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 방안 고찰

        고민경(Koh Min kyoung),권건일(Kwon Kun IL)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 필요성과 유아교육과 보육의 논의점에 따른 통합을 위한 과제와 그에 따른 방안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우선 우리나라 유아교육과 보육의 현황과 변천과정, 유아교육과 보육에 있어 OECD 국가의 동향, 스웨덴의 단일 부처의 통합사례와 일본의 인정어린이원의 통합 사례, 싱가포르의 교사양성제도의 통합사례를 살펴보았다. 또한 그동안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화 논의 과정에서 제기된 통합구축모형방안과 그 선결과제로 제기된 유치원과 보육시설의 서비스 기능 조정과 통합, 교사양성 및 자격제도의 통합, 관리감독 및 재정지체계의 통합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은 유아교육과 보육시설의 목적과 기능상의 문제, 유아교육법과 영유아보육법의 중복으로 인한 비효율성 문제, 유아교육과 보육의 재정지원체계의 비형평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과제로 통합을 위한 법률, 행정, 교사자격, 교육조건, 교육과정 통합 분과를 제시하였다. 시대적 요청인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이 진정 유아를 위한 통합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In response to the necessity of integra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and discussion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tasks and methods for the integration. First, we studied the current state and 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in Korea, the trend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in OECD countries, the cases of integration in Sweden and Injeong Childcare Center in Japan, and the case of teacher education system integration in Singapore. In addition, this study reviewed the plan of integrated structure model proposed in the course of discussion on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and suggested preconditions such as the adjustment and integration of service functions of kindergartens and childcare facilities, the integration of teacher education and qualification systems, and the integration of supervisory and financial support systems. In conclusions,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can solve problems in the purposes and func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facilities, inefficiency resulting from the redundancy betwee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 and the Infant Care Act, inequality in financial support systems for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etc. Thus, we suggested areas to be integrated including law, administration, teacher qualificatio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urriculum. It is earnestly hoped that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required today is genuinely for young children.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 유아문화생활모습과 활성화방안에 대한 교원 및 예술전문가 인식

        유재경(You, Jae-Kyung),조혜영(Jo, Hye-Young),권정숙(Kwon, Jung-Sook)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유아문화생활모습과 활성화방안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전문가 2명, 사립유치원 원장 1명, 유치원교사 9명, 국 공립어린이집 교사 2명 등 총 14명에게 집단 및 개별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유치원교사 319명 대상으로 유아문화생활 활성화방안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육기관 유아문화생활모습 은 유아교육기관에서 문화시설 이용, 유아교육기관 외에서 접하는 문화생활영향, 교사의 문화생활경험 및 선호도와의 관계, 유아문화생활과 유아발달과의 관계 등으로 제시하였다. 둘째, 유아문화생활 활성화 를 위해서 필요한 시설은 어린이 박물관이 가장 높았으며, 유아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전용공간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사 파견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모른다는 의견이 대부분이었으며, 문화예술사 파견은 유아의 문화예술 교육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응답이 높았다. 문화예술사의 예술가로서의 전문성과 유아의 발달특성을 반영하여 교육하는 교육자로서의 요건을 갖추어야한다고 하였다. 교사의 유아문화생활에 대한 교사재교육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문화생활 활성화를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문화생활 내실화와 만족도 제고를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한다. 둘째, 유아문화에 대한 교사들의 민감성 강화를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유아교육기관의 결정권자와 부모를 대상으로 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igure and activation of young children’s cultural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9 kindergarten teachers registered in Ansan. Fourteen participants including 9 kindergarten teachers and 5 professionals in arts, musics, and child care were interviewed. Thes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the figure of young children’s cultural life at early childhood setting was the use lf cultural facility and influence of cultural life excluded from early childhood setting, teachers’ cultural experience and preferences,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life and child development. Second, museum for young children was the most needed facility because children themselves could experience in there. Most kindergarten teachers did not know that cultural artist were sent out to kindergarten for the purpos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They answered that cultural artist would be helpful for cultural art education. Third, they answered that the most need related to young children’s cultural life was to develop diverse programs and cultural art contents in cultural facilit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activation plans for young children’s cultural life were as followed. First, substantial planning of young children’s cultural life should be developed. Second, it is required the reeducation program related to culture and art sensitivity for kindergarten teachers. Third, kindergarten decision makers and parents should be provided education regarding the cultural art enjoyment and education.

