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언어 문화 교육을 위한 스마트러닝 활용방안: 비대면 온라인 융합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김세령(Kim Ser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4

        팬데믹(Pandemic) 상황이 끝없이 지속되면서, 그동안 한국어 교육에서 일반적이었던 한국어교재 중심의 대면 교육을 온라인 기반 비대면 교육으로 전환해야 하는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본 연구는 비대면 온라인 융합 교육 사례 분석을 통해 한국 언어 문화 교육을 위한 스마트러닝의효과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뉴노멀 시대, 한국어 교육에서도 코로나 이전의 교육을 넘어 새로운 기준을 모색하는 교육의혁신이 필요하다. 이에 H대 한국언어문화학과 ‘인공지능 시대의 스마트러닝’ 수업 사례를 통해한국 언어 문화 교육과 스마트러닝, 인공지능을 연계한 융합 교육내용과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학생들과 교수자의 연결과 소통을 높일 수 있었던 원격 수업의 다양한 형태를 모색해 보았다. 한편 비대면 온라인 수업 환경 속에서 SMART 기반 교육을 통해 21세기 학습자에게 필요한역량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PBL(프로젝트 기반 학습, 문제 중심 학습)을 통해자기주도성, 연결과 소통, 협업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 컴퓨팅 사고 기반 문제해결 능력을 기를수 있었다. 수업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 설문과 사후 설문을 실시하였다. 모든 문항에서 수업 전보다수업 이후에 평균값이 상승하였고, 대부분의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범위에서 수강생들의관련 인식과 역량이 상승하였다. 한 학기 수업이 주요 학습목표를 달성하는 데 효과적이었음을확인할 수 있었다. 특정 대학의 사례라는 점에서 학습자의 수준이나 목적, 교육환경이 다른 모든 대학으로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이 따르지만, 한국 언어 문화 교육과 스마트러닝, 인공지능의 융합 교육이 뉴노멀시대에 어떻게 실천될 수 있을지 심도 있는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유사한 고민을 가지고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새로운 기준을 탐색하는 연구자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코로나이후 급속한 교육환경 변화 속에 실습 중심의 융합 교육이 비대면으로 갑자기 운영되다 보니교육 인프라 면에서 여러 제약이 있어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As the coronavirus disease (COVID-19) pandemic continues, face-to-face education centered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which has been comm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facing difficulties in transitioning to online-based contactless education. This study thus aimed to present an effective application plan of smart learning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through a case analysis of contactless online convergence education. In this era of new norma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nnovate education to seek new standards beyond education before the COVID-19 period. Using the case of “Smart Learning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t H University, the content of convergence education link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smart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ere examined, and various forms of distance classes that could enhance the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instructors in contactless online classes were explored. Through SMART-based education in the contactless online class environment, this class improved the overall competencies required for twenty-first-century learners. In addition, project-based learning or problem-based learning helped to develop self-direction,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collabora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based on computing thinking. To verify the class effectiveness, pre- and post-surveys were conducted. In all the questions, the average value increased after each class compared to the previous one. In most of the questions, students perceptions and competences increased with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ange. It was confirmed that one semester’s learning was effective in achieving the main learning goals. This study is limited in that it focuses on a specific university; thus, it may not be generalized to all universities with different levels, purposes,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Nevertheless, the study may offer practical help to researchers who seek new standard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similar concerns where in-depth research on how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smart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can be practiced in the era of new normal is insufficient. In addition, due to the rapid change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fter COVID-19, practice-oriented convergence education was suddenly conducted remotely; therefore, there were several limitations in terms of education infrastructur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문화융합을 위한 지방학의 가능성-포항의 경우

