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획논문 : 한국정치사상 연구의 경향과 쟁점

        부남철 ( Nam Chul Pu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08 글로벌정치연구 Vol.1 No.2

        최근 한국정치사상 분야의 연구 경향과 과제에 대한 논의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그러한 논쟁을 종합하여 서술한 것이다. 우선 한국정치사상 분야의 학문적 성과를 소개하고 연구공동체의 형성, 연구방법론 모색, 그리고 한국정치사상사 교재편찬에 대해 논의되었던 내용을 소개하였다. 이러한 논쟁점 중에서 빈번하게 거론되었던 것은 한국정치사상의 학문적 정체성에 관한 것이었다. 이것은 한국의 전통사상과 문화를 연구한다는 점에서 한국정치사상 분야가 정치학의 학문적 정체성 형성의 원천이라는 기대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러한 정체성에 관한 논의에 있어서는 서양정치사상이 정치사상의 본령으로 여겨지고 있는 한국 정치학계의 상황에서 연구자가 속해있는 한국이란 연구대상은 어떤 의미가 있는지에 관한 논의를 소개하였다. 그러면서 과연 한국적인 것은 무엇이고, 한국적인 것을 찾아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한국정치사상 연구에 있어서는 개념과 관념 중심의 고전적인 연구관점으로부터 역사적 사례 분석과 서술에 이르기 까지 다양하고 혼합적인 연구 경향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학계의 상황에서 한국정치사상 분야에서는 역사적 사례, 역사적 서술의 관점에 대해 어떻게 이해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하였다. 그리고 한국 정치사상 연구자들은 현실정치에 대해 정치사상적으로 어떤 제안을 제시할 수 있는지에 대한 학계의 기대를 소개하고 연구자들이 관심을 가져야 할 주제로서 민족주의, 재산권 등을 제안하였다. Recently the study of Korean political philosophy and thought has become a promising research field in Korean political science. The number of scholars who specialize in Korean traditional thinking has increased since the beginning of the 1990`s. And they have organized The Association for Korean and Asian Political Thought and The Korean Society for Political Thought. Now this field is recognized as important field of political theory in Korean political science. In this study, I have reviewed the critical problems and issues in Korean political thought research. First, I have suggested that we need to think about Korean political thought in the context and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political theory. Second, I have described the problem of methodology of Korean political thought. Usually in political thought study, scholars focus on the concepts and ideas analysis of political thinkers or Ideology. But some scholars insist that in Korean political thoughts study korean history should be considered and focused on the description and analysis of Korean political thought. So I suggest that historical study also should be considered. Lastly, I discuss the criticism of Korean political scientists that political science professors and scholars` research is an empty vision of the ideal world. So I propose that even in political thought study we need to focus more on real politics and policy oriented research. And I suggest the study of nationalism and the rights of property ownership as urgent research issues in Korean political thought.

      • KCI등재

        기획논문 : 한국 무당파의 정치적 참여와 태도양식 -연구지평 확대를 위한 시론적 고찰-

        이정희 ( Chung Hee Lee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09 글로벌정치연구 Vol.2 No.2

