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21C 국제관계 키워드와 동유럽 생존전략

        김철민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22 동유럽발칸연구 Vol.46 No.2

        In terms of international relation, the most important geopolitical-geostrategic code for understanding the Central and Eastern Europe is the ‘Buffer Zone’ between the Powers. Whenever the ‘Buffer Zone’ of the Central and Eastern Europe collapsed, there were the great wars among the Great Powers in Europe, and the surrounding Powers divided the Central and Eastern Europe or tried to secure full influence in the this region. This i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also the concept of the ‘Buffer Zone’ applies to us as it is.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present three major keywords of international relation that can understand the survival startegy of Central and Eastern Europe today. The first keyword is the ‘New Cold War place between NATO and Russia’. The second keyword could be the ‘EU’s strategy for expansion and willingness to protect the Western Balkan through the Berlin Process’. The third keyword is ‘new challenge, China’s One Belt and One Road Initiative’. In the final conclusion, I would like to explain the implications and lessons learned through the major keywords of international relation for understanding the Central and Eastern Europe in the 21st century. 국제관계사적 측면에서 동유럽을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지정학적-지전략적 코드는 바로 강대국 간 ‘완충지대’란 개념일 것이다. 동유럽 ‘완충지대’가 무너질 때마다 유럽에는 세계대전을 비롯한 강대국 간 큰 전쟁들이 함께 했었다. 따라서 동유럽을 둘러싼 주요 강대국들은 이런 위기를 대비하기 위해 동유럽 분할과 함께 자신의 ‘이해영역’ 구축, 그리고 더 나아가 자신의 영향력 하 편입 의도를 수시로 내비쳐왔었다. 무엇보다도 오늘날 미국 대(對) 중국 간 ‘완충지대’ 개념 증대 속에서, 한반도와 동유럽은 매우 유사한 지정학적-지전략적 코드를 공유하고 있으며, 이런 점에서 동유럽의 선험적 사례를 통한 한반도 미래와 위기 대응 사전 준비라는 가치가 있다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 배경과 기대효과에 기초해,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동유럽을 둘러싼 주요 세 가지 국제관계 키워드를 중심으로 거시적인 관점에서 오늘날 동유럽 생존전략에 대한 전망과 고민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생존전략 분석을 위한 이론적 논의로 국제정치학적 주요 이론 중 ‘현실주의론’, ‘자유주의론’ 그리고 ‘세력우위론’을 적용해 동유럽의 안보 외교 현황과 그 미래를 추정해 볼 것이다. 더불어, 제3장에서는 21세기 동유럽을 둘러싼 주요 국제관계 키워드를 중심으로, 동유럽 생존전략 현황과 그 특징들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NATO와 러시아 간 ‘신냉전 무대’란 관점에서, 둘째, 서부 발칸을 향한 EU 확대의 의지 표출인 ‘베를린 프로세스’란 키워드를 중심으로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EU와 동유럽 국가에게 새로운 도전이 되는 ‘중국의 일대일로 구상’을 소개하고자 한다. 제4장에서는 21세기 주요 국제관계 키워드를 중심으로 동유럽의 생존전략 유향을 파악하고자 한 본 연구의 의미를 되새기고, 우리에게 던지는 시사점과 그 교훈을 언급함으로써 본 연구의 결론을 대신하고자 한다.

