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애니 베어드(Annie L. A. Baird, 1864-1916)의 선교사역과 음악

        김사랑 한국음악학학회 2019 음악학 Vol.27 No.2

        애니 베어드는 한국 선교 초기인 1891-1916년까지 사역했던 미북장로교 파송 선교사로, 교육 사업과 다양한 출판 활동으로 한국 선교에 있어서 중요한 이정표를 남긴 선교사로 평가받고 있다. 음악분야에 있어서도 빼놓을 수 없는 인물로, 뛰어난 언어적 음악적 재능을 바탕으로 다수의 찬송가를 번역하고 편찬하는 역할을 했을 뿐 아니라 일반 노래집인 챵가집 을 편집・출판하여 음악 교재로 활용할수 있도록 했다. 챵가집 은 한국인의 가창 특징을 고려한 편집과 다양한 장르의선곡으로 당시의 근대음악교육의 단면을 보여주는 의미를 가진다. 애니 베어드는 한국에 들어온지 6년만인 1897년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초급교재인 한국어를 배우기 위한 50가지 도움들 (Fifty Helps for the Beginner in the Use of the Korean Language)를 발간하여 선교사들의 한글 교육에힘을 썼다. 또한 빼어난 한글 실력으로 샛별전 , 쟝자로인전 , 고영규전 등의한글 소설을 썼고, 한국의 새벽 (Daybreak in Korea)과 같은 영어 소설 등다수의 저작을 남겼다. 그녀의 저술들은 남아선호사상, 여성의 차별대우 문제 등한국여성들의 실상을 드러내는 내용을 다루면서 현세적 복을 강조하는 무속 신앙, 조상 숭배와 풍수지리 사상, 조혼 풍습 등 다양한 당시의 한국문화들을 매우 세심하게 묘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한글 교재를 번역 및 편찬하여 다수의 한국학생들이 모국어로 근대식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그녀의 활약을 토대로볼 때, 언어의 능숙함과 한국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적인 정서를담은 섬세한 번역과 한국인들의 연행방식을 고려한 선곡이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보수적인 신앙인으로서 당시의 선교부의 선교 방침과 세계 선교 흐름에 따라‘계몽’을 위한 서구적인 교육 시스템을 한국에 뿌리내리고 교회의 리더들을 양성하기 위해 서구식 음악교육을 지향했던 애니 베어드지만, 한국적인 정서를 고려했던 번역과 한국인의 음악언어를 이해한 선곡은, 한국인들과 근거리에서 다양하게소통하려 했던 태도와 한국의 가치와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려 했던 문화적 감수성을 보여준다. Annie Baird, who worked as an NPCUSA (Northern Presbyterian Church of USA) missionaries in Korea from 1891 to 1916, contributed greatly to the music field in Korea of the modern era. She translated numerous hymns with excellent linguistic and musical talents and was an important committee member for hymn publication in Korea. In addition, she edited and published an occasional songbook Changgajip which was compiled various genre included Asian traditional tunes, nursery rhymes, and school songs. Changgajip was a widely used textbook and a meaningful collection as a selection and arrangement that took into consideration of Korean’s singing characteristics. This presentation focuses on how Annie Baird's perspectives and educational ideas were reflected in her music activities. Annie Baird began her ministry at a time when the mission movement was in full swing in the United States, and when the women’s mission of various denominations, including the Women's Missionary Association, reached its peak. Growing up under a conservative church, Annie Baird was faithful to the mainstream mission perspectives and strategy of the tim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missions, she worked with Husband Baird, who founded Soongsil School in Pyeongyang, to translate and edit textbooks, to serve as teachers. She believed that education would be a crucial tool to “enlighten” Korean youth on gospel foundations and to build their talent up. In that sense, her educational activities generally were not far away from the beneficiary's position. However, if we look at the results of the activities in more detail, we can see that Annie Baird not only contributed greatly to the dissemination of ‘Hangul’ and the publication of Hangul textbooks but also considered the emotions and customs of Koreans in hymn translation and in songbook compilation. Thus, I suggest that Annie Baird was a beneficiary and a subject of education, at the same time was at a place where she was compelled to make new musical negotiations.

