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답사 프로젝트를 통한 인지적 이해 모색

        신주철(Shin, Jucheol)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3 외국문학연구 Vol.- No.50

        근래 외국인이나 외국 국적을 가진 재외동포 후손들의 한국 대학 진학이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그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문학교육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한국 대학에 진학한 외국인 학생들에게 한국문학을 교수하는 보다 바람직한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한국의 대학에서 전개되고 있는 외국인 대상 교양 한국문학교육에서 문학-문화 통합 교육이라는 관점을 적용한다. 그리고 교육 과정에서 수행될 수 있는 한 사례로서 답사 프로젝트를 제안한다. 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한국문학 교양강좌의 교육적 성공 여부의 큰 변수의 하나는 학습자들이다. 그들의 특성을 고려할 때, 교양 한국문학강좌의 경우 한국문학사와 작품의 배면을 형성하고 있는 한국의 역사, 사회 등에 대한 교수가 동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필자는 답사 프로젝트 수업이 학생들을 능동화하여 자율적으로 지식을 모색하고 자기화 할 수 있는 좋은 방안이라고 판단한다. 본고의 논의에서 기획된 답사지는 서울의 종로이고 수업 목표는 종로 문화유산과 그에 관련된 문학작품을 함께 살펴 이해와 감상력을 높이는 것이었다. 필자는 답사 프로젝트를 이끌기 위해 학생들에게 3단계의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그 첫째는 답사 프로젝트의 실현 전 단계로 계획, 조사 등을 수행한다. 둘째는 프로젝트 수행 단계로 자신들이 선정하여 조사한 대상을 답사한다. 셋째는 평가와 마무리 단계인데 강의실로 돌아와 자신들이 계획하고 목표로 했던 바의 성취도와 답사 프로젝트의 의의를 정리한다. 이와 같은 각각의 단계에서는 체크 리스트를 만들어 기획력을 높이고 문제를 줄이도록 하였다. This study applies a combined literature and culture education to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liberal arts targeted towards foreign students. In addition, it suggests a field study project as an example. In lectures on Korean literature in liberal arts for foreign students, the understanding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literature, current state of the process, furthermore, and the importance and the value of Korean literature as part of world literature will be taught and learnt. One of the main successive factors in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such content depends on learners. For the foreign students, teaching Korean history and society that are the backgrounds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and literary works that should be accompanied with. For the very reason, it is desirable to be combined with cultural education. The author reasons that the field study project is a method that helps the learners to inquire independently and absorb knowledge as their own. The intended location for this lecture was Jongno, Seoul, and the goal of the class was to develop th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by looking into the cultural heritage and the regarding literary works of the intended location together. The author let the students follow three steps to lead the project: first, it was a pre-stage for the field study project for which they planned and investigated. Second step was a stage for carrying out the project, students visit the place they chose and investigated. Third, was the evaluating and finishing stage, students organize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meaning of the project. In each step, they made a checklist in order to improve the planning and reduce problems. 근래 외국인이나 외국 국적을 가진 재외동포 후손들의 한국 대학 진학이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그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문학교육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한국 대학에 진학한 외국인 학생들에게 한국문학을 교수하는 보다 바람직한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한국의 대학에서 전개되고 있는 외국인 대상 교양 한국문학교육에서 문학-문화 통합 교육이라는 관점을 적용한다. 그리고 교육 과정에서 수행될 수 있는 한 사례로서 답사 프로젝트를 제안한다. 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한국문학 교양강좌의 교육적 성공 여부의 큰 변수의 하나는 학습자들이다. 그들의 특성을 고려할 때, 교양 한국문학강좌의 경우 한국문학사와 작품의 배면을 형성하고 있는 한국의 역사, 사회 등에 대한 교수가 동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필자는 답사 프로젝트 수업이 학생들을 능동화하여 자율적으로 지식을 모색하고 자기화 할 수 있는 좋은 방안이라고 판단한다. 본고의 논의에서 기획된 답사지는 서울의 종로이고 수업 목표는 종로 문화유산과 그에 관련된 문학작품을 함께 살펴 이해와 감상력을 높이는 것이었다. 필자는 답사 프로젝트를 이끌기 위해 학생들에게 3단계의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그 첫째는 답사 프로젝트의 실현 전 단계로 계획, 조사 등을 수행한다. 둘째는 프로젝트 수행 단계로 자신들이 선정하여 조사한 대상을 답사한다. 셋째는 평가와 마무리 단계인데 강의실로 돌아와 자신들이 계획하고 목표로 했던 바의 성취도와 답사 프로젝트의 의의를 정리한다. 이와 같은 각각의 단계에서는 체크 리스트를 만들어 기획력을 높이고 문제를 줄이도록 하였다. This study applies a combined literature and culture education to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liberal arts targeted towards foreign students. In addition, it suggests a field study project as an example. In lectures on Korean literature in liberal arts for foreign students, the understanding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literature, current state of the process, furthermore, and the importance and the value of Korean literature as part of world literature will be taught and learnt. One of the main successive factors in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such content depends on learners. For the foreign students, teaching Korean history and society that are the backgrounds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and literary works that should be accompanied with. For the very reason, it is desirable to be combined with cultural education. The author reasons that the field study project is a method that helps the learners to inquire independently and absorb knowledge as their own. The intended location for this lecture was Jongno, Seoul, and the goal of the class was to develop th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by looking into the cultural heritage and the regarding literary works of the intended location together. The author let the students follow three steps to lead the project: first, it was a pre-stage for the field study project for which they planned and investigated. Second step was a stage for carrying out the project, students visit the place they chose and investigated. Third, was the evaluating and finishing stage, students organize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meaning of the project. In each step, they made a checklist in order to improve the planning and reduce problems.

