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예술치료교육의 개념과 방향에 대한 담론

        김성애(Sung Ae Kim)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 2015 예술과 인간 Vol.1 No.1

        예술치료교육이 한국인에게 왜 필요한가? 이 물음을 뒤집어 보면 예술치료교육이 한국인에게 꼭 필요하다는 말이다. 이 질문에는 에술치료교육이 가야 하는 방향이 이 시대의 한국인에게 꼭 필요한 내용을 담고 있어야 한다는 요구도 들어 있다. 최근 들어 한국인은 여러 가지 고통과 충격의 도가니에 휘말려 있다. 세월호 침몰과 같은 각종 안전사고, 가난, 실직 등이 원인이 되어 세상을 등진 사람들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극심한 상실감을 앓고 있다. 또한 인터넷, 게임중독, 각종 통신 기기와의 만남으로 많은 한국인이 실존적 혼자상태에 놓였다. 여기에다가,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생물학적으로 다르다는 이유로 그들의 사회적인 불이익과 소외감은 항상 있어왔다. 그래서 예술치료교육은 일시적으로든지 만성적으로든지 사회로부터 배제되고 불편함을 감수하여 자신의 인생을 살아가야 하는 한국인을 건강하게 할 에너지로 작용해야 할 역학을 감당해야 한다. 예술치료교육이 한국인에게 필요한 또 다른 이유는 그 안에 창의적인 인간을 기를 수 있는 엔지가 있기 때문이다. 지금의 시대는 포스트모던 사회가 주류를 이룬다. 이 사회는 창의적인 인간을 필요로 한다. 예술치료교육은 한국인에게 창의력을 가져다준다. 예술치료교육이 이토록 중요할 진데, 예술치료교육의 개념이 어떻게 정의되어야 하며 그 실행 방향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담론할 필요가 있다. 치료는 교육이어야 하고 교육은 곧 예술이어야 한다. 그렇다면, 예술치료교육은 예술 그 자체이다. 그 예술은 치료와 교육의 개념적 차원에서의 예술이고, 치료와 교육의 실천 차원에서의 예술이다. 즉, 예술치료교육은 행동을 통한 예술적 표현이요, 창의적인 인간을 육성하는 교육적 목표를 가지는 것이요, 인간의 가능성을 의학적인 진단과 처방이 아닌 교육으로 치료적 결과를 얻는 것이다. 예술치료교육은 의학적인 치료가 아니라 예술 그 자체요, 교육적인 본질을 추구한다. 예술치료교육의 대상자들은 의학적인 손상이나 질병 등의 개념 차원으로 이해되고 지원되어서는 안 된다. 그러면 예술치료교육은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 그 철학을 어떻게 소화할 것인가? 어떤 방안이 활용되어야 하는가? 등에 관한 해답은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실제와 소통을 통해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은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가 당면한 과제가될 것이다. 위의 관점을 가진 예술치료교육과 그 운영자인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는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Why is the art therapy needed or Korean? Reverse this question, then the question will state that the art therapy is needs for Korean, The question also includes the demand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art therapy education should contain necessary contents for Korean people of the hour. Recently, People in Korea are in shock and racked with pain by a wide range of social problems such as safety concerns like ferry Sewol disaster, poverty and unemployment. The social problems directly-indirectly impact on people`s emotion that would be fallen into extreme sense of loss. In addition, using internet, doing internet game and using other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isolate people from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people with disabilities already have been isolated from communities and have been faced social disadvantages because of their biological differences. Thus, the art therapy education should take on a role in supporting positive energy for Korean people to overcome social disadvantages and exclusion from their society. One other reason that the art therapy education is needed for Korean is, there is energy which can raise creative human beings. This time, post-modern society is the mainstream society. The society needs creative people. The art therapy education develops people`s creativities. How important the art therapy education is. Thus, the concept and the direction of the art therapy should be discussed. Therapy must be education and the education must be art. Accordingly, the art therapy education is art`s self. The art is not only the conceptual dimension of therapy and education but also the practical dimension of therapy and education. In other world, the art therapy education is the artistic presentation through actions, aims to raise creative human beings, and obtains therapeutic results by educations rather than medical diagnosis and prescription. The art therapy education is not medical therapy but the art`s self and it pursues educational essentiality. Thus, the subjects of the art therapy education should not be neither supported nor understood as medical disease and/or impairment. Then, how to practice the art therapy education? How to put its philosophy into practice? What kinds of methods will be used? Theses questions should be answered in future research and discussion on the art therapy education and these will be the tasks that the society of the art therapy education faced on.