        이 논문은 우리나라 정당정치와 의회정치의 풍향계라 할 수 있는 무당파의 정치참여 양태에 대한 시론적 고찰이다. 무당파의 존재와 확산 그리고 정치적 역할에 대한 새로운 조망은 우리나라의 민주화 과정, 그리고 정당정치와 선거과정에 대한 관심의 결과다. 따라서 무당파에 대한 연구는 한국 정치현상과 동떨어진 연구가 아니라 정당과 선거, 정치 문화, 나아가 정치체계 전반과 밀접히 연계되어 있어야 한다. 무당파의 서구적 개념을 적용하여 미시적 분석이 본격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총체적 연구를 위한 성찰이 필요하다. 우선, 무당파의 존재양식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의 무당파가 어떠한 역사적 맥락에서 생성, 성장하였고, 앞으로 그 중요성은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를 중요한 연구주제로 삼아야 한다. 또한 정치문화에 따라 무당파의 행태가 다르고, 행태의 정치적 효과는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정치 문화의 중요한 특징인 권위주의와 지역주의와 연계하여 무당파의 정치참여 행태를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장 직접적 연계성을 지닌 정당체계와 선거제도의 특성과 함께 급변하는 정치 환경을 주시해야 한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pattern of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non-committed people that is a barometer of party politics and parliamentary politics in Korea. The new outlook about the existence, diffusion, and political role of non-committed people results from democratization and concern with the party politics and the process of election. Therefore, the study on the non-committed people should be closely in conjunction with parties and elections, political culture, and, further, the whole of the political system. It is necessary to contemplate the overall study now that microanalysis has hit its stride in application by Western studies of the non-committed people. It is crucial to know in what sort of historical context the non-committed people were created and grew and how the non-committed people will change in terms of importance in the near future. It is significant to analyze the patterns of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non-committed people in terms of authoritarianism and regionalism, which are important distinctions in Korean political culture. Keeping an eye on the rapidly changing political situation as well a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y and election systems is required.

      • KCI등재

        기획논문 : 한국적 국제정치 연구의 주요 사례와 바람직한 방향

        김영명 ( Young Myong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09 글로벌정치연구 Vol.2 No.2

        한국적 또는 자아준거적 국제정치학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많은 논의들이 나왔으나, 그것들은 다음과 같은 한계를 보였다. 1) 주로 현상황에 대한 원론적인 비판과 문제 제기에 그쳤다. 2) 개선 방안들도 안 나온 것은 아니나 별로 구체적이지 못했다. 3) 현실을 개선하려는 실제 연구 노력이 미흡했다. 4) 한국적 국제정치학의 실제 성과물이 없지 않았으나, 이에 대한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5) 그래서 한국 국제정치학의 대외의존성이 제대로 개선되지 않았다. 한국적 국제정치학 연구를 위해서는 세계관의 근본적인 변화나 역사, 전통의 심도 있는 연구가 선행될 것을 염두에 두는 근본 접근보다는 한국의 국제 정치 현실에 입각한 독자적인 시각이나 분석틀 확립에 중점을 두는 ‘실용 접근’이 더 유리하다. 지금까지 한국적 국제정치학을 시도한 소수의 저술들은 모두 이러한 실용 접근을 채택하였다. 그것이 더 쉽고 가능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이는 미국 국제정치학과의 단절을 의미하지 않고, 그 성과를 이용하되 한국의 처지에 맞는 개념과 분석틀을 개발할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런 방법을 통해 점진적이고 부분적으로 국제정치학의 한국화를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능한 방법이다. There have been many talks about the dependency of Korea`s international relations studies on those of the United States, but the efforts to overcome the dependency have not been sufficient with little substantial results. Moreover, the not-many real efforts on Korean-style international relations studies we find have not been properly evaluated. This paper evaluates these efforts and seek proper ways to enhance the possibility of the autonomy of the Korean international studies in world academia. The existing Korean-style international relations studies have all adopted what may be called a “pragmatic” approach on this matter which can be more easily undertaken, as opposed to a “fundamental” One, more difficult to be achieved as the term itself demonstrates. A pragmatic approach aims at developing adequate concepts and analytical frameworks to explain international relations as mostly concern Korea, while a fundamental approach somewhat presupposes a radical shift of world views and/or in-dept studies of history and traditions of Korea and relevant areas. By following a pragmatic and piecemeal approach, we may accumulate fruitful results in building Korean-style international relations, someday hopefully establishing a “Korean” world politics studies.

