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Korean Mask Dance’s Influence on Yeats’s Play

        장원재 한국예이츠학회 2002 한국예이츠 저널 Vol.18 No.-

        예이츠가 레이디 그레고리와 더불어 아일랜드 문예부흥운동 및 아일랜드 연극운동을 견인하고, 장기간에 걸쳐 애비 극장의 책임자로 활동한 것은 널리 알려진 일이다. 그 기간 동안 예이츠는 극장의 행정을 담당하고 공연의 예술적 지표를 설정하는 외에, 극작가로서 활동의 지평을 넓히기도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예이츠의 <Four Plays For Dancers>를 중심으로, 한국 탈춤이 그의 후기 희곡 작품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논구한다. 서양의 연극적 관습이 표현의 한계에 봉착했다고 진단한 예이츠는 그 탈출구를 동양의 전통극에서 찾고자 노력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는 주일 영국대사관에 봉직했던 페날로사의 원고를 에즈라 파운드가 정리한 책으로부터 일본의 전통극 노(能)에 관한 정보를 습득하고, 나름대로 새로운 연극적 문법을 창시하였다. 악사들을 무대 위로 올려 관중들이 그들의 존재를 곧바로 인지하도록 하고, 등장인물들과 악사 간에 대화를 나누도록 하며, 별도의 장치 전환 없이 배우들이 무대를 몇 바퀴 도는 행위만으로 극중 장소의 변경을 적시하려 한 점 등이다. 이는 근대 이후의 서양적 연극관습에 정면으로 반기를 들고, 새로운 시공간 개념을 도입하려한 시도에 다름 아니다. 일본의 전통극 노(能)가 공연양식, 탈의 활용법 등을 기준으로 한국의 탈춤, 특히 서낭굿 탈놀이와 방법론적 유사성을 보인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한국의 탈춤과 일본의 노(能)는 공히 불교 선교극에 예술적 뿌리를 두고 있다. <일본서기(日本書紀)>를 보면, 나라시대(奈良時代: 646-794)에 백제(百濟)로부터 기악(枝樂)이라는 공연 양식이 전래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것이 곧 오늘날의 노(能)이다. 이와 같은 전파과정을 고려하면, 한국의 탈춤이 예이츠의 후기 희곡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결론에 다다르게 된다. 예이츠가 차용한 악사의 역할, 그리고 연극적 공간의 활용법은 표면적으로는 한국 탈춤의 경우와 상당히 흡사하다. 그러나, 예이츠의 희곡과 한국 탈춤의 채록본을 분석하면, 공연의 전체적인 맥락 안에서 논의되는 이 두 요소의 연극적 기능에 본질적인 차이가 내재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바탕 위에서, 본 고에서는 탈춤과 예이츠 희곡 간의 유사성 및 상이점을 자세하게 논구하였다. 나아가, 예이츠가 ‘총체극의 현현일 뿐 아니라 가장 첨단의 공연 양식’이라고 평가했던 동양 전통극의 공연관습이, 한국의 연극 운동 지도자들에게 전근대적이라고 폄하된 까닭을 고찰하였다. 이 문제와 이어지는 ‘연극적 근대성’의 개념에 대한 논쟁을 비교 분석하는 일은 지면 관계상 다음 기회로 미뤄 두기로 한다.

