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주식시장과 한국 주식시장에 상호 미친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임병진,임태순 한국일본근대학회 2024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84

        이 연구는 일본 주식시장과 한국 주식시장 간의 관계와 연관성 및 상호 영향에 관한 분석을 실증적으로 한 연구이다. 일본 주식시장과 한국 주식시장 간의 연관성 및 상호 영향에 관한 실증적 분석을 위해 사용한 자료는 2006년 1월 7일부터 2023년 9월 2일까지 922개의 주간자료이다. 연구방법론으로 시계열의 안정성 여부의 판정을 위한 단위근 검정을 하고 변수간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관계의 존재여부판정을 위한 공적분(cointegration)검정을 하고 있고 변수간 상호영향력 분석을 위한 VAR모형을 이용한 예측오차의 분산분해를 실행하였다. 주식시장의 일본과 한국에 상호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의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증권주 주가지수와 일본 증권주 주가지수 자료의 수준변수에 대한 안정성 검정결과 연구기간 중 불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나 차분하여 분석함을 의미한다. 둘째, 한국 증권주 주가지수와 일본 증권주 주가지수 자료의 차분변수에 안정성검정 결과는 연구기간 중 모두 안정적으로 나타나 제1차 차분자료로 분석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셋째, 분산분해 분석결과에 의하면 일본 증권주 지수 분산분해에서 일본 증권주 지수의 변화는 일본 증권주 지수 자체의 내재적 변화가 99% 이상을 설명하고 있고, 한국 증권주 지수의 설명력은 1% 미만을 설명하고 한국 증권주 지수 분산분해에서 한국 증권주 지수의 변화는 한국 증권주 지수 자체의 내재적 변화가 79% 이상을 설명하고 있고, 일본 증권주 지수의 설명력은 20% 이상을 설명하고 있다. 넷째, 연구 기간 중 한국 증권주 지수 증감률의 변화는 일본 증권주 지수 증감률에 그레인저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한국 증권주 지수 변화는 일본 증권주 지수 변화에 원인변수인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일본 증권주 지수와 한국 증권주 지수간의 상관관계는 0.480728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연구의 한계점은 다양한 국가들의 충분한 자료가 없다는 것이다. 다양한 국가들의 자료로 분석을 해야 보다 더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나 우리나라와 가까운 일본의 자료가 제공되어 한국과 일본 간의 관계만을 분석한 것이다. 향후 연구로 다양한 국가들의 자료가 제공되면 다양한 국가들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present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correlation, and mutual influence between the Japanese and Korean stock markets. The dataset used spans 922 weeks from January 7, 2006, to September 2, 2023.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s unit root tests to assess time series stability, cointegration tests to ascertain long-term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nd variance decomposition to analyze mutual influence.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ability tests on the level variables of both Japanese and Korean stock indices indicate instability throughout the study period, necessitating cautious analysis. However, stability tests on the differenced variables of both indices show stability, suggesting analysis should be based on first difference data. Second,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reveals that changes in the Japanese stock index are primarily driven by intrinsic factors more than 99%, with minimal influence from the Korean stock index. Conversely, changes in the Korean stock index are largely explained by intrinsic factors over 79%, with a notable influence from the Japanese stock index over 20%. Thirdly, Granger causality tests indicate that changes in the Korean stock index causally affect changes in the Japanese stock index. In addi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Japanese and Korean stock indices is 0.480728, indicating a positive correlation. A limitation of the study is the lack of sufficient data from various countries. While analyzing data from multiple countries would allow for more accurate analysis, this study focused sole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due to the availability of data from these neighboring countries. Future research could benefit from analyzing data from a broader range of countries to provide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global stock market relationships.