      • KCI등재

        스포츠교류의 국제정치 : 동·서독의 사례를 중심으로

        유호근 ( Ho Keum Yoo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11 글로벌정치연구 Vol.4 No.2

        오늘날 스포츠는 소프트 파워를 구성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꼽을 수 있고, 국가의 안과밖을 넘나드는 정치·사회적 현상으로 부각되었다. 이에 따라 스포츠와 정치는 밀접한 상관관계를 맺고 있다. 또한 포스트 냉전의 국제질서는 진영 간 대결에 따른 전 세계적차원의 대립과 갈등의 구조가 해소됨에 따라 외재적 한계상황이 완화되어 국가 간 교류의 자율적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국제환경 속에서 스포츠 교류는 새로운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전개된 동·서독 간 스포츠 교류의 진전상황을 기능주의적 렌즈를 통해 살펴보면서 스포츠 교류가 갖는 정치적인 의미를 탐구해본다. 이를 통해 동·서독 스포츠 교류의 사례가 남북 간의 관계에 주는 정치적 의미 등을 성찰해 본다. 말하자면 기능주의의 접근 논리의 타당성을 수용하면서 향후 남북 스포츠 교류에 줄 수 있는 함축적 시사점을 탐색해본다. Sport today is one of the most essential elements that constitutes soft power in one nation. And it is high lightened as a political and social phenomenon in and out of national border. It means that sports and Politics are closely interrelated. And also, after the World War Ⅱ, the international relations have more multi-polar characteristics than ever before. Under such international circumstances, the sports interchange between nations suggests new meaning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sports interchange between Westdeutschland(BRD) and Ostdeutschnald(DDR), and analyzes the political implication through the Functionalism view point.

      • KCI등재후보

        화폐에 대한 구성주의적 관점과 대안화폐로서 비트코인의 가능성

        정재환 ( Jung Jae-hwan ),조희정 ( Cho Hee-j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19 글로벌정치연구 Vol.12 No.1

        본 논문은 구성주의 정치경제학의 관점에서 대안화폐로서 비트코인의 가능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구성주의 정치경제학의 관점에 따르면 화폐는 사회적으로 공유되는 관념체계에 의해 형성되고 유지되는 사회적 또는 제도적 사실이다. 비트코인에 화폐성을 부여할 수 있는 사회적 관념체계의 형성에 중요한 두 가지 요소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현존 통화·금융 시스템에 대한 불신이 증폭되기 시작했다는 점과 정보화 혁명을 통해서 국가에 의존하지 않고 상호 신뢰할 수 있는 화폐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졌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 두 가지 요소 모두 비트코인의 화폐성에 대한 사회적 관념 체계를 구성하기에는 부족해 보인다. 2008년 금융위기는 시장중심적 금융규제에 대한 불신을 일으켰지만 현존 시스템에 대한 근본적인 대안이 요구되는 시스템적 신뢰 붕괴를 야기하지는 않았다. 또한 비트코인은 분산화된 네트워크에 기초하여 상호신뢰를 형성하려고 하지만 현재 비트코인에 대한 신뢰는 희소성에 기초하고 있다. 비트코인의 희소성 메커니즘은 비트코인이 화폐의 지위를 획득하더라도 디플레이션이라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고 또한 현재 비트코인을 투기적인 금융자산으로 인식되게끔 만들고 있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bitcoin as an alternative money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t political economy. Constructivist political economy regards money as a social or institutional fact that is constructed and sustained by socially shared ideational structures. Two factors are important for constructing social ideational structures that endow bitcoin with moneyness. First,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f 2008 brought about the public distrust of the existing monetary and financial system. However, the 2008 crisis did not generate the systemic collapse of existing ideational structures that could require a radical alternative to the existing system. Second, although bitcoin seeks to build network-based mutual trust on the basis of which economic transactions are conducted with bitcoin, the scarcity of bitcoin become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make people trust the value of bitcoin. However, the scarcity mechanism intrinsic to bitcoin not only could cause deflationary problems, but also makes bitcoin perceived as speculative financial assets.

