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 中漢語使用者在"這―"、 "那―"使用上的異同点

        梁敬美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中國硏究所 2002 中國硏究 Vol.30 No.-

        본 논문은 2000년 3월 25일부터 2000년 12월 12일 사이의 3명의 20여명의 한국인과 중국인으로 구성된 7.3시간의 "현장 담화(situated discourse)"를 언어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말뭉치 언어학", "직시(deixis)이론", "담화표지(discourse markers)이론"등에 근거하여 그 속에 나타난 "這-(this-)"와 "那-(that-)" 표현 형식의 21가지 기능을 묘사하고 그 분포를 살펴보았다. 기초가 된 저자의 박사학위논문("這-"와 "那-"의 화용 및 담화기능 연구)" 에 의하면 채집한 담화 속에 나타난 "這-(this-)"와 "那-(that-)"의 기능은 모두 21가지로서 크게 "화용기능", "담화기능", "현장기능"으로 나뉘며, 화용기능에 속하는 것으로는 "공간직시", "사물직시", 성질직시", "시간직시", "담화직시", "대용", "연결"등 7가지가 있고 담화기능에 속하는 것으로는 "정황용", "화제 대비", "화제 도입", "화제전환", "말 뺏어오기", "말 유지하기"등 6가지가 있다. 현장기능에 속하는 것으로는 "단어 찾기", "담화 찾기", "메꾸기"등 3가지 "일반 현장기능"과 "말더듬", "말실수", "인용", "말끊김", "모호"등 5가지 "특수 현장기능" 등이 있다. (단 통계의 경우 하나의 표현형식에 하나의 기능만을 부여함) 본 고의 목적은 한국인과 중국인인 중국어 사용자의 "這-"와 "那-" 사용상의 차이점을 밝히는 데 있다. 중국인의 "這-"와 "那-"의 사용은 這-와 那-자체를 놓고 볼 때 대체로 비대칭적인 양상을 보여 어느 기능이 어느 단어를 사용하게 되는 독특한 경향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또 한국인의 사용 분포와 다른 양상을 띈다. 외국어로 중국어를 말하는 사람(제2언어 습득자, 여기서는 한국인)의 중국어 사용이 모국어 화장의 언어사용과 사뭇 다른 양상을 보이는 이유는 그들의 언어가 아직까지는 계속 변화 상태에 놓여 있는 이중언어의 특징을 반영하기 때문일 것인데, 본 고는 그 초보적 단계로 지사사의 담화표지까지에의 사용을 묘사, 분석하는 데 그 주안점을 두었다. 한중 사용자의 "這-"와 "那-"사용상의 두드러진 차이점은 이미 담화표지로 볼 수 있는 "일반현장기능"에 속하는 "단어 찾기", "담화 찾기", "메꾸기"등 3가지 기능의 경우 중국인은 "這個"를 많이 사용하고 한국인은 "那個"를 많이 사용하는 데, 이의 원인으로 한국인의 입말에서 근칭에 해당하는 지시사 "이"가 담화표지로 많이 사용되지 않는 반면 중칭의 "그"와 원칭의 "저"는 담화표지로 자주 사용되는 현상이 중국어의 사용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았다. 그 밖에 우리는 한국인과 중국인의 "這-"와 "那-"가 사용 중 빈도수가 높은 단어 및 빈도수가 높은 기능을 대조하였는데, 이에서도 몇 가지 다른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Polish Aid for Nor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짐종석(Jong Suck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14 동유럽발칸연구 Vol.38 No.6