      • KCI등재

        2000년 이후 한국오페라의 현황과 변모 양상에 대한 연구: 초연 작품을 중심으로

        전정임 ( Chungim Chun ) 한국음악학학회 2020 음악학 Vol.28 No.2

        2000년 이후 한국오페라가 새롭게 창작ㆍ공연된 횟수는 획기적으로 증가했다. 최초의 한국오페라인 현제명의 《춘향전》이 초연된 1950년부터 1999년까지 50년간 총 44편의 한국오페라가 초연되었다면, 2000년 이후에는 2000년대(2000년~2009년) 55편, 2010년대(2010년~2019년) 91편 등 총 146편의 한국오페라가 초연된다. 본 논문은 2000년도 이후 한국오페라계가 급격하게 활성화된 원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한국오페라의 발전을 지속할 수 있는 동력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향후 한국오페라의 발전 내지는 글로벌화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2000년대 이전과 이후의 한국오페라 초연 양상을 비교해 보면, 첫째, 작곡가 측면에서 2000년 이전에는 오페라 작곡가가 기성 작곡가층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숫자 면에서도 미미했었던 것이, 2000년 이후에는 젊은 세대부터 기성세대까지 폭넓은 양상을 보여주며 수적으로도 방대한 층을 형성하고 있다. 둘째, 공연 장소 측면에서 2000년 이전에는 한국오페라 초연 공연이 주로 서울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면, 2000년 이후에는 서울 이외의 지역에서 더욱 많은 공연이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주최 오페라단별로는 2000년 이전에는 공공기관인 국립오페라단이 한국오페라 공연을 주도하였다면, 2000년 이후에는 사립오페라단이 공연을 주도하고 있다. 넷째, 대본의 출처별로는 2000년 이전에는 타 장르 중에서 연극희곡을 오페라 대본화하는 경우가 많았고 소재 면에서도 고전물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면, 2000년 이후에는 문학을 대본화하는 경우가 많고, 소재 면에서도 인물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으며, 현실적 이슈나 일상을 다룬 작품들의 비중도 높아지는 등 소재가 확대되고 있다. 한편, 2000년 이후 한국오페라의 활성화의 원인으로는 오페라 축제들의 한국오페라 공연 편입, 오페라 창작 지원 사업의 패러다임 변화, 지자체 및 지방오페라단의 한국오페라에 대한 관심 확대, 오페라 전문 인력의 육성 등을 들 수 있다. Since 2000, the number of creation and performances of Korea operas has increased dramatically. From 1950 - when The first korea opera Hyun Je Myung’s Chunhyangjeon was premiered - to 1999, for 50 years, a total of 44 korean operas were premiered, whereas after 2000, 55 pieces (from 2000~2009), in the 2010s (2010~2019) 91 pieces, a total of 146 korea operas were premiered. This thesis aims to find out the cause of the dramatic invigoration in the korea opera field after 2000. Based on this research, the thesis focuses in understanding what the power to maintain the development of korea opera is and assist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opera and globalization When comparing the aspect of premieres in korea operas before and after 2000s, first, in terms of composers, before 2000, opera composers were made up of older generation composers and the number of composers was in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after 2000, there is a wide range of composers from the younger generation to older generation and shows a vast increase in the number of composers. Second, in terms of performance venues, before 2000, premiere of korea operas were mainly centered in Seoul but after 2000, many performances were held in regions other than Seoul. Third, in terms of opera companies hosting the premiere, before 2000, the Korea National Opera - a public institution - led the performances of korea operas but after 2000, private opera companies are leading the performances. Fourth, in terms of sources of script, before 2000, among other genres, script writers converted theoretical plays into opera scripts and traditional works made up a huge percentage of the subject matter. After 2000, in many cases, writers converted literature into opera scripts. Furthermore, the subject matter has been expanding. For instance, Many scripts focus on individual figures, and the number of pieces that deal with real issues and everyday life have increased. Meanwhile, the causes of invigoration in korea operas after 2000 include the inclusion of opera festivals in korea opera performances, changes in the paradigm of performing arts creation support projects, expansion of interest in korea operas from local governments and local opera companies, fostering of professionals in opera etc.

