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제화 시대에 부응하는 영화 리터러시 교육의 글로벌 동향 분석

        고병정 ( Byung-jung Ko ) 한국영화교육학회 2024 영화교육연구 Vol.18 No.2

        영화 리터러시 교육은 현대 사회에서 미디어 교육의 핵심 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국제화 시대를 맞이하여 전 세계적으로 영화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각국의 교육 현장에서는 다양한 교육 방법과 콘텐츠가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제화 시대에 부응하는 영화 리터러시 교육의 글로벌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국내 영화 리터러시 교육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와 사례 연구를 병행하였다. 먼저 영화 리터러시 교육과 관련된 국내외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어서 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 등 영화 리터러시 교육 선진국의 교육 사례를 수집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교육 정책, 교육 과정, 교수학습 방법, 교육 콘텐츠 등 영화 리터러시 교육의 전반적인 측면을 포괄하였다. 분석 결과, 국제화 시대의 영화 리터러시 교육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영화에 대한 비판적 이해와 감상 능력 함양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둘째, 영화 제작 실습을 통해 영화 언어와 표현 방식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있다. 셋째, 다양한 문화권의 영화를 감상하고 토론하는 과정을 통해 문화 간 소통 능력을 기르고 있다. 넷째,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영화 제작 및 감상 교육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동향 분석을 바탕으로 국내 영화 리터러시 교육의 발전 방향을 제안하였다. 첫째, 영화 리터러시 교육을 미디어 교육의 핵심 영역으로 설정하고 교육 과정을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영화 제작 실습 교육을 강화하여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셋째, 다양한 문화권의 영화를 교육 콘텐츠로 활용하여 문화 다양성 교육을 실천해야 한다. 넷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 연계하여 영화 교육 방법을 혁신해야 한다. 본 연구는 국제화 시대에 영화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글로벌 동향 분석을 통해 국내 영화 리터러시 교육의 실천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영화 리터러시 교육의 정책 수립과 교육 현장 적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Film literacy education has emerged as a core area of media education in contemporary society. With the advent of the era of globalization, the importance of film literacy education is being emphasized worldwide, and various educational methods and contents are being developed in educational settings across countri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global trends in film literacy education that respond to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film literacy education in Korea. The research methodology employed a combination of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First, a theoretical foundation was established by examin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ior research related to film literacy education. Next, educational cases from advanced countries in film literacy education, such as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ustralia, and Canada, were collected and comparatively analyzed. The analysis encompassed a comprehensive range of aspects in film literacy education, including educational policies, curricul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ducational content. The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film literacy education in the era of globalization. First, there is a focus on cultivating critical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skills of films. Second, an in-depth understanding of film language and expression techniques is being developed through film production practices. Third, the ability to communicate across cultures is being fostered through the process of appreciating and discussing films from various cultural spheres. Fourth, film production and appreciation education utilizing digital technologies is expanding. Based on this analysis of global trends,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film literacy education in Korea were proposed.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film literacy education as a core area of media education and systematize the curriculum. Second, film production practice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to encourage learners' active participation. Third,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should be practiced by utilizing films from various cultural spheres as educational content. Fourth, film education methods should be innovated in conjunction with digital literacy educ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aise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film literacy education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presents practical measures for film literacy education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global tre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policy formulation and educational field application of film literacy education in Korea.