      • KCI등재

        제37차 국제펜서울대회와 번역의 정치성

        이상경(Lee Sang ky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6 외국문학연구 Vol.- No.62

        This paper aims to retrace the processes by which the 37th PEN International Congress took place in Seoul, and thereby reveal the methods by which influence in the literary sphere of South Korea acted under the Cold War system and the results they produced, as a touchstone of the many issues and problems arising in the process by which a work of literature gains recognition in its linguistic sphere and is translated into other languages. It examines the process by which the 37th PEN International Congress was bid for and organized, through newspapers, magazines, official materials from the event, and the selection of works published post-congress, to discuss how the ‘classic’ status is conferred upon certain works in a nation’s literary sphere as well as the politics of globalization in translation. The 37th PEN International Congress held by the International PEN Korea Center in 1970 in Seoul was a major international event supported not just by the literary sphere but by the power of the state as well. The process by which the congress was bid for, prepared and held, followed by the establishment of the Asian Writers’ Translation Bureau for the publication of Asian Literature as a follow-up project, was the first time the Korean literary sphere gave earnest thought to the glob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congress, questions of how Korean literature should be introduced to international readers as well as which authors and works should be nominated for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were raised. In the discussion of such questions, serious and detailed consideration was given to which works should be translated and how, in order to transcend the borders of nation and language, in addition to whether Korean literature could become a part of global literature. 이 글은 문학작품이 자국어권에서 인정을 받고 외국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와 고민을 살펴볼 수 있는 하나의 시금석으로 제37차 국제펜서울대회의 제 과정을 정리하면서 냉전 체제하 남한의 문단 권력과 문단 외적 권력이 작동하는 방식과 그 결과를 밝히고자 하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당시의 신문, 잡지의 기사와 행사 자료집 등을 통해서 제37차 국제펜서울대회의 유치 및 개최과정을 정리하고 그 후속 작업으로 나온 영역본 한국문학선집 등을 통해서 일국 문학의 정전화와 번역을 통한 세계화의 정치성을 따져보았다. 1970년 국제펜클럽한국본부가 서울에서 개최한 제37차 국제펜대회는 문단뿐만 아니라 국가 권력의 지원을 받은 거국적인 국제행사로 치러졌다. 이 대회를 유치하고, 준비하고, 개최하고, 또 그 후속 작업으로 아시아작가번역국을 설치하고 『아시아문학 』을 발간하는 과정은 한국문단이 한국문학의 ‘세계화’를 진지하게 고민한 최초의 사건이었다. 대회 준비 과정에서 외국인에게 어떤 한국문학을 어떻게 소개할 것인지, 어떤 작가와 작품을 ‘노벨문학상’ 후보로 추천할 것인지 하는 문제가 제기되었고, 그 논의 과정에서 민족어와 국민국가의 테두리를 넘어서기 위해서 어떤 작품을 어떻게 번역해야 할 것인지, 그리하여 어떻게 한국문학이 세계문학의 일원이 될 수 있을 것인지를 진지하게 그리고 구체적으로 고민했다. 그 결과로 한국문학의 정전을 추려 번역한 한국문학선집을 내었고 ‘동양권’ 문학을 ‘서양권’ 독자들에게 알리기 위해 아시아작가번역국을 설치하고 『아시아문학』을 3권 펴내었다. 그러나 이때에 이루어진 한국문학의 정전화 작업이나 번역 작업은 냉전 체제하 남한의 문단 권력 및 문단 외적 권력이 작동하면서 ‘순수문학’을 제도화시키는 편향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는 한계를 가진다. ‘아시아문학’ 담론을 선도하겠다는 계획 역시 냉전 체제 하에서 온전할 수 없었고 물적 기초 또한 빈약하여 일회적 사건으로 끝나고 말았다.