      • KCI등재

        유럽의회에서 동유럽국가의 정치경제력 연구

        안성호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1 동유럽발칸연구 Vol.26 No.1

        I will analyze organization and instituion of European Union, global economic issues,election and political party of European Parliament, permmition of EU new membership state, cooperation between global organization which focus on political and economic power of Eastern Europe in European Parliment. Even though eastern europe are lesser power states than western europe, elevation of political economic power of Eastern Europe must come from prior occupation of global issues and problems in European Parliament. I will analyze solid methods of getting over difference of political economic power between western europe membership and eastern europe membership in European Union. Actually there are lesser power states among western europe as like PIIGS and southern Europe which need assistances and supports from European Union in global economic crisis. To elevate political economic power of Eastern Europe, Eastern Europe need strategy to propose agendas and ideas, and prior occupation about issues of organization and instituion of European Union, global economic issues, election and political party of European Parliament, permission of EU new membership state etc. in European Parliment. I know that European Parliament is are lesser power for Political Economic phase than European Council and European Commission. But if European Union will be elevated United States of Europe through European integration, European Parliament should be strengthened democratic seperation of three powers(administration, legislation and judiciary) as like seperation of three power in a country. If Eastern Europe has lesser power in European Council and European Commission, Eastern Europe should be get the core role such as strong-small states among super power states as like Germany, France and UK through playing its part in European Parliament and Eurozone. Political economic powers of Eastern Europe will be strengthened through European Parliament. 본 논문은 유럽의회에서 유럽연합의 조직, 제도 및 구조측면, 유럽의회에서의 선거와 정당이념, 경제적 이슈, 신규가입국 문제 등을 중심으로 동유럽국가의 정치경제적 위상을 분석하였다. 동유럽국가가 서유럽 회원국가 보다는 약소국이지만 유럽의회를 통하여 유럽연합에서 정치경제적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는 여지가 없는지를 모색하였다. 물론 이는 동유럽국가가 집단적으로 협력하는 문제이지만 동유럽국가간에도 개별적으로 위상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서유럽 회원국 중에도 강소국들이 존재하고 있고 PIIGS 나 남유럽국가 등 글로벌 경제위기하에서 유럽연합에 협력과 지원을 필요로 하는 국가가 존재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그렇다면 동유럽국가가 보다 적극적으로 유럽연합에서 정치경제적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제도, 경제이슈문제, 신규가입국 결정 등에서 대안을 개발하고 이슈를 선점하는 전략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필자는 유럽연합 내에서 유럽의회가 유럽이사회나 집행위원회보다는 정치경제적 위상이 약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유럽연합이 유럽통합을 전제로 유럽합중국으로 발전적인 진행을 하려면 입법, 사법, 행정 등 개별국가에 존재하는 민주적인 삼권분립이 필요하다. 여기서 유럽의회가 적극적인 입법의 역할을 강화하여 위상을 좀 더 높일 때 동유럽 국가들이 적극적인 역할을 담담함으로써 유럽연합에서 동유럽국가의 정치경제적 위상을 높일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아직도 동유럽 국가들이 유럽연합에서 후발국가로 참여하여 중심적인 역할을 못하고 있고 유럽의회도 여전히 유럽이사회나 유럽정상회의 등에 비해 글로벌경제위기극복 등에서 역동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결론적으로 동유럽 국가들이 유럽이사회나 집행위원회에서 정치경제적 영향력이 약하다면 유로 존이나 유럽의회에서 보다 더 많은 활동을 통하여 독일, 프랑스, 영국 등 강대국사이에서 서유럽 강소회원국과 같은 핵심적 역할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본다. 필자는 유럽의회를 통하여 동유럽회원국들의 정치경제적 위상을 점차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 KCI등재

        동유럽 국가의 글로벌 경쟁력에 대한 연구

        안성호,류영준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0 동유럽발칸연구 Vol.25 No.1

