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부 안정화 운동이 여자대학생의 척추측만도, 심부근 면적, 근기능 및 요통지수에 미치는 영향

        이정석 ( J. S. Lee ),소용석 ( Y. S. So ),김미자 ( M. J. Kim ),문성진 ( S. J. Moon ),장성동 ( S. D. Jang ),김영준 ( Y. J. Kim ) 한국운동생리학회(구-한국운동과학회) 2011 운동과학 Vol.20 No.1

        본 연구는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요부 안정화 운동이 체간의 심부근인 다열근의 면적증가, 콥스각의 변화 및 주관적 통증지수(VAS)의 상호연관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여자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척추 X-ray 촬영하여 Cobb`s 각에 이상이 있는 체형불균형으로 진단된 20명을 운동군 12명과 대조군 8명으로 분류하였다. 운동 프로그램은 8주간, 주 3회, 운동 강도는 1~4주는 40~50% HRR, 4~8주는 50~60% HRR, 운동시간은 1회 90분 실시하였다. 측정항목은 심부근 면적, 척추측만도, 요통지수, 등속성 운동에 의한 근기능 검사와 상호연관성을 검사 하였다. 다열근 면적은 운동군에서 시기 간에 L1과 L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집단 간의 비교에서는 L5(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요통지수는 시기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났으며, 등속성 운동에 의한 근기능 검사에서는 집단 간에 최대근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중 다열근 면적의 증가는 척추측만각도를 감소시킴으로서 요통 통증지수의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요부 안정화 운동은 척추측만도, 심부근육면적, 요통지수 및 근기능 개선에 효과적인 운동으로, 체형불균형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병적 요인들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in the multifidus area, the Cobb`s angle and correlations of subjective VAS in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had participated in a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Thirty female university students aged 20-24 were taken spinal X-ray. Twenty who have abnormal Cobb`s angle were diagnosed as an imbalance in their body and they were sorted into exercise group(n=12) and control group(n=8). The exercise program was proceeded for 8 weeks, 3 times/week and 90 minutes/time. The intensity of exercise were 40-50% HRR during 1-4 weeks, 50-60% HRR during 4-8 weeks. Deep muscle area, scoliosis, VAS, and Cobb`s angle were measured. The effects of muscular function test and correlation of the measurements were tested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rea between the time of the multifidus muscle L1(left, right) and L5(left, right) in appearance. And in comparisons with among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5 multifidus muscle.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in VAS of exercise group. In case of the muscular function test by Isokinetic exercise, meaningful differences in peak torque were founded among the groups. And also,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groups as well. In conclusion,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s have positive effects on cobb`s angle, multifidus area, VAS and the improvement of muscular function. As the significant correlation was appeared between increases of multifidus area and decreases of VAS, it is possible to reduce pathological factors which appeared in the imbalances through increases of deep muscle by high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 KCI등재

        최대 운동 후 비만 청소년의 심폐기능과 심박수 회복 반응

        김병로 ( Byung Roe Kim ),강설중 ( Seol Jung Kang ),이동규 ( Dong Kyu Lee ) 한국운동생리학회(구-한국운동과학회) 2010 운동과학 Vol.19 No.1

        본 연구는 최대 운동 후 비만 청소년의 심폐기능과 심박수 회복 반응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남자 중학생 중 비만군(n=10), 정상체중을 유지하는 일반군(n=10), 그리고 운동군(n=10)으로 구분하여 Bruce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최대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관찰 변인은 최대 산소섭취량, 안정시 심박수, 최대 심박수, 산소맥 및 심박수 회복 반응 등이었다. 이들 변인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심폐기능에서 최대산소섭취량은 운동군, 일반군, 비만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안정시 심박수는 운동군, 일반군, 비만군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최대 심박수는 집단별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산소맥은 운동군, 일반군, 비만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심박수 회복 반응에서 회복기 1분, 2분, 3분대 심박수 회복은 운동군과 일반군이 비만군에 비해 빠르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비만 청소년은 일반 학생과 운동을 실시한 학생들에 비하여 심폐기능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대 운동 후 심박수 회복 반응의 지연현상도 발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sponse of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heart rate recovery of obese adolescent after graded maximal exercise.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obese group(n=10), normal weight group(n=10) and exercise group(n=10) in middle school students. Each groups completed an graded maximal exercise with Bruce protoco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VO2max of normal weight group, exercis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bese group, HRrest of normal weight group, exercise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obese group. But HRmax was not significantly among obese group, normal weight group, and exercise group. O2 pulse of normal weight group, exercise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obese group. Second, Heart rate recovery response of normal weight and exercise group in 1min, 2min and 3min after maximal exercis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bese group. In conclusion, The cardiopulmonary function of obese adolescent students was lower than that of normal and exercise group. Also, There were a delayed heart rate recovery response after maximal exercise in obese group.

