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한국 이민정책의 배제・동화프레임 : 이주노동자와 여성결혼이민자정책을 중심으로

        김태환 한국이민정책학회 2016 한국이민정책학회보 Vol.1 No.1

        한국의 이민정책은 이주노동자에게는 배제지향의 정책프레임으로 작동하고 여성결혼이민자에게 는 동화지향의 정책프레임으로 작동하여 프레임의 충돌현상을 낳고 있다. 이는 한국이 이민자를 사 회 공동체 안에서 수용하고 통합하기보다는 대상에 따라 구분하여 갈등을 더 확대하고 있다는 지적 을 하게한다. 이 글은 이러한 정부 이민정책의 이중성 프레임이 이미 상당부분 고착화되어 가고 있 음에 주목하였다. 이에 이를 진단하여 통합프레임으로 전환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글의 초점 을 둔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 이민정책이 시기별로 어떻게 형성 되어왔는지를 살펴본다. 그리고 시 기별 상황논리에 따라 자연스럽게 정책의 대상으로 주목되며 선택된 이주노동자와 여성결혼이민자 에 대한 정책내용을 정책목적. 정책수단, 행위자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이의 배제적 특성과 동화적 특성을 살펴본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글이 제시하고자 하는 것은 대상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정책의 두 프레임이 장차 통합프레임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글의 함의는 이주노동자와 여성결혼이민자는 이민자라는 하나의 정책범주 안에 있으며 따라서 그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의 목 적도 다르지 않다는 것에 있다. The Korean immigration policy displays a dual frame. Viewing from outside it looks accommodating and integrating the foreign immigrants residing in the Korean society without discrimination, under the name of 'multicultural policy', but the reality of the policy is not quite like that. The target for the detailed practice of the immigration policy is to integrate all the residence within Korea and to promote common prosperity. It is also macroscopically for the all the residence of Korea and resident aliens, and microscopically for the mid-and long stay foreigners who have migrated and lived in Korea over one year. The numbers of the mid-and long term stay foreigners in Korea are approximately over 1.80 millions as of 2015. The composition of their population is classified into: about 560 thousand immigrant workers; about 180 thousand marriage immigrant women, about 300 thousand Chinese-registered Korean Chinese, about 80 thousand foreign students, and then undocumented foreigners. The issue is that the Korean immigration policy has conflicting political approaches towards those immigrant workers and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specifically, among the immigrants. The main targets of the current immigration policy for foreign residents are the immigrant workers and marriage immigrant women, excluding the Koreans with foreign nationality and the foreign students whose population is relatively small. Considering the not-so-long experience of the Korean immigration policy and the short history of emigration to Korea, it might seem to be not strange or unproblematic that the different or conflicting approaches to the different classes of the immigrants. However, the analysis results and insides of the Korean immigration policy has revealed that the political aspects of the policy is not desirable, furthermore, it may be a quite negative policy against social integration of the members of the national community in the future. A large part of such dual framework of the government's immigration policy already has set in. However, the very dualism that applies differently to the different target has gradually become the keyword questioning the flexibility, openness and the acceptability of the Korean society. Both the exclusion policy for the immigrant workers that justifies seeking economic benefit, and the assimilation policy for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that premises unconditional assimilation into the nation are excessively national oriented and one sided policies. The dual framework of Korean immigration policy is influenced by the policy that differentiates relevant ministry according to the target, however, more fundamental background of the dual framework arises from the deep-rooted homogeneous-, monoculture-myth mindset of Korean society, and the patriarchal way of thinking, as well as downrating attitude towards the workers. Thus, in order to convert Korean immigration policy with the above background to a new policy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eta framework that can reopen and accept, as well as achieve true social integration of the Korean natives and the immigrants is very urgent. It is because the analysis result of this research has revealed that the dual framework of the current Korean immigration policy tends to bring about more undesirable results with time, therefore, it seems an inappropriate policy for the coexistence of the future natives and the immigrants in Korean society.