      • KCI등재

        가정과 연계한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 구성과 효과

        조미정(Mi-Jung Joe),김승희(Seung-Hee Kim)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3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연계한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자는 6단계 절차에 따라 가정과 연계한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광주광역시의 S 어린이집 만 5세 두 학급 38명(실험집단 19명, 비교집단 19명)과 부모를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실험집단은 가정과 연계한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에, 비교집단은 누리과정에 따른 일상 활동에 참여하였다. 실험 처치는 2021년 10월 18일부터 12월 24일까지 10주 동안 부모 대상 교육 10차시와 유아 대상 교육 20차시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가정과 연계한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와 부모의 환경 감수성과 환경보전 태도 향상을 도모하는 교육내용과 교수-학습 방법, 평가 등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본 프로그램을 통해 유아와 부모의 환경 감수성과 환경보전 태도가 유의하게 향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정과 연계한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와 부모의 환경 감수성과 환경보전 태도를 향상하는 데 효과적이다. 이처럼 본 연구는 가정과 연계한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보여줌으로써 유아 환경교육의 새로운 모형을 제시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connecting to family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Researchers developed a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connecting to family according to 6-step process.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observed from thirty eight 5-year-old children (nineteen in experimental group, nineteen in comparative group) and their parents of S preschool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connecting. to family, and comparative group in daily activities according to the Nuri curriculum.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en times targeting to parents and twenty times targeting to children for ten weeks from the eighteenth of October to twenty-fourth of December in 2021.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connecting to family was consisted of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to promote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attitudes of children and parents. Also,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attitudes of children and parents were increased meaningfully through the program. That is to say, the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connecting to family was effective to increase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attitudes of children and parents. As a result,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suggests new model of a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by show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connecting to family.

      • KCI등재

        다문화가정 어머니가 인식하는 유아보육교사의 자질과 문화효능감이 기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신준섭(Shin, Jun Seob),최옥주(Choi, Ok Joo)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자질이 기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 다문화효능감이 이들 변인간의 관계에서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가를 분석하고자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를 위해 유아보육기관에 자녀를 보내는 다문화가정 학부모 201명을 무작위 추출방식을 통해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조사에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20.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그리고 AMOS를 이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고, 이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높을수록 보육서비스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명의식이 높을수록 이용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높을수록 다문화교육 능력과 문화적 포용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가정 배려가 높을수록 보육서비스, 행정서비스, 이용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보육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평가함에도 불구하고 유아보육현장에서 다문화교육이 실질적으로 진행되는 것은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아보육기관에서 다문화교육이 적극적으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보육교사들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변화와 정기적인 다문화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how the qualifications of childcare teachers influence institutional satisfaction as well as how multi-cultural efficacy works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those two variables. The study randomly selected two hundred and one (201) multi-cultural parents who send their child(ren) to daycare centers as a study sample.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for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20.0 for Windows and AMOS module. The analyses suggested the following: (1) the higher the teachers' expertise, parents perceived the lower quality of childcare services parents perceived; (2) the higher the teachers's expertise, teachers demonstrated the higher the capablities of teaching multiple cultural aspects and cultural tolerance; (3) the teachers more considerate towards multi-cultural households, the parents perceived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childcare service, administration service, and institutional usage; and (4) the teachers' expertise influenced childcare service significantly. These implied that people highly acknowledge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but there might be a gap between theoretical and actual practices going on in the field. Our results suggest that it is required to achieve the shift of teachers' acceptance and understanding toward multi-cultural households and to provide continuing education of multiple cultures for the teachers on a regular basis in order to encourage beneficial multiple cultural education at childcare institutions.