      • KCI등재

        외국인을 위한 고전시가 활용의 한국어/문학/문화의 통합적 교육

        양민정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8 외국문학연구 Vol.- No.29

        본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고전시가 활용의 한국어/문학/문화 교육의 통합적 방안에 대한 고찰이다. 한국어교육은 궁극적으로 한국 문화교육에 귀결되는 것인바, 어학/문학/문화교육을 통합적으로 아우를 수 있는 효율적 주요 텍스트는 고전문학이다. 본고에서는 고전시가 중에서도 「動動」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한국어문화교육에서 이러한 통합적 교육 방안 연구가 거의 전무한 학계의 현황에서 본고는 그 방법론을 모색해 본 試論的 성격과 동시에 최초의 연구의의를 지닌다. Ⅱ장에서는 고전시가를 통한 한국문학교육의 중요성 및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Ⅲ장에서는 「동동」을 현대역으로 번역하고 외국인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동동」에 나타난 한국문화적 요소를 고찰하였다. Ⅴ장에서는 본 작품을 활용한 한국어/문학/문화교육의 통합적 방안을 각각의 영역에서 고찰하였다. Ⅵ장에서는 통합적 의의 및 과제에 대해 살펴 보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way of synthesizing the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literature, and culture by using Korean traditional poetry, especially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from other countries. A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basically linked with Korean culture education, traditional literatures are effective ways to combine all those sides: language, literature, and culture. This paper especially delves into the work Dong-Dong among old Korean poems. This paper is important and has its meaning in that there has rarely been the studies on the combined way of Korean culture education. In chapter two,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using traditional poetry is examined. In chapter three, Dong-Dong is translated into the modern Korean language and analyzed considering the language ability of the foreign Korean learners. In chapter four, Korean traditional factors in Dong-Dong are considered. In chapter five, using Dong-Dong, the combined way of educating the Korean language, literature and culture is studied. Finally in chapter six, concerning this combined education, its meaning and what's still left to be examined are considered.

      • KCI등재

        대학 외국문학 교육 교수법 및 평가 유형 시론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7 외국문학연구 Vol.- No.28

