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공황장애 인지행동치료의 최근 동향

        최영희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06 인지행동치료 Vol.6 No.2

        공황장애의 치료에 있어 인지행동치료가 우수한 치료 효과를 지니고 있음은 이미 여러 연구들을 통하여 증명되어 왔다. 저자는 지난 10년 간 약 1,500여명의 공황장애 환자들에게 인지행동치료를 시행하여 탁월한 치료 결과를 얻었다. 최근 5년간 발표된 공황장애의 인지행동치료 관련 연구 결과들을 검토하였으나 기본적인 이론이나 치료 기법의 획기적인 변화를 발견하지는 못하였다. 저자의 치료 경험을 바탕으로 공황장애의 인지행동치료에 있어 최신 경향을 기술하였다. The therapeutic effect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CBT) for panic disorder and agoraphobia (PD/PDA) has been supported by the evidences from numerous studies. The author have experienced good results of CBT for more than 1,500 patients with PD/PDA for last ten years. The author had searched the articles about CBT for panic disorder and agoraphobia published during last 5 years and could not fi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in concepts or therapeutic skills. The author described brief concepts and methods of the each component of CBT and also discussed the new trend in CBT of PD/PDA.

      • KCI등재

        사회불안장애의 인지행동집단치료에서 자기초점적 주의와 지각된 사회적 위험의 변화가 증상 감소에 미치는 영향

        남유진,김소정,권정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6 인지행동치료 Vol.16 No.2

        사회불안의 핵심적인 인지적 요인으로 자기초점적 주의, 부정적인 사회적 사건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과잉추정, 부정적인 사회적 사건의 비용을 과잉추정하는 경향을 들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 사회불안장애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가 자기초점적 주의와 부정적인 사회적 상황에 대한 발생 가능성과 비용 추정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치료에서 이러한 인지적 요인들의 변화가 사회불안의 감소를 얼마나 잘 예측하는지에 대해서는 국내 경험적 자료가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장애가 있는 성인 47명에게 인지행동집단치료를 시행하고 자기초점적 주의와 부정적 사회적 사건의 발생 가능성과 비용에 대한 추정이 어떻게 변하는지, 이런 요인들에서의 변화가 사회불안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가정한 대로, 자기초점적 주의와 사회적 위험에 대한 과대 추정이 인지행동집단치료 결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자기초점적 주의의 변화량이 치료에서의 사회불안 감소를 유의하게 설명하였으며, 자기초점적 주의의 영향을 통제한 이후에 부정적 사회적 상황 발생의 가능성과 비용 정도 측정치 또한 사회불안 치료의 효과를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의 함의와 추후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Heightened self-focused attention and judgment biases concerning the probability and cost of negative social events are important cognitive factors maintaining social anxie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self-focused attention and estimated probability and cost of negative social events would change over the course of cognitive behavioral group therapy (CBGT) and how these changes would influence social anxiety symptoms. Forty seven participants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received CBGT and completed questionnaires measuring self-focused attention and probability and cost estimates of negative social events. As hypothesized, self-focused attention and probability and cost biases reduced significantly during the treatm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change in self-focused attention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symptom reduction. Reductions in estimated probability and cost of negative social events were also significant predictors of treatment gain, even after controlling for the effect of self-focused attention.