        이 논문은 한국전쟁 당시 폴란드가 펼친 대북한 원조를 고찰하는데 있다. 김일성이 스탈린의 승인 하에 전쟁을 시작했으며 한국전쟁이 더 이상 유럽으로 확산되지 않는 동시에 세계대전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사라지면서 폴란드의 북한 원조촬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게다가 북한을 지원하며 협력하는 것이 소련의 정책과 일치하는 것으토 여 기지면서 폴란드에서 다양한 북한 원조 활동이 펼쳐 겼다 한국전쟁 당시 폴란드는 기회 가 있을 때마다 국제무대에서 정치적으로 북한을 지지 했으며, 내부적으로도 북한을 지지하는 이 데올로기 -선전 홍보 활통을 펼쳤다, 이외에도 한국전쟁 당시 폴란드가 북한들 돕기 위해 펼친 세 번째 활동으로 인도주의 원조 활동을 들 수 있다. 북한에 대한 폴란드의 다양한 지원 활동을 종합해보면, 폴란드의 대북 원조는 매우 수준이 높고 포괄적 이며 규모가 컸던 것으로 판단된다. 북한 정권은 종전이 되 는 1953년에 폴란드의 원조가 대북한 원조국가들 전체 에서 3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공식적으로 밝힌 바 있다. The goal of this paper amis to investigate Poland's influence on the Korean War, focusing on Polish aid for North Korea. Poland's increased participations in aiding North Korea could be attributed to its assurance that its alliance with North Korea would play as an important role in supporting the Soviet Union's policies in Asia and the Pacific Region. According to Poland's various supporting activities for North Korea, Poland's assistance for North Korea was high in quality, generous, and comprehensive. As of 1953 when the Korean War was ended, North Korea officially stated that Poland's assistance for North Korea ranked 3rd in the entire foreign assistance North Korea received at that time.

      • KCI등재

        민족적 기원의 역사를 통해본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의 차이 : Perspectives from the History of Ethic Origins

        권혁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1997 국제지역연구 Vol.7 No.4

        2차세계대전후 가장 잔인한 전쟁이라 평가되는 발칸분쟁의 주역인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의 갈등에 관한 연구는 최근 들어 여러 학문분야에서 다양한 각도로 연구되고 있다. 남슬라브 지식인들의 통합 이데올로기였던 19세기 “남슬라브주의(Illyrism)"나, 모든 민족적 차이를 극복하고 하나의 남슬라브인으로 새롭게 태어나고자 호소했던 구(舊)유고연방시절 티토(Tito)의 ”유고슬라비즘(Yugoslavism)"도 두 민족의 이질성을 순화시키지는 못했다. 외세의 침탈기에 민족적 생존을 위해 강요받아진 통합이론은 오히려 두 민족의 갈등만으로 증폭시켰고 결과적으로 두 민족의 비극적인 결별로 이어졌다. 이 연구는 갈등의 원인을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다루지 않은 민족적 기원이라는 새로운 관저에서 연구해 보았다. 발칸에서 남슬라브인의 역사가 시작된후 그 어 떤 이상적인 이데올로기로도 희석시킬 수 없었던 갈등의 밑바탕에는 두 민족의 근원적인 차이가 있다. 두 민족의 근원적 차이에 대한 연구는 슬라브화 이전의 역사로부터 시작해야 된다. 그러나 남슬라브인 이전의 두 민족의 근원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매우 빈약한 상태이며 대부분의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의 역사서도 이 문제를 자세히 다루고 있지 않다. 이 연구는 두 민족의 슬라브화 이전의 민족역사에서 출발하여 두 민족의 슬라브화 과정 발칸에서 남슬라브인의 역사가 시작되며 두 민족의 문화적 차이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사건인 기독교의 전파 과정과 결과를 다루어 보았다. 결론적으로 서로 다른 민족적 기원과 역사, 문화적 토양을 가진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는 분명 서로 다른 민족이다. 두 민족 모두 자신들의 독립국가에서 민족적 정통성과 문화를 펼칠 권리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권리가 다른 민족에 대한 배척과 침탈을 정당화해주지는 않는다.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는 수세기동안을 함께해온 이웃 민족이며 친구이다. 두 민족의 평화적 공존은 서로의 차이점을 인정하고 존중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scholars have been studying in divers aspects the conflict between Serbia and Croatia. which has been regarded ad the cruelest war in the post World War Two period and as the main factor for the complication within the Balkans. This study is trying to examine the causes of their conflict from the ethnic origins with the new approach that has never been tried. On the basis of the conflict that cannot be dilted by any kind of ideal ideology ever since the history of the southern Slavic history began in the Balkans., lie the fundamental differences between those two ethnic groups. The study of the original differences of the two should be started from the history going back to the earlier period than the Balkans became Slavic. Nevertheless, the study on the origins of both ethnics prior to the formation of the Southern Slaves is rare in domestic and abroad. Otherwise, most historical works on Serbia and Croatia hardly deal with this question. Beginning with the study on the pre-Slavic history of the both ethnic groups, then examining their course of Slavic development to launch the Southern Slavic history in the Balkans, this study dealt with the process and result of the propagation of Christianity, which was the most influential event that affected on the formation of cultural differences of the two ethnics. In conclusion, Serbia and Croatia, which have different ethnic origins and history and different cultural texture each other. are certainly different ethnic groups. Therefore, the both have their own rights to hold on to their own ethnic authority and identity within their own independent nation state respectively. However, such rights would not justify to deny and invade the other ethnics. Serbia and Croatia have been good neighbors living