        I will analyze cooperation between global organization(OECD, WEF, IMD, TI, FH) and eastern Europe for global competitiveness and recent background of global cooperation focused on global competitiveness which had a deep influence on domestic politics and economy of Eastern Europe. Firstly, I will introduce background of the activitiy and participation of global organization in Eastern Europe. In the chapter II, I will try to explain background of relationship between OECD, WEF, IMD and Eastern Europe in the global competitiveness . Eastern Europe that relied chiefly on foreign direct supports are the least vulnerable now, and it has week state and economic system and illegal institution. This is indeed the worst economic crisis since the wrenching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privatisation, liberalisation, stabilisation and democratization that followed. The real communication & friendship must come from global organization(OECD, WEF, IMD, TI, FH). I will finish with that explain different method of getting over domestic problems between membership and non-membership in Global Institution. Secondly, In the chapter III, I will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TI, WEF, IMD, FH and global competitiveness for Eastern Europe in future. When the ranking of TI, WEF, IMD, FH hit Eastern Europe, it turned to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development, and received cooperation and friendship from OECD, EU, as part of a coordinated financial support package from UN(IMF). I believe Eastern Europe must stay on the path of becoming more open, and more integrated with UN and OECD. This is where future trust and competitiveness will come from. Finally, The results support my view that global competitiveness management need global participation and a better domestic political and economic environment of Eastern Europe at the same time.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동유럽국가의 국내정치와 경제에 영향을 주는 글로벌기구(OECD, WEF, IMD, TI, FH)와 글로벌경쟁력 및 최근의 글로벌협력의 배경 간의 협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동유럽국가에 있어 글로벌기구에서의 활동과 참여에 대하여 그 배경을 소개하였다. 2장에서는 OECD, WEF, IMD 와 글로벌 경쟁력에 있어 동유럽국가간의 관계에 대한 근거를 분석하였다. 예컨대 외국직접투자에 의존하고 있는 동유럽은 매우 취약한 경제구조를 갖고 있으며 제도가 미비하고 취약한 경제시스템을 갖고 있다. 이것은 제도화, 사유화, 자유화, 안정화, 민주화 의 실패의 과정 때문에 최악의 경제위기를 맞고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진정한 소통과 협력이 글로벌국제기구(OECD, WEF, IMD, TI, FH)로부터 나오고 있는 것이다. 본인은 글로벌 국제기구에 있어 회원국과 비회원국가 사이의 국내적인 문제점을 극복하는데 있어 차이점이 있음을 설명하였다. 둘째로, 3장에서는 TI, WEF, IMD, FH와 동유럽국가의 미래에 있어 글로벌 경쟁력과의 l관계를 분석하였다. TI, WEF, IMD, FH 등 국제기구에서의 순위발표내용에서 동유럽국가가 높지 않게 나타날 때, 결국 UN(IMF)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게 되고 경제발전을 위한 OECD, EU 등 국제기구와 긴밀한 관계를 갖게 되는 것이다. 동유럽 국가는 좀 더 개방적이고 좀더 UN이나 OECD 와 함께 동참하는 길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이것이 동유럽국가의 글로벌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국제기구에서의 경쟁력순위 향상은 글로벌한 참여와 동시에 국내적인 정치 경제적 환경을 좀 더 발전시키는데서 찾을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 KCI등재

        동유럽 국가와 유로존간의 경기 상호의존구조 분석

        박해선,이철원,이상직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09 동유럽발칸연구 Vol.23 No.1

        Several eastern European countries which have joined the EU are expected to adopt the euro in the near future. The monetary integration requires the synchronization of business cycles among the eastern European countries and the euro zone. Otherwise the adoption of the euro might cause negative effects on the eastern European countries. In this paper, we employ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and DAG (Directed Acyclic Graphs) to analyze the synchronization and the structure of interdependence of business cycles in the area. We use monthly industrial production indices of 7 eastern European countries (Czech, Hungary, Bulgaria, Poland, Romania, Slovakia and Slovenia) and of the euro zone for our empirical analyses. Since the number of the EU member countries increased from 15 to 25 in May 2004, we divide the data into two periods: January 2000- April 2004 and May 2004 - May 2009. We found that in the first perio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eastern European countries and the euro zone are lower and, in some cases, negative. In the second period, however,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re quite different. All of them are positive and their absolute values increase. DAG provides the structure of interdependence of business cycles among the countries we consider. In the first period, the information on the business cycles of the euro zone affects only Hungary and Czech while in the second period, the euro zone's business cycle information has effects on all of the eastern European countries through Hungary. In sum, we conclude that after eastern European countries joined the EU, economic integration among the eastern European countries and the euro zone has been established. 2004년이후 동유럽국가들은 EU에 가입하기 시작하면서 서유럽 중심의 유로존과 경제협력과 교역증대를 통해 경제성장 기반을 확보하려고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궁극적으로 통화통합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통화통합으로 경제교류가 증대되기 위해서는 유로존과 동유럽국가들의 경기동조화가 전제되어야 한다. 또한 유로존과 동유럽국가들 사이의 경기변동 정보의 전달구조를 파악한다면 이 지역의 경기변동 양상과 대응정책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동유럽 7개국(체코, 헝가리, 불가리아, 폴란드,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과 유로존의 2000년 1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월별 산업생산지수를 데이터로 하여 경기동조화현상 존재여부 2경기변동 정보의 전달구조를 규명하였다. 동유럽국가들이 EU에 가입하기 시작한 2004년 5월을 기준으로 전후반기로 나누어 실증분석을 하였다. 잔차항의 상관계수분석을 보면 후반기에는 유로존과 동유럽국가 사이의 상관관계가 전반기보다 증가하여, 유로존과 동유럽국가들의 경기동조화현상이 커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전후반기의 경기정보 전달구조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반기에는 유로존의 경기변동 정보가 헝가리상관체코에만 영향을 주고 나머지 동유럽국가들에는 전달되지 않았으나, 후반기에는 헝가리를 매개로 하여 모든 동유럽국가들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EU가입후 유로존과 동유럽국가들 사이에 경기변동의 동조성이 더 커진 것을 뒷받침하는 결과이나, EU가입전후로 동유럽국가와 유로존의 상관관계에 변화가 없다는 일부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다른 결론이다.