      • KCI등재

        한국적 포커싱 체험 미술치료 작업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상담자 대상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주은선,신설애,김주영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4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0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적 포커싱 체험 미술치료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심리상담자들의 포커싱 체험 미술치료의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적 포커싱 체험 미술치료의 활용과 방향성 및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포커싱 체험 심리치료 교육을 이수한 학생들 중 6시간의 한국적 포커싱 미술치료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에 대한 포커스 그룹인터뷰를 진행하고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3개의 주제와 10개의 범주, 31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주제는 한국화 재료와 기법이 주는 독특한 내적 경험으로 3개의 범주로 나뉜다. 범주1) 한국적 재료의 특징에 따른 내적변화의 경험, 범주2) 한국화기법과 재료가 주는 독특성, 범주3) 불편함을 견딜 수 있는 내적자원의 토대마련. 두 번째 주제는 한국적 포커싱 체험 미술치료 작업의 특징으로 다음과 같이 4개의 범주로 나뉜다. 범주1) 자연스러운 정리경험, 범주2) 빠른 집중과 몰입 가능, 범주3) 펠트센스와의 관계촉진. 범주4) 자기자각과 내면의 잠재력 발견. 세 번째 주제는 상담자로서 도움이 된 점으로 다음과 같이 3개의 범주로 나뉜다. 범주1) 경험의 개방성 증가, 범주2) 소진예방의 필요성과 회복의 경험, 범주3) 전문가로서의 성장에 도움. 이러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적 포커싱 체험 미술치료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experiences of Korean Focusing Experiential Art (KFEA) program. Qualitative analysis of Focus group interview is performed on counselors who attended 6-hour KFEA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3 themes and 10 categories are retrieved. The first theme is named as “Internal Experience of uniqueness of Korean Art material & Technique” which is associated with 3 following categories: 1) Internal Chang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aterial, 2) Uniqueness of Korean Art material & technique, 3) Foundation of internal resources to endure uncomfortableness. The second theme is called as “The characteristics of KFEA” and the following 4 categories are related: Category 1) Clearing Space, 2) The possibility of quicker involvement, 3) Relationship with Felt Sense, 4) Able to discover self-awareness & internal potential. The third them is named as ”Benefit as a counselor“ and 3 following categories are related: 1) Increase of openness for diverse experiences, 2) Understanding the need for prevention of burn-out, 3) Aid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effectiveness of the KFEA program is examined. Also, suggestions are provid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and its applications.