      • KCI등재

        사회불안장애의 인지행동치료효과; 주의편향과 암묵적 자존감을 중심으로

        윤혜영,권정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3 인지행동치료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지행동치료적 개입이 인지적 취약성의 ‘의지적/통제적인 정보처리 수준(top-down process)’에서의 변화뿐만 아니라 ‘암묵적/자동적인 정보처리 수준(bottom-up process)’에서의 변화를 함께 유발시키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암묵적/자동적 정보 처리 수준을 전주의적 주의 편향, 암묵적 자존감과 관련된 자기 지식으로 세분화하여, 인지행동치료적 개입으로 유발되는 변화의 수준을 통합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은 구조화된 진단면접(SCID-I)에서 사회불안장애 진단기준을 충족하는 49명의 사회불안장애 환자들이었다. 그 중 30명은 12회기 인지행동치료집단, 19명은 비처치통제집단에 속하였다. 두 집단 모두 치료 전, 후에 자기 보고식 증상 심각도 평가, 일반적인 불안 및 우울 수준 평가, 얼굴 표정에 대한 탐침 탐사과제(Dot Probe Task; MacLoed, Mathews, & Tara, 1986)와 암묵적 연합 과제(Implicit Association Task, IAT; Greenwald, McGhee, & Schwartz, 1998)를 이용한 암묵적 자존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증상 심각도를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증상 심각도에 대한 임상가의 면접도구인 간이 사회공포증 척도(Brief Social Phobia Scale, BSPS; Davidson et al. 1991)도 함께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자기 보고식 척도 및 임상가 평정으로 측정했을 때 인지행동치료를 통해 사회불안장애집단의 증상 심각도, 일반적인 불안 및 우울 수준에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으며, 그 효과는 3개월 동안 지속되었다. 둘째, 사회불안장애 환자의 경우 IOR(Inhibition of Return)이 발생하기 이전인 초기 주의 과정에서 나타났던 위협적 얼굴 표정에 대한 선택적 주의 편향이 인지행동치료를 통해서 변화하지 않았다. 셋째, 인지행동치료를 받은 집단의 경우 자신-긍정 형용사의 연합 속도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인지행동치료가 정보처리 초기에 나타나는 전주의적 과정의 주의 할당까지는 변화시키지 못하였지만, 상황에 대한 반복적 재평가나 위협 상황에 대한 노출, 행동 실험과 같은 인지행동치료적 개입이 보다 깊은 수준의 자기 지식을 암묵적 수준에서 변화시켰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would result in correcting biases in both the implicit/automatic information processing level (bottom-up process) and the volitional/controlled information processing level (top-down proces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forty-nine patients diagnosed with Social Anixety Disorder according to their responses on the SCID-I. Thirty patients participated in twelve session CBT group and nineteen patient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The Implicit Association Test (IAT, Greenwald, McGhee, & Schwartz, 1998) assessing self schema, and Emotional Face Dot Probe Task (MacLoed, Mathews, & Tara, 1986) assessing selective attentional bias, were administered to both groups prior to and after treatment. Participants also completed the social anxiety measures (i.e., SDAS, B-FNE, SIAS, SPS and SISST), the other emotional measures (i.e. BDI, BAI) prior to and after treatment. In order to objectively assess the severity of the symptoms, an independent assessor interviewed the participants via a semi-structured interview scale, Brief Social Phobia Scale (BSPS; Davidson et al., 1991) prior to and after treatment. The patients were treated for twelve weeks in a group therapy with one booster week after three months of treatment completion. The treatment protocol was based on Heimberg's CBGT for social anxiety disorder (1991). Results were as follows; (1) At the post-treatment assessment, patients who received CBT had improved significantly more than control group patients on self-report measures and independent assessor ratings. The effect sizes ranged from -.56 to 1.71 (mean=1.09). These positive gains after treatment were maintained for three month follow-up. (2) Selective attentional bias for angry facial expressions (subliminal threshold 80msec presenting) has not changed over the course of CBT. (3) In treatment group, response rates to associate the 'self and positive words' were improved after CBT. It means that the deeper level of implicit self-knowledge changed over the course of CBT for social anxiety disorder through the cognitive-behavioral therapeutic interventions such as the repetitive reappraisal about the circumstances, the exposure to threatening situations, behavioral experiments.