        <P>오늘날 문학은 대학의 인문학 및 교양 교육의 중요한 몫을 차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문학을 교수법의 문제로, 특히 교수법의 가장 핵심적인 문제인 평가의 문제를 전면에 놓고 고민해온 논의들은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외국어 능력 제고라는 실용적인 요구 앞에서 외국문학 교육이 스스로를 정당화할 의무를 부여받고 있는 작금의 현실 속에서 문학교육의 실무적인 차원에 대한 진지한 논의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이다. 이러한 실무적 논의의 핵심은 평가가 차지한다. 평가를 통한 학점 부여가 대학 강의의 객관적인 존재이유이기 때문이다. 외국 문학교육에서의 평가는, 문헌학적 평가, 해석학적 평가, 수사학적 평가, 이렇게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하여 생각할 수 있다. 먼저, 문헌학적 평가의 필요성은 문학적 ‘가치’와 ‘교양’을 심어주기 전에 구체적인 문학사 및 지역학적 사실을 알려주고 숙지하게 하는 단계를 건너뛸 수는 없다는 데서 그 필요성이 있다. 그 다음으로는 외국문학 교육이 인문학 교육의 일부인 한, 문학교육은 사유훈련을 유도해야 하기에, 독서를 통한 사유 훈련이란 의미에서의 해석학적 훈련이기도 하고, 이에 맞는 평가 모형이 필요하단 점에서 해석학적 평가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수사학적 차원의 평가는 작품 이해에서 출발한 다양한 응용과 각색, 활용을 장려하는 형태를 취한다. 이를 통해 사고와 경험의 폭을 넓혀줄 뿐 아니라 외국어 구사력을 늘리고 활용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P>

      • KCI등재

        대학 외국문학 교육 교수법 및 평가 유형 시론

        윤혜준(Yoon, Hye-joo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7 외국문학연구 Vol.- No.28

        오늘날 문학은 대학의 인문학 및 교양 교육의 중요한 몫을 차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문학을 교수법의 문제로, 특히 교수법의 가장 핵심적인 문제인 평가의 문제를 전면에 놓고 고민해온 논의들은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외국어 능력 제고라는 실용적인 요구 앞에서 외국문학 교육이 스스로를 정당화할 의무를 부여받고 있는 작금의 현실 속에서 문학교육의 실무적인 차원에 대한 진지한 논의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이다. 이러한 실무적 논의의 핵심은 평가가 차지한다. 평가를 통한 학점 부여가 대학 강의의 객관적인 존재이유이기 때문이다. 외국 문학교육에서의 평가는, 문헌학적 평가, 해석학적 평가, 수사학적 평가, 이렇게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하여 생각할 수 있다. 먼저, 문헌학적 평가의 필요성은 문학적 ‘가치’와 ‘교양’을 심어주기 전에 구체적인 문학사 및 지역학적 사실을 알려주고 숙지하게 하는 단계를 건너뛸 수는 없다는 데서 그 필요성이 있다. 그 다음으로는 외국문학 교육이 인문학 교육의 일부인 한, 문학교육은 사유훈련을 유도해야 하기에, 독서를 통한 사유 훈련이란 의미에서의 해석학적 훈련이기도 하고, 이에 맞는 평가 모형이 필요하단 점에서 해석학적 평가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수사학적 차원의 평가는 작품 이해에서 출발한 다양한 응용과 각색, 활용을 장려하는 형태를 취한다. 이를 통해 사고와 경험의 폭을 넓혀줄 뿐 아니라 외국어 구사력을 늘리고 활용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In so far as literature is an established subject in current university education, those involved in teaching literature cannot be free from the obligation to take part in a more down-to-earth discussion of its practical features, above all the business of assessing and grading student performance. Such obligation has become more incumbent due to the increasingly vociferous criticism offered by the language education specialists, from whose perspective the presence of literature in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program is an anomaly, for literary language, in their view, is the diametrical opposite of the authentic current language which they seek to teach with maximum efficiency. Faced with such criticism, literature teachers can do worse than to go to the very roots of literary education, drawing from the classical, medieval, as well as modern precedents, a more systematic program of assessment, which we propose as a three-fold structure. First comes the philological dimension, for literature is part of a general cultural history, and since factual knowledge of literary phenomena is bound to form the basis for more sophisticated discussions. Philological understanding also embraces grammar, the first subject of medieval trivium, since the ability to comprehend a foreign language in its best classical samples must be claimed as an educational objective addressed in literature courses. Philological assessment, however, must be supplemented by hermeneutic assessment, for literary education, as an essential core of general liberals arts, must encourage the students to draw personal meaning (or “significance”) from the texts: the thought experiment conducted in each discussion session is bound to broaden the sympathies and mentalities of the students. Finally, literary education should never shy away from using the texts as instruments for various rhetorical games and exercises. Such activities as re-writing, imitation, performance, and adaptations would enhance the pragmatic value of literature courses both in the eyes of the students and in the eyes of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 KCI등재

