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형 웰니스관광 클러스터 모델 개발

        맹해영(Maeng, Hae-Yeong)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는 웰니스 관광 클러스터 모델을 2개의 과정으로 개발하였다. 하나는 ‘스타 웰니스 관광 클러스터 진화 모델’이고, 나머지 하나는 ‘웰니스 관광 자원과 웰니스 관광 연계 산업 간에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모델’이다. 본 연구의 연구 자료는 ‘한국형 웰니스관광 클러스터 모델’이고 해외에서는 오스트리아의 ‘웰니스 클러스터 티롤 모델’이다. 웰니스 구성요소에 대한 자료는 NWI의 웰니스 구성요소와 Dunn, H.의 웰니스 구성요소이며 웰니스 구성요소에 대한 기초자료는 유엔 세계보건기구(WHO)의 ‘건강에 관한 정의’에서 수집하였다. 분석도구로는 델파이 기법에 의한 의견 수렴과 대안 제시 및 이해도 조사를 실시하였고 26명의 전문가 집단이 참여했다. 웰니스 관광자원 간의 클러스터 진화 모델 1단계는 한 단위의 웰니스 자원을 보유한 기업이 다른 한 단위를 보유한 웰니스 관광 기업 간에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단위 간 웰니스 관광 클러스터 구축이고, 2단계는 두 단위 이상의 웰니스 관광 자원을 보유한 기업이 다른 단위의 웰니스 자원을 보유한 기업과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확장 웰니스 관광 클러스터이다. 그리고 3단계는 웰니스 기업이 웰니스 관광자를 독립적으로 유인할 수 있는 자원을 보유한 기업이 스타 웰니스 관광 기업으로 진화하여 스타기업 웰니스 관광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모델이다. 웰니스 관광자원과 웰니스 관광 연계 산업간의 클러스터 구축은 1단계로 웰니스 관광 자원 보유 기업과 웰니스 관광 지원 기업간의 클러스터 구축이고, 2단계로 웰니스 관광 자원 보유 기업과 지역관광 자원 보유 기업 및 관리기관간의 클러스터 구축이다. 3단계는 웰니스 관광자원과 네트워크 기업 및 기관간의 클러스터 구축이고, 4단계는 웰니스 관광 자원 보유 기업간에 클러스터 모델과 지역 웰니스 자원과 연계된 자원을 보유한 기업 및 기관간의 클러스터를 통합하는 웰니스 관광 클러스터 통합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웰니스 관광 자원을 발굴하고 육성하여 웰니스 관광 스타기업으로 진화될 수 있는 로드맵을 제시하고 진화과정에서도 웰니스 관광 연계산업과의 클러스터 구축으로 웰니스 관광 산업이 지역산업을 견인하는 효과를 거두는데 있다. This study developed the wellness tourism cluster model in two steps. One is the ‘star wellness tourism cluster evolution model’ that builds a cluster between resources of the wellness tourism cluster, and the other is the ‘model that builds a cluster between the wellness tourism resource and the wellness tourism related industry’. The research data is the ‘Korean-style wellness tourism cluster model’ and abroad, the Austrian wellness cluster Tyrol model. As an analysis tool, opinions were collected using the Delphi technique, alternative suggestions and understanding were conducted, and a group of 26 experts participated. The first stage of the cluster evolution model among wellness tourism resources is the stage in which a company with one unit of wellness resource builds a cluster between companies with another unit. The second stage is an extended wellness tourism cluster in which a wellness enterprise with two or more units of wellness tourism resources establishes a cluster with a company with different units of wellness resources. And the 3rd stage is a model in which a wellness company evolves into a star wellness tourism company that has the resources to independently attract wellness tourists. The first step is to build a cluster between the wellness tourism resource and the wellness tourism related industry, and the second step is to build a cluster between the wellness tourism resource company and the wellness tourism support company. am. The third stage is the establishment of a cluster between wellness tourism resources and network companies and institutions, and the fourth stage is a model that integrates the cluster model among companies with wellness tourism resources and the cluster between companies and institutions with resources linked to local wellness re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roadmap that can evolve into a wellness tourism star company by discovering and nurturing wellness tourism resources. Also, in the evolution process, the wellness tourism industry has the effect of leading the local industry by establishing a cluster with the wellness tourism related industry.