      • KCI등재

        한국어와 폴란드어 장소보어교차 구문 비교 연구

        고승희(Koh, Seung-hui)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3 동유럽발칸연구 Vol.12 No.1

        이 논문에서는 한국어와 폴란드어에서 나타나는 자동사 구문의 한 유형인 장소보어교차 구문을 살펴 보고 그 특성을 비교․대조하였다. 홍재성(1987)은 한국어에서 자동사 장소보어교차 구문은 구조적으로 ‘N0-이/가 N1-에 V’ ↔ ‘N1-이/가 N0-로 V’의 규칙적 대응 관계를 보이며, 이 문형을 허용하는 동사 어휘들은 주로 의성어․의태어와 같은 상징어의 특성을 지님으로 이를 하나의 문장 유형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 러한 장소보어교차 구문은 한국어뿐만 아니라 영어나 불어에도 나타나며, 폴란드어에서도 찾아볼 수 있 다. 한국어와 비교해 보면, 역사적 어원이 다른 두 언어임에도 불구하고 그 동사 어휘의 의미와 각 어휘 에 대한 통사적 환경이 매우 닮아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먼저 한국어 장소보어교차 구문의 유형과 그 특성을 자세히 살펴보고, 폴란드어에서 장소보어교차 구문의 특성을 나타내는 동사 어휘를 일차적으로 추출한 다음 그 동사를 중심으로 어떤 형태로 유형화될 수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또한 그 동사들이 요구하는 필수 논항의 어휘적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한국어 개별 동사 어휘들과의 비교를 통 해 두 언어 간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처럼 두 언어에 나타나는 유사한 구문을 비교 하고 그것을 유형화하는 작업은 종이 사전이나 전자 사전 상에 정확한 문형이나 의미 정보를 기술 가능 하게 하며, 이런 문법 정보는 인간 번역이나 기계 번역시에도 더욱 정확한 결과를 이끌어내는데 유용하 게 사용될 것이다. 이 글에서 전체 장소보어교차 구문의 동사 목록을 모두 다룰 수는 없지만 무엇보다 두 언어 간에 유사한 특성을 지닌 구문들을 찾아보고, 그 통사․ 어휘적 특성을 비교하는 선행 작업이 두 언어 간의 기초적인 언어 데이터 구축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여기서의 비교 분석의 대상은 한 국어에서 자동사 장소보어교차 구문을 형성하는 대표적인 몇몇 동사들을 중심으로 그와 대응되는 폴란 드어 자동사들로 그 범위를 한정한다. The standard/crossed construction is a type of intransitive phrase in Korean and Polish. In this paper, I have looked into the structure of standard/crossed constructions as well as their compared and contrasted characteristics between two languages. Hong Jae-Seong (1987) said that standard/crossed constructions in Korean show the regular correspondence of 'N0-이/가 N1-에 V' ↔ 'N1-이/가 N0-로 V' in structure, and since the verbs that allow this sentence pattern have semantical characteristics, such as onomatopoeia and mimesis. Such standard/crossed constructions are founded not only in Korean but English and French, and also could be found in Polish. Through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Polish, I was able to know that the meaning of words and syntactic environments of each lexicon are similar, although Korean and Polish have different historic etymology. In chapter 2, I have looked into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standard/crossed constructions. Basic on this, I have extracted verbs that exhibit the characteristics of standard/crossed constructions in Polish language and looked into their syntactic forms and lexical characteristics in chapter 3. As the result, they showed N0 V prep N1 ↔ N1 V N0-I/od N0-G in structure and in meaning. Verbs with similar meanings to those of Korean have the properties of standard/crossed constructions. In chapter 4, I have compared and contrasted standard/crossed constructions in intransitive verbs in Korean with the corresponding verbs in Polish.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two language's individual verbs, I have studied their similarity and difference. As seen above, the typological process of the similar phrases in two languages enables to state precise information about construction and meaning on printed or electronic bilingual dictionaries. This grammatical information will be useful in deriving more precise result in human or mechanical translation. Above all, I believe that this will be helpful the process of building basic language data between the two languages.