      • KCI등재

        발칸어연합의 핵심어로서 알바니아어 - 알바니아어의 발칸어소 연구

        표상용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08 동유럽발칸연구 Vol.21 No.1

        알바니아어는 발칸어연합의 핵심 언어임에도 불구하고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은 알바니아어에서 발현되는 발칸어소(balkanisms)를 기존 연구 결과들을 통해 살펴보고 이것을 토대로 발칸어연합에서 알바니아어의 정확한 위치를 조명한다. 알바니아어에 대표적으로 발현되는 10여개의 발칸어소가 예를 통해 기술되어 있다. 보수적인 언어인 알바니아어가 외래 문법 형식인 발칸어소를 가장 깊이 토착화한 원인을 찾아 언어학적인 설명을 모색하고 있다. 알바니아어의 예를 통해 문법화(grammaticalization)와 분석성(analyticity)은 같은 성격을 가지고 있으나 다른 선상에서 취급되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알바니아어가 종합적 구조의 언어이지만 문법 범주에 따라 분석적 구조의 형태를 받아들여 동화하는 데는 아무런 장애가 되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언어 구조적인 면보다는 언어 접촉의 강도에 따라 좌우된다. 소위 말하는 발칸화 인수(Balkanization factor)의 산정에 이러한 점이 고려되어야 좀 더 정확한 언어학적 발칸화에 대한 결과를 얻을 것이다. 알바니아어가 발칸어연합의 핵심어(루마니아어나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가운데서도 좀 더 발칸화되어 있어 발칸어연합의 대표로 간주할 수 있다. The so-called "Balkan Sprachbund"(German loan word, "Balkan linguistic Union") comprises Albanian, Rumanian, Greek and the South Slavic languages- Bulgarian, Macedonian, Serbo-Croatian. Furthermore Turkisch, Hungarian and Slovenian are also regarded as Balkansprachbund. Yet they have exhibited several signs of grammatical convergence, such as loss of the infinitive, analytical future tense formation, syncretism of locative and directional expressions, analytic perfect tense, postposition of article, number 11-19 formation, The similarities in lexicology and phraseology are most numerous between Albanian, Rumanian, Bulgarian and Macedonian. Therefore these are by certain researchers called Balkan languages of the first grade, Serbo-Croatian and Greek belong to those of the second grade. In this article is tried to demonstrate that Albanian the furthest "balkanizated" language because all of "balkanisms(Balkan features)" are well realized, compared with the first grade languages, namely Bulgarian and Rumanian. Based on their extent of grammaticalization and analytical tendency, Alabnian perfectly includes the postposition of articles, the presence and grammatical use of schwa, object reduplication and the loss of infinitives. The Albanian language is a distinct Indo-European language that does not belong to any other existing branch. Out of those Balkanisms presented in this article, Albanian can be considered to have its closest linguistic affinity in Balkansprachbund.