      • KCI등재

        장기간의 복합운동이 남녀 뇌졸중 환자의 심혈관 위험요인과 산화스트레스 관련 지표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신윤아 ( Y. A. Kim ),김효중 ( H. J. Kim ) 한국운동생리학회(구-한국운동과학회) 2010 운동과학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뇌졸중 환자들에게 장기간의 복합운동을 실시한 후 성별에 따른 심혈관 위험요인과 산화스트레스 지표 변화에 대한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하고, 심혈관 위험요인과 산화스트레스 관련지표의 관련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남성 편마비 환자 27명과 여성 편마비 환자 23명으로 총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유산소 운동 강도는 70%HRmax, 13~14RPE의 강도에서 고정식 자전거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근력 운동은 8개의 대근육군을 중심으로 한 종목당 10~15RM으로 1RM의 65~75% 강도에서 운동을 실시하였다. 운동 프로그램은 24주간 주3회, 준비운동 5분, 본 운동 80분, 정리운동 5분으로 총 90분간 실시하였다. 24주간 복합 운동 후 뇌졸중 환자들의 체중(p<.05), WHR(p<.001) 및 총콜레스테롤(p<.01)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HDL-C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1). 또한 ox-LDL, ox-LDL/LDL (p<.001)과 ferritin 수준(p=.053)이 감소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성별에 따른 변화량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ox-LDL은 총콜레스테롤(r=.575, p<.001) 및 중성지방(r=.338, p<.05)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ox-LDL/LDL은 중성지방(r=.476,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Ferritin은 체중(r=.409, p<.01), 체질량지수(r=.316, p<.05), 및 공복시 혈당수준(r=.458, p<.005)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CRP는 체중(r=.292, p<.05), 체질량지수(r=.359, p<.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산화스트레스의 지표들은 ferritin과 CRP 수준(r=.298, p<.05)이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산화스트레스 관련 지표들은 심혈관질환의 위험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남성 뇌졸중 환자들이 더 높은 관련성을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본 연구에서 실시한 장기간의 복합운동은 뇌졸중 환자들의 심혈관 위험요인과 산화스트레스 관련 지표들을 감소시키고, 뇌졸중 재발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24weeks aerobic and resistance combined exercise training o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oxidative stress in stroke patients and the association betwee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markers of oxidative stress. Fifty stroke patients(male: 27, female: 23) volunteered for this study.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in a supervised training program for 24 weeks(3days a week, warm-up 5minutes, exercise 80minutes, and colo-down 5minutes) consisting of aerobic exercise(75% HRmax, 13~14RPE) and resistance exercise(65~75% RM, 10~15RM). After exercise training, body weight(p<.05), WHR(p<.001), and total cholesterol(p<.01)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exercise groups. High density lipoprotein levels(p<.05)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 number(p<.01)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exercise training. Ox-LDL, ox-LDL/LDL(p<.001) and ferritin concentrations(p=.053) were significantly after exercise training.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roke patients. Totally,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x-LDL, total cholesterol(r=.575, p<.001) and triglyceride(r=.338, p<.05) was observed. The ox-LDL/LDL wer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riglyceride(r=.476, p<.001). Ferritin concentration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body weight(r=.409, p<.01), body mass index(r=.316, p<.05), and fasting glucose levels(r=.458, p<.005) and CRP levels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body weight(r=.292, p<.05) and body mass index(r=.359, p<.01). Moreover, ferritin concentration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RP levels(r=.298, p<.05).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markers of oxidative stress affect th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especially in male stroke patients. Taken together, the aerobic and resistance combined exercise programs were effect on the reduction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oxidative stress and the prevent of recurrent stroke.