      • 세로영화 ‘BYE’ 연출을 통해 살펴 본 화면비율의 변화와 제작에 관한 연구

        권호영 ( Ho-young Kweon ) 한국영화교육학회 2023 영화교육연구 Vol.17 No.3

        영화가 발명된 지 100년이 넘게 우리는 가로로 된 프레임의 영화에 익숙해져있고 가로영화가 당연하다고 믿었다. 그러나 영화에도 새로운 패러다임이 다가와 극장이라는 공간에서의 영화관람이 코로나19로 인해 극장은 불안해졌고 안방이나 핸드폰으로 관람의 형태가 달라지게 되었다. 우리는 새로운 또는 새로움에 대한 대비를 하지도 못한 채 받아들여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 것이다. AR, VR, MR등의 뉴미디어와 메타버스가 최근 화두가 되고 있고 새로운 영상에 대한 논의나 제작은 이제 더 이상 낯선 이야기는 아니다. 여기에 핸드폰에 익숙한 우리에게 세로영상까지 나오게 되었다. 라라랜드의 감독 데이미언 셔젤은 세로영상으로 아이폰 광고 9분짜리 단편 영화 <스턴트 더블 (The Stunt Double)>를 만들게 되었고 그로인해 세로영화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졌다. 이제 뉴미디어에 대한 관심에 이어 세로영화라는 기존 영화의 도<sup>1)</sup>전을 외면할 수 없는 상황에 세로영화에 대한 연구는 영화계 뿐아니라 영화교육학회에 큰 의미를 가지리라 생각한다. For over 100 years since the invention of cinema, we have become accustomed to horizontal frames in movies, and we have taken it for granted that movies are naturally presented in a widescreen format. However, a new paradigm has emerged in the world of film, and the COVID-19 pandemic has made movie theaters uncertain, causing a shift in the way we consume films, now often through the comfort of our living rooms or mobile phones. We find ourselves in a situation where we must accept these changes without having prepared for or adapted to the new ways of experiencing cinema. New media such as AR, VR, MR, and the metaverse have become the center of discussion, and the creation of new forms of visual content is no longer a foreign concept. To add to this, we now have vertical cinema, which is designed to be viewed on mobile phones. Director Damien Chazelle, known for his work on La La Land, created a 9-minute short film called The Stunt Double exclusively for iPhone, drawing significant attention to vertical cinema. With a growing interest in new media and the challenge that vertical cinema presents to traditional filmmaking, research on vertical cinema holds great significance not only for the film industry but also for film education societies.

      • 2000년대 중반 사회문제·범죄를 소재로 흥행한 한국 영화와 시대성 : 영화 <타짜>와 <추격자>를 중심으로

        황찬우 ( Hwang Chan Woo ) 한국영화교육학회 2022 영화교육연구 Vol.16 No.-

        오늘날 국내 영화계는 해가 거듭될수록 급성장하고 있음에도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미비하다. 빠른 발전을 보인 국내 영화계는 과거 1990년대 초 금융계 혹은 기업체들의 투자를 기반으로 본격 산업화 되었으며 후반으로 흘러가면서는 더욱 집중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본 연구의 연구 배경 및 대상은 국내 영화와 시대성에 관한 연구를 위해 극장계에 종합상영관이 도입된 이후 대표 흥행작들을 대상으로 진행하고자 하며, 연구목적은 영화는 시대를 반영한다는 것을 이 과정을 통해 증명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국내 흥행작에서 드러나는 시대성이 어떠한지, 대중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지, 그렇다면 사회의 변천에 따라 다루어지는 소재는 어찌 바뀌어왔는지 등을 바탕으로 연구해보고자 한다. 선행 논문으로는 유사 작품 간의 비교 혹은 스타일 관련, 그리고 어떠한 작품이 내재하고 있는 단순한 의미에 관한 것들이 있으나, 범위를 90년대 이후 “사회문제·범죄”를 소재로 흥행에 성공한 흥행작들로 특정해 그 시대에 작품들이 투영해내고 있는 시대성을 다루어 보고자 한다. 정치 관련 영화나 국가의 위기 상황이 극화된 영화들이 많았다면 요즈음에는 해당 작품만의 어떠한 시대성이 간단명료하게 드러나거나, 실제 사건을 영화화한 경우가 많아졌으며 여러 원작·기존의 컨텐츠들이 띄고 있는 시대성을 내재해 영화화하여 흥행에 성공하는 경우들이 많아졌다. 현재 국내 영화계를 대표하고 있는 감독들의 경우에도 특정 사회를 투영시켜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까지 좋은 평을 받는 사례들도 존재한다. 이렇듯 영화예술산업은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대중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본 연구자는 시대성에 주안점을 둔 만큼, 향후 이와는 다른 스타일의 연구들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Although the domestic film industry is growing rapidly year by year, various related studies are insufficient. The domestic film industry, which showed rapid development in the early 1990s, was fully industrialized based on investments from financial circles or companies, and showed more intensive growth toward the latter half of the 1990s. In order to study domestic film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we plan to conduct this study on representative box-office films after the general theater was introduced into the theater industry. I would like to study on the basis of what kind of epochal character is revealed in domestic box office works, whether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of the public, and how the subject matter dealt with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society. Previous papers include comparisons between similar works, style-related matters, and simple meanings inherent in certain works, but the scope is specified as the box-office works that have been successful in the box office based on “social problems and crimes” since the 1990s. I would like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projected by the works. If there were many political-related films or films that dramatized the crisis of the country, these days, there are many cases where certain epochal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in question are simply and clearly revealed, or actual events are made into films, and there are many original and existing contents.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film was made into a film and succeeded at the box office. Even in the case of director Bong Joon-ho, who currently represents the domestic film industry, he achieved a splendid feat that swept the Academy Awards not only in Korea but also abroad by projecting a certain society. As such, the film art industry is closely related to the public regardless of whether domestic or foreign, and as this researcher focuses on the times, it is expected that studies in a different style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 경계, 그 틈을 바라보는 예술교육