      • KCI등재

        한국의 대일본 수출액과 수입액에 세계금융위기가 미친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임병진 한국일본근대학회 2016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4

        이 연구는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사태 시발전인 1998년 8월 31일부터 2007년 4월 30일까지 105개의 자료와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시발 후인 2007년 5월 31일부터 2016년 1월 31일까지 105개의 한국의 대일본 수입액과 한국의 대일본 수출액 자료를 사용하여 금융위기 전후 한국의 대일본 수입액과 한국의 대일본 수출액 자료간의 상호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론은 시계열의 안정성 여부의 판정을 위한 단위근 검정과 변수간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관계의 존재여부판정을 위한 공적분(cointegration)검정이 있고 변수간 상호영향력 분석을 위한 VAR 모형을 이용한 예측오차의 분산분해기법으로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대일본 수입액과 한국의 대일본 수출액 자료간의 상관계수는 금융위기 전후로 0.896612으로 강한 양(+)의 상관관계에서 0.673477로 다소 약화된 양(+)의 상관관계로 변화된 것을 나타내 주고 있다. 둘째, 한국의 대일본 수입액과 한국의 대일본 수출액 자료의 원시계열 상태에서의 안정성검정 결과 불안정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한국의 대일본 수입액과 한국의 대일본 수출액 자료의 1차 차분시계열자료에 안정성검정 결과에서는 한국의 대일본 수입액과 한국의 대일본 수출액 자료 모두 안정적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의 대일본 수입액과 한국의 대일본 수출액 자료간 공적분 검정결과에 의하면 한국의 대일본 수입액과 한국의 대일본 수출액 자료간에는 공적분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다섯째, 한국의 대일본 수입액과 한국의 대일본 수출액 자료 간 상호영향력에 있어서 금융위기 이후로 대일본 수입액의 영향이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between the export volume and the import volume around the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We examine the interdependence of the export volume and the import volume around the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for 105 monthly data from August 1998 to April 2007. We employ Granger causality, impulse response function based on VAR model as well as variance decomposition after unit root tests and cointegration test. The finding that many macro time series may contain a unit root has spurred the development of the theory of non-stationary time series analysis. Engle and Granger(1987) pointed out that a linear combination of two ro more non-stationary series may be stationary. If such a stationary linear combination exists, the non-stationary time series are said to be cointegrated. The stationary linear combination is called the cointegrating equation and may be interpreted as a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The purpose of the cointegration test is to determine whether a group of non-stationary series are cointegrated or not. The vector autoregression(VARs) is commonly used for forecasting systems of interrelated time series and for analyzing the dynamic impact of random disturbances on the system of variables. The VAR approach sidesteps the need for structural modeling by treating every endogenous variable in the system as a function of the lagged values of all of the endogenous variables in the system. This research showed following main results. First, from basic statistic analysis, both the export volume and the import volume around the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has unit roots, Second, there is at least one cointegration between them. In addition, we find that while the effect from the export volume and the import volume around the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is relatively strong after the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 KCI등재