      • KCI등재

        운동 중 혈액젖산 측정 방법의 비교

        신영호 ( Young Ho Shin ),강호율 ( Ho Youl Kang )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4 운동과학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젖산분석법을 운동 중 채취한 혈액에서 서로 비교하고 차이점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는 D광역시 거주하는 신체 건강한 남자 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실험 7일 전 운동강도 설정을 위해 에르고미터를 이용한 최대산소섭취량을 측정하였다. 모든 연구대상자는 최대산소 섭취량의 40%, 60%, 80%에서 각 10분간 총 30분간 운동을 실시한 후 편안한 자세로 회복기 5분 동안 실험실에서 안정을 취하였다. 혈액은 운동전, 운동 중(40%, 60%, 80%), 회복기 5분에 채취하였다. 채혈한 혈액 중 500 μl는 8% PCA가 담겨있는 Tube에 담아 분석 전까지 보관하였으며 500 μl는 자동젖산분석기 YSI-1500을 이용하여 즉시 젖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나머지 혈액은 응고방지를 위해 헤파린 튜브에 담아 원심분리(3000 g × 20 min)후 혈장만을 분석 전까지 ?70 ℃ 초저냉동고에 보관하였다. 젖산농도는 전혈과 혈장 샘플을 이용하여 자동분석기기(YSI-전혈, YSI-혈장)와 효소법(8% PCA-전혈, 8% PCA-혈장)으로 측정하였다. 혈중 8% PCA-전혈의 젖산농도는 다른 세 가지 방법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러한 차이는 운동중 hemoconcentration effect, 적혈구 헤마토크리트 그리고 혈액샘플 내 적혈구의 젖산 생성과 관련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고강도 운동 시 젖산농도의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젖산분석방법이 정확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compare lactate concentrations determined by different analysis methods during graded ergometer exercise. Ten college male students living in a D metropolitan city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fter determining the maximal oxygen consumption 7 days prior to an experimental day, all subjects performed ergometer exercises at 40%, 60%, and 80% for 10 minutes, respectively. Blood samples at rest were drawn from the antecubital vein at the last exercise points, and the 5-min recovery point. Five hundred μl of whole blood was deprotenized with 8% perchloric acid and another 500 μl of whole blood was stored in ice water for auto lactate analysis at the YSI 1500. Eight ml of whole blood was centrifuged to separate the plasma portion for the further lactate analysis at 3,000 g for 20 minutes. Lactate levels were determined by either enzymatic method (8% PCA-blood, 8% PCA-plasma) or auto lactate analyzer (YSI-blood, YSI-plasma) from the whole blood and plasma samples, respectively. The lactate concentrations of 8% PCA-bloo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other methods (8% PCA-plasma, YSI-blood, YSI-plasma) (p<0.05). These differences may result from one of the following factors including the hemoconcentration effect during exercise, hematocrit effect due to red blood cell portion, and the lactate production from the red blood cell of sample.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methods of lactate analysis need to be carefully elucidated for accurate evaluation of lactate concentration during intense exercise.

      • KCI등재

        다른 강도의 일회성운동이 염증인자 및 CK에 미치는 영향

        고성경 ( Seong Kyeong Ko ),류호상 ( Ho Sang Yoo ),권영우 ( Yeung Woo Kwon ),안나영 ( Na Young Ahn ),김진형 ( Jin Heung Kim ),권광선 ( Kwang Sun Kwon ),김권섭 ( Kwon Sup Kim )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1 운동과학 Vol.20 No.4