      • KCI등재

        포커싱 예술치료의 국내적용을 위한 예비 연구 - 포커싱 예술치료 자격증과정 참여 트레이니의 체험을 중심으로 -

        주은선,조병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2 예술심리치료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미국 포커싱 예술치료 전문교육기관(Focusing & Expressive Arts Institute)의 포커싱 예술치료(Focusing-Oriented Arts Therapy: FOAT) 자격증과정에 참여한 한국트레이니들의 체험을 심층적으로 알아봄으로써 포커싱 예술치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한국에서의 포커싱 예술치료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연구 대상자 체험의 개별적 의미와, 그 개별적 체험을 관통하는 일반적 체험의 구조를 발견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하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한 결과 4개의 범주에서 18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첫 번째 범주는 포커싱 예술치료에 대한 기대로 1) 막연함과 궁금함, 2) 위축감과 걱정의 주제, 두 번째 범주로는 포커싱 예술치료의 체험으로 3) 부담 없이 다가 옴, 4) 건강한 거리두기와 집중, 5) 몰랐던 내 마음보기, 6) ‘찾기’의 반복, 7) 내 마음 다시보기, 8) 연결감, 9) 내 모습이 달라짐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세 번째 범주는 포커싱 예술치료의 적용가능성인데, 여기에는 10) 치료적 관계의 촉진, 11) 내담자의 자기표현에 도움, 12) 내담자의 통찰 촉진, 13) 내담자의 온전성 경험, 14) 감각느낌(felt sense)을 구체화함이라는 주제가 도출되었다. 마지막 범주는 포커싱 예술치료 적용의 우려와 한계인데, 여기에는 15) 치료자의 태도, 16) 물리적 환경, 17) 치료효과의 검증, 18) 기법상의 한계 및 유의점이라는 주제가 도출되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포커싱 예술치료의 활성화를 위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who attended Focusing-Oriented Art Therapy (FOAT) offered by Focusing & Expressive Arts Institute, U.S.A.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researchers identified 4 categories and 18 themes. The phenomenological method provides the structure of general experiences based on research participants' individual experience and meaning. The first category was expectation on FOAT and the themes were: 1) ambiguous feeling and curiosity, 2) withering and concern. The second category was named as FOAT lived-experiences and themes were: 3) not so demanding, 4) appropriate distance and concentration, 5) ability to know my inner world, 6) repetitive seeking experience, 7)ability to re-exam inner world, 8) connection, 9) changes. The third category was applicability of FOAT and themes were: 10) facilitating therapeutic relationship, 11) ability to help self-expression, 12) facilitating insight, 13) experience of integrity/wholeness, 14) concretization of felt sense. The fourth category was the limitation of FOAT and the themes were: 15) therapist's attitude, 16) environment, 17) examination of therapeutic effectiveness 18) limitation of skills.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ers hope to provide understanding of Focusing-Oriented Art Therapy and the application of the approach in Korea.

      • KCI등재

        예술심리치료의 특성과 효과에 대한 연구

        이근매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1 예술심리치료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예술심리치료의 다양한 실천적인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나 치료적인 성과와 해석적인 의미에 대한 객관성, 일반화 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어 문헌 연구를 통하여 그 효과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과 예술심리치료의 관련성을 통하여 의미를 탐색하고 치료과정을 살펴본다. 둘째, 예술심리치료의 특성 및 효용성을 살펴본다. 셋째, 선행연구를 통해 본 예술심리치료의 효과를 살펴본다. 예술심리치료의 국내외 선행연구를 통하여 예술과 예술심리치료의 관련성을 통하여 의미를 탐색하여 예술심리치료의 특성 및 효용성을 살펴본다. 아울러 2000년에서 2009년까지 최근 10년간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예술심리치료 관련 논문 58편, 박사학위 논문 5편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예술심리치료의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예술의 고유성과 작업하는 그 자체, 즉 예술의 치료적 요인과 유효성이 예술심리치료의 효과성을 검증해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치료효과의 과학적인 입증을 요구받고 있는 현시점에서 선행연구 논문과 자료 그리고 많은 임상실천에 관한 연구들은 예술심리치료의 효과성을 입증해 주고 있다. There are numerous literatures that report practical aspects of art psychotherapy. However, there are arguments that were raised about its interpretive meaning such as objectiveness and generaliz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iveness of art psychotherapy through a review of literatu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 the meaning of art psychotherapy and therapy process will be explor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art psychotherapy. Secondly, the characteristic and effectiveness of art psychotherapy will be examined. Finally, this paper will review the effectiveness of art psychotherapy from former studies.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 and effectiveness of art psychotherapy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from formal studies internationally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art psychotherapy. In addition, this article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art psychotherapy by reviewing 58 articles that were published in a Korean academic journal and 5 dissertations related to art psychotherapy during past decades. In the results, the effectiveness of art psychotherapy is revealed by art’s origin and the art work itself; in other words, therapeutic factors and validations. Furthermore, the field is need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rapy scientifically. At this point in time, various literature, resources, and studies of clinical cases provide substantial empirical evidence that supports the effectiveness of art psychotherapy.