      • 나화랑의 민요 심취와 애호, 한국 가요사적 의의 짚어보기

        민경탁(Min Gyung-Tag) 한국대중음악학회 2016 대중음악 Vol.- No.18

        한국 대중가요계에서 8·15 해방 이전에 데뷔해 1960년대까지 전성기를 보낸 작곡가들을 흔히 제1 세대 가요 작가라고 일컫는다. 이들 중에서 각별히 신민요와 민요풍의 가요를 양산하며, 물밀 듯 밀려온 대중음악의 서구화 풍조 속에서 한국 가요의 정체성을 고수하려는 노력을 각별히 보인 이들을 선별해볼 수 있다. 이를테면 김서정, 전기현, 김교성, 문호월, 이면상, 김준영, 형석기, 김해송, 박시춘, 송민영, 나화랑, 한복남, 황문평, 고봉산 등이다. 이 중에서 작곡가 나화랑의 작품 세계에 여타 작곡가에서보다 유별난 민요 심취 및 애호 성향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는 한국의 민요를 편곡해 다량 음반으로 제작, 보급하였으며, 신민요·민요풍의 대중가요를 양산(量産)한 것으로 조사되기 때문이다. 나화랑은 전통민요 편곡 민요 음반을 70종, 대중가요계 신민요·민요풍의 가요 작곡 음반을 132종, 도합 202종의 민요계 음악을 남긴 것으로 나타난다. 그는 우리 전통 가락 위에 그 시대의 감각을 동시대 여타 대중가요 작곡가보다 다채롭게 담아내었다. 한국 음악의 정체성을 고수하면서 시대에 맞게 변화시키려 각별히 노력했는데, 그 성과가 한국 가요사에 잘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우리 신민요와 민요풍의 가요는 1940년대 중반~1960년대에 도입되는 서구의 리듬에 밀려 많이 위축되었다. 하지만 양적으로 열세에 있을 뿐, 전문 국악인들의 민요보다 대중을 향한 자장은 더 넓다. 이와 관련해 한국의 가요가 세계적으로 위상을 높여가는 오늘날 그 풍조가 서구적으로 지나치게 경도 되어 가고 있음도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In general, the term of the first generation composers is the ones who had made their debut before Aug.15 liberation and spent their best days until 1960s. Among them, especially, there are some composers who had tried to make many new folk songs and showed their awareness and effort to stick to identities of Korean music. These composers include Kim Seo-Jung, Jeon Gee-Hyun, Kim Kyo-Sung, Moon Ho-Weol, Lee Myun-Sang, Kim Joon-Young, Hyung Seok-Gee, Kim Hae-Song, Park Si-Choon, Song Min-Young, Na Hwa-Rang, Han Bok-Nam, Hwang Moon-Pyung, Go Bong-San etc. Most of all, we can find that in the world of art work of Na Hwa-rang, there are his unusual immersion and attachment to Korean classical music. He had arranged a number of Korean songs, produced and distributed them into many albums, and mass-produced Korean pop songs and new folk songs, leaving accomplishments of his establishing Korean music identities. In the meantime, new folk songs of the communities of Korean pop songs and folk songs-based pop music which had been composed by the pop song writers were turned over by the pop music of the Western, but all of them were not perished. There being small in size, the vision of the traditional musician for the mass were broader than ever. Still, pop song of new folk songs are being produced and enjoyed.