      • KCI등재후보

        국내 지방자치단체의 상호문화도시 프로그램 참여 연구

        오정은 한국이민정책학회 2020 한국이민정책학회보 Vol.3 No.1

        한국 정부는 2000년대 중반부터 이민배경을 가진 개인에게 사회적응에 필요한 각종 지원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민자 사회통합 정책을 전개하였다. 다문화정책이라 불리는 한국의 이민자 사회통합 정책은 10여 년이 흐르 면서 이민배경이 있다는 이유로 특혜를 주는 것은 일반국민에 대한 역차별이라는 비난에 직면하게 되었다. 한국 보다 앞서 이민자를 수용한 이민 선진국에서는 개인에 대한 지원이 아니라, 이민자가 많이 거주하는 지역에 대해 지원하면서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이민자와 일반국민 모두에게 혜택을 주는 사회통합을 추진하는 경향이 있다. 유럽에서는 2008년부터 상호문화도시 프로그램이란 이름으로, 이민자가 많이 거주하는 도시들이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상호문화주의를 실천하는 이민자 사회통합 정책을 전개해 왔다. 유럽의 상호문화주의는 이민자를 지역 사회 구성원으로 간주하고, 법적 장치를 동원해 이민자에 대한 차별을 금지하며, 문화다양성을 창의적이고 혁신 적인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자산으로 인식하고, 이민자 사회통합을 위해 교육・문화 사업을 전개한다는 점에서 다 문화주의와 유사하지만, 다양한 문화의 공존보다 교류를 강조하고, 이민자의 집단정체성보다 개인정체성을 강조 한다는 점에서 다문화정책과 구분된다. 유럽 상호문화도시 프로그램은 유럽지역 도시들만 참여하는 프로그램으 로 시작되었지만, 점차 타 지역 도시들도 참여하게 되었고, 2020년 2월에 한국의 안산시도 회원도시로 가입하 였다. 안산시의 상호문화도시 프로그램 가입은 향후 국내 이민자 사회통합 정책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지방자치단체들 사이에 상호문화도시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이민자 1만명 이상 도시들이 결성 한 전국다문화도시협의회의 활동 내용에도 변화가 생길 수 있다. 나아가 국내에서 유럽의 상호문화주의 개념을 포함하여 포괄적 의미로 사용되던 다문화주의 개념을 유럽에서처럼 상호문화주의와 구분되는 개념으로 사용하 려는 움직임이 나타나 다문화주의 개념에 대한 논쟁도 부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Since the mid-2000s, the Korean government has implemented a social integration policy for immigrants by providing various support for individuals with immigration background. Korea's policy for social integration of immigrants, called multiculturalism, has faced criticism over the past decade that giving preferential treatment for immigration background is reverse discrimination against the general public. In advanced countries that accepted immigrants ahead of Korea, they tend to push for social integration, which benefits both immigrants and the general public, while providing support for areas where many immigrants reside, not for individuals. In Europe, under the name of the Mutual Culture City Program since 2008, cities with large numbers of immigrants have formed networks to implement the social integration policy for immigrants. European mutual culturalism is similar to multiculturalism in that it considers immigrants as members of the community, prohibits discrimination against immigrants by mobilizing legal devices, recognizes cultural diversity as assets that produce creative and innovative ideas, and implements educational and cultural projects for social integration of immigrants, but it is distinguished from multicultural policies in that it emphasizes exchanges rather than coexistence of diverse cultures, and emphasizes individual identity rather than collective identity of immigrants. The European Mutual Culture City Program began with a program in which only European cities participated, but other cities gradually joined the program, and Ansan City in Korea joined the program in February 2020. Ansan City's entry into the mutual cultural city program is expected to bring about a change in the policy of social integration for immigrants in Korea in the future. Interest in mutual cultural city programs among local governments in Korea may increase, and the activities of the National Multicultural Cities Council, formed by cities with more than 10,000 immigrants, may also change. Furthermore, there is a movement to use the concept of multiculturalism, which was used in a comprehensive sense in Korea, including the concept of mutual culturalism in Europe, as in Europe, which is expected to raise controversy over the concept of multiculturalism.

      • KCI등재후보
      • 미국에서 포괄적 이민 개혁의 기원과 유산

        이병하(Byoungha Lee) 한국이민학회 2023 한국이민학 =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migration Vol.10 No.2