      • KCI등재

        Painterly Poeticizing in W. B. Yeats’s Poetry

        이영석 한국예이츠학회 2003 한국예이츠 저널 Vol.20 No.-

        예이츠(W. B. Yeats)는 화가를 아버지로, 화가 수업을 받은 시인이었다. 시인으로 성장하면서 문인 못지 않게 여러 화가들과 예술가적 환경에서 생활하였는데, 그의 저술 여기저기에 회화에 대한 언급이 많다. 따라서 그의 시의 형성에는 화가적 시학이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고 보아도 틀리지 않다는 전제가 이 논문의 바탕이 된다. 그리고 그의 시작 초기에 결정적 영향을 준 사람이 시인이며 화가인 영국의 대표적 낭만주의 시인인 블래이크(William Blake)이다. 예이츠는 이 시인을 두 번에 걸쳐 편집하고, 곧 이어서 두 편의 글 “회화의 상징성” (1898년)과 “시의 상징성” (1900년)을 발표한다. 이 작업을 통해 예이츠시의 골격이 형성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시기의 시들은 회화의 상징주의와 잘 비교 대조된다. 이 시기 이전의 예이츠는 힘이 부족한 것처럼 보인다. 예이츠시는 본질적으로 고전적인 회화적 형상성을 처음부터 보이나 상징적 특정이 가미되면서 시는 더욱 깊어진다. 예이츠 시의 또 다른 특성은 추상성이다. 이 특성은 예이츠가 의도적으로 시도했다기보다 선구적인 그의 기질이 이런 시를 만들게 했다고 보인다. 추상주의 미술은 아직 등장하지 않았으나, 예이츠는 “추상”이라는 용어를 종종 사용한다. 이러한 회화와 시 읽기에서 다루어지는 작품과 작가는 들라크루와(Delacroix)와 예이츠, 예이츠와 셰익스피어, 「레다와 백조」(Leda and the Swan)와 「비너스와 아도니스」(Venus and Adonis), 블래이크와 예이츠 및 「방울 달린 모자」(The Cap and Bells,) 귀스타브 모로(Gustave Moreau)와 예이츠, 모로의 회화작품들, 「쿨 장원의 야생 백조」(The Wild Swans at Coole)와 후기인상파 화가들 및 모로, 예이츠와 화가 시인 컴밍스(e e cummings) 등이다. W. B. Yeats was born a son of a painter father, John Butler Yeats. While growing up, he had been under the influence of painters, as well as of poets; as a result, Yeats often mentions things that have to do with art and artists in his writing. In view of this background, the basis of the thesis of the present paper focuses on the painterly poeticizing tendency in the poetry of Yeats. And the most important influence on his early poetic practice was William Blake, who was a poet and painter. He did his own illustrations to his poetry. Yeats edited Blake twice, and wrote two essays, “Symbolism in Painting” (1898) and “The Symbolisn in Poetry” (1900). Through this work, Yeats grew stronger in constitution. Compared with his earlier poetry, the poetry after his contact with Blake grows starker but richer, due to the symbolic enhancement. Yeats’s poetry is Classical in nature, if we borrow the term from the history of art; and it deepens with symbolism. Another characteristic in Yeats is the abstraction that Altieri and Albright discuss; Yeats did not yet see Abstract art appear, and yet he created poetry of “Abstract art.” His efforts to create a new poetry were about to be born, when he died. c c cummings may or may not surprise Yeats. The reading of the poetry and the paintings is done through dealing with Delacroix and Yeats; Yeats and Shakespeare; “Leda and the Swan” and “Venus and Adonis”; Blake and Yeats and “The Cap and Bells”; Gustave Moreau and Yeats, Moreau’s paintings; “The Wild Swans at Coole” and Post-Impressionist Painters and Moreau; Yeats and e e cummings.