      • KCI등재

        노인 우울에 대한 정신분석적 통합예술치료 집단사례연구와 그 의미 : 영화치료와 미술치료를 중심으로

        이수진,손상준,박성옥,정경훈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7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한국 고령화 사회 내 노인의 우울을 효과적으로 중재할 수 있는 정신분석적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이론 및 임상 체계와 그 의미를 구명하고자 한 연구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법과 사례연구법을 병용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은 대상의 상실이 자아의 상실로 이어진 자기 전략이라는 정신분석적 의미를 밝힌다. 또한 통합예술치료는 인지⋅정서⋅행동의 심리적 기제 측면의 통합예술치료와, 영화치료와 미술치료를 병합한 치료적 접근 측면의 통합예술치료라는 두 가지 의미를 밝힌다. 이러한 우울과 통합예술치료의 의미는 본 중재의 이론적 체계를 구명한다. 둘째, 본 중재는 우울 상태인 7명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14회기 집단사례를 실시한 후, SGDS⋅KHTP⋅일상생활평가 결과를 통해 양적⋅질적 효과를 밝힌다. 이러한 정신분석적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은 본 중재의 임상적 체계를 구명한다. 셋째, 정신분석적 통합예술치료는 충분히 좋은 치료자의 역할이 있는 보듬어 주는 환경으로서의 의미를 밝힌다. 이로써 본 중재의 치료적 의미와 사회적 의미를 구명한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와 가치를 통해 향후 노인의 정신 건강을 위한 전문적인 학제간 융복합 연구노력이 이어지기를 바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the psychoanalytic integrative arts psychotherapy program that makes an effective intervention i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the aging society. Both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y are used.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etical meaning of the depression intervention by clarifying the meaning that the depression is a self-strategy in which the deprivation of object is connected with that of ego, and by clarifying the meaning of integrative arts psychotherapy as both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cognition-affection-behavior and the therapeutic approach combining cinema therapy and art therapy. Secondly, the study offers a successful practical system of the depression intervention by revealing it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ffects through SGDS⋅KHTP⋅Daily Assessment Checklist after practicing the intervention of 14 sessions for the 7 aged persons with depression. Thirdly, the psychoanalytic integrative arts psychotherapy for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revalorizes the therapeutic and social meanings of the intervention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holding environment with good-enough therapists. Hopely, the value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professional interdisciplinary and multidisciplinary researches for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 KCI등재