        한일협정 직후 일본의 ‘죽도’정책 소멸 - 일본의회의사록을 중심으로 -

        최장근 한국일본근대학회 2013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2

        본 연구는 한일 협정 이후 일본 정부의 독도에 대한 영토 의식에 관해서 일본 회의 의사록을 분석해서 고찰했다. 이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첫째, 1951년 대일 평화 조약에서 일본 정부는 야당 의원에 대해 독도가 일본 영토로 결정됐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국회에서 외상이 독도가 한국 영역으로 구분된 “일본 영역 참고도”을 배포했지만 야당 의원의 항의를 받고 회수했다. 이것을 보면 일본 정부도 대일 평화 조약에서 독도가 일본 영토로 규정되지 않고 오히려 한국 영토로 규정된 것을 잘 알고 이 사실에 대해서도 야당 위원도 잘 알고 있었다. 둘째, 1965년 한일 협정은 “양국의 현안은 외교적으로 해결하고 이것이 불가능한 때는 제3국의 대화로 해결하다.”라는 내용으로 체결되었다. 그러나 이 항목은 일본은 독도를 염두에 두고 규정했는지도 모르지만, 한국은 이것이 독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항이라고 합의하지 않은 것을 일본 정부가 잘 알고 있었다. 셋째, 일본 정부는 한일 협정 이후에도 독도 영유권을 포기하지 않지만, 한일 협정으로 실제로 한국의 독도 점유를 인정했기 때문에 한국 정부에 대해 독도 영유권을 평화적 해결과 외교 협상을 제안하지 않았다. 마지막에 오늘의 일본은 독도에 대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한국이 일본의 독도를 무력으로 불법 점령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요즘은 우익 성향의 인물이 중심이 되어 독도 영유권 주장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이런 일은 본 연구의 성과에서 보면, 독도의 본질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행동이다. 즉 내셔널리즘에 의한 영유권 주장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awareness of Japanese government on Dokdo through analyzing the conference proceedings of Japanese government since the Treaty on basic relations between Japan and the Republic of Korea(Hanil Gibon Joyak) signed on June 22, 1965. The main points are as follows: First, Japanese government has claimed to the Opposition party that Dokdo was determined as Japanese territory through the Treaty of Peace with Japan in 1951. The foreign minister gave out the map of the Japanese territory which Dokdo belongs to Korean territory in the Japanese National Assembly. But the map should be taken back because of the Opposition party’s strong objection. That means that Japanese government as well as the Opposition party recognized the fact that Dokdo belongs to Korea. Second, the Treaty between two countries in 1965 says that the territorial problems between two countries should be solved diplomatically and that if it is impossible to solve diplomatically, the problem can be solved by the third countries. Japanese government might have signed on the Treaty, thinking Dokdo problem. Japan knows well that Korea agreed on the Treaty regardless of Dokdo problem. Third, though Japanese government did not give up Dokdo dominium, in fact, Japan recognized Korea’s dominium, therefore Japan did not suggest the peaceful solution and diplomatic negotiation. However, today Japan claims Dokdo belongs to Japan. Japan insists that Korea occupies Dokdo by force of arms. The Japanese Rightists have been trying to build up campaign for Dokdo dominium these days. They don’t understand the true historical fact and at the same time, they distort the truth. In other words, they have been acting on the basis of imperialism.

      • KCI등재

        잊혀진 재한일본인처의 재현과 디아스포라적 삶의 특성 고찰 ‒ 경주 나자레원 사례를 중심으로 ‒

        이토 히로코,박신규 한국일본근대학회 2016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1

        본 연구는 급속히 진전하고 있는 한국사회의 다문화현상에서 역사 속에서 소수 민족으로 살아온 일본인처들의 디아스포라적인 삶의 특성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재한 일본인 처의 고령화로 그들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남길 수 있는 시간은 한계가 있기에 현 시기에 일본인 처에 관한 연구의 중요성은 역사적으로 의미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한일본인처가 집단적으로 거주하고 있는 경주 나자레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재한일본인처의 삶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재한일본인처의 삶은 여성으로서 겪었던 이산의 경험, 현모양처로서의 삶의 유지, 경계인으로서의 삶, 그리고 고향지향성을 지난 디아스포라의 삶에 대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제 식민지시기에 조선인 남성과 결혼하고 한국으로 건너온 일본인처들은 현재 시점에서 보면 국제결혼이민자의 한 종류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과 일본, 양국에서 제대로 된 지원이나 대우를 못 받으면서 ‘잊혀진 국제 미아’로 살아가고 있었다. 이와 같은 그녀들의 삶을 특성과 맞물려 한국에서 살고 있는 그녀들의 문제를 간과한 채 다문화정책을 수립하는 것은 한국사회에 들어와 있는 소수자인 이주민의 역사를 고려하지 않은 단기적이며 단편적인 정책 지원에 머루를 것으로 예측되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aspora lives of Japanese wife lived in the minority in Korea. In particular, the time to leave to hear their voices directly to the aging of Japanese wives is limited. Thus, the study of the Japanese wives in the current period is historically meaningful work. As a result of having an oral history of the second raw data with the selected Japanese Wives in Gyengju Nazareth Center to determine their diasporic characteristics, its found that they could have a discrete experience, the maintenance of life as good wife and wise mother, boundary maintenance and homeland orientation. In addition, Japanese wives who were married to Korean me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re looking at the moment a kind of marriage immigrants, while receiving not properly supported and they are living as forgotten international missing children.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without solving the problem of the Japanese wives, establishing a multicultural policy is expected to be short-term and fragmentary support.