      • KCI등재

        우울증의 신경회로 모형과 인지행동치료의 치료 효과: 기능적 뇌 자기공명영상 연구를 중심으로

        한규만,최영희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1 인지행동치료 Vol.21 No.4

        Neuroimaging studies have suggested that dysfunction of neural circuits involved in emotion regulation, cognitive control, and reward processing wer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depression. We aimed to review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studies o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and its influence on functional changes in neural circuits in patients with depression. fMRI studies reported that CBT was associated with functional changes of neural circuits involved in emotion regulation, cognitive control, and reward processing in depression. They found that CBT was associated with normalization of hyperactivation in the amygdala (in response to negative emotional stimuli) and increased activation of the lateral prefrontal cortex, which exerts cognitive control over negative emotions in patients with depression. They also observed that CBT was related to deactivation of the anterior cingulate cortex and increased activity of the striatum in response to reward stimuli. CBT also changed functional connectivity of the amygdala, prefrontal cortex, anterior cingulate cortex, and striatum in depressive patients. Investigation of the neural effect of CBT using fMRI may provide clinically useful information and deep insights about the neurobiological mechanism of CBT in depression. 우울증의 뇌영상 연구들은 정서 조절, 보상 처리, 인지적 조절에 관여하는 뇌 신경회로의 기능적 이상으로 인해 우울증이 발생한다는 근거들을 제시해 왔다. 이에 따라 본 종설은 우울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인지행동치료를 시행한 기능적 뇌 자기공명영상 연구들을 고찰함으로써, 뇌 신경회로의 어떠한 기능적 변화가 인지행동치료의 치료적 효과를 매개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또한 이런 연구들이 우울증의 신경회로 모형에 부합할지에 관하여도 고찰하였다. 우울증의 기능적 뇌 자기공명영상 연구들은 인지행동치료 이후에 정서 처리, 인지적 조절, 보상 처리에 관여하는 신경회로의 기능적 변화가 발생한다고 보고하였다. 인지행동치료는 부정적 정서 자극에 대한 편도의 과잉활성화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변화시키며, 부정적 정서에 대한 인지적 조절을 담당하는 외측 전전두피질의 활성을 증가시켰다. 또한, 인지행동치료를 받은 우울증 환자들에서 부정적 정서를 인식하고 자동적/내재적으로 조절하는 전대상피질의 활성은 감소한 반면에 보상 자극을 인식하는 선조체의 활성은 증가하였다. 한편, 인지행동치료는 앞서 언급한 뇌 영역의 기능적 연결성에도 변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인다. 우울증 환자에게 인지행동치료를 했을 때, 기능적 뇌 자기공명영상을 통한 신경회로의 기능적 변화를 연구하는 작업은 어떠한 신경생물학적 변화가 우울증의 치료 효과를 매개하는지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하며, 인지행동치료의 효과를 뇌영상학적으로 검증한다는 측면에서 임상적으로 유익한 정보를 제공한다.

      • KCI등재

        마음챙김명상의 유형과 인지행동치료적 함의

        김정호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04 인지행동치료 Vol.4 No.2

        마음챙김명상이 인지행동치료에 적극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인지행동치료에서 주로 적용되는 마음챙김의 방법이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며 마음챙김에 대한 바른 이해를 도모하였다. 다음으로 마음챙김명상이 호흡 마음챙김명상, 우두커니 마음챙김명상, 생활 마음챙김명상으로, 생활 마음챙김명상은 다시 행위 마음챙김명상과 모니터링 마음챙김명상으로 유형이 나뉘어 실천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끝으로 각 마음챙김명상 유형의 효과를 인지행동치료와 관련지어 논의하고, 마음챙김명상을 인지행동치료에 적용하는 것의 장점을 논의하였다. Recently mindfulness meditation appears to have joined the mainstream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The present paper first explored how the meaning of mindfulness is understood when it is utilized in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clarified it. Then, it was suggested that mindfulness meditation can be practiced in four different types, i.e., breath mindfulness meditation, choiceless-awareness mindfulness meditation, action mindfulness meditation, and monitoring mindfulness meditation. Lastly the present paper discussed the effects of four different mindfulness meditation types in relation with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the incremental effects of applying mindfulness meditation to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 KCI등재

        사회공포증 인지행동치료의 최근동향

        권정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07 인지행동치료 Vol.7 No.1

        본고에서는 사회공포증의 발병과 유지를 설명하는 여러 이론들을 고찰하고, 이러한 인지적 개념화가 치료에 어떤 함의를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사회공포증에 대한 인지행동치료의 주요 치료요소인 인지재구성 작업과 노출훈련의 기본원리를 기술하였으며, 사회공포증의 치료에 이들 기법이 어떻게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지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사회공포증에 대한 인지행동치료의 효과를 검증한 국내외 연구들을 살펴보고, 최근의 동향을 고찰하였다. 문헌 고찰에 따르면, 여러 편의 메타분석이 사회공포증에 인지행동치료의 효과를 지지하였으나, 인지재구성기법과 노출훈련이 결합된 인지행동치료가 노출치료에 비해 더 월등한 효과를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는 일관된 결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국내에서도 여러 편의 연구에서 인지행동치료의 효과가 입증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마지막으로 사회공포증에 대한 인지행동치료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Social phobia is a common and underdiagnosed disorder that is associated with considerable social and occupational handicap. This article provided an overview of cognitive models of social phobia and described two major techniques, cognitive restructuring and exposure training. It also summarized the current literature on treatment outcome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CBT) for social phobia. Numer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efficacy of CBT and meta-analyses have indicated that both CBT and exposure therapy produce very similar effect sizes in the moderate range. Although CBT appears well-established in regard to their effects on social phobia, a number of questions remain to be answered, including the search for predictors of who will benefit from which treatment and clarification of the mechanism of treatment changes. New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우울장애에 대한 인지행동치료의 최근 연구동향