        이 글은 미국에서 이민 개혁이 계속 실패하는 원인과 이민 개혁을 둘러싼 정치적 논의가 논쟁적인 이유를 다양한 정치⋅사회세력 간 ‘이상한 동거 관계(strange bedfellows)’와 이로 인한 ‘포괄적 이민 개혁(comprehensive immigration reform)’방식에 있다고 주장한다. 이 글은 포괄적 이민 개혁 방식의 기원이라고 할 수 있는 1986년 ‘이민 개혁, 통제법(Immigration Reform and Control Act: 이하 IRCA)’의 배경과 형성 과정, 그리고 그 한계를 살펴봄으로써 IRCA의 유산이 어떻게 미국의 이민 개혁 논의에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한다. IRCA의 핵심적인 요소인 합법화와 사용주 처벌 중에서 미등록 이주민에 대한 합법화 조치만 효력을 갖게 되는 결과를 낳아 이민 제한론자들은 포괄적 이민 개혁 방식에 대한 깊은 불신을 갖게 되었다. 그 결과, 이민 개혁이 논의될 때마다 이민 제한론자들은 더 강력한 국경 통제를 요구하게 되었고, 이민 개혁은 의회의 입법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이후 미국 행정부는 행정부 임기 내에서만 유효한 행정명령에 의존하여 이민 개혁을 추진할 수밖에 없는 결과를 낳았다.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reason why immigration reform in the United States has kept failing and why the debates on immigration reform have become contentious is due to the ‘strange bedfellows’ among diverse social forces and the ‘comprehensive immigration reform.’ This article mainly analyzes the background and the legislative process of the Immigration Reform and Control Act(IRCA) in 1986, and explores how the legacies of IRCA have had impacts on the discussion of the immigration reform in the United States. IRCA has two core elements, which were the legalization for undocumented immigrants and employer sanctions. While IRCA’s employer sanctions proved to be ineffective, the legalization programs were successful in implementation. As a result, whenever immigration reform is discussed, restrictionists on immigration demand stronger measures of border controls, and immigration reform has not been enacted in the Congress. Instead, the U.S. administration has had to rely on executive actions that are only valid within the term in order to implement immigration reform.

      • 미국에서 포괄적 이민 개혁의 기원과 유산

        이병하(Byoungha Lee) 한국이민학회 2023 한국이민학 =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migration Vol.10 No.1

        이 글은 미국에서 이민 개혁이 계속 실패하는 원인과 이민 개혁을 둘러싼 정치적 논의가 논쟁적인 이유를 다양한 정치⋅사회세력 간 ‘이상한 동거 관계(strange bedfellows)’와 이로 인한 ‘포괄적 이민 개혁(comprehensive immigration reform)’방식에 있다고 주장한다. 이 글은 포괄적 이민 개혁 방식의 기원이라고 할 수 있는 1986년 ‘이민 개혁, 통제법(Immigration Reform and Control Act: 이하 IRCA)’의 배경과 형성 과정, 그리고 그 한계를 살펴봄으로써 IRCA의 유산이 어떻게 미국의 이민 개혁 논의에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한다. IRCA의 핵심적인 요소인 합법화와 사용주 처벌 중에서 미등록 이주민에 대한 합법화 조치만 효력을 갖게 되는 결과를 낳아 이민 제한론자들은 포괄적 이민 개혁 방식에 대한 깊은 불신을 갖게 되었다. 그 결과, 이민 개혁이 논의될 때마다 이민 제한론자들은 더 강력한 국경 통제를 요구하게 되었고, 이민 개혁은 의회의 입법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이후 미국 행정부는 행정부 임기 내에서만 유효한 행정명령에 의존하여 이민 개혁을 추진할 수밖에 없는 결과를 낳았다.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reason why immigration reform in the United States has kept failing and why the debates on immigration reform have become contentious is due to the ‘strange bedfellows’ among diverse social forces and the ‘comprehensive immigration reform.’ This article mainly analyzes the background and the legislative process of the Immigration Reform and Control Act(IRCA) in 1986, and explores how the legacies of IRCA have had impacts on the discussion of the immigration reform in the United States. IRCA has two core elements, which were the legalization for undocumented immigrants and employer sanctions. While IRCA’s employer sanctions proved to be ineffective, the legalization programs were successful in implementation. As a result, whenever immigration reform is discussed, restrictionists on immigration demand stronger measures of border controls, and immigration reform has not been enacted in the Congress. Instead, the U.S. administration has had to rely on executive actions that are only valid within the term in order to implement immigration reform.