        외국문학연구회와 양주동의 번역 논쟁

        김욱동(Wook Dong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0 외국문학연구 Vol.- No.40

        이 논문은 1927년 양주동이 ‘외국문학연구회’가 발행한 잡지 《해외문학》에 실린 번역 작품을 비판하면서 촉발된 일련의 번역 논쟁을 다루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양주동은 이 잡지에 실린 외국문학연구회 회원들의 번역이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지적한다. 그 이유로 그는 이하윤과 김진섭을 비롯한 번역자들이 1) 자국어가 있는데도 난삽한 한자어를 많이 사용하였고, 2) 의역보다는 축자적 직역을 시도하였고, 3) 자국어에는 없는 ‘비어(非語)’나 외래어 또는 신조어 등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든다. 양주동의 이러한 비평에 대하여 이하윤과 김진섭은 반론을 제기하여 세계 언어사를 보아도 한 국어의 어휘는 번역 과정에서 비롯하는 경우가 적지 않음을 지적한다. 그들은 이러한 외래어나 신조어는 처음에는 아무리 생경하게 느껴지더라도 곧 자국어에 흡수되어 자국어를 더욱 풍부하게 한다고 주장한다. 외국문학연구회를 창립하는 데 크게 이바지한 정인섭도 이하윤과 김진섭의 편을 들면서 외국문학 작품을 자국어로 옮길 때 번역자는 어쩔 수 없이 신조어를 만들어 사용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한다. 외국문학연구회 회원들의 이러한 반론에 대하여 양주동은 앞서 내세운 입장을 철회하기는커녕 오히려 다시 한 번 번역에 대한 소신 있는 태도를 천명한다. 한편 외국문학연구회의 번역에 대한 양주동의 평가에는 사사로운 개인적인 감정이 개입하였을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양주동은 《해외문학》이 출간되기 4년 앞서 문예지 《금성》을 창간하여 번역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기 때문이다. 번역 방법론을 둘러싸고 양주동과 외국문학연구회 회원들 사이에서 일어난 일련의 논쟁은 획기적 사건으로 한국 번역사에서 최초의 의미 있는 논쟁으로 평가받아 마땅하다. Descriptive rather than analytic in its approach,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ore disputes over translation between Joo-dong Yang and the Society for Research in Foreign Literature, a literary society established by Korean students who majored in foreign literature at colleges in Tokyo, Japan, in the late 1920s. The debates occurred in the spring of 1927 when Yang criticized most of translations in Foreign Literature, a magazine published by the member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Foreign Literature, for being poor―so poor, in fact, that they could be seen as “a nearly total failure.” Yang’s somewhat acrimonious criticism was based on three premises: 1) translators should employ fluent style so that the reader of the target text may have easy access to the translated works; 2) they must try to render the source text into the target language freely rather than render it too literally; and 3) they should be very careful when they use loan-words and calques. A strong defender of the Korean language as well as Korean literature, Joo-dong Yang argues that the translators have failed in these three aspects and that most of the translations in Foreign Literature suffer pitifully where readability is concerned. Some members of the Society, such as Ha-yoon Lee, Chin-sup Kim, and In-sob Zong, immediately joined in answering back to Yang’s critique, pointing out that new vocabulary and phrases, however strange and awkward they seemed at first, would become domesticated. Cosmopolitan in their weltanschauung, the members strongly maintained that loan-words and calques in translation would eventual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target language.

      • KCI등재

        문학사의 조건: 문학 개념과 문학의 역사성

        라영균(Ra, Young-Kyu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20 외국문학연구 Vol.- No.77