      • KCI등재
      • 분산 환경을 지원하는 CHILL Run Time System의 개발

        김정국,한영렬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부설 기초과학연구소 1996 기초과학연구 Vol.4 No.-

        전전자 교환기(TDX) 소프트웨어 개발용 병행 프로그래밍 언어인 CHILL의 프로그램 개발환경은 CHILL 컴파일러, CHILL 설계 명세 및 문서화를 위한 SDL, 및 CHILL 프로그램 수행 시 프로세스 스케줄링 및 프로세스간 통신 도구를 제공해 주는 CRS(CHILL Run Time System) 으로 구성되는데 개발 환경의 표준 권고 안은 CCITT에서 제정하였고[1-3] 이의 국내에서의 개발은 한국전자통신연구소에 의해 이루어졌다[ETRI-CRS 7-13]. ETRI-CRS는 병행 프로그램과 CHILL프로세스간 동기화 및 통신도구를 제공하는 일종의 모의 커널로 UNIX 운영체제와 CHILL 프로그램 사이에 존재하여 동기화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ETRI-CRS의 수행 방식은 여러 개의 CHILL 프로세스를 하나의 UNIX 프로세스로 생성 관리하는 모의 병행 시스템으로 실질적 병행성을 제공하지는 못하였다. 그 후 한국전자통신연구소는 한국외국어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와의 위탁 과제[1991-92] "통신 시스템의 애니메이션 시스템의 구현"에서 CHILL의 각 프로세스를 각각 실제의 병행 프로세스로 생성하여 물리적 병행성을 제공하는 HUFS-CRS를[4-6] 개발하였다. HUFS-CRS는 기존 CRS와 호환성이 있지만 몇 가지 성능향상이 필요한 부분이 사용자들에 의해 제기되었는 데 이는 근거리망 분산환경에서의 CHILL 프로그램 수행의 제공이다. 이에 따라 HUFS-CRS는 CHILL 모듈의 점증적 로딩에 의한 수행 기능과 분산환경에서의 수행을 위해 분산 모듈간의 CHILL signal IPC가 가능하도록 확장되었다.[14] 그러나 확장된 분산환경용 CHILL signal은 분산환경용 broadcasting 과 multicasting signal을 포함하지 않아 완벽한 분산환경을 제공하지 못했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환경용 CHILL broadcasting 및 multicasting signal을 포함하지 않아 완벽한 분산환경을 구축하였다. The development environment of CHILL - a concurrent programming language for TDX - is composed of the compiler, SDL for documentation and CRS (CHILL Run Time System) and has been developed by ETRI. The ETRI-CRS is a kind of simulating kernel that supports synchronization and IPC tools for CHILL processes. However this environment manages several CHILL processes by mapping them into one UNIX process and so. this can not he thought as a true concurrent environment. This CRS has been improved into the HUFS-CRS that offers physical concurrency in the project "Implementation of an Animation System for Communication Systems" performed by Hankuk Univ. of Foreign Studies in 1992. But the HUFS-CRS did not support the perfect modular distributed development environment, since it did not have the distributed broadcasting and multicasting CHILL signal. In this thesis, the broadcasting and multicasting distributed CHILL signal has been designed and implemented to support the modular distributed CHILL development environment.