      • KCI등재

        과거와 현재를 아우르며 -창작 판소리에 나타난 한국의 정체성

        헤더윌로비 ( Heather A. Willoughby ) 한국음악학학회 2010 음악학 Vol.18 No.1

        한국은 이전부터 존재하던 풍부한 전통문화 위에 다른 나라에서 받아들인 문화가 아로새겨진, 문화의 교차로로서 오랫동안 잘 알려져 왔다. 한국은 외세의 침략에도 자국의 문화를 굳건히 지켜낸 점을 자랑스럽게 여기면서도, 이웃나라의 여러 문화 또한 적극적으로 수용해 왔다. 이렇듯 한국은 전통을 보존하는 한편, 시대적 요구를 담아내기 위해 노력하면서 계속해서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해왔다. 한국의 전통 음악 공연 형태를 보면, 과거와 현재의 정체성을 어떻게 조화롭게 풀어내는지 엿볼 수 있다. 본고는 창작 판소리의 다양한 공연양상과 청중의 반응을 고찰하고자 한다. 오늘날 공연되고 있는 창작 판소리의 형태는 여러 가지지만, 일반적으로 공연 스타일에 따라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전통 판소리를 새로운 스타일로 공연하는 ``다섯 마당``이고, 둘째는 완전히 새로운 장르인 이야기다. 전통 판소리가 북으로만 장단을 맞춰 창(唱)을 하는 반면, ``다섯 마당``에서는 소리꾼이 한국 전통 악기나 서양 악기의 독주, 한국 전통 기악 합주, 서양 오케스트라, 재즈 밴드 등의 반주에 맞춰서 소리를 하기 때문에, 전통 판소리와 차별화된 새로운 스타일로 간주된다. 이야기의 경우, 대체로 창자(唱者)는 오로지 북 장단에 맞춰 창(唱)을 하지만, 북 장단에서 변주가 나타나는 점이 전통 판소리와는 다르다. 본고는 창작 판소리 작품 네 편을 살펴봄으로써, 시대의 흐름에 따라 계속해서 변화해나가는 판소리의 공연 형태와 소리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 작품 네 편을 창작 판소리의 대표작이라고 보기는 어렵겠지만, 이 작품들의 양식적 특성과 이 작품들이 공연되는 수행적 특질들을 고찰함으로써 창작 판소리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으며 그 변화가 한국의 정체성이라는 측면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창작 판소리에 사용된 가사(歌詞), 소리, 공연 장소, 의상, 발림을 비교함으로써 전통 예술이 젊은 관객의 기호에 맞추기 위해서 어떤 방식으로 재창출되어 왔는지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판소리 자체가 외국 문화의 영향을 받으면서 동시에 새롭게 표현되는 한국의 이미지를 세계에 선보이는 과정에서, 세계화 시대에 어떻게 발맞춰나가고 있는지도 알아 보고자 한다. This paper analyzes four contemporary p`ansori pieces as a means of elucidating the continuing and changing performance practices and sounds of the genre. These performances are not necessarily representative of all newly-created pieces (ch `angjak p `ansori ), but by observing certain stylistic and performative qualities we will be able to learn something about the way the genre is changing and what the changes might mean in terms of Korean identity. Thus, by comparing texts, sound aesthetics, performance space, costuming, and physical gestures used in contemporary p `ansori performances, we will be able to investigate the ways in which a traditional art form is being re-invented to appeal to young audiences. Additionally, we will observe how p`ansori itself is dealing with an era of globalization as the genre absorbs influences from the outside and conversely presents a rearticulated image of Korea to the world.

      • KCI등재후보

        박시춘 작품의 음악적 특징: 한국전쟁 이전 작품을 중심으로

        양우석 ( Woo Seok Yang ) 한국음악학학회 2014 음악학 Vol.22 No.1

        한국의 대중가요는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성립되었다. 여기에는 음반산업 이라는 매개가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 3000여곡이라는 많은 노래를 작곡한 박시춘은 한국가요사에 있어서 주류 작곡가로서 거론이 된다. 타계 4주기를 맞아 김점도에 의해 주도된 『박시춘 명작집 - 애수의 소야곡』 에 수록된 300곡의 가요는 그의 대표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300곡의 수록곡 중에서 1950년 이전의 노래 122곡을 분석할 것이다. 요나누키 단음계의 무분별적 수용으로 인한 한국대중가요의 폄하와 근거 없는 한국대중가요의 정체성에 관한 주관적 접근에 대한 문제와 함께 판소리의 음계와 비교분석을 통해 한국대중가요의 주요 요소인 선율구조를 자세히 조사하여 한국전통음악과 한국대중음악의 연결 고리를 찾고자 한다. 1950년 이전을 기점으로 삼는 이유는 6.25전쟁 이후가 미8군을 통해 유입된 서양의 선율이 강한 영향을 준 시기이기 때문이다. 박시춘의 작품이 모든 한국대중가요를 대표한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많은 영향을 준 것이 사실이기 때문에 그의 음악의 분석을 통한 한국대중가요의 정체성에 관한 접근은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Korean pop music was shape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in Korea, and it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medium called the recording industry. As the renowned Korean pop composer of over 3,000 songs, Park Shi-Choon is referred to as a major songwriter in the history of Korean pop music. In honor of Park, Shi-Choon who passed away 4 years ago, Park Shi-Choon’s Masterpieces: The Serenade of Sorrow was created with the great support and interest of many pop musicians, which could be considered as his sole collection initiated by Kim Jeom-Do. Any incomplete music transcription was modified indeed in this paper. Park Shi-Choon is remembered as a great songwriter with a copious number of hits and his music is still being played in KBS 1TV - Gayo Stage on almost every week. According to MBC’s survey in 1981, 10 songs of his were listed in Koreans’ top 100 favorite songs, and this represents that he greatly influenced on a history of Korean songs and ballads. Although every check on his 3,000 songs in total was not made, the 300 songs listed on Park Shi-Choon’s Selection of Masterpieces could be recognized as his representative works.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the 122 songs out of his 300 ones, which were composed before 1950. Facing the derogation on Korean pop music with the indiscriminate acceptance of yonanuki minor scale and the groundless subjective approach to the identity of Korean pop music, this paper also attempts to find the link between Korean music and Korean pop music by thoroughly examining the melodic structure which is an essential element of Korean pop music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pansori scale. The period of Pre-1950 was set as starting point for this analysis because Korean pop music was greatly influenced since the Korean War due to the inflow of the Western melody from the 8th US Army. Park Shi-Choon’s works can hardly be called representative of all Korean pop music, but no one can deny the fact that they had a profound effect on it. In this regard, it is considered that an approach to the identity of Korean pop music through the analysis of his musical works has a great significance.