      • KCI등재후보

        이민자들에 대한 인식개선 교육 프로그램의 이용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임동진,강정향,송민혜,유민이,박관태 한국이민정책학회 2020 한국이민정책학회보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이민자들에 대한 일반국민들의 인식개선 교육 프로그램의 이용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민자들과 잦은 접촉이 있는 대표적인 기관인, 법무부 위탁 이민자 사회통합프로그램 운영기관과 여성가족부 산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교사 및 담당자 1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 중 국민인식 개선프로그램 참여 비율은 64.2%(68명)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 프로그램 주관부처는 여성가족부 (67.6%), 기관으로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73.5%)가 가장 많았다. 셋째, 참여 프로그램의 내용으로는 ‘이민자 인권과 다문화 감수성 제고(72.1%)’가 가장 많고, 교육대상자로는 주로 시설종사자(63.1%), 이민자(44.1%)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식개선 교육 프로그램 효과성에 대해 효과 있음이 약 70%, 효과 없음이 약 5%로 나 타났다. 참여한 프로그램 중 효과로는 ‘이민자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이 감소되었다’가 73.5%로 가장 높게 나 타났다. 다섯째, 인식개선 프로그램의 문제점으로 ‘이벤트성(일회성) 프로그램 위주(50.0%)’, ‘이민자와 교류 없는 일방적 참여(45.6%)’, ‘콘텐츠 부족(44.1%)’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바람직한 프로그램 제고방 안으로, 내용 측면에서는‘이민자의 인권/다문화감수성 제고를 다루어야 한다.’가 55.9%로 가장 높았고, 교육유 형 측면에서는 ‘상호문화 역량제고 활동(activity) 중심의 교육이 되어야 한다.’가 83.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ctual conditions of education programs for improving the public's awareness of immigrants and to present measures for improvement based on them. To that end, 106 teachers and staff members working at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management institution were survey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64.2 percent (68) of those surveyed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o improve public awareness. Secon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67.6%) and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73.5%) were the most in charge of the program. Third, the most common contents of the participatory education were the improvement of the human rights of immigrants and multicultural sensitivity (72.1%), followed by the number of facility workers (63.1%) and the number of immigrants (44.1%). Fourth,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 (approximately 70 percent) was overwhelmingly higher than that of the ineffective (approximately 5 percent), and for the effect, less prejudice and stereotypes about immigrants (73.5%) were the highest. Fifth, problems with the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 were event (one-time) program-oriented (50.0%), unilateral participation without interaction with migrants (45.6%), and lack of content (44.1%). Finally, the contents of the desirable program were found to be improving the human rights/multicultural sensitivity of foreigners and immigrants (55.9%) and focusing on activities to enhance mutual cultural capabilities (83.8%) as a desirable type of education.

      • KCI등재후보

        한국의 인구구조와 외국인 정책 방향 : 이민자유입, 사회통합, 거버넌스

        강동관 한국이민정책학회 2021 한국이민정책학회보 Vol.4 No.2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생산가능인구의 절대적인 감소와 고학력화로 인한 노동수급의 엇박자를 해결하고 지속적 인 경제성장과 경쟁력을 도모하기 위한 하나의 정책으로 이민정책은 매우 중요하다. 외국인 유입, 체류외국인에 대한 인권과 수용성 제고, 나아가 이들의 정착과 사회통합, 여러 부서로 산재해 있는 이민정책을 통합하고 효율 적으로 운용해야할 거버넌스 등이 해결해야할 기본적인 문제들로 더러는 선제적으로 혹은 동시적으로 해결해 나 가야 한다. 이에 본고는 이러한 문제와 관련해 거시적인 차원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하기 위한 기본적인 정책 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즉 한국의 인구구조와 관련해, 왜, 누구를, 얼마나 데려올 것인가(이민자 유입), 유입된 이민자를 어떻게 관리, 활용하고 사회 통합할 것인가(사회통합), 이민 거버넌스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달 성할 것인가(이민행정)라는 관점에서 논의하고자 하였다. Immigration policy is emerging as a means to promote sustainable economic growth and competitiveness by solving the gap and mismatch in labor supply and demand due to the low fertility, aging population, and higher education. The problems of immigration policies to solve in these regards are the estimates of the appropriate number of immigrants, the settlement and social integration of foreigners based on enhancing human rights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the efficient governance to integrate and operate immigration policies scattered in various fields. Some of these problems must be solved preemptively or simultaneously. Accordingly, this paper tried to present basic policy measures to raise and solve these problems at a macroscopic level; why, who, and how much will be brought in (immigrant influx) the migrants concerning the demographic structure of Korea, how to manage, utilize, and socially integrate the immigrants (social integration), and how to effectively achieve immigration governance (Immigration administration) from the point of 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