      • KCI등재

        의미 중복 표현에 대한 한국어-루마니아어 비교연구

        엄태현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0 동유럽발칸연구 Vol.25 No.1

        This article is a comparative studies on pleonastic expressions between Korean and Romanian which could be exist not only in these two languages, but also in majority of national languages. To make a research on this widely spread and multilateral linguistic phenomenon, I tried to make clear many terminologies designating the pleonastic aspects of expressions like pleonasm, tautology, reduplication, redundancy etc. And then I classified morphologically these expressions and compared characteristics of pleonastic expressions from the semantic and etymological view points between two languages. Expressions with redundancy usually recognised as a linguistically wrong use. But some of redundant expressions are registrated in the dictionary as a part of standard language, and even if not recognised as a standard language, there exist a tendency of toleration for some pleonastic expressions. This phenomenon is a multilateral problem which is closely related with the problem of “Generality” in language use, the problem of “Clearity” from the speakers volition, and the problem of “Consistenct” from the view point of language policy, so the linguistics norms concerned with pleonastic expressions should be stabilized by these facts. In many cases pleonastic expressions were found in case of containing difficult meanings, unfamiliar words in a lexical item. Fora difficult word, redundant element which is considered more easy than the respective word is added on purpose or simply a redundant element is added because speakers are not aware of the difficult word meanings. In this article pleonastic expressions are classifies morphologically and then compared semantically and etymologically. There exist man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Firstly, from the morphological aspect, pleonastic expressions could be classified as structures of [verb+adverb], [verb+adjective], [noun+adjective], [noun+noun]. Because of morpho-synthetic and lexic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they couldn't shape perfect similarities. Even though pleonastic expressions are usually treated as a wrong use, the expressions are following the morpho-synthetic and lexicological rules when they are formulated. From the etymological view points, as a characteristic of Korean language, pleonastic expressions are usually made when these are containing the Sino-Korean word. Similarly pleonasm of Romanian language are made when they are containing terms designating scientific and multilateral terminologies, which are usually containing scientific prefixes or pseudo-prefixes with Latin or Greek origines which came again into Romanian from the time of Modernity especially from French language. In these days judging from globalization ofd a language which mainly proceeded by English, and the speed of language diffusion, there is a possibility of being made the pleonastic expressions containing English words. 본고는 대부분의 언어에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는 의미의 중복적인 표현 현상을 한국어와 루마니아어를 대상으로 비교 연구한 것이다. 이글에서는 먼저 의미의 중복 표현 양상을 지칭하는 중어법, 동어반복, 잉여성 등과 같은 용어들의 개념과 정의 그리고 그 사용 예들을 살펴보았다. 이후 중복표현을 형태적으로 분류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의미적 잉여성을 내포한 표현들은 언어적 오용인 것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사용 빈도가 높은 일부 중복 표현은 표준어로 사전에 등재되어있으며, 등재어는 아니더라도 관용적으로 허용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일부 표현은 자주 사용되더라도 허용되지 않는다. 이것은 개별 표현이 가지고 있는 사용 정도의 “일반성”의 문제, 화자의 표현 의지에서 나타나는 “명확성”의 문제, 언어정책적인 측면에서의 “일관성”의 문제와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 세 가지 특성의 접점에서 규범을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 한국어와 루마니아어 사이에서 나타나는 중복 표현을 형태적으로 분류한 이후 이를 의미와 어원의 관점에서 고찰하여 보았을 때, 여러 유사점들과 차이점들을 볼 수 있었다. 형태적인 면에서 두 언어에서 나타나는 중복표현은 대부분 [동사+부사구], [동사+목적어], [명사+형용사], [명사+명사]의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물론 두 언어가 가지고 있는 형태-통사적 구조의 차이와 어휘론적 차이에 의해서 완전히 동일한 모습을 보이지는 않는다. 비록 중복 표현은 대부분 언어적 오용으로 받아들여지지만, 두 언어 모두에서 그것이 형태-통사적, 어휘론적 원칙 내에서 만들어지고 있다는 점을 볼 수 있었다. 어원적인 면에서 볼 때 한국어에서의 중복표현은 한자어가 포함된 경우에 흔히 나타나며, 루마니아어에서는 그리스어 혹은 라틴어 어원의 유사접두사(pseudoprefix)나 혹은 학술적 접두사(prefix ştiinţific)가 근대기의 로망스어(주로 프랑스어)를 통해서 재도입되어 사용될 때 중복 표현이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현재 영어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언어의 세계화 추세에 비추어 볼 때, 한국어와 루마니아어 모두에 있어서 향후 영어 단어를 중심으로 한 중복표현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 KCI등재