      • KCI등재

        일반논문 : 한국 민주주의에서의 "남남갈등"; 민주주의적 해법에 관한 고찰

        권수현 ( Soo Hyun Kwon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11 글로벌정치연구 Vol.4 No.2

        민주주의는 기본적으로 갈등을 가진 정치체제이며 민주주의 사회에서 중요한 것은 갈등의 부재가 아닌 갈등의 민주적 해결이다. 한국은 민주주의로의 전환과 공고화를 성공적으로 이루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회의 다양한 갈등을 민주적으로 해결하지 못함으로써 한국 민주주의의 질적 전환을 달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현재 한국사회를 가로지르는 중요한 갈등 축의 하나인 ``남남갈등``은 한국 민주주의를 위협하고 있다. 본 논문은 남남갈등이 왜 민주주의 발전의 엔진이 되지 못하는지 이유를 찾아 분석하고 남남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한다. 남남갈등이 한국사회를 분열로 이끄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 측면으로 살펴볼 수 있는데 하나는 남남갈등 내에 이데올로기와 지역, 세대 등 여러 가지 갈등이 중첩되어 있기 때문이고 다른하나는 남남갈등이 보수적인 미디어와 시민사회에 의해 재생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요소들에 의해 심각해지고 있는 남남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는 협의민주주의, 심의민주주의, 대안 헤게모니의 창출 등을 생각해볼 수 있다. Conflicts are essential in democracy and democracy has institutions for conflict resolution. Namely, Conflict and democracy have a mutual reciprocity relation. Therefore outbursts of conflicts are positive appearance not negative and also a progress of democratization and a process of social development. Korea passed the process of democratic transition and consolidation with success. Nonetheless Korean democracy needs quality upgrade or improvement. Korea democracy is still immature (unskilled) to deal with conflicts. One of intra-national conflicts which Korea society has faced is ``South-South conflict.`` This conflict has divided South Korea society and threatened Korea democracy. My question is which are important reasons of this conflict which is not working as an engine of democracy but deepening and fueling social division which hinder the development of Korea democracy. The level and the strength of bipolarization of mutually repellent forces are becoming wide and deep. The game of South-South conflict is like a zero-sum game. Reasons of South-South conflict proliferation are two. First is the overlapping of conflicts (ideology, regionalism, and generation) and second is expansive reproduction, especially by media power (conservative newspaper Chaebol) and conservative civil society. In this paper, I will investigate and analyze two reasons more specifically. After that, I will try to suggest some positive ways (consociational democracy, deliberative democracy, and creation of counter-hegemony) to settle this conflict. These ways will be helpful to unify Korean people, to make Korean Society stable and Korean democracy more workable and more developed, and to enhance South-North Korea relation, ultimately uniting divided South-North Korea.

      • KCI등재후보

        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의 사전투표 유권자 특징 분석

        이재묵 ( Lee Jae-mook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20 글로벌정치연구 Vol.13 No.2

        본 논문은 21대 총선 유권자 의식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사전투표에 참여한 유권자 집단의 사회경제적 배경 및 정치적 특징을 분석한다. 한국에서 사전투표제는 2013년 이래 유권자들의 투표편의 제고를 위해 전국단위 선거에 도입되었으며, 그간 학계를 중심으로 과연 사전투표제가 제도 도입의 취지대로 투표율 제고 효과가 있는가에 대한 논쟁이 있어왔다. 이번 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제도 도입 이래 역대 최고의 사전투표율을 기록하였고, 전체 투표 참여자 대비 사전투표자의 비중이 그 어느 때 보다도 높았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21대 총선에서의 사전투표 유권자들은 다양한 측면에서 기권자들뿐만 아니라 당일 투표자들과도 뚜렷하게 구분되는 정치적 특징들을 보여주었다. 특히, 4.15 총선에서 사전투표에 참가한 유권자들은 당일 투표자들에 비해 이념적으로 진보적이며, 현 집권 세력에 대해 보다 긍정적 평가 경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에서 사전투표제도가 안착되어감에 따라, 비단 투표율 제고 효과를 넘어서 앞으로 우리 사회가 심도 있게 다루어야 할 다양한 제도적, 정치적 과제들이 제기되게 되었는데, 결론에서는 이에 대한 간략한 논의들을 제공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and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voters who turned out before the exact election day by utilizing the original survey data for the 21st general election. In Korea, the early voting system has been introduced in national elections since 2014 to enhance voter convenience, and previous studies have been debating whether the new system will improve voter turnout as intended. In the 21st National Assembly elections, the early voting rate recorded the highest ever since the system was introduced, and the proportion of early voters among all the voters who turned out was higher than ever.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paper, the early voters in the 21st general elections showed political features distinctly distinct from those of the day as well as abstentions in various aspects. In particular, early voters were more ideologically progressive than voters on the election day and tended to have a more positive assessment of the incumbent president Moon Jae-in. Meanwhile, as the early voting system was settled in Korea, various institutional and political tasks that our society should deal with in depth beyond the effect of raising voter turnout were raised, and the conclusion provides brief discussions on them.