      • KCI등재

        비난의 표현방식 : 한일 화자의 비교

        임시은(Rim Si Eun)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5 日本硏究 Vol.0 No.65

        우리는 친밀한 사이에서 상대방에 대한 비난이나 부정적 평가도 서슴없이 하게 되며, 그러한 행동이 친밀감을 표시하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상대방의 어떤 대상(행동, 발화, 외관, 소유물, 사고방식 등)에 대해 언급하거나 평가를 할 때, 그 전달 방법은 다양하다. 본 연구는 비난을 할 때 한국어와 일본어의 화자가 어떤 발화 형태률 사용하여 표현하는 지를 실제 일상 대화를 토대로 살펴보고, 한국인과 일본인의 비난의 표현방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우선 비난의 표현방식으로는 (1)부정적 평가, (2)추궁하기, (3)확인하기, (4)지적·묘사 (5)부정·부인·금지, (6)공감·이해의 불가, (7)부정적 감정의 표출의 7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한일 화자의 비난의 표현방식별 출현빈도를 조사해본 결과, 평가어(評価語)를 사용하는 ‘부정적 평가’의 비율은 한일화자 모두 약 10%를 약간 넘는 비율로, ‘추궁하기’와 ‘지적·묘사’ 등의 표현방법이 더욱 많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칭찬 화행의 경우 평가어가 75%이상 사용되는 것과는 상반된 결과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양쪽 모두 ‘추궁하기’의 표현방식이 25% 전후로 비교적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양국 공통으로 전형적인 비난의 표현방법이라 할 수 있다. 비난의 표현방식 중 한일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유형은 ‘확인하기’와 ‘지적·묘사’이다. 이는 일본어화자는 상대방에 영역에 대해 언급할 때 확인하는 형태로 접근하지만 한국어화자는 상대방의 영역에 대해 언급할 때 지적하는 형태로 접근한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This study is about how to express criticisms (or negative assessment) in daily conversation and comparison between Korean speaker and Japanese speaker. First of all,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xpression of criticism There are 7 types of criticisms. (1) negative assessment (2) interrogate (3) confirmation (4) comment, describe (5) deny, negate, opposit (6) disagree (7) express negative feelings This study also analyzes how much Korean and Japanese use each type of criticisms. Only about 10% of Korean and Japanese use assessment word when they make a negative assessment, and it is different that much of Korean and Japanese use assessment word when they make a positive assessment. About 25% of Korean and Japanese use type (2)interrogate, which is typical forms of criticism Korean use type (4)comment or describe more than Japanese, and Japanese use type (3)confirmation more than Korean. This result reflects that Japanese use question forms when they invade other's private territory.

      • KCI등재

        폴란드어와 한국어의 목적 관계 구문 비교 연구

        고승희(Koh, Seung hui)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9 동유럽발칸연구 Vol.23 No.1