        고성경, 권영우, 류호상, 안나영, 김진형, 권광선, 김권섭. 다른 강도의 일회성운동이 염증인자 및 CK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20권 제4호. 367-378, 2011. 본 연구는 일반여성의 다른 강도의 운동이 염증인자인 CRP, 백혈구, 백혈구아형와 근육손상인자인 CK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11명의 여성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최대심박수의 65%와 최대심박수의 80%의 운동을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연구대상들은 각각 250~300 kcal와 동일한 운동량을 수행하였다. 분석을 위한 채혈은 안정 시, 운동직후, 24시간 회복기에 이루어졌다. 결과 CRP의 경우 최대심박수의 80%에서 운동 후 안정 시에 비하여 회복기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 상호작용효과는 없었다. 백혈구의 경우 일회성운동직후 증가하였으며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 높은강도의 운동처치가 더욱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회복기에는 모두 안정 시 수준을 회복하였다. 백혈구아형의 경우 두 처치 모두 운동직후 유의하게 증가하여 회복기에 감소하였다. 그렇지만 상호작용효과는 없었다. 근 손상지표인 CK의 경우 두 처치 모두 안정 시에 비하여 운동직후와 회복기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상호작용효과는 없었다. Ko, S. K., Yoo, H. S., Kwon, Y. W., Ahn, N, Y., Kim, J. H., Kwon, K. S., Kim, K. S. The effects of different exercise intensity on blood inflammatory and CK concentration. Exercise Science. 20(4): 367-378, 20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exercise intensity on blood CRP, WBC, WBC subsets and CK concentration. Eleven females (age 27.3±4.38, weight 58.2±4.92)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performed 65% HRmax and 80% HRmax by treadmill. Subjects performed an isoenergetic bout of exercise equal to 250~300 kcal. Blood samples extracted from pre, immediately after exercise and recovery period (24 hour later). No significant increase was founded in serum CRP concentration after immediately exercise in both treatment. There are significant increase in CRP from baseline to 24 h post-exercise for 80% HRmax but there are no significant interaction with 65% HRmax. Blood WBC concentr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immediately after exercise and such exercise induced increase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80% HRmax exercise than 65% HRmax. Blood neutrophil, lymphocyte and monocyte concentr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immediately after exercise and returned baseline value at recovery perio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with different exercise intensity. Blood CK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mmediately after exercise in contrast to pre exercise value in both treatment and continued to the recovery perio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with different exercise intensity.

      • KCI등재

        식이유도 비만 생쥐의 식이제한과 운동처치 후 대식세포와 단핵구의 IL-6 및 TNF-α생성의 변화

        김기진 ( Ki Jin Kim ) 한국운동생리학회(구-한국운동과학회) 2010 운동과학 Vol.19 No.2

        본 연구는 6주간 식이조절에 의해서 유발된 비만상태의 수컷 생쥐(C57Bl/6)를 대상으로 8주간에 걸친 탄수화물 섭취량 변화를 중심으로 한 식이제한 및 트레드밀을 이용한 운동요법을 적용하여 면역기능과 관련된 혈액세포변인의 변화와 함께 리포다당복합체 자극에 대한 복강내 대식세포의 IL-6 및 TNF-α 분비능력을 분석하여 비만상태에 의해서 저하된 면역기능 개선효과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이제한 혹은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비만처치를 실시한 그룹은 모두 현저하게 감소된 체중을 나타냄으로써 처치효과가 일정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식이제한 그룹이 현저한 체중감소를 나타냄으로서 체중감소에는 식이제한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이에 반해서 운동그룹과 식이제한 및 운동처치를 병행한 그룹은 비만유도 후 일반식이 통제그룹보다 낮은 체중을 나타냈으나 유의한 체중차이를 나타내지 않음으로서 운동프로그램의 적용이 체중감소효과에는 식이제한방법보다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둘째, 식이처치에 의한 비만유도의 생쥐에서 과도한 지방섭취에 의한 비만상태는 말초혈액의 T-임파구를 중심으로 한 면역관련 세포의 감소를 초래하며 비만처치에 의한 체중감소는 말초혈액의 임파구 및 T-임파구 증가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된다. 셋째, 과도한 지방식이 섭취에 의한 비만유도는 대식세포에서의 LPS 자극에 대한 사이토카인 분비능력이 저하되며, 식이제한 및 운동프로그램 적용에 의한 비만처치 시 대식세포에서 LPS 자극에 대한 TNF-α 및 IL-6의 분비량이 현저히 증가하여 면역기능의 개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간주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he analysis of blood cell numbers related immune function and lipopolysaccharide (LPS) stimulated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 (TNF)-α and interleukin (IL)-6 by retroperitoneal macrophage in diet-induced obesity and obesity intervention of male C57Bl/6 mice. Diet-induced obesity was fed a high-fat or a standard chow diet for 6 weeks, and obesity intervention was drived by treadmill running exercise program or food intake restriction. Test items were measured by blood cell numbers related immune function and LPS stimulated production of TNF-α and IL-6 by retroperitoneal macrophage. Subjects of diet-induced obesity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f body weight as compared to normal diet group. High fat diet (HFD)-diet restriction (DR), HFD-exercise (EX) and HFD-DR-EX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of body weight after 8 week intervention as compared to HFD-HFD group. And HFD-DR showed the highest decrease of body weight among intervention groups. Diet-induced obese groups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of blood cell numbers related immune function, and the intervention groups showed an increase of blood cell numbers related immune function after 8 week intervention. LPS stimulated production of TNF-α by retroperitoneal macrophage in diet-induced obesity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than a ND group, and LPS stimulated production of TNF-α and IL-6 by retroperitoneal macrophage in intervention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after 8 week of food intake restriction or exercise training. In conclusion, diet-induced obesity showed a attenuation of immune function, and improved the blood cell numbers related immune function and LPS stimulated production of TNF-α and IL-6 by retroperitoneal macrophage after exercise intervention and food intake restriction.