      • KCI등재

        재일조선인 에스닉잡지와 ‘한국전쟁’ -1950년대의 일본열도가 본 ‘한국전쟁’-

        소명선 ( So Myung-sun ) 한국일본근대학회 2018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1

        본 논문은 1950년대에 발행된 재일조선인 에스닉잡지에 게재된 문학작품 중, 한국전쟁을 모티브로 한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동시대의 재일조선인은 한국전쟁을 어떻게 표상하고 있는가를 고찰했다. 구체적인 분석 대상은 총 14편의 소설과 희곡작품으로, 대부분이 휴전협정 전에 발표된 것이고, 시간적 배경은 전쟁이 가장 격심했던 1950년과 1951년에 집중되어 있었다. 공간적인 배경은 한반도 내부에 머무르지 않고 중국과 일본이 그 무대가 되기도 했다. 그러나 대부분이 번역물로 재일조선인이 창작한 작품은 4편에 불과했으며, 대체적으로 프로파간다 성향을 띠고 있었다. 그리고 이들 작품은 한국전쟁을 문학적 모티브로 사용했다기보다 한국전쟁 자체가 중심테마를 이루고 있었다. 동시대의 일본문학을 참조 틀로 했을 때 재일조선인이 한국전쟁을 바라보는 시각에는 물리적인 거리가 확보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심정적인 거리는 제로였다. 일본문학의 경우, GHQ에 의한 점령하에서 한국전쟁으로 급변해 가는 사회분위기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일본이 한국전쟁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는 사실을 다양한 형태로 그려내고 있었다. 1950년대의 재일조선인은 일본에서 또 다른 형태의 한국전쟁을 치루고 있었고, 지지하는 정권은 다르지만 모두가 조국의 독립과 평화를 지향하고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전쟁 시기의 재일조선인은 그 어느 때보다 강하게 한반도와 직결되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 study ethnic magazines of Zanichi Koreans in the 1950s, focusing on works based on the motif of the Korean War, and explore how contemporary Zanichi Koreans represent the Korean War. A specific analysis target is a total of 14 novels and plays. The time setting of the work is many in 1950 and 1951. The space of the novel is not limited to the Korean peninsula, but China and Japan are staged. However, most of the works are translated, and only 4 works created by Zainichi Koreans. These works are not the literary motif of the Korean War, but the Korean War itself is the central theme. When the contemporary Japanese literature was used as a reference frame, the gaze to Korean War of Zainichi Koreans could be said to be zero even though they were leaving the Korean peninsula. In the case of Japanese literature, it portrays in various ways that the Japan is deeply involved in the Korea War, while responding sensitively to the rapidly changing Japanese society caused by the Korean War, during the GHQ occupation period. Zanichi Koreans of the 1950s did war of different form Korean War, in the Japanese Islands. Even if the support regime was different, everybody prayed for independence and the peace of the mother country. From this point, Zanichi Koreans during the Korean War could say that it was directly connected to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일본 내 한국어교육의 질적 발전 연구-한국어교원 자격 취득을 중심으로-