        문인화 예술정신론의 고찰을 통한 인성적 예술치료로서 문인화의 유용성 및 가치탐색

        박서령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5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요즘 분노사회 및 피로사회로 일컬어지는 사회현상의 문제의식에서 인간본성의 회복과 함께 정신적 치유가 그 어느 때 보다도 필요하고 감정의 통제와 조절력이 절실하다는 필요성에서 출발하였다. 문인화는 근본적으로 도덕과 절제의 덕목을 높게 평가하던 정신윤리학적 배경과 밀접하며, 문기와 수양으로 압축된다. 문인화는 정신력과 조절력을 강조하는 ‘필묵의 정신적 훈련’을 통한 실천심미학으로서 참된 인성의 소양을 배양시킬 뿐 아니라, 심리치유적인 기능이 강하게 내포되어 있다. 문인화 예술정신의 인성적 예술치료로서의 유용성 및 가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정화의(詩情畵意)’의 ‘비덕(比德)의 심상화’는 ‘상징적 공간’과 ‘선택적 능력’을 제공해준다. 상징과 선택의 능력은 예술치료를 위한 감정의 조절 능력과 연결된다. 둘째, ‘일기(逸氣)’의 ‘개성의 심상화’는 ‘자신감’과 ‘초연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해준다. 자신감과 초연은 스스로의 치유력을 향상시킨다. 셋째, ‘평담 천진(平淡天眞)’의 ‘무욕(無欲)의 심상화’는 ‘새로운 인식의 전환’과 ‘변화의 장’을 마련해준다. 인식의 전환과 변화는 현실의 수용적인 인식을 부여한다. 이러한 작업 내용은 예술치료의 본질인 ‘참된 인간다움의 창조성’에 초점을 둔 것과 통하고 인성적 예술치료로서 ‘참된 나를 만나기 위한 작업과정’으로서의 질적인 가치가 있다. 그러므로 문인화 예술정신의 실천적 내용은 참된 인성의 훈련을 위한 예술치료에 매우 효과적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values and usefulness of the literati paintings as artistic therapy for recovering human nature. This study especially underlines the literati paintings' artistic spirit which closely relates to the spiritual development. Furthermore, the literati paintings highly evaluates the morality and the self-control, as it emphasizes the mun-qi(文氣, cultivation to create the true humanistic value). The literati paintings' mun-qi, cultivating the humanistic refinement, encompasses the spiritual discipline through practicing with the brush and the Chinese ink. The artistic and spiritual discipline of the literati paintings provides three kinds of the values and usefulness for humanistic psychological therapy. Firstly, the bi-duc(比德) visualization of poetry-simulating painting expression(詩情畵意) offers the symbolistic space and the selection capacity which are connected to the emotional self control for psychological treatment. Secondly, the personality visualization of the Il-qi(逸氣, finding selfness) offers the self-confidence and the ability to remain aloof from the environmental influence and to improve the self healing power. Thirdly, the self-forgetfulness visualization of true selfness in nature(平淡天眞) renders the positive development of self cognizance power. From the view points of the above three, the artistic practice of the literati paintings is effective for the artistic therapy based on the humanity training.

      • KCI등재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문제행동 아동의 우울, 불안, 정서지능 및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주정옥 한국예술치료학회 2010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는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문제행동 아동의 우울과 불안 정서지능, 행복감 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은 통합예술치료프로그램, 비교집단은 미술치료프로그램을 매주 10회기 진행하였고 효과 검증을 위해 J도 Y시에 위치한 S아동가족상담센터의 아동 중 초등3-6학년 30명을 각각 15명씩 무선 배정 혼합변량분석을 사용하여 두 집단 간 사전, 사후에 걸쳐 반복측정 한 점수들이 유의한 차이들이 있는지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과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 모두 우울, 불안 점수가 감소하였고, 정서 지능, 행복감 점수는 향상되었다. 본 연구가 더 효과적인 예술치료활동을 위해 정서지향적 예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체계적인 연구의 기반이 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예술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음악치료, 미술치료, 무용동작치료, 통합예술치료를 중심으로

        곽현주,김영희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3 예술심리치료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지난 10여 년간 예술치료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를 바탕으로 치료효과를 나타 낸 변인들을 생리적 효과 변인군, 신체기능 효과 변인군, 심리적응 효과 변인군, 행동적응 효과 변인군, 사회적응 효과 변인군으로 분류한 뒤 메타분석을 통하여 치료효과 변인군들 의 효과크기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예술치료 효과의 효과크기를 알아보는데 있다. 예술치료 효과에 대한 변인군은 신체기능효과 변인군을 제외한 모든 변인군들이 유 의한 효과크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심리적응 효과 변인군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 그 다음이 행동적응 효과 변인군, 사회적응 효과 변인군, 생리 적 효과 변인군 순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지난 10여 년간의 예술치료의 효과를 검 증한 선행 연구들을 종합, 정리하여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수량적 통합을 시도했 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예술치료의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에서 비슷한 변인에 대한 연구 들이 반복되는 비효율성을 감소시키고, 예술치료 효과에 대한 다양한 변인들의 통합적 분 류를 위한 기초 작업에 근거를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size of art therapy effectiveness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studies over the last 10 years in the categories of the variable groups of physiological function effect, physical function effect, psychological adaptation effect, behavioral adaptation effect and social adaptation effect through a meta-analysis.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include: What is the effect size of art therapy effectiveness? As for the variable groups regarding the art therapy effectiveness, all variable groups except physical function effect variable groups had a significant effect size.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of the effect size, psychological adaptation effect variable group showed the greatest effect size, followed by behavioral adaptation efffect variable group, social adaptation effect variable group,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effect group in order.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made an attempt for quantitative integration to draw objective results by integrating and organizing the studies over the past 10 years which suggested the foundation for the works to reduce the inefficiency in repeating the studies on the similar variables and the integrative classification of a wide range of variables in similar kinds regarding the effect of art therapy.