      • KCI등재

        폐경 전,후 여성의 운동 및 음주습관에 따른 골밀도와 체력에 관한 연구

        유재현 ( J. H. Yoo ),박은경 ( E. K. Park ),유광욱 ( K. W. Yoo ) 한국운동생리학회(구-한국운동과학회) 2011 운동과학 Vol.20 No.1

        본 연구는 폐경 전·후 여성을 대상으로 운동습관과 음주습관에 따라 골밀도와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운동프로그램에 관련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강원도 C보건소를 내원한 여성 508명(폐경 전 215명, 폐경 후 29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피험자들은 운동습관에 따라 비운동군, 저운동군(주당 2회 이하 운동), 중정도 운동군(주당 3회 이상)으로, 음주습관에 따라서는 비음주군과 음주군(주당 2회 이하 음주)으로 각각 분류하였다. 측정변인은 골밀도와 최대산소섭취량, 체지방률, 악력, 유연성, 민첩성, 평형성으로 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운동습관에 따라서 one-way ANOVA, 음주습관에 따라서 Independent t-test를 각각 실시하였다. 폐경 전의 경우, 운동습관에 따라 유연성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골밀도 및 기타 체력요인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폐경 후의 경우, 골밀도와 체지방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음주습관에 따라서는 폐경 전 음주군이 비음주군에 비하여 골밀도가 낮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폐경 후의 경우, 음주군이 비음주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규칙적인 운동은 골밀도와 체력유지에 도움을 주지만 본 연구에 비추어 볼 때, 성별, 연령별 특성을 고려한 운동목적의 설정과 교육 및 홍보가 필요하다고 사료되어진다.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mparison of bone mineral density and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induced exercise & drinking habits on pre and post-menopause of female. Using a cross-sectional approach, we studied 508 women(respectively, pre menopausal 215, post menopausal 293) who visited the C health center at Kangwon-Do.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depended on exercise habit(sedentary, exercise less than twice a week and more than three time a week) also, 2 groups depended on drinking habit(not drink and drink less than twice a week), respectively. We measured bone mineral density and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One-way ANOVA were used to assess differences among 3 groups divided on exercise habits. Independent t-test were used to assess differences between drinkers and non-drinkers. Significance was accepted at p<.05. In pre-menopause, exclude sit & reach, physical fitness and BM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exercise habits. Also, comparing with the non-drinkers, the drinker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ne mineral density and physical fitness levels. In post-menopause, BMD and % of body f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exercise habits. Also, bone mineral density of drinkers showed a higher tendency than non-drinkers, but physical fitnes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This study suggests that regular exercise can improve bone health by increasing bone mass or preventing age-related bone loss. Also, low intake of alcohol in pre-menopausal women may have decreased the bone mineral density, but in post-menopausal women may prevent decreasing of bone mineral density.

