쿠(服部南郭)가 필사한 한국어 학습서이다. 그 내용은 전 3권 중 제1·2권이 대화 형식의 단문을 모은 "대화 편"이고, 제3권이 "최고운전(崔孤雲傳)"이라는 전기 소설을 수록한 "소설 편"이다. 이 중 가타카나로 쓰인 일본어·한국어 부분에는 2-3 문자의 오른쪽에 그것들을 일괄하는 식으로 호선(弧線) 모양인 부호를 표시한 부분이 여럿 관찰된다. 본고에서는 《조선어역》 일본어 부분에 나타나는 호선부호를 조사하고 그 특징과 기능을 밝히려고 시도했다.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 "대화 편" 제2권에서는 원칙적으로 모든 촉음(促音) · 장음(長音) · 요음(拗音)에 호선부호를 붙이는 경향이 있다. · "소설 편"(제3권)에서는 촉음과 요음에는 모두 호선부호를 붙이는 한편, 장음만 일본어 표기 관례에서 벗어나는 `アヲ` `エヲ` 등에 한해서 호선부호를 붙이는 경향이 있다. 각 권에서 호선부호를 붙이는 경향에 차이가 있는 것은 이러한 부호를 붙인 사람이 권마다 다르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각 권에 공통되는 표기 특징도 있기 때문에 《조선어역》 성립 경위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Chosengoyaku(朝鮮語譯)" is a textbook of Korean copied by Hattori Nankaku in 1750. It consists of three volumes --- the first and second volumes called "the dialogue part" which are compiled from many short sentences of conversations, and the third volume called "the novel part" which is a romantic novel named "A life of Choi Go-un". This book, written with Japanese and Korean, has many parts written by katakana characters regardless of languages, and there are many places marked with tie bars that put on the right side of 2 - 3 letters and indicate they should be joined and pronounced as one syllable. In this paper, I tried to investigate tie bars appearing in Japanese parts of "Chosengoyaku" and to reveal its features and functions. As a result, I found some features as follows: (1) In volume 2, nearly all of double consonants, long vowels and rising diphthongs marked with tie bars. (2) In volume 3, nearly all of double consonants and rising diphthongs marked with tie bars, but long vowels tend to be marked with tie bars only if it is strings like "アヲ(-ao)" or "エヲ(-eo)" which is out of the usual Japanese notation. These feature may suggest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way to mark tie bars between volume 2 and 3 and therefore these were marked by different persons. However there are features of notation common to each volume, so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for the background of establishing "Chosengoyak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