      • KCI등재

        스마트 헬스 케어 서비스가 웰니스와 직무열의에 미치는 효과

        조상리(Cho, Sang-Lee) 한국웰니스학회 2023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는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 이용고객 302명을 대상으로 스마트 기기 사용이 개인의 웰니스와 궁극적으로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주요 결과는 첫째, 건강관심도가 높을수록 스마트 헬스 케어 서비스 사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헬스 케어 서비스 사용은 신체적 웰니스와 정신적 웰니스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신체적 웰니스와 정신적 웰니스는 직무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신체적 웰니스의 영향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다음의 시사점을 제공한다. 먼저, 관리적 시사점으로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일상에서 건강한 신체와 정신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고 결과적으로 이는 조직에서 개인의 직무에 대한 태도 즉 직무열의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무엇보다도 관리자는 조직구성원들의 신체적 건강에도 관심을 가져야 되는 이유를 제시하는 것으로 조직내 안전을 유지하는 환경과 함께 구성원들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이나 안전관리 프로그램 등의 마련에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하겠다. 이론적 시사점으로 본 연구는 웰니스의 유용성을 확장하기 위해 다양한 직종을 포함하였다. 이는 간호, 스포츠, 호텔, 교육 분야 등 특정 직무에 한정된 선행연구의 한계를 보완하는 것으로 웰니스의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존 웰니스 연구들은 웰니스와 직무성과 간의 초점을 두고 있는데, 본 연구는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의 태도 즉, 직무열의를 중심으로 조직구성원의 신체적 및 정서적 웰니스가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는 선행연구를 발전시킨 것으로 특정 직무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내부마케팅 관점에서 종업원 관리를 위한 하나의 요소로 웰니스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smart device use on individual wellness and ultimately job engagement for 302 smart healthcare service users. The main results were first, the higher the health interest, the higher the use of smart health care services. Second, the use of smart health care services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physical and emotional wellness. Finally, physical wellness and emotional wellnes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engagement, and in particular, the effect of physical wellness was higher. These results provid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as a managerial implication, many people today have a lot of interest in a healthy body and mind in their daily life, and as a result, it shows that an individuals attitude toward work in an organization, that is, job engagement can be improved. Above all, this suggests the reason why manager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physical health of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is deeply interested in the organization of an environment that maintains safety in the organization in terms of hardware and in the preparation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or safety management programs for employees in software. As theoretical implications, this study included various occupations to expand the usefulness of wellness. This supplements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limited to specific jobs such as nursing, sports, hotel, and education fields, and can be usefully used to generalize wellness research results. In addition, existing wellness studies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ellness and job performanc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members physical and emotional wellness focusing on individual attitudes that can affect job performance, that is, job engagement, was verified. This is a development of previous research, and i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job, but in general, it is intend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wellness as a factor for employee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l marketing.

      • KCI등재

        학령기 아동의 웰니스(Wellness) 하위요인 및 발달궤적에 대한 종단연구

        장유진(Jang, Yu-Jin),권윤정(Kwon, Yun-Jeong) 한국웰니스학회 2016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1 No.3

        이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웰니스의 하위요인을 구성하고 통계적 검증을 통해 웰니스 하위요인의 종단적 관계, 웰니스의 발달적 변화에 따른 부모변인, 개인변인과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아동·청소년의 웰니스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교차지연모형을 통해 살펴보았을 때 초등학교 고학년에 웰니스가 높았던 아동은 시간이 지나도 꾸준히 높은 웰니스 점수를 보여 웰니스의 초기발달이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셋째, 인지적 웰니스는 공통체적 웰니스와 신체적 웰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정적 양육은 웰니스 초기치와 변화율에 영향을 미쳤으며, 웰니스의 초기치와 변화율은 중학생의 성적과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는 아동의 건강을 웰니스의 관점에서 개념화하고, 종단적 자료 검증을 통하여 웰니스의 하위요인 간의 인과적 방향 및 발달궤적, 웰니스 영향요인의 관계를 밝혔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sub-factors of wellness,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wellness, the influence on wellness of individual and parent related factors in school-aged children. There were 1,821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five times of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Data was analyzed with correlations, cross-lagged modeling and latent growth modeling.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wellness of school-aged children is decreased with the passage of time. Second,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ub-factors of wellness, were stable lasting over time. Third, cognitive wellness appeared to affect physical wellness and communal wellness. Fourth, parenting affected the initial level and change in wellness, the initial level and change in wellness had an effect on school grade and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sub-factors of wellness,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wellness, the influence of parent-related and individual factors. This results were confirmed that it can help the child to reach the optimum height for each area of the health wellness.