        북한과 루마니아 간 비교연구의 의미: 배경, 가치 그리고 이에 따른 효과

        곽동훈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8 동유럽발칸연구 Vol.42 No.1

        In the studies of Decommunization, the collapse of the Cold War introduced a variety of theories. Further, a lot of side effects and types derived from the period of transition process to the market economy were standardized via these theories. With recognizing the limits and problems appeared in transition, we’ll search for the possibility and the types of North Korea’s transition through them. It is crucial that the collapse of communism systems in many Eastern European countries as well as that of Soviet Union implies the future of North Korea. More importantly, however, was that each country underwent differently the process of transition. Romania and North Korea have frequently been addressed in terms of methodology of comparing socialism and viewed as lots of and various studies conducted so far. Obviously,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Romania and North Korea is greatly contributing to study of North Korea itself. As the view about the unific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s shifting from idealistically to realistically, this research direction will be magnified more and more. The scientific accuracy and validity of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Romania and North Korea are verified by a number of elements in the fields such as ideology, history, society and politics. We can guess some scenarios on the prospect of North Korea via the method of this scientific comparative research. The Romanian case can be a valid example for us to expect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that is, social integ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냉전체제의 붕괴는 탈공산주의 연구에 있어서 다양한 이론들을 소개하 였고, 나아가 이러한 접근방법을 통해, 시장경제로의 전환 과정에서 나타난 여러 부작용과 실체가 정형화될 수 있었다. 체제전환에서 드러난 문제점과 한계를 분명히 인식한다면, 이를 토대로 향후 북한 체제전환의 가능성과 유 형을 보다 쉽게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소련을 비롯한 여러 동유럽 사회주 의 체제의 붕괴는 북한의 미래에 대하여 중요한 함의를 준다. 중요한 점은 국가별로 동일하지 않은 체제전환 과정을 경험하였다는 것이다. 각 사회주 의 국가들이 지녔던 특이한 성격과 보편적 특징을 비교, 분석하기 위한 틀 로 크게 ‘역사적 요인’과 이데올로기적 패러다임이나 정치적 리더십과 같은 권력엘리트, 정치-문화적 접근 등이 포함된 ‘현대적 특징’을 고려할 수 있겠다. 이 두 가지 측면에서 비추어 볼 때, 루마니아 케이스는 북한체제 전환 시 나타날 수 있는 여러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가치 있는 대안적 모델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루마니아와 북한은 비교사회주의 관점에서 빈 번하게 다루어져 왔으며, 현재의 시점에서 되돌아 볼 때, 그동안 많은 다양 한 연구물이 나왔다고 간주할 수 있다. 루마니아와 북한 간의 비교연구는 분명, 북한연구에 크게 기여를 하고 있다. 남북통일이 당위의 관점에서 가 능성과 필연성의 관점으로 전환되면서, 이러한 연구방향은 앞으로 더욱 더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시점에서, 루마니아와 북한 간 비교연구의 과학성과 타당성을 좀 더 확보하기 위해 이 두 국가가 적합한 비교대상인 지 입증해 보고 구체적으로 어떠한 조건과 이론이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두 국가 간의 비교연구를 통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유익에 대해서 고찰해 보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루마니아에서의 한국문학번역: 실태와 개선점 및 번역교육에 대한 고찰