      • KCI등재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시현황 및 요구

        황지희(Hwang JiHee),최형성(Choe HyungS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교육 실시현황, 교사의 요구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이해와 관심 증진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36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유아역사교육을 민족공동 체 의식 및 전통적 가치관 강조로 인식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의 교사들은 유아 역사교육이 필요한 교육이라고 인식하는 반면 교육은 실시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시하지 않는 이유로 자료나 준비 부족을 가장 많이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역사교육을 위해 교사교육을 받은 경우는 매우 드물며, 교육을 받더라도 이론 위주의 강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고, 교수방법이 몇 가지에 집중되어 다양하게 사용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은 효과적인 유아역사교육 을 위하여 교사 직무 연수, 역사교육 자료 개발 및 보급, 프로그램 개발을 요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 동안 활발히 연구되어 오지 못한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이해를 돕고, 더 나아가 유아역사교육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examined infant teachers’ recognition, present states, and support needs on infant history education. The participation were 363 teachers who work at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in Busan, Korea, The results showed many teachers recognize that infant history education is necessary for infant and that the purpose of the education is for conserving ethnic community and traditional values. However, a few teachers participated in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e education, which isn’t the program based on practice. Also, many teachers thought that the tools, materials, and methods used in the education were limited. The teachers request to develop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the education materials and participation the program. This research can be used to understand infant history education, and to develop the infant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development of material for the education.

      • KCI등재후보

        SWOT 분석을 통한 생태유아교육 평가 전략 도출

        허우정(Hur Woo-Jeong),김영연(Kim Young-Yoe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2 No.1

          생태유아교육 평가란 생명사상을 철학적 기초로 하여 유아교육 평가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아이 살림, 교사 살림, 교육 살림을 중요한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생태유아교육평가를 보다 활성화하고 효율적으로 개발 연구하기 위해서 SWOT분석을 하였다. SWOT분석을 통해 생태유아교육평가의 내부의 강ㆍ약점과 외부의 기회ㆍ위협 요인 등을 파악하여 생태유아교육평가의 발생 가능한 요인들을 예측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최적의 전략방안을 도출하여 활용하고자 하였다. 생태유아교육 평가의 전략으로 첫째 새로운 패러다임의 유아교육평가 차별화 달성, 둘째 생태유아교육평가의 현실적 실행 기반 구축, 셋째 지속적인 생태유아교육 평가체제 구축으로 나타났다.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 new paradigm of philosophical basi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tresses the importance of practical life basis. Therefore, the evaluation of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make three parts of living ; ‘living of child’, ‘living of teacher’ and ‘living of education’ which they are important point of reference<BR>  This research uses SWOT analysis in order to study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evaluation more efficiently. Through SWOT analysis, We were able to grasp both internal strength and weakness and external opportunity and threat factors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Evaluation. In addition, we were able to predict possible factors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Evaluation. To respond to that, we found the optimal strategy plan and wanted to take advantage.<BR>  Using the strategy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evaluation, we were able to achieve three main points. Firstly, this study could differentiat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evaluation from existing evaluations. Secondly, this study created a realistic base for the pratice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evaluation. Lastly, this study creates ongoing evaluation system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evaluation.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개선방향