        김윤규(Kim, Yun-kyu)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3

        이 연구는 문화융합을 위한 다양한 준거 가운데 지역적 특성의 융합이 어떤 방식으로 가능할 것인지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문화가 생산된 지역적 배경은 그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으며, 동일한 소재에 대한 지역적 변화 역시 문화 연구에 불가결한 요소가 될 수 있다. 한국문화는 비교적 좁은 국토에서 민족적으로 큰 차이 없이 생산되었지만, 지역을 나누는 산과 강으로 인해 비교적 특수성이 살아 있는 상태로 향유되고 있다. 지난 역사에서는 지방의 면적과 인구분포가 균등하게 이루어져 있었고, 각 지방마다 우수한 지식인들이 자리잡고 있어서 지방 문화가 전국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산업화시대로 접어들면서 인구의 편중이 심해지고, 현대에 들어와서는 정치적 경제적 이익을 따라 인구가 수도권으로 집중되면서 문화의 편중도 심해지고 있다. 이렇게 편중된 문화는 한국문화 전체를 빈곤하게 할 가능성이 있다. 다양성과 생동성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현상은, 국토의 균형 발전과 원활한 소통에 의해서 얻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지방학은 한국문화를 풍성하게 하는 유용한 통로가 될 수 있다. 더욱이 이미 전 세계에 흩어져 살고 있는 한민족 전체를 아우르는 문화로 융합되기 위해서는 전래의 지방학과 함께 세계적 한국학이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지방학의 한 사례로서의 포항연구는 아직 시작단계에 있다. 포항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하여, 외래 지식인과 이주 산업인력의 교감을 연구하고 이로 인한 사회변동과 발전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은, 포항이라는 한 지방의 사례를 넘어 한국사회 전체를 조망하는 창구가 될 수 있다. 포항은 전통적인 농어업 사회에서 철강 산업을 중심으로 하는 공업 사회로 이행해가는 과정에서 급속한 인구팽창을 경험한 바 있다. 그러나 지금 철강 산업이 퇴조하면서 향후 포항사회의 재편성이 요청되는 상황을 맞았다. 이러한 포항을 세밀히 들여다보는 것이 한국사회를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전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한국문화를 서울 중심으로 일원화하고 한두 가지 성격으로 특화하는 것은 한국문화를 잘 이해하는 방법이 아니다. 각 지방이 각 특성에 따른 문화적 발전을 이루고 그것을 기술하고 특화하여 다양한 문화현상을 가지게 되는 것이 한국문화를 진정으로 발전시키는 길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how convergence of local characteristics, among various criteria of culture convergence, is possible. Regional background of a culture is an important factor in understanding that culture, and regional change of the same matter is also an essential factor in culture studies. Although Korean culture was created without much diversity in relatively small territory, because of mountains and rivers that divide regions, Korean culture passed down with comparative regional specificity. In the past, area and population of all the regions were even and each region evenly had excellent intellects, so local culture of provinces played important role in national culture. However, as industrialization began, concentration of population intensified, and today, concentration of culture is also intensifying as population crowded around the capital city, following political and economic profits. Such intensely concentrated culture might impoverish the whole Korean culture. Cultural phenomena that bases on diversity and vitality can only be gained through balanced development of territory and harmonious communication. In that aspect, local studies can be a valuable method to make Korean culture more abundant. Moreover, to converge Korean culture to embrace all the Korean people who are already spread out in the world, international Korean studies should be done along with traditional local studies. Study of Pohang, as a case of local studies, is still in beginning stage. Based on Pohang s identity, studying development potential and social changes caused by communion with foreign intellects and immigrant industrial manpower can further be a window to view the whole Korean society, beyond mere province. Pohang experienced drastic population increase in the process of society change from traditional farming and fishing society to industrial society centered by steel industry. However, as steel industry is declining nowadays, Pohang is facing demand to reorganize its society. Carefully looking into this situation Pohang is at will help understand and prospect the whole Korean society thoroughly. Unifying or classifying Korean culture into one or two characteristics with Seoul being the core is not a great way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well. A true way to develop Korean culture is to maintain various cultural phenomena by developing, recording and specializing each region s local cultur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뷰티문화융합 교육개발을 위한 현장적용 사례연구

        표연희(Pyo YeonHee),정연자(Jung YeonJ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4

        본 연구에서는 이주여성을 위한 뷰티문화융합 교육을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이에 도출된 결과를 분석하여 뷰티문화융합 교육의 실현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이주여성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뷰티융합문화교육을 운영하였으며 이를 통해 이주여성의 행복감과 안녕감의 감정정화를 돕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이론적 배경을 통하여 디아스포라 여성의 심리적 특성과 학습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심리적 안녕감과 구성요인을 고찰하였다. 또한 이주여성 대상의 수요조사를 실시하여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실질적 교육활동 내용을 도출 하였다. 따라서 뷰티의 영역을 바탕으로 도출된 뷰티문화융합 교육은 이주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고 이들의 슬픔이나 부정적 감정의 극복과 회복할 수 있는 마음자세를 취하게 함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치유적인 관점으로의 뷰티행동을 활용한 문화융합교육 개발에 기초적 자료로 활용됨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열린사회시대의 새로운 융합치유 프로그램 도출에 있어 뷰티 영역의 메이크업, 헤어, 네일, 피부, 이미지 메이킹 등 세분화, 전문화된 개별적 뷰티영역과 문화교육의 융합으로의 심화연구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application of beauty culture convergence education for migrant women were analyzed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beauty culture convergence education. The researcher implemented beauty convergence culture education to promote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grant women.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research method identified psychological and learning characteristics among women in the diaspora, examin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ts components. In addition, a demand survey was conducted on migrant women to determine the actual educational activities that are needed at the site. This study has confirmed that beauty culture convergence education, which is derived from the general area of beauty, had a positive effect, leading to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migrant women’s psychological well-being, especially considering that a positive mental attitude is required to overcome and recover from the sadness and other negative emotions that migrant women face. This is meaningful because it can be used as basic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vergence education, in particular, the application of beauty behavior to healing. In the future, in order to create new convergence healing programs, we look forward to further studies on the convergence of specialized individual beauty areas and cultural education, including makeup, hair, nail, skin, and image making.