        오문경,이경수,문희진 한국일본근대학회 2020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8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qualification system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o improv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Japan qualitatively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to the teachers in the ways to strengthen Japan’s uniqueness and localization. Korean language teacher qualification system is driv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t is positioned as a qualification to secure the professionalism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Japan and around the worl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Japan require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evelopment and requires localization based on Japan’s uniqueness. To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focus on strengthening Korean teachers’ competency.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d on the Korean teacher qualification system and analyzed various data to derive the necessity of obtaining Korean teacher qualifications at Japanese universities. Also, based on this,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preliminary teachers residing in Japan to acquire qualification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that is, measures to increase field expertise in Japan, methods to strengthen local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approaches to humanize existing Korean teachers are presented. In the future, we hope that prospective teachers residing abroad, including in Japan, will be able to provide prototypes of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for obtaining Korean language teacher qualifications. 본 논문은 일본에서의 한국어교육을 질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하여 한국어교원 자격제도를 살펴보고, 일본의 특수성과 현지화를 강화한 한국어교원 자격 취득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교원 자격제도는 한국어교육의 양적, 질적 발전을 견인하고 있으며 일본은 물론 전 세계적으로 한국어교원의 전문성을 담보하는 자격으로 자리하고 있다. 일본에서의 한국어교육은 양적 발전과 더불어 질적 발전이 요구되고 있으며 일본의 특수성에 입각한 현지화가 필요하다. 한국어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한국어 교사 역량 강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어교원 자격제도에 주목하여 다양한 자료를 분석하여 일본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원 자격 취득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일본에 거주하는 예비 교원의 한국어교원 자격 취득에 대한 발전방향 즉, 일본에서의 현장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 교육 내용의 현지화 강화 방안, 기존 한국어 교사의 인적 자원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일본을 위시하여 국외에 거주하는 예비 교원들이 한국어교원 자격을 취득하는 데 있어 교육 내용과 방법에 대한 프로토타입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한ㆍ일 외식소비자행동 특성 비교연구 -외식서비스품질 중요도, 불만족, 재방문의도를 중심으로-

        유두련 한국일본근대학회 2011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33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일본소비자의 외식업체 이용실태, 외식서비스 품질에 대한 중요도, 외식 시 불만족요인과 재방문의도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파악해 보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조사도구는 설문지이며, 본 조사는 대구지역과 일본 후쿠오카 현 내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2009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실시하였으며, 각각 총386부와 총34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WIN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정, x2-검정 등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업체 이용실태 비교분석에서 한국인들은 주로 한식당을 방문하는 것에 비하여 일본인의 경우에는 다양한 외식업체를 방문하였으며, 외식동기에서 한국인의 경우 가족과 함께 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일본인의 경우에는 가족과 함께, 기분전환, 다양한 음식 등에서 비슷한 수준으로 높았다. 동반자는 한국인 응답자에게서는 가족이 가장 많았고, 일본인 응답자는 가족, 친구, 혼자에서 한국응답자보다 비교적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정보원에서는 한국응답자는 주로 친구 등의 인적정보원을 이용하는 반면에, 일본응답자는 가족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나, TV등 광고를 이용하거나 전단지 유인물, 또는 인터넷 광고를 이용한다는 응답자가 한국인 보다 훨씬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품질 중요도 비교분석에서는 한국과 일본응답자 모두에서 신뢰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으며, 비슷한 중요도 순서로 나타났으나, 한국소비자는 반응성이 확신성 보다 더 중요하며, 일본소비자는 확신성이 더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서비스불만족에 있어서는 한국소비자의 경우 ‘음식 맛에 대한 불만경험’, ‘음식가격이 적정치 않음’순으로 나타났으며, 일본소비자는 ‘음식제공 시간이 오래 걸린 적’, ‘음식 맛에 대한 불만경험’, ‘음식가격이 적정치 않음’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반적인 재방문의도에서 한국소비자는 일본소비자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재방문이유에 있어서 한국소비자는 ‘음식 맛이 좋아서’, ‘신뢰’, ‘신속한 서비스’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일본 외식소비자의 재방문이유에 대하여 가장 높은 이유로서 ‘음식 맛이 좋아서’, ‘신뢰’와 ‘가격이 저렴해서’의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service quality, dis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in foodservices industry between Korea and Japan. For this investigation were analysed the responses of 386 interviewed from Daegu Province in Korea and the responses of 341 interviewed from Fukuoka in Japan. The SPSS/WIN version 19.0 was used to analyse collected data.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Korean have visited Hansikdang mainly compared of the Japanese people to visit if they have visited a variety of balanced foodservices. In the eating motivation, companion, information for foodservices, Japanese have showed more diversity results than those of result of Korean. 2) I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service quality in both Korea and Japan, respondents were most important reliability. 3) The highest score of the consumer complaints was about the taste in Korean respondents. In the case of Japan, The highest score of the consumer complaints was took a long time ever. 4) Overall revisit intention of the consumer in the case of Korea was slightly higher than in Japan. The reason for revisit to the consumer in the both case of Korea and Japan was 'Food tastes good ' Based on these results, consumer characteristics in foodservice were discussed.