      • 일반논문 : 플라톤 체육의 정치성: 『국가』와『법률』 을 중심으로

        오수웅 ( Sue Woong Ohrr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08 글로벌정치연구 Vol.1 No.2

        오늘날 정치학의 연구대상은 주로 국가적인 차원에서 다루어지는 경향을 띠어왔기 때문에 인간 삶에 보다 직접적인 개인적 수준의 대상들에 대한 연구로는 이어지지 못했다. 따라서 이 글은 개인적 수준의 연구대상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그러한 연구대상이 어떻게 국가적인 차원의 문제들에 연계되는지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이 글은 국민들의 일상적인 삶 속에서,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체육(gymnastike) 일반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그것이 얼마나 정치적이며, 국가적인 차원의 연구대상들과 연계되는지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 글이 시험적 연구라는 점에서 체육에 관한 아마도 최초의 연구라 할 수 있는, 『국가』와『법률』에 나타난 플라톤의 체육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플라톤의 체육은 첫째, 각개인들로 하여금, 개인적 건강의 획득 나아가 절제와 용기 등 덕의 함양으로 나아가게 한다. 둘째, 개인들로 하여금 체육장 또는 병영생활에서의 공동식사를 통해 정치토론을 체득하게 하며 나아가 민회와 같은 정치체제의 운영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공적 영역의 시민으로 변화하게 만든다. 마지막으로 체육은 시민들로 하여금 정치토론에의 참여뿐만 아니라 전사로서 전쟁에 참여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국가의 번영과 안전에 직접적으로 연계시킨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It would seem that, to date, there has been minimal research regarding a logical explanation on the subjects in connection with both everyday life and the political life of the individuals. With this gap in the literature in mind,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Plato`s gymnastic education, focusing on his two major works-Republic and Laws. This paper will address the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private activities of the individuals and the public issues. In this paper, This paper will draw the following three political implications from gymnastic education in Plato`s thoughts. Firstly, gymnastic education in Plato`s thoughts helps the individuals achieve well-being and virtues, such as courage, wisdom, moderation and justice. Secondly, it leads the individuals to learn how to discourse about the political things, and to participate in organizations and operations of the body politic, such as the assembly. In so doing, the individuals become the citizen. Lastly, it turns the individuals to warriors so that they can defense and guarantee their state security on their own.

      • KCI등재후보

        마르크스주의 정치이론의 재구성: ‘자본주의적 민주주의의 재구성’ 이론

        김양화 ( Yanghwa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18 글로벌정치연구 Vol.11 No.1