        김정범,이상희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06 인지행동치료 Vol.6 No.2

        경도 혹은 중등도의 급성 우울증에 있어 인지행동치료의 치료 효과는 그동안 상당히 경험적인 지지를 받아 왔다. 최근에는 심하거나 만성적인 우울증 치료, 재발 방지, 약물과의 병합이득에서 인지행동치료의 유용성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되고 있다. 더욱 최근에는 컴퓨터 기술과 대중매체의 발달에 편승하여 독서치료와 컴퓨터 치료와 같은 자가치료도 시행되고 있다. 심리치료의 혁신적인 치료법이라 할 수 있는 마음챙김 명상에서는 전통적인 인지행동치료와 통합되어 변화와 수용에 근거한 전략이 가미되었다. 이 논문은 매일매일 일상의 임상적 진료에서 인지행동치료의 역할을 파악하기 위해 이와 같은 인지행동치료와 관련된 최근의 중요 이슈에 관한 경험적 자료를 명료화하고자 한다 There is considerable empirical support for the use of cognitive behavior therapy(CBT) in the treatment of mild to moderately severe acute major depression. More recent research has focused in the utility of this approach in severe or chronic depressive disorders, in relapse prevention and also on the potential benefits of combining CBT with medication. More advanced technologies make the media used to deliver self-administered treatments including bibliotherapy and computer-based treatments much broader. Recent innovations in psychological treatment have integrated mindfulness meditation techniques with traditional CBT, including acceptance- and change-based strategies. This paper attempts to clarify the empirical data on these important issues in order to identify further the role of CBT in day-to-day clinical practice.

      • 유아의 자조 기술 및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인지행동놀이치료 사례연구

        이윤정 ( Lee Yun Jung ) 한국인지행동치료상담학회 2021 인지행동치료상담연구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행동놀이치료(Cognitive Behavioral Play Therapy)가 유아의 자조 기술과 사회적 기술의 향상 및 이와 관련된 사고의 변화에 주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인지행동놀이치료는 심리교육, 인지적 재구성, 문제해결훈련, 부모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구성되었다. 연구대상은 자조 기술과 사회적 기술이 부족한 만 4세 여아이다. 연구는 M어린이집에서 2019년 9월부터 12월까지 주 1회 유아놀이치료 40분, 부모교육 40분으로 총 10회 실시하였다. 치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기별 녹화된 내용을 기술하여 유아의 자조활동 수준 및 관련 셀프토크(Self-talk)의 변화, 사회적 대처 기술 및 관련 셀프토크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부모의 보고를 통해 가정과 어린이집에서의 유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료 실시 후 유아의 자조 행동의 영역이 넓어졌으며, 자조 기술이 향상되었다. 또한 자조 기술과 관련된 유아의 사고 내용도 적응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치료 실시 후 유아의 사회적 기술이 향상되었고, 공격 행동은 감소하였다. 또한 사회적 상황 관련 유아의 사고 내용도 적응적으로 변화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인지행동놀이치료를 통한 유아의 자조 기술 및 사회적 기술 향상과 더불어 관련 사고의 적응적인 변화를 확인하고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Play Therapy(CBPT) on the improvement of self-help and social skills in young children and the changes in cognitive and behavioral aspects that cause low self-help and social skills. CBPT in this study was organized with a focus on psychological education, cognitive reconstruction, problem solving training, parents educ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four-years-old girl showing low self-help and social skills. For this study, a total of 10 sessions of CBPT and PE were held at M kindergarten from September 2019 to December 2019. Each session and parents education lasted 40 minutes and was conducted once a week.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effect, the recorded contents of each session were described to examine changes in children’s self-help activities, changes in social coping methods, and changes in self-talk in social situations, and confirmed changes at home and kindergarten through parents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session progressed, children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lf-help skills and changed their cognitive character. Second, CBP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social skills, which had the effect of changing the maladaptive thinking of children in social relationships, thereby reducing aggressive behavior.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CBPT is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self-help and social skills, and verify the possibility of CBPT intervention in children with low self-help and social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