        본 논문은 폴란드어 [po + N-B]과 [na + N-B]구문을 한국어 목적 관계 연결어미인 ‘-러, -려고’와 대조 분석함으로써 한국인 폴란드어 학습자들에게 폴란드어의 목적 관계 구문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두 언어에서 목적 관계구문은 한국어는 ‘-러’, ‘-려고’의 연결어미를 사용하는 복문으로, 폴란드어는 [po + N-B]과 [na + N-B]의 전치사구를 사용하는 단문으로 표현되어 그 통사 구조를 달리한다. 폴란드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러’와, ‘-려고’의 두 연결어미의 사용과 용법의 차이를 이해하기 어려워하듯이 한국인 폴란드어 학습자들 또한 [po + N-B]과 [na +N-B]의 의미적 차이와 그 사용에 어려움을 느낀다. 본 논문은 먼저 폴란드어의 두 전치사 po와 na의 기본적인 의미와 함께 두 전치사가 목적격 명사와 결합하여 목적 관계를 나타내는 전치사구문의 통사·의미적 특성을 파악하고 여러 가지 예문을 통해 그 의미적 차이를 살펴본다. 뿐만 아니라 이에 상응하는 한국어 목적 관계 표현인 ‘-러’, ‘-려고’ 연결어미구문과의 대조를 통해 두 언어 간의 목적 관계 표현의 통사·의미적 차이를 파악함으로써 한국인 폴란드어 학습자들의 목적 관계 구문 학습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arry out the contrastive analysis between two Polish prepositional phrases [po + N-B.], [na + N-B.] and two Korean objective conjunctive endings ‘-le’, ‘-lyeko’ and to indicate glottodidactical aspects of teaching them to Korean learners of Polish language. In Korean language, the purpose of action of movement is expressed with a complex sentence by two endings namely ‘-le’ and ‘-lyeko’. The action of the first clause expresses the purpose of the verb of motion which appears in the second clause. However, in Polish language the same purpose can be expressed with a simple sentence by two prepositional phrases such as [po + N-B.] and [na + N-B.]. The above mentioned syntactical differences between both languages make it difficult to many Korean learners studying Polish as a foreign language to understand and use those two prepositional phrases correctly. The second chapter consists of two sections. The first one describes the general usage of two Polish prepositions ‘po’ and ‘na’ along with their various functions. However, it concentrates mainly on the meaning of purpose which the two prepositions obtain in a prepositional phrase. Accordingly, [po + N-B.] means ‘in order to get or to take something' e.g. Idę do sklepu po mleko.(I'm going to shop for milk.) and [na + N-B.] means ‘in order to participate in something' e.g. Wpadnę jutro na kawę.(Tomorrow I will drop in for [a cup of] coffee). The second section contains the analysis of the semantic categories of nouns, which form prepositional phrases with those two prepositions, on the basis of a considerable number of examples exB.] med from Polish g.]mmar texBbooks for foreigners. It also explains the differences in meaning between two prepositional phrases mentioned above. The third chapter describes two objective conjunctive endings ‘-le’ and ‘-lyeko’ in Korean. It also focuses on syntactical restrictions and semantic differences between them. The last chapter contains the contrastive analysis between Polish prepositional phrases [po + N-B.] and [na + N-B.] and Korean objective conjunctive endings ‘-le’ and ‘-lyeko’. It also indicates several effective methods of teaching Korean learners the semantic differences between those two prepositional phrases and their proper usage.

      • KCI등재

        범 흑해지역에 대한 EU의 확대 전략

        김원희(Kim, Wonhoi)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9 동유럽발칸연구 Vol.23 No.1