      • KCI등재

        예이츠와 엘리엇 : 예이츠에 대한 엘리엇의 재조명 및 예이츠의 마스크

        이철희 한국예이츠학회 2013 한국예이츠 저널 Vol.40 No.-

        본 논문은 예이츠와 엘리엇의 관계를 자신들의 평가로 대비한다. 엘리 엇은 예이츠를 “우리 시대의 가장 위대한 시인”이라 평가 했고 예이츠는 엘리엇은 “시에 있어서 가장 혁명적인 사람”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엘리엇은 예이츠를 지적 우 수성은 물론 도덕적 우수성을 겸비한 작가이며 젊은 시인들이 예이츠를 존경심을 가 지고 배워야한다고 평가한다. 특히 예이츠의 표현기법상의 명료함, 정직성, 활력, 끊임 없는 소재의 개발 등을 높이 평가한다. 또한 예이츠의 대표적인 문학창작 이론 중에 하나인 마스크 이론은 작가의 객관적인 관점을 표현해 내기 위한 도구라는 점에서는 엘리엇의 몰개성이나 객관적 상관물이론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As Modernist poets Yeats and Eliot compare well. While Eliot regards Yeats as the greatest poet of our time, Yeats considers Eliot as the most revolutionary man in poetry. Eliot thinks Yeats is a model of great poet, with moral and intellectual excellence, who shows clarity, honesty, vigour, endless pursuit of poetic subjects in his work. Yeats’s theory of Mask is not dissimilar to Eliot's objective correlative. Like Eliot’s objective correlative and impersonality, Yeats uses Mask to express his multiple points of view of man.

      • KCI등재

        Yeats and Hopkins

        Youngmin Kim 한국예이츠학회 2000 한국예이츠 저널 Vol.14 No.-

        제랄드 맨리 홉킨스 (1844-1889)와 윌리암 버틀러 예이츠(1865-1939)를 전적으로 다루어 비교분석한 논문은 극히 드물다. 다만 홉킨스와 예이츠 아버지 화가 존 예이츠와의 만남에 대한 언급을 한 논문은 특히 홉킨스 써클의 학자들에게서 가끔 볼 수 있다. 이 두 시인은 직접적인 시와 시론의 영향을 서로 받은 적은 없다. 1886년 홉킨스가 예이츠의 “두 거인”이라는 정치시를 읽고서 생생한 이미저리와 멋진 시행을 발견할 수 있다고는 했으나 아직 미숙한 알레고리라고 한 적이 있고, 홉킨스가 캐터린 타이난과 예이츠 아버지와 만났을 때에 존 예이츠가 자신의 아들인 윌리암 예이츠가 쓴 “모사다”라는 시를 보여주자, 별로 신통치 않게 생각했다는 점이 두사람의 만남의 전부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사실상 홉킨스가 예이츠를 존 예이츠의 스튜디오에서 직접 만난 적이 있고, 예이츠는 홉킨스를 민감하고, 수다스런 학자로 기억했다고 한다는 점만이 유일한 두 사람의 “접속”일 뿐이다. 전기적인 사실로 볼 때는 전혀 관련이 없어 보이는 두 시인에게, 그러나 시인으로서의 자아형성 과정에는 묘한 유사성과 차이점을 드러내고 있다. 예이츠의 Unity of Being과 홉킨스의 inscape와 instress에 근거한 selving process가 이 두 시인의 창작과정을 지배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예이츠와 홉킨스가 어떤 과정을 통해 존재와 생성을 인식하고 그 들의 시에 구현해 나갔는가를 추적하는데 그 주요 목적을 둔다. 예이츠는 “존재의 합일”의 구조를 인간의 육체에 유추하여 시각화하여 “다이몬적인,” “가이어” 적인 이중원추의 작용으로 구심적으로 존재와 앎에 대한 이해를 해나갔으며, 홉킨스는 인간의 육체의 “인스케이프”를 치환시켜 언어적으로 자기화 과정을 통해 “인스트레 스”에 의해 충전된 변화무쌍한 자아를 생성해 나가는 원심적인 접근방법을 취했다. 사실상 이 두 시인은 분신과도 같이 존재와 생성의 문제를 다루어 자신들의 시적자아의 순수성에 도달하려고 했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예이츠의 가이어를 홉킨스의 파르메니데스의 존재의 영역과 헤라클레이토스의 생성의 영역의 혼성적 상태와 대비시켜 논의할 때, 두 시인이 유추적으로 서로 상응하는 대화를 그들의 시론과 시를 통해 나누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 KCI등재