        심의보(Shim, Ui-bo)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3 No.2

        보육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본 논문이 시도되었다.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논해야 할 만큼 보육교사의 전문직으로서의 위상은 미약하다. 사회적 측면에서 본다면 보육교사의 역할과 그에 상응하는 처우가 전문직으로서의 위상에 걸맞지 않는 정도로의 열악한 때문이며, 교육적 측면에서 본다면 보육교사의 교육의 전문성이 부족한 때문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논의의 결과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방향을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렀다. 첫째, 보육교사 전문성은 보육적 가치와 태도, 동기, 상상력, 안목 등의 개념을 포괄하는 방향으로 전개해야 한다. 둘째, 보육교사 교육의 내용은 해석적-현상학적으로 사고의 양식, 보육적 관심과 상상력, 보육적 동기와 사기 등을 형성 변화시킬 수 있는가 하는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의 구조는 보육교사의 전문성 형성을 위한 경험의 논리에 타당하게 선택되고 방법적 원리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교양교육, 보육기초, 보육실제의 아동보호와 아동교육의 영역이 상호 유기적으로 통합되도록 거시적․미시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넷째, 교육과정의 구조적 논의와 보육교사의 전문성에 근거하여 교육학과 보육학의 보완적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보육관련 대학의 교육과정이 전문성 확보에 적합하게 구조화되기 위하여 학점 수를 상향조정해야 한다. 보육실제의 아동보호와 아동교육, 교육학과 교양을 현재 보다 상향조정하여 보다 높은 수준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만약 현재의 학점수의 한계 내에서는 가능하지 않다면 보육교사 교육은 전면 3, 4년제나 일반 학부 졸업 후 대학원을 통한 교육제도로의 구체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This study had been to consider on the direction of curriculum organization for the consolidating educare teachers’ specialization in college, and to examine on the structure of korean educare system is founded the children’s developmental task and socialization process through ‘Educare’ as a basics. With rapid industrialization in our country, the educare suddenly came to be as a major social issue and it has made the emergence of many Educare Centers considerable. Now, the matter of the educare teachers’ education is the core of Child Welfare Policy, and it is required by us to study this with actual and systematic effort. In the final part, the basic direction of curriculum for the educare teachers’ education is to consider the structure of the cultural studies, the educare fundamental studies and the educare practical studies as a college curriculum. These signify to integrate the care of children and child education as a educare curriculum.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정 부모 및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김정원(Kim, Jung Won),이주영(Lee, Joo Young),김경본(Kim, Kyung Bo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부모와 다문화교육의 경험이 있거나 현재 담임을 맡고 있는 유아교사들의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및 다문화교육 실시과정에 관한 인식이 어떠한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부모 37명과 다문화교육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 37명 등 총 74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부모의 67.6%, 유아교사 73%가 다문화교육의 경험이 있었고, 부모들은 교육기관, 이웃과 친구를 통하여, 교사들은 교육기관이나 매스컴을 통하여 다문화교육을 가장 많이 경험하였다. 둘째, 다문화가정 부모의 81.1%, 유아교사의 100%가 다문화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문화가정 부모들은 국제화시대에 필요한 능력을 키우기 위하여, 유아교사들은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는 사실을 알려주기 위하여 다문화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다문화가정 부모와 유아교사들은 모두 민족, 인종, 성 등에 관계없이 모든 인간은 평등하며 공동체 속에서 서로 존중하고 협동해야 함을 알려주는 것을 다문화교육의 가장 중요한 목표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다문화가정 부모는 부모 스스로가 그릇된 편견이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유아교사들은 효과적인 다문화교육을 위하여 부모의 협조가 필요하므로 유아교육기관과 가정이 연계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다섯째, 다문화가정 부모는 각 나라에는 다양한 민족과 인종이 함께 살고 서로 친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유아교사는 장애인과 보통사람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관한 것을 다문화교육의 가장 중요한 내용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여섯째, 다문화가정 부모와 유아교사들은 다문화교육에 대한 지식과 이해의 부족, 교육 자료의 부족을 다문화교육 실시과정에서의 어려운 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par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and preschool teachers with teaching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children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37 parents and 37 teachers in An-san city and Hwa-sung city in Gyeonggi-Do were survey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bout more than 2/3 of research sample have had multicultural experiences through various educational institutes, neighbors and friends, and mass communications. Second, 4/5 parents and all teachers who ha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eel needy of multicultural education. Parents thought multicultural education to learn the essential skills for international society, and teachers to let children know everybody has equal right in this society. Third, parents and teachers recognized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to teach children about human equality regardless of ethnicity, race, sex, etc and everybody has to respect each other and cooperate in this society. Fourth, parents recognized that home-school relationship is essential for them to overcome their own prejudice and stereotypes and teachers to let parents participate to their children's classrooms. Fifth, parents thought the fact that various people live together in this society harmoniously is the most important teaching content and teachers thought especially about disabled people. Sixth, parents and teachers have difficulties in teaching process because of their lack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lack of teaching materials.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 기관장과 교사들의 유아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유영희(Young-Hee),유미현(Yoo, Mi-Hyun),전유영(Joen, Yoo-Yo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의 기관장과 교사들의 유아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차이를 비교하여 유아영재교육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장은 유아영재프로그램을 위한 가장 적절한 수업방식으로 실험을 통한 원리 이해교육을, 접근방식으로 유아들의 자연스러운 발달을 돕는 전인적 통합 교육을, 그리고 운영형태로 유아교육기관의 일과가 끝난 후 외부기관에서 방문 또는 별도로 운영하는 것으로 답하였다. 유아영재교육 교사 연수시 유아영재교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에 대한 이해관련 내용이 가장 필요하며 체계적인 영재교육제도의 미흡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유아영재교육에 대해서는 낙관적인 전망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은 영재 판별 방법으로 해당 분야의 우수재능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으며, 유아영재학급 구성 인원은 5명 이하이며 능력별로 편성해야 한다고 하였다. 영재교육의 전망에 대해 교사들도 낙관적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유아들의 영재성이나 재능을 파악하기가 어려운 점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기관장과 교사의 유아영재 및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을 비교한 결과 유아영재 개념에서는 모두 특정 분야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이는 아동을 영재라고 생각하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기관장과 교사가 유아영재교육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이유, 효율적인 유아영재교육 운영횟수, 유아영재학급 지도교사 선발 방식에 대해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basic investigation of early childhood gifted education on administrators and teachers of early childhood institute and to suggest ways for improvements in early childhood gifted education by looking for solutions of these issues.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dministrators perceive that appropriate methods forearly childhood gifted education are making them understand principles through appropriate experiments and educate for the whole man. And the issue that administrator deems to be the most urgent in early childhood gifted education is a lack of systematic early childhood gifted education. They take an optimistic view of gifted education. Second, the most important standard that teachers perceive when choosing gifted children is an outstanding ability. Teachers also take an optimistic view of gifted education and have difficulties in grasping children’s giftedness or abilities. Thir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dministrators and teachers in reasons of agreement with early childhood gifted education, gifted education frequency, and recognition of selection of early childhood gifted education teacher(p<.05).