      • KCI등재

        일본(日本)에 대한 심리적(心理的) 거리(距離), 적개심(敵愾心)이 일본제품(日本製品) 이미지 및 구매의도(購買意圖)에 미치는 영향(影響)

        남상민 한국일본근대학회 2011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33

        본 연구는 일본에 대한 심리적 거리와 적개심을 바탕으로 일본에 대해 한국소비자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일본제품을 선호하고 구매함에 있어서 한국소비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가설을 설정하고, 이 가설들을 종합하여 개념적 연구모형을 설계하여 구조방정식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본에 대한 심리적 거리가 일본 제품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적개심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본에 대한 적개심이 일본 제품이미지에 부정적 영향을 주며, 일본 제품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는 일본 제품 구매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국제마케팅전략에서 다양한 형태로 반영 내지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문제인식과 한국에 대한 일본의 침략, 식민지배 등 부정적인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일본에 대한 심리적 거리와 적개심 요인이 일본제품 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구성개념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일본기업이 한국시장에 진출함에 있어 한국소비자들의 일본에 대한 심리적 거리와 적개심을 우호적으로 조작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국제마케팅전략방향 설정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research analyzes how Korean consumers recognize, prefer, and purchase Japanese products based on the influence of the psychic distance and animosity against Japan in Korea. It was hypothesized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and precedent researches, and putting these hypotheses, the general research model was designed and was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ng model. Here is the summarization of the research results. First, the psychic distance affected the product image of Japan, but the psychic distance did not have any correlation with the animosity. Furthermore, the animosity against Japan had negative effects on Japanese product image, and this negative image affected the purchase intention that consumers did not prefer to buy Japanese products when they have hostility against Japan. This research affects the international marketing strategy in various ways, but there still are not enough studies about this subject.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would be the fact that it investigated the psychic distance and the animosity against Japan in Korea based on the tragic history of imperialistic invasion and colonization, and the effect of those negative emotions in Korea on Japanese product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It also examined the correlation of these concepts. Moreover, this research provides the implication for Japanese enterprises to set their international marketing strategy in Korea to soothe Koreans` hostility against Japan in order to target the Korean market.