        Yeats Matters : Iconic Value and Visibility

        Nathan Myers 한국예이츠학회 2015 한국예이츠 저널 Vol.47 No.-

        많은 정경화된 문인들과 달리,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는 학자들과 대중매체의 창작인들에게 호기심과 다양한 관점으로서 영속적이다. 예이츠 인용, 언급, 환기는 시간, 장소, 장르를 초월하며, 그 양과 지속성은 예이츠는 영원하다는 것이다. 그의 이름은 권위적이고, 영속적이고, 특이하게 변하는 자산이다; 그의 문학적 특성은 작가들에게 도움과 자료가 된다. 이것은 지난 반세기 동안의 점차 지구화되는, 범국가적 문화의 기억 속에서 예이츠의 뛰어나고 변화무쌍한 지위를 동시에 활용하고, 주장하고, 영속화시키는, 뚜렷하지만, 애매하게 정의된, 역사적으로 대중적이면서도 도회적인, 문학전통과 맥을 같이한다. 세기말 사이드와 키버드의 예이츠의 정치적 면모를 (재)조명함으로써, 리처드 엘만이 조지 예이츠와의 관계를 설명함으로써, TV와 영화 속의 예이츠의 등장을 통해서, 나는 예이츠의 시와 개성이 어떻게 20세기를 넘어서 국가적, 종족적, 사회적 힘에 관한 복잡한 개념들과 얽혀있는지를 탐구한다. Unlike many canonized literary figures, William Butler Yeats endures as a curious and multifarious point of reference for both the academic community and purveyors of more popular media. Yeats allusions, references, and evocations span time, location, and genre, but their volume and consistency clearly indicate that Yeats matters. His name retains an authoritative, enduring, and uniquely protean capital; his literary signature aids the writer and affords resources, aligning it with a distinctive, though vaguely defined, literary tradition, historically popular and urbane, that simultaneously exploits, asserts, and perpetuates Yeats’s eminent and mutable position in the increasingly globalized, transnational cultural memory of the last half century. Through discussions of Richard Ellmann’s relationship with George Yeats, Yeats’s (re)politicization by Said and Kiberd near the end of the century, and Yeats’s appearances in television/film, I explore how Yeats’s poetry and personage have been tangled in complex notions of national, ethnic and social power across the 20th century.

      • KCI등재

        예이츠 시에 나타난 기독교적 영향

        정연욱 한국예이츠학회 2013 한국예이츠 저널 Vol.41 No.-

        예이츠가 인류의 구원을 위해 옳고 그름이라는 이분법의 사슬에서 해방되어 제 3의 지점을 지향한 사상은 예수의 사상과 관련성을 맺는다. 예이츠가 반자아를 통해 지향적 자아를 추구한 과정에는 부정의 방법론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점들은 인류 구원을 위하여 부정과 해체의 방법을 사용한 예수의 사상과 유사한 점들이 포착된다. 예이츠의 시 세계 속에는 현실과 초월에 대한 균형이 존재한다. 이것은 성경의 사상과 일치하는 면이 있다. 그리고 예이츠의 예술세계 속에는 영혼의 연마의 과정을 통한 신과 인간의 연합 사상이 담겨 있는데, 이것은 기독교의 동방정교의 신화사상과 유사성이 있다. 이처럼 예이츠의 예술의 세계의 중심사상 속에는 기독교와 연관성이 의외로 많은 것을 보게 된다. Yeats pursues the third realm beyond the dichotomy of good and evil for the salvation of human beings: this pursuit is, to me, concerned with the thought of Jesus. In Yeats, the process of pursuing the ascending—oriented self through the anti-self contains the methodology of negation, which is analogous to the thought of Jesus who employs the method of negation and deconstruction for human salvation. The equilibrium between reality and transcendence exists in Yeats’s poetry, as in Christianity. In addition, Yeats’s poems contain the union of God and human beings through spiritual training, which resembles theosis that is a central idea of Eastern Orthodox Church. Thus, we can see that Yeats’s poetry is deeply rooted in Christian theology.