      • KCI등재

        NCS 기반 예술심리치료사 양성 방안

        조용태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5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1 No.4

        본 연구에서는 국가가 요구하는 최소한의 능력 요구 수준을 제시하고 있는 NCS에 기반한 예술심리치료사 양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심리치료사의 직무를 검토한다. 둘째, 예술심리치료사의 핵심 능력을 검토한다. 셋째, 예술심리치료사의 양성 방안을 검토한다. 예술심리치료사의 직무로서 ①진단/평가, ②상담/치료, ③교육 및 훈련/상담, ④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⑤매체제작과 활용, ⑥자기계발을 핵심 직무로 제안한다. 예술심리치료사가 갖추어 하는 최소한의 핵심 능력을 예술심리치료의 이론적 기초, 치료관계, 중재계획, 중재수행, 중재평가와 처치, 문화적 민감성, 윤리적 민감성과 같은 6가지로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예술심리치료사 양성 방안은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예술심리치료사 자격제도를 신자격으로 할 것인지 구자격으로 할 것인지를 먼저 결정하여야 한다. 둘째, NCS 분류체계에서 예술심리치료의 위치를 결정해야 한다. 셋째, 예술심리치료사의 직무를 분류하고, 직무에 따른 능력단위를 구성하여야 한다. 넷째, 직업기초기능 영역의 내용과 수준을 결정하여야 한다. 다섯째, 예술심리치료사의 자격 유형에 따른 직무와 능력단위를 결정하여야 한다. 여섯째, 예술심리치료사 양성에 필요한 교육훈련 시간을 결정하여야 한다. 일곱째, 예술심리치료사의 활동 장면과 내담자의 특성에 따라 능력단위를 결정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training plan of arts psychotherapist based on the NCS, which was required by the government to satisfy a minimum level of competence. Specific objective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 reviewed the jobs of the arts psychotherapist. Second, I examined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arts psychotherapist. Third, I examined the training plan of the arts psychotherapist. In summary, suggested ①diagnosis/assessment, ②counseling/treatment, ③education and training/counseling, ④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⑤media production and utilization, and ⑥self-development as the jobs of arts psychotherapist, The core competencies of arts psychotherapist are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arts psychotherapy, therapeutic relationship, intervention planning, intervention implementation, intervention assessment and treatment, and cultural and ethical sensitivity. The training plan of arts psychotherapist based on the NCS, as follows: First, an arts psychotherapist qualifications system to the new qualification shall be determined at most first. Second, the position of arts psychotherapy in the NCS classifications system must be determined. Third, must be the classifying the job of arts psychotherapist, and organizing the ability to be competence units of the job. Fourth, must be determined the contents and levels of the NCS vocational basic competencies areas. Fifth, must be determined the jobs and competence units according to qualification type of arts psychotherapists. Sixth, must be determined the education and training time required to training arts psychotherapists. Seventh, must be determined the competence unit in accordance with the therapeutic scenes and client characteristics of the arts psychotherapi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