        곽동훈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9 동유럽발칸연구 Vol.43 No.1

        In order to understand the various cultural interactions caused by the wave of globalization, we need a proper lens that can observe and transmit correctly these phenomena. The result of understanding very differs depending on which lens is used. Translation can be regarded as a len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world where language barriers exist. Literature is a kind of universal cultural heritage combined with the intellectual, artistic and social lifestyle of each society. Introducing this cultural complex, namely literature and impregnating people from other languages with the value of our Korean literature, begin with the correct translation. Translator should act as a literary missionary, not merely a simple communicator. The process of literary translation cannot be achieved by simple linguistic ability because it is a highly human scientific work that requires diverse talents from translators. The right translator for Korean literature in Romania is a person with diverse abilities and social experiences within the cultural framework of Korea and Romania. As the requirements of the translation environment from each country are different, the paradigm of foreign translation literature that Romania wants to accept may be very clear distinctively. With recognizing this characteristic environment of Romania, the value of Korean literature can be effectively spread in Romania. Translators are the creators of another original work. With this in mind, the education of Korean studies in Romania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nurture of right and capable translators. 세계화 물결이 가져온 다양한 문화적 교류를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그 현상을 바라보고 전달하는 적절한 렌즈(lens)가 필요하다. 어떠한 렌즈를통해 보느냐에 따라 이해의 폭과 깊이가 매우 상이하다. 번역은 바로 언어의 장벽이 존재하는 세계를 서로 소통시키는 렌즈라고 간주할 수 있겠다. 세상을 바라보고 평가하는 다양한 문화적 잣대 중 문학은 각 사회가 지닌 지적이자 예술적이며 사회의 전체적인 생활 방식이 결합된 일종의 보편적 문화유산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화 복합체인 문학을 전달하는 것, 즉다른 언어권의 사람들에게 우리 문학의 가치를 소개하며 인식케 하는 것은올바른 번역에서 시작된다. 번역가는 단순한 전달자가 아닌 문학의 전도사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문학의 번역화 과정은 단순한 언어적 능력만으로는 충분치 않으며 번역가의 다양한 재능이 요구되는 고난도의 인문학적 행위라 말할 수 있다. 루마니아에서 올바른 한국문학 번역가는 한국과 루마니아의 문화적 틀 내에서 다양한 재능과 사회화 경험을 갖춘 사람이라 할 수 있겠다. 각 나라마다 번역 환경의 요구 사항이 다르듯이 루마니아가 수용하고자하는 해외 번역문학의 패러다임도 특징이 매우 분명할 것이다. 이러한 것을인지한 후 한국문학의 가치를 루마니아에 전파해야 하겠다. 번역가는 또 하나의 원작을 창출하는 존재이다. 이것을 염두에 두고 루마니아 내 한국학교육도 올바른 번역가 양성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보스니아 민족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줄피카르파쉬치(Aldi Zulfikarpa?i?)의 보스니즘(bo?nja?tvo)을 중심으로

        권혁재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07 동유럽발칸연구 Vol.19 No.1

        During the wars in Bosina and Hercegovian, in autum 1993, an extr parliamentary assembly of Bosnian Muslim politicians and intellectuals vote for the replacement of the official "national name" Muslinani with Bošnjaci. Since 1994 Bošnjaci is the constitutional denomination of the Bosnian Muslims. Amazingly, the academic community did not comment on this momentous change very much as yet. After all, for the Bosnian Muslims this event is extremely important. Adil Zufikarpašić, one of the most famous figures on the Bosnian Muslim emigration, spent his whole life promoting the Bosniak national name. However, his national programme differs from the present interpretation of bošnjaštvo (Bosniakism) in Bosnia. According to Zufikarpašić, the Bosniak name is not limited to the Bosnian Muslims, but open to Bosnian Croats and Serbs, too. In this article his influence on the construction of the national identity of the Bosnian Muslims is shown. As well his personal interpretation of bošnjaštvo is analyzed. 현재 ‘무슬림 보스니아인’을 뜻하는 ‘보슈냐쯔(bonjac)’라는 명칭은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지역에 거주하는 무슬림 슬라브인을 지칭한다. 오스만 제국의 발칸 지배와 함께 나타나는 bonjac 라는 명칭은 보스니아 지역 거주민을 의미하는 ‘지역적 용어 (regional term)’로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나 무슬림 민족주의자들은 이 용어를 보스니아 지역에서 독자적인 개별 민족으로서 보스니아 무슬림을 의미하는 ‘민족적 용어(ethnic term)’로 발전시키고자 했다. 이후 보스니아 무슬림은 잔인한 전쟁을 치루고 나서 1995년 데이튼 협정(Dayton agreement)이후 보스니아지역에서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과 함께 독자적인 하나의 ‘민족(nation)’으로 국제적으로 인정받는다. 이런 무슬림 보스니아 민족주의 배경에는 19세기 합스부르크 제국의 문화정책으로부터 시작되는 보스니즘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종교적인 차이를 넘어 보스니아 무슬림을 하나의 민족으로 인정하는 보스니즘은 합스부르크제국의 보스니아 통치관이었던 카라이(Bejamin Kllay)에 의해 시작 되었으나 보스니아 무슬림의 주체적 보스니즘은 줄피카르파쉬치(Adil Zulfikarpai)가 완성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정치적으로 줄피카르파쉬치는 스스로 자신의 이상과 정책을 펼치지는 못 했지만 현재 보스니아 무슬림의 정치 상황은 줄피카르파쉬치의 보스니즘이 현실화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줄피카르파쉬치의 보스니즘은 보스니아 지역의 모든 보스니아 거주민을 보스니아인으로 묶는 개방적 보스니즘을 추구하였지만 보스니아와 보스니아인의 중심개념은 항상 보스니아 무슬림이었다. 본 연구는 보스니즘의 형성을 서술하고 표면적으로 개방적 보스니즘을 표방하지만 또 다른 형태의 민족주의 운동이라 평가할 수 있는 줄피카르파쉬치의 보스니즘을 객관적인 입장에서 분석하였다.