        류훈 ( Hoon Ryoo ) 한국영화교육학회 2024 영화교육연구 Vol.18 No.1

        소위 취업률로 학교를 평가하는 시스템에서 살아남기 위해 대학들은 앞다투어 취업률이 낮은 인문대, 예술대를 구조조정하기에 이르고 해당 학과들은 학교에 도움이 안 되는 골칫거리로 전락하게 되었다. 그나마 예술대의 저항에 교육부 평가에서 예술대를 제외 시키게 되었지만 그렇다고 교육에 대한 철학이 바뀐 것은 아니었다. 이제 경제학 이론의 ‘메기효과’처럼 우리는 실체 없는 메기의 위협에서 혼자만 살아남기 위해 끊임없이 공포에 떨며 발버둥 쳐야 하는 현실로 내몰렸다. 물론 정부의 시책과 경쟁이 신격화된 사회만 탓할 수는 없다. 교수자들은 현재의 대학에서 가르치고 있는 교육의 가치와 철학에 대해 얼마만큼 고민했는가 반성하고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천편 일률적인 교과목명과 미학적, 예술적 가치를 상실한 기술교육이 영화교육의 위기를 가져온 것을 아닐지, 그에 대한 책임은 교수들에게 없는지 자문할 때이다. 중요한 것은 연출과 촬영의 기술, 편집과 사운드의 툴(tool) 교육이 아니라 왜 인간사회에 영화라는 예술이 필요한가, 그 역할은 무엇이고 그 목적에 다가가기 위해 어떤 철학과 가치로 무장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이 아닐런지 숙고할 시점에 다가왔다. 여기서 우리는 다시 본질적 질문과 마주해보자. 왜 예술교육이 필요한가. In the system that evaluates schools based on employment rates, universities have undergone restructuring to survive, often leading to the marginalization of humanities and arts departments with lower employment rates. Despite some resistance, arts departments were even excluded from education ministry evaluations. However, this does not signify a change in the philosophical approach to education. Now, we find ourselves immersed in a reality where, akin to the economic theory of the Mickey Mouse effect, we must constantly struggle and fret in the face of a non-existent threat to survive alone. Certainly, the blame cannot be solely placed on government policies and intensified societal competition. It is crucial for professors to reflect on and reconsider the values and philosophy of education they are imparting in today's universities. It is time to question whether the crisis in film education, marked by uniform course titles and the loss of aesthetic and artistic values in technical education, could be attributed to a lack of contemplation and responsibility among educators. The essential question arises: is film education solely about imparting technical skills in directing, cinematography, editing, and sound, or should it delve into the reasons why the art of film is essential in human society, its role, and the philosophy and values necessary to approach its purpose? Now is the time to ponder on these fundamental questions. Why is art education necessary?

      • 디지털 시대의 영화교육: 변화와 과제

        고병정 ( Byung-jung Ko ) 한국영화교육학회 2024 영화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에 진입하며 발생한 변화들이 영화교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가져오는 과제들은 무엇인지에 대해 탐구한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영화 제작과 소비 방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이 변화는 당연하게도 영화 교육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첫째로, 디지털 시대에 영화교육 이 어떠한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기술의 발전이 영화 제작, 분석, 비평 등의 교육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심도 있게 조사하였다. 둘째로, 디지털 시대의 영화교육에서 맞닥뜨리게 되는 과제들에 대해 진단하였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새로운 교육 방법론과 전략을 필요로 하며, 이에 따른 교육 커리큘럼의 변화와 그로 인한 교육자들의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변화와 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어떠한 전략과 방향성이 필요한지에 대해 제안 하였다. 디지털 기술의 활용을 통한 창의적인 교육 방법론의 도입, 기존의 교육 커리큘럼의 개선, 그리고 교육자들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디지털 시대에 맞는 영화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미래의 영화교육이 이 시대의 변화에 적응하고, 이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창의적인 교육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plores how changes that have occurred as we enter the digital age are affecting film education and what challenges these changes bring.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fundamental changes in the way films are produced and consumed, and naturally, these changes are having a significant impact on film education. First, we analyze how film education is changing in the digital age. To this end, we conducted an in-depth investigation into how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s affecting the educational process of film production, analysis, and criticism. Second, the challenges encountered in film education in the digital age were diagnosed. It was pointed out that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requires new educational methodologies and strategies, and that accordingly, changes in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resulting capacity building of educators are necessary. Lastly, we proposed what strategies and directions are needed to respond to these changes and challenges. They proposed the introduction of creative educational methodologies through the use of digital technology, improvement of existing educational curriculum, and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to strengthen the digital capabilities of educa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future film education adapt to the changes of this era and produce richer and more creative educational results by suggesting the direction of film education suited to the digital era.