        문학사가 무엇을 어떻게 기술하는지는 전적으로 문학 개념에 달려있다. 역사적으로 변화하는 문학 개념은 문학사의 선별과 평가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문학의 어떤 측면과 영역이 문학사 기술의 중심 과제가 되는지를 결정한다. 문학이 문학사의 대상이 되기 위해서는 생성 당시의 연관관계에 묶여있지 않고 지금 여기에 있으며 우리에게 계속 영향을 미쳐야 한다. 이것이 바로 문학이 갖고 있는 특별한 역사성이다. 문학사가 가능한 것은 바로 문학이 역사성을 갖기 때문이다. 이것은 우선 텍스트 내적인 조건과 관계가 있다. 문학 텍스트에는 다양한 의미가 내재되어 있다. 이 의미의 가능성들은 독자의 수용을 통해 역사적으로 계속 구체화된다. 두 번째로 문학의 역사성은 이해의 역사성에 기반한다. 이해는 우리의 역사적 상황에 의존하며 역사적으로 미리 주어진 관점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것은 현재의 관점에 의한 적용, 다시 말해 과거가 현재를 통해 전달되는 점을 동시에 의미한다. 해석학적 관점에서 보면 이해는 과거의 지평과 현재의 지평이 서로 융합하는 과정이다. 문학사의 목적은 과거의 지평을 복원하거나 반복하는 데 있지 않다. 문학사는 문학사의 대상은 객관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니라 변화하는 문학 지평 속에서 특정한 관점에 따라 이해되고 해석된 텍스트들이다. 그러므로 문학사는 선별된 것이고 특정 관점에 의해 해석된 구성물이며 과거와 현재의 지평이 융합되는 과정에서 새롭게 취득한 의미의 관계들이다. The method and content of literary history primarily depends on a respective concept of literature. The concept of literature, which is subject to historical change, influences selection and evaluation. In order to become the subject of literary history, literature should be tied not only to its historical context, but also it should be accessible, so as to have a continuous effect on us. This is the special historicity of literature, and precisely because of this authenticity, literary history is possible. The historicity of literature is based on the historicity of understanding. This means that in a hermeneutic situation, a text is interpreted and understood within a historically specified position. In this regard, the subject of literary history becomes text which is individually interpreted in terms of certain and specific perspectives.

      • KCI등재

        천사도와 사진 신부 : 초기 재미 한인 이민문학의 재구성

        정은귀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4 외국문학연구 Vol.- No.55

        이민 문학은 본질적으로 떠남에 의해 추동되는 이탈의 문학이자 타문화와의 만남을 전제로 하는 이식 문학이다. 본고는 초기 재미 한인 이민사에서 지금까지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았던 한 지점을 증언하는 시들을 읽으면서 이민 문학의 정체성과 이민문학이 문학사에 기입되는 방식을 미국 이민사와 엮어 재미 한인이민 문학의 풍경을 재구성해보고자 한다. 문학의 정체성이 언어나 국가에 의해 일방적으로 규정되는 방식을 좀 더 다각적으로 문제화하는 시도로서 이 글은 20세기 초 재미 한인 이민 1세대가 한글로 쓴 미국 샌프란시스코 '천사도' 시 3편을 먼저 읽은 다음, 같은 시대를 공유하는 '사진신부'에 대해 이민 3세대가 영어로 쓴 시를 읽을 것이다. 실상 초기 이민의 역사를 증언하는 시들이지만 한국어와 영어라는 언어적 차이 때문에 하나의 장에서 논의되지 못했던 시들이다. 이민 1세대의 경험을 시로 옮기는 작업에서 언어와 국가는 어떤 의미를 갖는지, 그리고 자기 경험을 '다시 쓰기' 한 1세대 한인 이민자들의 작업이 선대의 경험을 '다시 쓰기' 했던 3세대 시인의 작업과 어떻게 만나는지를 살피면서 본고는 혈연과 국가, 언어라는 난맥이 얽혀있는 이민 문학의 자리를 재고해볼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이 글은 '민족성'의 뿌리에 기댄 이민문학이 언어적, 국가적 틀 속에서 어떻게 분류되는지, 그간의 정전화 작업에서 가려졌던 지점을 되살려내어서 언어적/계급적/성적 차이에 따른 다른 목소리들을 살펴 읽을 것이다. 그럼으로써 언어와 국가의 '경계 너머' 문학으로 이민문학이 새로운 증언과 기억의 방식, 역사를 다시 쓰는 장으로 자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한다. Immigrant Literature is basically literature of transgression, renunciation, and of importation. Words like immigrant, migrant, migration, and immigration have been broadly used to describe the fluid movement of peoples across national borders for a variety of reasons. This essay revisits some poems on 'Angel Island' and 'Picture Bride' and invites readers to rethink the identity politics of immigrant literature. At once problematizing the ways of defining identity in terms of language, ethnicity, and nation, this essay reconstructs the history of early Korean American immigrant literature and questions how to rewrite the personal and public history of immigration through the ways of testimony. Debunking the common myth of immigration literature: that immigration literature is represented by its success story, I try to tackle the problems that recent immigrant literature has presented to the mapping of Korean and American literary and cultural space. Looking beyond the boundary of language and nation, revitalizing the erased time and place in the history of Asian American diaspora literature, I will cast light upon the hidden voices of Korean immigrants in the early 20th century. Through the poems written in Korean and English by the first and third generations of Korean immigrants in San Francisco and Hawaii, it will be noted how poetic language can be re-posited as the alternative space of history and culture in the form of remembrance and testimony.