      • KCI등재
      • KCI등재

        한류, 서양음악, 대중음악 & 가치관의 변화

        황옥곤(Okon Hwang) 한국대중음악학회 2010 대중음악 Vol.- No.5

        한류로 인해 한국 대중음악인의 사회적 지위는 현저히 향상되었다고 할 만하다. 그러나 한국 내 서양음악인들의 존재는 점점 더 미흡해진 것처럼 보인다. 서양음악인의 양성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적 투자와 음악인들에 대한 여러 가지 역사적·사회적 위치를 고려한다면, 최근의 이러한 변화는 상당히 놀라운 현상이다. 한류의 영향과 음악인의 사회적 지위 변화가 한국 사회의 근본적 가치관의 변화를 암시한다고 볼 수도 있다. 근현대 한국 역사에서 서양음악이 다른 음악에 비해 사회적으로 대접을 받게 된 것은 한국인들의 양반화 지향에 근거를 두고 있다고 본다. 드니스 레트(Denise Lett)는 한국인의 지위 추구가 현대 국가 건설 원동력의 근원이라고 분석했지만, 조선시대의 양반같은 사회적 지위를 최고의 목적으로 추구하는 시대는 이제 지난 듯하다. 한류가 한국 대중음악인의 사회적 지위에 끼친 영향을 고찰해보면서, 이러한 현상이 한국 사회 지반의 유동을 어떻게 반영하는지 검토하고자 한다. The Korean Wave refers to the surge in popularity of South Korean culture around the world since the 21st century. Due to the Korean Wave, the status of Korean ‘popular’ musicians has been elevated significantly while Western ‘art’ musicians have become increasingly marginalized. This change is quite surprising since a considerable amount of educational capital has been invested toward the systematic grooming of ‘art’ musicians, while ‘popular’ musicians have historically been treated with disrespect and sometimes contempt. The impact of the Korean Wave and the shifting status of musicians indicate that a fundamental change may be taking place in the South Korean value system. I believe that historical structural forces that assured the cultural supremacy of Western art music within Korea (which placed popular music at the bottom of the cultural hierarchy) were due to the Korean’s zeal to be like the yangbans (the traditional ruling class) of the former era. Although Denise Lett identified the Korean’s pursuit of status to be like the yangbans as one of the major forces that shaped the modern South Korean society, the era when status was perceived as the ultimate goal may finally be over. By examining the impact of the Korean Wave on the status of musicians, my paper intends to demonstrate that this phenomenon may metaphorically serve as a wedge driven into the crack created by the shift of the old and the new cultural and social tectonic plates of South Korea.

      • KCI등재
      • 關于中國和韓國8拍子音樂的考察

        李晋源(이진원) 한국전통음악학회 2005 한국전통음악학 Vol.- No.6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 전통음악에 보이는 8박자 음악이 상호 어떠한 공통점이 있는 가를 역사적 맥락에서 짚어본 것이다. 한국에서는 고악보에 보이는 32정간 1행의 정간보와 16정간 6대강 1행의 정간보로부터 8박자 계통의 음악의 정보를 얻을 수 있었으며, 그로부터 현재 가곡, 시조, 화청, 동해안 무속의 무가에서 그 8박자 음악의 연속성을 찾아볼 수 있었다. 중국의 고악보 및 무보에서도 8박자 계통의 악무를 살펴볼 수 있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송나라 사악 중 ‘만’ 악곡이 그것이었다. 청대 중국의 음악을 집대성한 〈쇄금사보〉에는 공척보로 일판칠안의 음악을 전체 음악의 3분의 1 정도를 싣고 있어 중국에서 8박자 음악의 중요성을 엿볼 수 있었다. 또한 8박자를 기본으로 하는 68판체의 변화양상을 통해 한국과 중국의 8박자 음악에서 판식변화 양식이 고루 나타나는 공통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국과 중국의 8박자 계통 악곡의 실제 내부 리듬 문제를 살펴보지 못하였고, 한국과 중국의 음악이 일본의 8박자 계통의 음악과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보지는 않았으며, 이를 후일의 과제로 남겼다.