      • DAW를 활용한 영화음악 제작 연구

        김영삼 ( Kim Young Sam ) 한국영화교육학회 2022 영화교육연구 Vol.16 No.-

        연구는 컴퓨터 음악 제작 프로그램인 DAW (Digital Audio Workstation)를 통해 영화음악을 제작함으로써 전통 영화음악 기법인 미키마우징 기법을 적용하고 예술로서의 가치를 고찰하는데 의의가 있다. 오랫동안 연구되어 온 영화음악의 기법은 현대의 컴퓨터의 발달로 인해 DAW 음악으로 구현되어 왔다. 이것은 예술적, 기술적, 교육적 측면에서 매우 가치 있다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 전통의 영화음악의 미키 마우징 기법의 특징인 영상의 움직임과 EDM 음악 제작 기법을 융합한 연구라 할수있다. 이것을 장편영화 <가치캅시다>의 한 씬에 적용시켰으며 영상의 흐름과 캐릭터의 움직임 속도를 파악한 후 현대음악의 한 장르인 EDM 음악을 삽입곡으로 제작하였다. 그 결과 영화 <가치캅시다>의 영화음악 삽입곡인 < EDM CLUB >을 DAW를 통해 제작하고 그 과정을 분석한 결과 매우 정교한 리듬과 움직임을 포착하는 것이 가능했으며 현대적인 감성으로 재 해석될수 있는 특별한 계기가 되었다. 전통적인 영화 음악 제작 방식인 미키마우스 기법과 현대적인 EDM 음악 제작 방식을 적용한 융합 창작 예술로서 영화산업에 새로운 연출과 음악의 다양한 방식의 시도로서 영화음악의 발전에 다양한 측면이 연구되고 시도 되어야 함을 깨닫고자 한다. This study is meaningful to apply and study the traditional Mickey Mouse technique and to consider its value as an art by producing movie music through a computer music production DAW. The technique of film music, which has been studied for a long time, has been implemented as DAW music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puters. This can be said to be very valuable from an artistic, technical and educational point of view. Above all, after grasping the video flow and character movement speed,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Mickey Mouse's technique, EDM music, a genre of modern music, was produced as an insert song. As a result, < EDM CLUB >, the movie music insertion song for the movie < We go together >, was produced through DAW and the process was analyzed. It was possible to capture very sophisticated rhythms and movements, and it became an opportunity to be reinterpreted with a modern sensibility. It is a fusion creative art that applies the traditional Mickey Mouse technique, which is a traditional film music production method, and a modern EDM music production method, and can contribute to further expansion of the film industry as a new direction and attempt at music.

      •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의 영상미학 연구

        리펑루이 ( Li Pengrui ) 한국영화교육학회 2023 영화교육연구 Vol.17 No.1

        1980년대 미국 할리우드의 4대 감독 중 한 명인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는 비판적인 주제, 트라우마와 고독의 특징에 가득 찬 인물 이미지 및 드라마틱한 서사 스타일을 통해 할리우드 장르 영화 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개척했다. <대부>(The Godfather), <지옥의 묵시록>(Apocalypse Now) 등 고전영화는 그의 개성 넘치는 창작으로 많은 사회적 의식과 문화적 함의를 담아 관객들이 영화로부터 사회 및 인간성에 대한 깊은 사고를 형성하도록 했다. 코폴라 감독이 연출한 영화는 강한 비판의식과 문화적 함의를 담아 미국 할리우드 장르 영화의 신기원을 개척했을 뿐만 아니라 세계 영화의 발전에도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영화 작품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코폴라 감독은 본질적인 인간 본성에 대한 발굴 그리고 실제 사회에 대한 책임감과 인간의 생존 형편과 발전의 길에 대한 인문학적 이념에 대한 사고와 탐구를 견지해 왔다. 거의 모든 영화에서 그의 개인색체의 이성정신이 녹아 있다. 그의 영화는 영상 자체를 통해 감염되고 관객의 사고에 파고들어 할리우드 영화 창작 모델을 돌파하고 본인만의 영상미학을 형성한 셈이다. As one of the top four directors in Hollywood in the 1980s, Francis Ford Coppola created a new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Hollywood genre films through his critical themes, traumatic and lonely characters and dramatic narrative style. The Godfather, Apocalypse Now and other classic films, under his stylized creation, carry more social consciousness and cultural connotation, allowing audiences to form a deeper reflection on society and human nature from the films. The films directed by Coppola carry a strong critical consciousness and cultural connotation, not only creating a new era of American Hollywood genre films, but also profoundly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world cinema. Through each of his films, we can see that Coppola has always insisted on the exploration of the essence of human nature, the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 actual society and the humanistic thinking and exploration of the human existence and development. Almost every film has incorporated his highly personal and rational spirit. It can be said that his films infect and penetrate into the audience's mind through the images themselves, breaking through the Hollywood film creation model and forming his own artistic style.