      • KCI등재

        한일 근대 신도(神道)사상 비교 -신도의 출현배경과 목적을 중심으로-

        고남식 ( Ko Nam-sik ) 한국일본근대학회 2021 일본근대학연구 Vol.- No.72

        한국 신도(神道)와 일본 신도의 첫 번째 비교 관점은 신도의 구조적 체계에 관련된 궁극적 존재에 관한 것이다. 한국과 일본의 근대 신도사상에서 궁극적 존재가 등장한다. 근대 일본 신도의 최고신은 천황(天皇)으로 존재하고 한국 신도의 최고신은 구천상제(九天上帝)였던 강증산(姜甑山)과 관련된다. 다만 일본 신도에서는 아마테라스의 신성성이 천황에게 전가되는 형태이지만, 한국 신도에서는 구천(九天)의 상제가 신성ㆍ불ㆍ보살의 하소연으로 강세한다. 두 번째 비교 관점은 한국 신도와 일본 신도의 출현 배경이다. 일본 신도의 출현은 증대하는 외세의 영향에 대한 반대급부로서 상층부의 요청으로 출현했다면, 한국 신도의 출현은 무너진 신도의 회복과 강증산을 정점으로 하는 후천의 새로운 신도의 진법(眞法)에 기반하여 신적 존재의 구천상제에 대한 청원으로 해원과 보은으로 세계를 구하고 지상천국을 건설하려는 취지하에 신도가 주장되었다. 세 번째 비교 관점은 일본신도와 한국 신도의 형성과정이다. 일본신도는 천황의 명령에 의해 시행된 반면, 한국 신도는 최수운의 동학의 시기를 지나 강증산의 해원상생(解冤相生)의 종교운동에서 형성되었다. 네 번째 비교 관점은 일본 신도는 부국강병과 왕권확립이 목적이었다면 한국 신도는 지상천국(地上天國)의 건설이었다. The first comparison point is about absolute existence in relation to the structural system of Shinto. In the modern Shinto thought of Korea and Japan, the aspect related to the highest god appears in the same way. The modern Shinto of Japan is formed by the idea that the emperor is at the top, and the modern Shinto of Korea is the Shinto idea that in relation to Kang Jeungsan. In Japanese Shinto, it can be seen that the mythical existence of Amaterasu is transformed to the emperor into the supreme deity in response to the modern emperor. On the other hand, In Korean Shinto, The Supreme God are supposed to have descended into the human world by the appeal of the sacred, Buddha, and Bodhisattva from Ninth heaven. Second, we look at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Shinto in modern Japan and South Korea. The background to the emergence of modern Shinto in Japan is that by the increased influence of foreigners on Japan a new order was built around the emperor.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modern Korean Shinto thought is to restore the Shinto in order to save the world, and build the ideal world at the cosmic level. The third is process by which Shinto is established in Japan and South Korea. In modern Japanese Shinto is established by the royal government restoration grand order which was distributed in December 1867. On the contrary Korea’s modern Shinto is built by people’s religious movement by Choi Jewoo and Kang Jeungsan. Fourth, the purpose of modern Shinto in Japan is to integrate the nations centered on the emperor to achieve wealthy soldiers. For Korea, the purpose of modern Shinto is to build the ideal world of the future.

      • KCI등재

        근대일본에서의 생명보험시장 탄생 - 문화적 저항과 수용 -

        이윤호 한국일본근대학회 2016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2

        이 논문에서는 문화의 두 가지 패러다임, 즉 성원 모두가 공유하는 의미시스템으로서의 문화와 전략적 레퍼토리로서 문화개념을 적용하여 19세기 근대일본에서의 생명보험의 탄생과 전개과정을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9세기 후반의 근대일본에서 일본의 전통문화와 양립할 수 없는 생명보험시장이 어떻게 탄생하였고, 이러한 문화적 장벽이 일본적 생명보험시장의 형성에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지역문화와 생명보험의 논리가 양립하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생명보험 시장의 탄생은 순조로웠고 급성장을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일본의 생명보험시장은 처음에 예상했던 것과 전혀 다른 방향으로 개발되었다. 즉, 위험관리 수단이 아니라 금전관리 수단을 제공하는 시장으로 출현하였다. 여기서 이 연구에서는 새로운 경제적 관행에 대한 문화적 장벽을 우회하기 위하여 문화적 도구상자의 동원을 필요로 한다고 주장한다. 저항을 구성하는 공유가치와 그러한 저항을 우회하기 위한 문화적 도구상자라는 이중적 과정이 새롭게 탄생되는 시장의 경로와 특징을 형성하게 된다. This study applied together two different paradigms of culture–a shared meaning system and a repertoire of strategies–to understand the emergence of a life insurance market in late 19th century Japan. It examined how a Japanese life insurance market is emerging in the presence of incompatible shared values and ideas acting as cultural barriers, and how these cultural barriers shape the formation of the market in late 19th century. The findings reveal a soft landing and burgeoning modern Japanese life insurance market despite local cultural logics incompatible with the logic of life insurance. This modern Japanese life insurance market, however , has developed along a different trajectory from what might be expected. It first emerged as a money management, rather than a risk management, market. I argue that the very cultural barriers that compose the local resistance to a new economic practice also necessitate the mobilization of the cultural tool-kit to circumvent this resistance. These dual processes, shared ideas composing the resistance and the cultural tool-kit circumventing the resistance, shape the trajectory and characteristics of an emergent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