        기존의 마르크스주의에서는 ‘경제투쟁과 정치투쟁의 상호작용 → 정치혁명’이라는 이론적 틀로써 정치 전략을 설정하는 경향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메자로스(Meszaros, I.)가 지적하는 대로 이 틀로는 정치혁명을 위한 단기적이고 당면한 정치 전략을 설정할 수 없어, 마르크스주의에는 유의미한 정치이론이 없다는 비판이 나올 여지를 제공했다. 그러나 마르크스나 엥겔스에는 정치혁명의 요체인 자본주의 국가형태의 모순은 자본주의 국가형태를 구성하는 “민주적 제도 및 권리 복합체의 두 측면”, 즉 “민주주의적 협잡”의 측면과 “민주적 형태들이 새로운 사회적(계급) 내용을 갖게” 되는 측면의 대립 및 경합을 수반하게 되며, 따라서 이 모순의 해소는 후자의 측면이 우세하게끔 자본주의적 민주주의를 재구성하는 것에 의존한다는 논지도 있다. 이 논지가 정치혁명의 수행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경제투쟁과 정치투쟁의 상호작용 → 자본주의적 민주주의의 재구성 → 정치혁명’이라는 이론적 틀이 설정될 수 있고, 아울러 당면한 정치 전략을 모색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 또한 이 논지를 더욱더 정교화하는 차원에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마르크스주의 정치이론은 ‘자본주의적 민주주의의 재구성’ 이론으로 파악할 수 있다. The marxist political strategy has been set up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interaction of economic and political struggles → political revolution’. But as Meszaros points out, a short-term marxist political strategy can not be set-up on the framework, and the fact has been causing criticisms of the absence of meaningful theory of marxist politics. But in Marx and Engels, there is an argument that the contradiction of the capitalist state-form, which is the key factor of political revolution, involve the confrontations and struggles between “the two sides of the complex of democratic institutions and rights”, i.e. the side of “democratic swindle” and the side of “the struggle to give the democratic forms a new social(class) content”, and this contradiction finds out its own solution in reframing the capitalist democracy, the side of “the struggle to give the democratic forms a new social(class) content” becoming influential. Therefore making due allowance for the significant role of the argument in political revolution, another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interaction of economic and political struggles → a reframing of the capitalist democracy → political revolution’ can be set up, and theoretical bases for setting up immediate political strategies can be also prepared, elaborating the argument of reframing the capitalist democracy. In this sense, the marxist theory of politics can be apprehended as a ‘theory of the reframing of capitalist democracy’.

      • 일반논문 : 제3세계 식량안보에 관한 연구: 식량과 굶주림의 국제정치경제

        안득기 ( Deug Kee Ahn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08 글로벌정치연구 Vol.1 No.2

        국제정치에서 식량안보와 같은 문제는 여전히 중심테마에서 벗어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간과하기 어려운 매우 중요한 주제이다. 본 연구는 제3세계에서 식량부족과 안보문제를 제기하고 국제정치경제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개별국가와 시장의 매커니즘 속에서 누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에서 국민국가, 국제기구, 국제기업, NGOs 등 많은 행위자들의 갈등과 이해의 측면이 분석되었으나 갈등하고 있는 정치경제의 이해를 조정하는 것이 굶주림의 원인에 대한 합의 부족이라는 측면으로까지 연결되지는 않으며, 식량안보와 관련된 국제정치경제를 통해 굶주림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임을 알 수 있다. 학자들은 지도자 그리고 관리들에게 자급자족을 촉진하거나, 부국과 빈국 사이의 착취 구조를 최소화하기 위해 경제성장과 식량생산전략을 개발하도록 권고 하고 있다. 또한 식량안보를 촉진하기 위한 관심과 더불어 식량안보가 국내적이고 국제적인 정치경제적 구조에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에 분석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굶주림의 문제들이 세계 지역에 따라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세계적인 차원의 해결책은 없다는데 사실상 동의하고 있으며, 국가와 지역을 기반으로 식량안보를 촉진함으로써 굶주림의 문제에 대한 해결을 구하고 있다.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food security of the Third World. An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of food security teaches us that solving the problem is nothing short of a Herculean task. This article has outlined just some of the conflicting interests of the many actors-nation state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ternational business, and NGOs among others-as well their different values and what they see as causes and possible solutions to the hunger problem. However, reconciling the conflicting political and economic interests of the these actors seems unlikely given their lack of the consensus about the cause of hunger, let alone what to do about it. For instance, many people find Hardin`s suggestions about the triage and lifeboat ethics unethical. Similarly, they view Hardin`s suggestions about populations control as either politically unacceptable or unnecessary at this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