      • 주인공의 경계선 성격장애 분석과 <헤어질 결심>의 주제 의식

        이현숙 ( Hyun-sook Lee ) 한국영화교육학회 2023 영화교육연구 Vol.17 No.2

        이상심리는 영화와 드라마, 연극에서 자주 다루어지는 소재이다. 영화에 등장하는 등장인물들의 다양한 이상행동(abonamal behavior)은 현대 사회에서 어렵지 않게 관찰할 수 있다. 관객들은 영화에서 표현되는 등장인물의 성격과 행동을 보며 타인에 대한 다양한 행동 양상을 이해하게 된다. 영화에서 표현되는 등장인물의 행동은 영화의 핵심이며 영화의 시작과 끝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등장인물의 행동은 일상의 현실보다는 좀 더 극적으로 과장되고 의미를 부여한 행동이다. 그러나 극적으로 표현된 인물이라 하더라도 박찬욱 감독의 영화 <헤어질 결심>의 여자 주인공의 행동은 일반적인 정상의 범주를 벗어난 특이한 행동 패턴을 가지고 있다. DSM-5의 진단준거에 의하면 성격장애에는 편집성 성격장애, 조현성 성격장애, 조현형 성격장애, 반사회성 성격장애, 경계선 성격장애, 연극성 성격장애, 자기애성 성격장애, 회피성 성격장애, 강박성 성격장애, 의존성 성격장애가 있으며 유사성을 기준으로 A군집, B군집, C군집으로 분류된다. 영화 <헤어질 결심>의 여자 주인공‘서래’는 극적, 감정적, 충동적인 사람으로 표현되는데 이러한 성격은 B군 성격장애의 진단적 기준에 속한다. B군 성격장애에는 반사회성, 경계선, 연극성, 자기애성 성격장애가 있으며 그 중‘서래’를 본 연구자는 경계선 성격장애로 진단하였다. 본 연구자는 주인공을 성격장애(Personality Disorder)의 진단적 특징으로 분석하며 주인공‘서래’의 행동(action) 즉 성격(Character)을 통해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핵심 주제를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등장인물의 다양한 행동 분석을 통하여 영화의 심리치료적 가능성을 확인했다. Abnormal psychology is a subject frequently dealt with in movies, dramas, and plays. The various abonomal behavior of the characters in the movie can be easily observed in modern society. Audiences understand various aspects of behavior toward others by looking at the character's character and behavior expressed in the movie.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character's behavior expressed in the movie is the core of the movie and that it is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movie. Therefore, the character's behavior is more dramatically exaggerated and meaningful than the daily reality. However, even if it is a dramatically expressed character, the female protagonist's behavior in Park Chan-wook's film < The Resolution to Break Up > has a unique behavior pattern beyond the general norm. According to DSM-5's diagnostic criteria, personality disorders include 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schizophrenic personality disorder,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theatrical personality disorder,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obsessive personality disorder, and dependent personality disorder. Seorae, the female protagonist in the movie The Resolution to Break Up, is expressed as a dramatic, emotional, and impulsive person, and this personality belongs to the diagnostic standard of Group B personality disorder. Group B personality disorders include antisocial, borderline, theatrical,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s, among which the researcher who saw Seorae diagnose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s. This researcher analyzed the main character as a diagnostic characteristic of personality disorder and was able to understand the core topic of the movie through the action of the main character 'Seorae', that is, the character. In addition, the psychotherapy potential of the movie was confirmed through various behavioral analysis of these charac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