      • KCI등재

        세르보크로아티아어 후속 언어들의 현 상황 연구

        권혁재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5 동유럽발칸연구 Vol.39 No.2

        다민족, 다종교, 다언어 연방이었던 사회주의 유고슬라비아 연방(Socialist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을 지탱하였던 것은 정치적으로는 티토(Josip Broz Tito)의 ‘유고슬라비즘(Yugoslavism)’과 문화적으로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serbocroatian)’를 통한 단일 언어정책(language policy)이었다. 세르보크로아티아어는 연방의 모든 민족이 유고인(남슬라브인)이라는 동일한 정체성을 지니게 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구유고연방의 붕괴는 정치적인 유고슬라비즘의 종말뿐만 아니라 이를 지탱하였던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종말을 의미하였다. 연방의 해체이후 신생 공화국들이 즉각적으로 민족주의에 기초한 언어정책을 통해 독자적인 민족어 정립을 추진한다. 하나의 민족을 특징짓고 구별하는 여러 기준 중 언어가 가지는 상징성은 발칸지역에서 그 어떤 기준보다 크다. 발칸 민족주의의 특징이 동일한 언어를 사용하는 집단을 하나의 공동체로 규정하고 이를 민족으로 정의하는 것이다.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후속 언어라 할 수 있는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 몬테네그로어는 지난 20년이 넘는 세월동안 서로간의 차별화를 목표로 변화해 왔다. 이 연구는 동일한 방언군에 기초하고 있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 후속 언어들이 어떤 원칙을 통해 변화해왔는지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이와 함께 20년이 지난 현재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 몬테네그로어의 언어적 차이를 체계적으로 비교 평가해 보았다. What supported the multicultural, multireligious, and multilingual Socialist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were politically Josip Broz Tito’s Yugoslavism and culturally single language policy using Serbo-Croatian. Serbo-Croatian highly contributed to give all nations of the Federal a single identity as a South Slavs. The collapse of the Socialist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meant the end of not only the political Yugoslavism but of the Serbo-Croatian which had been supported the Federal. Immediately after the collapse of the Federal, new republics promoted establishing their own national language through the nationalism-based language policy. In the Balkans, the symbolism of languages is the most important among the criteria for characterizing and distinguishing a nation. A specific trait of the Balkans is determining the same language users as a group and defining it as a nation. Over the past twenty-some years, Serbian, Croatian, Bosnian, and Montenegrin considered as succeeding languages of Serbo-Croatian have been changed for distinguishing each other. This study comprehensively organized the language change principles of the same dialect group-based successors to Serbo-Croatian. In addition, this study systematically compared and evaluated the language differences of the current Serbian, Croatian, Bosnian, and Montenegrin 20 years after the collapse of the Socialist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