      • KCI등재

        저항성 운동이 고혈압 전단계 및 고혈압 환자의 24시간 활동성 혈압에 미치는 효과

        윤은선 ( Eun Sun Yoon ),정수진 ( Su Jeen Jung ),정솔지 ( Sol Ji Jung ),노동인 ( Dong In Roh ),제세영 ( Sae Young Jae ) 한국운동생리학회(구-한국운동과학회) 2010 운동과학 Vol.19 No.2

        본 연구에서는 약물 치료를 받고 있지 않는 고혈압 전단계 및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저항성 운동이 24시간 활동성 혈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약물을 복용하고 있지 않은 고혈압 전단계와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나이는 62±6세였다. 모집된 총 17명을 대상으로 운동군(n=11)과 통제군(n=6)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운동군은 1RM의 40~60% 강도로 총 9종목의 저항성 운동을 12회 반복횟수로 2세트, 주 3회, 12주간 실시하였다. 통제군은 동일기간 저항성 운동에 참여하지 않았으며, 평소 생활습관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운동군과 통제군 모두 운동 프로그램 참가 전, 후에 신체계측, 최대근력검사, 운동부하검사, 혈중지질 및 인슐린 저항성, 임상혈압 및 24시간 활동성 혈압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최대근력 검사 중 chest press가운동군이 통제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20). 그러나 신체계측 지표, 혈중지질 및 인슐린 저항성, 최대산소섭취량에서 시기와 집단간의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상완동맥 수축기혈압과 이완기 혈압 모두 감소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24시간 활동성 혈압은 일일평균혈압, 주간혈압, 수면시 혈압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에서는 저항성 운동이 고혈압 환자의 임상혈압과 24시간 활동성 혈압을 유의하게 개선시키지 못하였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sistance exercise in untreated pre and hypertensive subjects. Twenty-three subjects(62±6yrs) with pre and hypertension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ercise group(n=11) and a control group(n=6). Exercise group was performed the supervised resistance exercise program with low to moderate intensity(40~60% of 1 RM), 12 repetitions, 2sets, 3 times per week, for 12weeks. Body composition, lipid profiles, insulin resistance, cardiorespiratory fitness, 1 RM test, clinical blood pressure and 24 hour ambulatory pressure were measured at baseline and after 12 weeks intervention. Chest press of 1 RM tes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exercise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p=0.020).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body composition, lipid profiles, insulin resistance, and cardiorespiratory fitness. Clinical blood pressure tended to decrease in exercise group, but 24 hour ambulatory blood pressure was not changed. In conclusion, resistance exercise did not improve clinical and 24 hour ambulatory blood pressure in untreated pre and hypertensive subjects.