        아시아와 유럽에 걸쳐있는 흑해(Black Sea)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변화를 겪어 왔고, 오늘날에는 그 지정학적 중요성으로 인하여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동남유럽과 서아시아지역의 부각하는 중심지(Emerging Hub) 로 불리고 있다. 흑해지역은 흑해와 직접적으로 접해있는 불가리아,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러시아, 터키, 그루지아(6개국)와 직간접으로 관련이 있는 2차 국가, 즉 그리스, 아제르바이잔, 몰도바, 세르비아(4개국)로 구성되어진다. 이 두 부류의 국가들을 합쳐서 우리는 범 흑해지역이라고 명할 수 있다. 역사적인 전통과 문화적 실체로서의 범 흑해지역은 다양한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역사적인 조건들이 서로 결합하면서 현재의 상황에 이르고 있으며, 범 흑해지역이라는 지역적 개념을 가능하게 만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 자신의 지정학적 위치로 최근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흑해에 대한 총론적인 연구를 하고 있다. 우선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의도와 목적 그리고 개별 장에서의 기술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연구의 중심 내용이 담겨있는 본론은 다음의 세 가지 주제로 나뉘어서 기술되고 있다. 우선 본론의 첫 번째 장에서는 흑해 지리지(地理誌)라고도 할 수 있는 부분으로 흑해의 규모, 인접국가, 특성 등을 총괄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본 론의 두 번째 장에서는 현재 흑해지역 국가 협력의 최고 역할을 하고 있는 BSEC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터키의 제안으로 설립된 본 기구는 매년 정기적인 회의를 하고 있으며, 1. 민주화 정도, 인권과 효율적인 정부, 2. 역내 이동과 안전성 확보, 3. 분쟁 해결, 4. 에너지, 5. 교통, 6. 환경, 7. 영해 정책, 8. 수산 조업, 9. 무역, 10. 연구와 교육 협력, 11. 과학과 기술 협력, 12. 고용과 사회보장, 13. 지역 발전의 주요 핵심 과제를 상정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지역 내 최대 영향력을 갖고 있는 러시아와 터키의 대립, 역내 국가의 낮은 자본주의 성숙도와 자본 결여로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지 못함을 연구를 통해 인지하게 되었다. 이러한 불충분한 협력사업 추진을 해결할 새로운 대안으로서 EU를 본 연구의 세 번째 장에서 연구해 보았다. EU는 냉전시대 종식 후 새로운 서방국가로 발전할 가능성을 포함하는 이 지역 국가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나날이 증대되는 에너지 수급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로서, 그리고 잠재적 경제 시장으로서의 흑해지역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현재 적극적으로 진출 전략을 펼치고 있다. 그리고 북 코카서스 지역을 비롯한 이 지역에서 양산되고 있는 국제테러나 범죄자들이 향후 EU 안전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점도 이 지역 진출을 확대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EU의 진출은 ENP(European Neighborhood Policy)라고 표현될 수도 있다. 그러나 러시아와 터키와의 관계 정립, 지나치게 많은 수의 다자 협력이 필요한 지역적 특성, 지역 국가들의 낮은 경제력 등이 EU의 적극적 참여를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EU는 흑해지역포럼이라는 좀 더 세분화된 협의체 운영을 제안하고 사안별 협력 사업을 속도있게 추진하려는 정책을 세우고 있다. 물론 그 중심에는 지역경제협력의 근간이 되는 BSEC이 서게 될 것임을 본 논문에서는 밝히고 있다. 나아가 결론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분석의 결과와 향후 EU의 흑해 진출 전략 발전 측면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The geopolitics of the Black Sea region has profoundly changed since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and entering to EU of former socialist countries like Bulgaria and Romania. Now the (wider) Black Sea region has become a new strategic frontier for Europe, Russia and the United State in terms of energy security, frozen and festering conflicts, trade links, migration and other areas. Until today in the Black Sea region has worked as a international co-operation organization, BSEC(Black Sea Economic Cooperation). But because of the conflicts between Russia and Turkey, lack of financial support and weak government, still has no definite results in this area. The Commission of EU has today put forward a new co-operation initiative of the EU for the Black Sea region under the framework of the European Neighbourhood Policy(ENP). The "Black Sea Synergy" aims at developing co-operation within the Black Sea region itself and between the region and the EU. Specific “partnerships” between the regional countries and EU were proposed for five sectoral priorities under the framework of “the Black Sea Forum”: environment, energy, transport, internal security and democracy. And also were proposed concrete co-operation features: Black Sea Ring Highway, Motorways, Energy Security,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Combating Organized Crime and Terrorism, Preventing and managing natural and man-made disasters, Upgrading communication and IT, Facilitating the movement of peoples. Realization of this projects will be depended on various political and diplomatic factors between EU, Russian and Turke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