      • KCI등재

        야마자키 도시오의 양성구유 모티브 소설

        이승신(Rhee, Seungshi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4 외국문학연구 Vol.- No.55

        본고는 그동안 일본에서도 많이 연구되지 않았던 일본의 근대 작가 야마자키 도시오의 소설을 분석하였다. 근대 초기 일본에서는 서구의 동성애 개념이 전통적인 '남색'개념을 대체하며 새롭게 정착되게 되었고, 이전의 섹슈얼리티 개념을 탈구축하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탐미적이며 이단적인 야마자키 도시오의 문학세계의 특징으로 소년애(동성애) 문학이라는 모티브가 자리하고 있다고 파악하고, 특히 '양성구유'라는 특이한 소재를 문학화한 소설 「동정」, 「밤의 새」 두 작품을 대상으로 고찰하였다. 두 작품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주인공 교지는 이분법적 성별 개념에서 벗어난 신체적 특징으로 인하여, 같은 중학교 학생들에게 강간을 당하는 인물로 그려지고 있는데, 이와같은 강간사건은 교지의 남다른 신체적 특징이 남성적 욕망의 대상이 되었다기 보다는 교지의 성정체성의 모호함으로 인해 생물학적 성의 위반에 가해지는 처벌의 의미로서 그려지고 있다고 보여진다. 이를 계기로 교지는 자신의 성적 정체성에 눈뜨게 되고, 해군사관과 새로운 동성애적 관계를 구축하게 되지만, 결국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고 좌절하여 자살을 시도함으로써 작품에서는 '불모의 사랑'으로 그치고 만다. 야마자키 도시오가 양성구유적 인물을 창조하여 시도하고자 한 것은 '남성 동성애'가 갖는 현실적 어려움을 효과적으로 보여주고자 한 것으로, 이 작품에서 양성구유라는 소재는 동성애와 알레고리 관계를 보여주면서 극적이고 전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야마자키 문학이 세기말적 감수성으로 포착한 문학세계를 일본의 이단문학의 범주에서 새롭게 파악하는 작업은 기존의 문학사를 새롭게 자기매김하고 동시에 일본 문학의 외연을 확장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This research analyzed Yamazaki Toshio's novels tha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in Japan. Yamazaki Toshio is the modern novelist of Japan. The concept of western homosexuality was newly established replacing the concept of'pederasty 'with it and sexuality was built by escaping from the previous concept of it in the early modern period in Japan. This research grasped that a motif called paiderastia (homosexuality) literature was established as the characteristics of Yamazaki Toshio's esthetic and heretical literature world and especially studied the two works of "Virginity" and "The Bird of Night" which made an unique material of androgyny literature. The main character Kyoji is raped by the middle school students of his age due to his physical characteristic out of the dichotomous gender concept, and his ambiguity of gender identity represents the penalty for the violation of biological gender rather than that Kyoji's unusual physical characteristics becomes a target of masculine desires. By this motivation, Kyoji gets to open his eyes to his sexual identity and establish a new homosexual relationship with a naval officer. However, he cannot adapt to reality and is frustrated to try a suicide. In the end, the story ends as a barren love. Yamazaki Toshio tried androgyny by creating the androgynous characters to show the realistic difficulty of male homosexuality effectively. It is judged that the material of androgyny was dramatically used showing the allegory of homosexuality. The work to grasp the literature world that Yamazaki literature got to with fin de siècle sensitivity newly in the category of heretical literature can establish the existing history of literature newly and at the same time, expand Japanese literature's denotation.