      • KCI등재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이 일반유아교육기관 또는 영어몰입교육기관에 다니는 유아의 영어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황근희(Hawng Keun Hee),최나야(Cho Na Ya)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교육기관 유형에 따라 어머니의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신념 및 유아의 영어 학습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고,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이 유아의 영어 학습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 및 어린이집 총 12곳의 만 5세 유아와 그 어머니 157쌍, 그리고 영어몰입교육을 받는 만 5세 유아와 그 어머니 143쌍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어몰입교육기관의 어머니는 조기영어노출과 영어교수자료 활용을 더 많이 지지하고 영어의 긍정적 영향을 크게 인식하는 반면, 일반유아교육기관의 어머니는 한국어와 영어의 균형 발달, 부모의 직접 지도, 비관습적 지도를 지향하였다. 둘째, 유아의 영어 학습 태도에서는 부모의 격려와 기대 인식 요인에서만 집단 차이가 나타나, 영어몰입교육기관의 유아들이 일반유아교육기관 유아들보다 영어 학습에 대한 부모의 격려와 기대를 더 크게 인식하였다. 셋째,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은 기관 유형과 상관없이 유아의 영어 활동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어머니의 신념은 유아 영어 학습 동기의 하위 요인인 부모의 격려와 기대 인식, 외국에 대한 관심, 불안에 대해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s’ perceptions about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on preschoolers’ attitudes toward learning English. Totally 300 five-year-olds were interviewed,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of the English immersion educational institution supported more ‘early English exposure’ and ‘English teaching materials’ and recognized the positive effect of English. On the other hand, the mothers of general institutions tended to pursue ‘balanced development of Korean and English languages’, ‘parents’ teaching’, and ‘unconventional teaching methods’.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children’s attitudes toward learning between two groups. Children of immersion group showed higher level only in the factor of ‘perceptions about care-givers’ encouragement and expectation’. Third, mother’s perceptions about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did not affect the children’s preferences of English activities, regardless of groups. Fourth, mother’s perceptions about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influenced ‘recognition of parents’ encouragement and expectation’, ‘interests about foreign countries’, and ‘anxiety for learning English’, which were sub-factors of children’s motivation for learning Englis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