      • KCI등재

        W. B. Yeats, Yeats Studies, and Bibliography : An Interview with Klaus Peter Jochum

        Young Suck Rhee 한국예이츠학회 2012 한국예이츠 저널 Vol.39 No.-

        클라우스 피터 요쿰 교수는 예이츠 연구 서지학자들 중에 가장 저명한 학자로 예이츠와 예이츠연구를 말한다. 예이츠에 대한 방대한 글과 아직 시인 예이츠, 인간 예이츠에 대한 글이 쏟아지고 있는 것을 모으는 일을 계속하고 있다. 그의 통찰 력 있는 예이츠와 예이츠 연구에 대한 견해를 들을 수 있는 인터뷰를 하게 된 것은 영광스러운 일이다. 독자들은 그의 말을 귀담아 음미하시기 바란다. Klaus Peter Jochum, one of the greatest bibliographers of Yeats studies, talks about Yeats and Yeats studies. His efforts are still ongoing to put together the vast amount of writing on Yeats and what still expands on Yeats the poet and the man. It is a great honor for the editor to have an interview with him and hear his enlightening views of Yeats and Yeats studies. I hope the readers will enjoy what follows and benefit by his wisdom.

      • KCI등재

        예이츠와 엘리엇의 관계 살펴보기: 만남에서 상호 평가와 엘리엇 속의 예이츠 반향 찾기

        이철희 한국예이츠학회 2020 한국예이츠 저널 Vol.62 No.-

        예이츠와 엘리엇 사이의 관계 규명을 위한 시도는 있었지만 좀처럼 그 해답을 찾지 못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 글은 이 두 시인 사이의 관계 규명을 위해 기획된 것이다. 그래서 먼저 엘리엇과 예이츠 비교 연구의 의의와 이 두 시인 사이의 첫 만남에서 시작하여 예이츠와 엘리엇 상호 간의 평가와 마지막으로 엘리엇 작품 속 예이츠의 투영 모습을 고찰했다. Not a few researchers have tried to closely def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Yeats and Eliot. But most seem to have had some limitations. I will make an effort to fill in the gap by researching the relations that remain neglected so far. I focus on the two poets’ first meeting, as well as the mutual evaluations of each other, and some transformations that could be traced to Eliot’s influence in Yeats’s works. As I show in this essay, Yeats and Eliot have had closer ties through their contact and their interest in each other.

      • KCI등재

        김수영의 예이츠 문학 수용 양상 연구

        한세정 한국예이츠학회 2017 한국예이츠 저널 Vol.53 No.-

        이 논문은 김수영의 예이츠 문학 수용 양상을 살피고, 그것이 그의 시 세계에 미친 영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4. 19 혁명을 계기로 김수영은 한국 의 시대 현실에 대한 냉철한 인식 아래 새로운 시 쓰기 방법론에 고심(苦心)하는데, 이러한 시적(詩的) 모색은 이 시기 그가 주시했던 예이츠 문학의 특징과 긴밀하게 연 동된다. 김수영은 시대 현실에 대한 예이츠의 인식과 이를 기저로 한 창작 방법론을 매개로 한국 시단의 문제점을 인식하면서, 한국시가 나가야 할 ‘현대성’의 방향을 타 진하였다. 『巨大한 뿌리‏‎』 에서 김수영은 아일랜드 전통에 지대한 관심을 보였던 예이츠 의 시적 특징을 창조적으로 수용하여 전통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마련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how Kim Sooyoung has been influenced by Yeats and his work, and makes an attempt to identify the traces of his influence on Kim’s poetry. The April 19 Uprising of Korea has made Kim Sooyoung realize the reality of life in Korea at that time, and he searches for new methods of writing poetry. Kim comes to be interested in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Yeats, which is to influence his outlook. Kim Sooyoung has looked for the direction of ‘modernity’ that Korean poetry should take. On the basis of Yeats’s examples, Kim, being keenly aware of the issues of Korean poetry, develops his own style. In “The Great Root,” Kim Sooyoung is newly aware of his poetic tradition by reading and learning the poetry of Yeats, who had been deeply concerned with Irish trad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