      • KCI등재

        한국 현대 소설의 '과학'과 철학적ㆍ소설적 질문

        우미영(Woo, Miyeo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4 외국문학연구 Vol.- No.55

        지금까지 SF로 약칭되는 과학소설에 대한 논의는 본격문학과 구분되는 장르문학이라는 이유로 주류적인 문학사의 관점에서는 배제되었다. 하지만 2000년대를 전후하여 본격문학계와 장르문학계를 아우르는 작가들이 등장하면서 이러한 경계의 의미를 작품의 질적인 차원에서 찾기는 어려워졌다. 이제 한국 문학사에서 SF는 본격 혹은 주류 문학과 질적으로 구분되는 장르문학이 아니라 주제적인 차원에서 구분되는 소설의 다양한 하위 부류 중 하나의 영역을 차지하게 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배명훈과 김보영은 이런 관점에서 SF를 본격 문학의 범주에 드는 보편 소설의 영역으로 끌어들인 대표적인 작가이다. 본 논문에서는 두 작가의 작품을 통해 한국 현대 SF의 달라진 위상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논의에 앞서 한국 현대 소설에서 '과학'이 갖는 의미를 먼저 살펴보았다. 먼저 한강의 「바람이 분다, 가라」를 통해 과학적 인식이 가져다주는 세계에 대한 해명이 어떻게 현대 소설의 질문과 맞닥뜨릴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과학의 사유가 소설적 질문에 대한 하나의 답을 제시할 수 있었던 것은 한강이라는 작가의 개인적 차원이 아닌 변화된 사회 현실의 차원에 근거한 것이다. 다음으로는 일반 소설론에서의 개연성을 과학적 개연성과 연결시키고 리얼리티의 개념을 담화적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리얼리티의 효과의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SF의 리얼리티를 재고해보았다. 김보영은 '낯섬 estrangement과 인식 cognition'이라는 SF의 기본시학에 충실하다. 그는 관습화된 인간적 경험과 일상을 낯설게 제시함으로써 인간 자체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갱신하고자 한다. 이런 점에서 김보영의 작품은 생명체로서 인간의 가치를 새롭게 성찰한다. 이와 달리 배명훈은 인간의 정체성을 우주적 차원에서 찾는다. 그의 작품에서 지구와 외계, 인간과 외계인은 우주의 차원에서 균질화된다. 김보영의 생명체로서의 인간 자체, 배명훈의 우주적 정체성은 근대의 인간중심주의와는 차원을 달리 한다. 그 의의는 이에 내재된 발전 논리에 대한 비판에 있다. 이들의 SF가 현대사회와 관련하여 갖는 의의 또한 여기에 있다.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science fiction is not a genre literature which is divided from the professional or mainstream literature any more. Instead, it now is one of the diverse sub-categories which are differently classified from the thematic aspect. From this perspective, Bae Myeong-hoon and Kim Bo-yeong are leading writers who brought 'science fiction' into the realm of novel. Before investigating these writings, the significance of 'science' in Korean modern novels was examined. How the explanation on the world brought by scientific cognition meets the questions on modern novels was investigated through analysis on 'the Wind Blows. Now Go!' written by Han Gang. By reviewing the plausibility in a general theory of novel in connection with scientific plausibility and concept of reality from the reality effects obtained through discourse configuration, the reality of science fiction was examined. Kim Bo-yeong's writings remind us of anthropocentrism as a creature. On the contrary, Bae Myeong-hoon attempted to discover human identity in cosmic aspects. In his works, the earth, the outer space, human and aliens are homogenized from the cosmic perspective. Kim Bo-yeong's anthropocentrism and Bae Myeong-hoon's cosmic identity fundamentally differ from contemporary individual or anthropocentrism. The meaning can be discovered in criticism on the intrinsic development logic. Therefore, their science fictions regarding a modern society are meaningf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