      • KCI등재

        월경하는 대중음악 경험과 다층적 정체성 실천

        조일동(Ildong Joe) 한국대중음악학회 2021 대중음악 Vol.- No.27

        본 논문은 사할린 출신 영구귀국자에 대한 인류학적 조사에서 드러난 냉전시기 월경하는 한국의 라디오 전파를 통해 대중음악 청취 경험이 형성한 정체성정치와 국경 밖에 대한 상상력의 의미를 분석한다. 사할린 한인 대부분은 일제강점기에 노동자와 그 가족으로 사할린에 이주하여 살기 시작했다. 1945년 일제의패망 이후, 이들은 무국적 외국인으로 분류되어 한반도로 돌아가지 못한 채 소비에트의 주민이 되었다. 냉전 시기 동안 한국과 소비에트 사이에는 어떠한 교류도이뤄지지 않았다. 1990년대 후반부터 한국으로 영구귀국을 선택한 1세대 사할린한인 동포 중 상당수는 월경하는 라디오 전파를 통해 한국의 대중음악을 들었던경험을 토로하고 있다. 냉전 시대에 한국의 라디오 방송을 청취하는 일은 사할린동포 사이의 공공연한 비밀이었고, 이 행위를 통해 소비에트 국경 밖 다른 세계인상상의 고향-한국을 상상해 볼 수 있었다. 밤에만 희미하게 청취할 수 있던 한국 라디오 방송을 통해 전해진 노래는 언제나 부분적이었다. 사할린 한인들은 파편화 된 가사와 가락을 조합하여 곡을 기록했고, 이를 함께 부르는 과정에서 집합적인 정동을 경험했다. 당시 이들이 즐겨들었던 한국의 음악은 트로트였고, 이는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까지 사할린 한인사이에서 향유되던 음악과 닮아있었다. 냉전의 한복판에서 한국어 가사 노래를함께 부르며 형성된 민족정체성은 실체적 한국을 의미하기보다 상상의 것에 가까웠고, 따라서 소비에트 국민정체성과 상치되지 않았다. 한국으로 돌아온 이후에도 이들은 여전히 이 시절에 부르던 노래를 향유하고 있다. 이제 이 노래 실천은소비에트에서 보냈던 젊은 시절의 성취와 추억과 연결되어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meaning of identity politics and imagination outside the borders formed by the experience of listening to popular music through spillover radio propagation of South Korea during the Cold War, revealed in an anthropological research of Sakhalin-Korean permanent returnees. Most Sakhalin-Korean moved to Sakhalin as workers and their familie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fter the defeat of Japanese imperialism in 1945, they were classified as stateless foreigners and became Soviet residents without the chance returning to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Cold War, no exchanges took place between Korea and the Soviet Union. Many of the first-generation Sakhalin-Koreans who have chosen to return to Korea permanently are talking about their experiences of listening to Korean popular music through spillover radio waves. Listening to Korean radio during the Cold War was an open secret among Sakhalin-Koreans, and this practice led to establishment of an imaginary home-Korea, as another world outside the Soviet border. Songs delivered on Korean radio wave, which could only be heard weakly at night, had always been partial. The Sakhalin-Koreans tried to combine of fragmented lyrics and melodies. And they experienced collective affection in the process of singing them together. The Korean music they enjoyed at that time was trot, which resembled the music enjoyed by Koreans in Sakhalin until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ethnic identity formed by singing Korean lyrics together in the middle of the Cold War was more of an imagination than actual Korea, thus it did not conflict with the Soviet national identity. Even after returning to Korea, they still enjoy the songs they sang during these days. Now the practice of these songs is linked to the achievements and memories of their prime of youth in the Sovie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