      • KCI등재

        생산직 근로자의 피로, 운동 자기효능감, 주관적 건강상태가 웰니스에 미치는 영향

        류세인(Ryu, Sein),채여주(Chae, Yeojoo)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생산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피로, 운동 자기효능감, 지각된 건강상태, 웰니스 정도를 알아보고, 웰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G시에 소재하는 300명 이상 규모의 제조업 회사 2곳에 근무하는 생산직 근로자 12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웰니스은 운동 자기효능감, 지각된 건강상태 간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피로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웰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관적 경제상태, 피로, 운동 자기효능감, 주관적 건강상태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웰니스에 대한 설명력은 41.3%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생산직 근로자의 웰니스를 증진시키기 위해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웰니스 프로그램 개발 및 검증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of fatigue, exercise self-efficacy, perceived health, and wellness for production workers,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wellness. Data was collected from 129 workers who worked in 2 manufacturing companies with more than 300 manufacturing companies in G-city.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IBM SPSS statistics 27.0 program. Wellness is related to exercise self-efficacy, perceived health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Fatigue hav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Factors affecting wellness were found to be a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 on perceived economic, fatigue, exercise self-efficacy, and perceived health. It showed an explanatory power of 41.3%.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verify wellness programs that take into account various variables to promote the wellness of production workers.

      • 재한 중국인 고급 취업인력의 여가활동 경험이 한국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왕추 ( Qiuyu Wang ) 한국여가웰니스학회 2014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대학을 졸업하고 현재 한국 기업 또는 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중국인 고급 취업인력이 한국에 정착하면서 문화적응 단계는 어떻게 진행되고, 한국 문화적응 과정 속에서 그들이 참여하는 여가활동이 어떠한 역할을 담당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2013년 7월 22일부터 2013년 11월 24일까지 총 5개월에 걸쳐 진행되었다. 심층면담과 참여관찰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515개의 개념어가 도출되었으며, 이 개념어에 근거하여 다시 2개의 상위범주 및 11개의 하위범주로 나뉘어졌다. 상위범주는 중국인 고급 취업인력의 문화적응 단계와 한국 문화적응에서 여가활동의 역할을 살펴보았고, 하위범주는 밀월기, 문화충격기, 적응기, 숙달기, 건강 유지, 가족 유대 증진, 사회적 관계 증진, 자기개발, 심리적 안정, 정보 공유 및 수집, 부정적인 역할 등을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hinese high-quality human resources, who graduate from university in South Korea and is currently working company or school in South Korea, process of settlement in South Korea and cultural adjustment process of South Korea and how leisure experiences participation impact on their adjustment. This study took 5 months, starting from July 22nd, 2013 to November 24th, 2013. During the interviews and participants observation, total of 515 key concepts was draw, and based on these key concepts 2 upper categories and 11 subcategories are divided. Upper category includes steps of cultural adapting and role of participating in the leisure activity experiences by Chinese high-quality human resources in Korea. Subcategory includes stage of; honeymoon, cultural shock, adjustment, mastery, maintain health, enhancement of family relationship, enhancement of social relationship, self-development, mental stability, sharing information, collecting data, and negative role.