      • KCI등재

        트레드밀 운동에 의한 MAPK 관련 전사인자의 활성화가 축삭 재생과 탈신경된 가자미근의 비대에 미치는 효과

        윤진환 ( Jin Hwan Yoon ),정일규 ( Il Gyu Jeong ),김연희 ( Yeon Hee Kim ) 한국운동생리학회(구-한국운동과학회) 2010 운동과학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에 의한 Erk1/2와 c-Jun 경로의 활성화가 축삭 재생과 탈신경된 가자미근의 비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총 180마리의 S.D계 쥐들을 무작위로 3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통제 그룹(n=60), 좌골신경 손상 후 비운동 그룹(n=60, 좌골신경 손상 1, 3, 7, 14, 21, 그리고 28일 후 비운동 그룹) 그리고 좌골신경 손상 후 트레드밀 운동그룹(n=60, 좌골신경 손상 1, 3, 7, 14, 21, 그리고 28일 후 운동 그룹)이다. 손상 2일 후 운동 그룹에 쥐들은 하루에 30분씩 하루에 한번 주 5일 동안 트레드밀 달리기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트레드밀 운동이 비운동 그룹보다 손상 14일 후부터 10mm 원위부에서의 축삭재생이 증가하였고, 손상 28일에는 GAP-43 단백질의 발현이 촉진되었다. p-Erk1/2 and p-c-Jun의 발현 수준은 손상 3 그리고 7일 후비운동 그룹에 비해 운동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좌골신경 손상 21일 그리고 28일 후 트레드밀 운동은 가자미근의 위축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골격근의 횡단면적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트레드밀 운동에 의해 증가된 p-Erk1/2 and p-c-Jun은 좌골신경 손상 후 축삭의 재생과 골격근의 비대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ercise-activated ErK1/2 and c-Jun pathway on axonal regeneration and hypertrophy of denervated soleus muscle.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rol group(n=60), sedentary group after sciatic nerve injury(n=60), sedentary group 1, 3, 7, 14, 21, and 28 after injury) and treadmill exercise group after sciatic nerve injury(n=60, exercise group 1, 3, 7, 14, 21, and 28 after injury). Two days after injury, animals in the exercise group were forced to run on treadmill for 30 min once a day for 5 consecutive days. present result demonstrated that treadmill exercise further increased axonal regrowth in the region 10 mm distal to the injury site from 14 days post injury and upregulated GAP-43 induction levels than those in the sedentary group 28 days after injury. expression levels of p-Erk1/2 and p-c-Ju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readmill training compared to the sedentary group 3 and 7 days after injury. Treadmill exercise after sciatic nerve injury not only prevented atrophy of the soleus muscle but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cross-sectional area of the skeletal muscle at 21 and 28 days. The present data suggest that increased p-Erk1/2 and p-c-Jun by treadmill exercise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axonal regeneration and skeletal muscle hypertrophy after sciatic nerve injury.

      • KCI등재

        콩 단백질 섭취 및 트레드밀 운동이 난소절제 흰쥐의 신체구성, 혈중 대사변인, 에스트라디올 농도 및 에스트로겐 수용체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김기진 ( K. J. Kim ) 한국운동생리학회(구-한국운동과학회) 2012 운동과학 Vol.21 No.2

        본 연구는 폐경에 따른 에스트로겐 대사의 부정적인 영향의 방지 및 처치를 위한 효율적인 대체요법으로서 운동과 콩 단백질 추출물 섭취 프로그램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난소 절제하여 폐경과 동일한 상태를 유도한 흰쥐를 대상으로 8주 동안 트레드밀을 이용한 지구성 운동과 콩 단백질 추출물 섭취의 복합적인 처치가 신체구성 및 골밀도, 혈중 에스트라디올농도, 간 조직에서의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유전자 발현양상, 혈중 글루코스, 중성지방, 인슐린 및 CRP 농도 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난소절제그룹은 체중 및 체지방률이 증가하고, 혈중 에스트라디올농도 및 간 조직에서의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였으며, 혈중 중성지방농도는 증가하였다. 8주간의 운동 및 콩 단백질 섭취에 의한 처치 후 에스트라디올농도, 에스트로겐 수용체 및 혈중 변인 등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으나 골밀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난소절제 흰쥐의 8주간 운동 및 콩 단백질 추출물 처치가 에스트로겐 및 지방대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은 확인 되었으나, 운동강도 및 시간, 콩 단백질의 섭취량을 포함한 처치기간 등에 대한 계속적인 검토가 요구된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tried to suggest the applicapability of soy protein supplementation and treadmill running exercise for the replacement theraphy on negative effects to estrogen metabolism in menopause. This study was analyzed the effects of 8 week soy protein supplementation and treadmill running exercise on the changes of body composition, blood concentrations of glucose, insulin, triglycerides, C-reactive protein (CRP) and estradiol, estrogen receptor gene expression of liver in ovariectomized rats. Ovariectomized groups showed the increasing responses of body weight, body fat percentage, and blood concentration of triglycerides, but these groups showed the decreasing responses of blood estradiol level and estrogen receptor gene expression in liver. Ovariectomized groups showed the positive responses of blood concentrations of lipid markers, insulin, estradiol, and estrogen receptor gene expression of liver except bone mineral contents after 8 week soy protein supplementation and treadmill running exercise. I could find the positive effects of 8 week soy protein supplementation and treadmill running exercise on the estrogen and lipid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rats, but this study could not confirmed the detailed replacement program of exercise intensity, duration, and soy protein volume for estrogen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ra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