      • KCI등재

        Status and Prospects of Korean Language in India

        응아이테 랑칸쿱(Langkhankhup Ngaiht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4

        이 연구는 인도 내 한국어 교육의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제안을 제공한다. 인도에서는 한류와 취업 기회에 따른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한국어 교육이 새로운시대를 열고 있다. 이 같은 경향은 한국어 학습자와 관련 기관이 증가하였음을 반영하고 있으며특히 인도 정부가 최근에 발표한 2020 국가교육정책에 한국어를 제2외국어로 포함시키며 더욱강화되었다. 본 연구는 인도의 각 기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한국어 강좌를 살펴봄으로써 수요의증가에 걸맞도록 인도 내 한국어 교육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발전을 보장하여 교육의 질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특히 인도에서의 한국어 교육을 더욱 활성화시키기 위해 자격을갖춘 한국어 교사를 확보하고, 표준 교육과정을 수립하며, 교사와 학자들 간의 연구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es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India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In India,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witnessing a new dawn with the surge of interest in Hallyu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This trend is reflected in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learners and institutions, further bolstered by the Indian Government’s National Education Policy 2020 that includes Korean as a second language in India. Exploring the various Korean language courses offered in India’s different institutions, the paper argues that the qu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India should be upgraded to maintain a balance with the quantitative growth, thereby ensuring stable and continued development. The paper especially stresses the importance of ensuring qualified Korean language teachers in India, establishing a standard curriculum, and conducting research betweenteachers and scholars to further advanc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India.

      • KCI등재

        근대전환기 내한선교사의 선교사역과 한국문화이해: 안애리(安愛理)의 Inside Views of Mission Life (1913)를 중심으로

        오지석(Oh, Jie Se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4

        이 연구는 개항 후 한국에 와서 동학, 청일전쟁, 러일전쟁을 겪고 한일병탄을 함께 한 미국선교사 안애리(安愛理)의 Inside Views of Mission Life를 중심으로 선교활동과 한국문화 이해를추적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안애리는 한국근대전환기 문화변용의 한축을 담당했던 외국인 선교사로서의 역할 뿐만 한국문화를 소개하는 데 해외에 있는 인적·지적 네트워크를 사용했다. 안애리는 초기의 작품인 Fifty Helps의 부록에서 신입 선교사들에게 서구문화에 대해 갖기 쉬운 편견과 우월감에서 벗어나 한국인과 한국문화를 존중하는 태도를 주문한다. 이런 태도는 마지막 작품인 Inside Views of Mission Life에서도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그는 한국의 근대전환기에서 서구인의 시선으로 한국문화를 바라보지 말고 한국사회의 생활방식과 문화를 존중해야한다는 생각을 놓치지 않았다. 그리고 우리에게 근대전환기 미국식 근대가 시험 되었던 평양에대한 관심을 불러준다. 우리는 안애리를 선교사의 부인, 교육가, 문학가로 기억하기보다는 19세기‘한국학’ 세우기에 동참한 한국학의 개척자로 평가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trace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focusing on the Inside Views of Mission Life by Annie Baird, an American missionary who came to Korea during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he warring period of Korea (e.g., the Korean-Japanese war with Donghak, Sino-Japanese War, and Russo-Japanese War). Ae-ri Ahn used her intellectual connections abroad to introduce Korean culture, as well as her role as a foreign missionary who played a part in the transformation of culture during this Korean modern transition period. In the appendix of her early work titled Fifty Helps, Ahn asks new missionaries to assume an attitude of respect for Koreans and Korean culture, and to set themselves free from the prejudice and superiority they tend to have toward Western culture. This attitude continues to feature in her final work, Inside Views of Mission Life, and she does not miss the idea of respecting the lifestyle and culture of Korean society instead of looking at Korean culture through the eyes of Westerners in the period of modern transition. Thus, this study argues that Ahn should be evaluated as a pioneer of Korean studies who participated in the establishment of “Korean Studies” in the nineteenth century rather than remembering her as a missionary s wife, educator, and literary wom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