      • KCI등재

        한·중 우수 여자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의 무릎 관절 등속성 근력 비교

        전용균,김선영,진선유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한국 여자 쇼트트랙 선수와 중국 여자 쇼트트랙 선수의 무릎 관절의 등속성 능력을 비교 분석하고, 여자 쇼트트랙 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데이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중국 헤이룽장성 팀의 여자 쇼트트랙 선수(n=10)와 한국 우수 여자 쇼트트랙 선수(n=10)였다. 무릎 관절의 등속성 근육 기능 측정 장치는 Cybex HUMAC NORM이며, 각 측정 변수의 측정 결과와 그룹별 측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대근력의 오른쪽 신근력과 굴근력은 한국선수집단이 더 크게 나타나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p<.05)(p<.05), 최대근력의 왼쪽 신근력과 굴근력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 최대근력의 오른쪽, 왼쪽 신근력과 굴근력은 한국선수집단이 더 크게 나타났으나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평균파워의 오른쪽과 왼쪽 신근력과 굴근력은 한국선수집단이 더 크게 나타나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p<.05)(p<.05)(p<.05). 상대 평균파워 오른쪽 신근력과 굴근력은 한국선수 집단이 더 크게 나타났으나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집단간 유의한 차이는 오른쪽 굴근력에서만 나타났다(p<.05).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isokinetic strength of knee joints of Korean female short track speed skaters and Chinese female short track speed skaters, and to present data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female short track speed skat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emale short track speed skating players(n=10)and Korean female short track speed skating players(n=10) of Heilongjiang Province team in China. The isokinetic muscle function measurement device of knee joint is Cybex HUMAC NORM, and the measurement results of each measurement variable and the measurement results by group are as follows. First, The right extensor and flexor of maximal strength were larger in the Korean athlete group, indica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p<.05)(p<.05), but the left extensor and flexor of maximal force were significant between groups. It appear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The right and left extensor strength and flexion strength of the relative maximal strength were larger in the Korean athlete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Second, The average power of right and left extensor and flexion strength was larger in the Korean athlete group, indica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p<.05)(p<.05)(p<.05)(p<.05). The relative average power of the right extensor and flexion strength was greater in the Korean athlete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as found only in the right flexion strength(p<.05).

      • 글로벌시대 창조농업으로 웰니스 주도하자

        조은기 한국웰니스경영학회 2013 한국웰니스경영연구 Vol.1 No.1

        최근 한·미 FTA 발효와 한·중 FTA 추진 사전 협상 등 글로벌 시대 세계는 자국의 이익에 따라 자유무역 협정을 맺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늘 농업분야는 피해대책을 강구해야만 했고 국내 산업간 정부와 농업인간 갈등이 존재해왔다. 한국 농업은 과연 글로벌 시대 길은 없는 가? 여기에 길을 열어보고자 한다. 그 동안 미국, 캐나다, 멕시코, 브라질, 일본, 중국, 인도, 스페인, 네덜란드, 뉴질랜드, 북한, 프랑스, 영국, 말레이시아, 태국, 오스트리아, 독일, 체코, 폴란드, 캄보디아, 베트 남,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30개국을 방문하거나 조사하여 농업 정책과 인력, 기술 현장의 과제를 토대로 조망된 것입니다.

      • KCI등재

        생활체육 태권도장 지도자의 웰니스 인식 연구

        김수정(Kim, Soo-Jung) 한국웰니스학회 2015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체육지도자로 수련생을 지도하고, 일선현장에서 국민건강을 책임지고 있는 태권도장 지도자들의 웰니스에 대한 인식된 상태를 온전히 이끌어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에 참여자들은 30대부터 50대까지 일선에서 10년 이상의 경력을가진 4명의 지도자들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질적연구의 하나인 심층면담기법을 사용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고연구에 참여한 지도자들의 경험된 사례를 기술하고 설명함으로써 더 큰 이해와 의미를 얻는데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구성된 면담자료를 분석하여 웰니스 인식에 대한 3개의 상위주제와 4개의 하위주제를 얻게 되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도자들의 다양한 웰니스 인식” 이며, 그에 따른 하위주제는 “인식의 차이”(올바른 인식과 잘못된 인식)이다. 둘째, “현장 지도자의 웰니스활동”으로 하위주제는 “동호회활동과 개인운동으로 자기만족을 얻는 사례”, “식습관이나 약품을 통한 자기만족”이다. 셋째, “자각하는 웰니스의 중요성과 필요성”으로 결과구분 되었다. This research aimed to improve the recognition of wellness by the Taekwondo instructors to the full, who instruct trainees as sports for all instructors and take charge of public health in the field.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participants composed of four instructors with over 10 years of field experiences from the thirties to fifties.This research aimed to seek for a bigger understanding and significance by conducting the case study using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es, in-depth interview, and describing and explaining th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ting instructors.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 drew the following three superordinate and four subordinate subjects on recognition of wellness: The first superordinate subject was “various recognition of wellness by instructors” and its subordinate subject was “difference in recognition” (right and wrong recognitions). The second superordinate subject was “wellness activities of field instructors” and its subordinate subject was “self-satisfaction cases with club activities and individual exercise”, and “self-satisfaction through diet and medicine.” The third superordinate was “importance and necessity of self-aware wellness”.

      • KCI등재후보

        지각된 웰니스 지수활용을 위한 다차원구성개념의 이해

        차윤석 한국웰니스학회 201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7 No.4

        일하고 싶은 직장의 핵심개념 중의 하나인 지각된 웰니스는 5가지 하위요소로 구성되어 있다(Adams, Bezner, Garner, & Woodruff, 1998). 그러나 이러한 지각된 웰니스 구성개념을 고려해 볼 때, 웰니스의 지수(수준)를 단일차원구성개념으로 해석할 것인지 아니면 다차원구성개념으로 해석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 없이 현재는 단일차원의 합산모형으로 그 결과를 해석하고 활용해 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하위차원으로 구성되어 있는 웰니스의 지수(수준)를 다차원구성개념으로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Law, Wong, & Mobley(1998)이 제시한 개념적 접근을 토대로 제시하였다. 결론으로 웰니스 지수(수준)를 활용하는데 있어 보다 풍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웰니스 지수의 다차원구성개념으로서의 해석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Perceived wellness, as one of the key constructs of 'great workplace: GWP', consists of five constructs(Adams, Bezner, Garner, & Woodruff, 1998). However, taking into account the multidimensional construct of perceived wellness, without having any consensus on whether the index(level) of perceived wellness should be considered as single dimensional construct of multidimensional construct, perceived wellness has been understood as single dimensional construct. Therefore, I reviewed the possibility of multidimensional construct of perceived wellness in terms of interpretation of wellness index(level) by using conceptual framework of Law, Wong, & Mobley(1998). Consequentially, I proposed multidimensional construct of wellness index(level) to get more useful and meaning information in terms of operating wellness programs.

      • KCI등재

        제주도 웰니스관광 활동에 대한 관광객의 중요도-만족도 연구

        정헌규(Jeong, Heonkyu)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도를 방문하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웰니스관광 활동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주도 웰니스관광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웰니스 관광 활동을 5가지 활동 요인으로 구분하고 세부 활동 요인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세부 활동 요인을 활용하여 작성된 설문지를 통하여 제주도에서 웰니스관광을 경험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표본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표본데이터를 활용하여 남성관광객과 여성관광객의 차이분석과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제주도내 웰니스관광 활동 중 자연치유 활동은 높은 중요도와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는 활동요인이었고 이와 반대로 심리적 활동은 낮은 중요도와 낮은 만족도를 보여주는 활동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남성관광객과 여성관광객에 대한 분석 결과 두 그룹은 제주도내 웰니스 관광 활동에 대한 인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중요도-만족도 분석에서는 심리적 활동과 온천 부분에서 큰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제주도의 웰니스관광 활성화를 위하여 집중해야 할 활동이 자연치유 활동이라는 점을 제시하고 이를 중심으로 관련 정책을 수립하여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또한 웰니스관광과 관련된 마케팅 전략 수립 시 남성관광객과 여성관광객의 차이를 고려하여야 하며 특히 온천과 관련된 웰니스관광 활동에 대해서는 남성관광객과 여성관광객에게 서로 다른 전략을 구사해야한다고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wellness tourism activities for tourists visiting Jeju Island, based on this, it is to draw implications for wellness tourism in Jeju Islan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ivided wellness tourism activities into 5 activity factor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derived detailed activity factors. In addition, sample data were collected from tourists who experienced wellness tourism in Jeju Island through a questionnaire prepared using the derived detailed activity factors. Using these sample data, a difference analysis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were conducted between male and female tourists.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natural healing activities among wellness tourism activities in Jeju Island were activity factors showing high importance and high preformance. On the contrary, psychological activity was found to be an activity factor showing low importance and low preformance.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male and female tourists, it was confirmed that the two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perception of wellness tourism activities in Jeju Island. Also, in the importance-preformanc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psychological activity and hot spring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activities to focus on to vitalize wellness tourism in Jeju Island are natural healing activities, and related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is. In addition, when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related to wellness tourism,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tourists should be considered. In particular, it was suggested that different strategies should be used for male and female tourists for wellness tourism activities related to hot spr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