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An Optimality-theoretic Approach to Chain Shift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 Shin Sook Lee ) 한국영어영문학회 2002 영어 영문학 Vol.48 No.4

        영어를 배우는 한국어 화자들은 한국어에 존재하지 않는 영어의 음소나 자음 군을 습득할 때 목표 음과 유사한 모국어의 음으로 대치시켜 발음하거나 모음삽입, 자음 탈락 등 상당한 발음상의 어려움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어의 음소 목록과 상이한 영어의 마찰음 습득시 많이 나타나는 데 특별히, 한국어 화자들은 영어의 무성 설정 마찰음인 /θ/, /s/와 /∫/를 습득함에 있어서 음대치 현상의 한 특수형태인 음연쇄이동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어 화자들은 영어의 치경 마찰음인 /s/를 모음 앞에서는 규칙적으로 한국어의 경음 치경 마찰음인 [s´]로 대치하며 고전설 모음인 /i/ 모음 앞에서는 [s´]를 구개음화 시켜서 발음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sink[∫`iŋk]), 그러나, 위의 현상을 보여주는 화자들이 한국어에 존재하지 않는 영어의 치간 마찰음인 /θ/를 [s´]로 대치시켜 발음하지만 이 음을 고전설 모음 앞에서 구개음화 시키지 않음으로써 영어의 치경 마찰음인/s/와 구별된 발음을 /i/ 모음 앞에서 보여주고 있다. (think[s`iŋk]). 이러한 음연쇄이동 현상은 입력형과 출력형 사이에 중간 단계를 인정하지 않고 제약의 순위에 의해 여러 후보 형들 중에서 최적형을 선택하는 최적이론(Optimality Theory)에 심각한 문제점을 제기하게 된다. 즉, 한국어 학습자들의 음연쇄이동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구개음화 규칙(/s, s´/ →[∫, ∫`]/_/i/)이 음대치 규칙(/θ, s/→[s´]/_/i/)을 선행해야만 think와 같은 단어들의 올바른 출력형을 설명할 수 있고 따라서 이 두 규칙의 적용순서를 반드시 지켜야만 하는 불투명성(opacity) 문제가 나타나게 된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적이론의 틀 안에서 후보자들간의 충실성을 평가하는 감응이론(Sympathy Theory)와 일련의 제약들의 집합에 의해 새로운 제약을 만들어 내는 제약연결 이론(Local conjunction of constraints) 등 여러 수정이론이 제시되어 왔다. 특별히, 카거(Kager, 1999)는 바스트어(Basque)에서 나타나는 음연쇄이동 현상이 감응이론에 의해서는 설명될 수 없고 제약연결 이론에 의해서만 설명될 수 있다고 주장해 왔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카거의 주장과는 달리 한국어 학습자들이 보여주는 음연쇄이동 현상이 제약연결 이론으로서는 설명도리 수 없고 감응이론에 의해서만 설명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특정 음의 출현을 금지하는 *θ, *sV제약, 구개음화와 같은 유효성 제약과 Ident[continuant], ??Ident[place], Ident[tense]와 같은 충실성 제약, 그리고 ??Ident[tense]라는 감응제약 사이의 순위에 의해 한국어의 연쇄이동 현상이 설명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또한 본 논문은 이 현상이 충실성 제약간의 연결이나 유표성 제약간의 연결, 혹은 충실성 제약과 유표성 제약간의 연결을 시도하는 제약연결 이론으로는 설명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 아울러, 중간 단계를 설정하는 기존의 규칙중심 이론의 경우 영어의 sink와 think 같은 단어들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단어들에 따라 각기 다른 규칙의 적용순서를 설정해야 하는 규칙 역설 문제(ordering paradox)를 야기시킴으로써 한국 학습자들의 음연쇄이동 현산을 설명하기에 적합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 Use English as a Teaching Medium

        PARK, WON 한국영어교육연구학회 1992 영어교육연구 Vol.- No.12

        본 논고의 목표는 영어 수업에서 영어를 교수 매체로 사용해야 하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이의 효과적 실천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첫째, 듣고 말하기 위주의 구두 영어 수업이 되지 않고 있는 한국 영어 교육 현장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러한 영어 교육으로 인한 청화 장애의 실례를 필자의 경험을 통해 입증하고 있다. 둘째, 한국 영어 교육의 기본 목표인 의사소통 능력 개발을 달성하기 위해, 그 첫 단계로서 영어 수업에서 "교실 영어" 사용의 당위성을 주장하고 있다. 셋째, 한국의 영어 수엽이 온통 자국어 투성이로 진행되고 있는 이유를 다음 4가지로 진단한다. (1) 대다수의 영어 교사들이 다인수 학급에서 입시 위주 영어 교육을 해야 하는 여건에서, 영어를 교수 매체로 하기에는 교사의 부담이 지나치게 크다고 생각한다. (2) 교실 영어 사용이 실제 사회 생활에 필요한 의사소통 능력 개발과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없다고 생각한다. (3) 영어 문법이나 번역을 지도할 경우에는 인지가 발달한 성인 학습자에게는 자국어 사용이 오히려 유익하다고 생각한다. (4) 보다 더 원천적인 이유는 영어 교사가 다양한 교실 상황에 대처할만큼 교실 영어 및 구두 영어 구사에 자신감이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넷째, 교실 영어 사용의 개선책으로 6가지 방안을 제시하면서 각각 구체적 실례를 들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1) 한국식 영어를 피할 것. (2) 영어 수업용 교육 용어에 숙달할 것. (3) 가급적 짧고 관용적인 구두 표현을 선호할 것. (4) 같은 한가지 상황에 대해 다양한 표현으로 변화를 이르킬 것. (5) 비격식 구어체 영어와 학생용 속어를 이해할 것. (6) 교육용 대화를 통해 교실 영어를 자연스럽게 익힐 것. 다섯째, 교실 영어 활용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5가지 제안을 하고 있다. (1) 한국과 같은 영어 교육 환경에서는 "교실 영어"라는 교과목을 영어 교사 양성 및 연수 기관에서 특수 목적을 위한 영어 프로그램으로 개설할 것. (2) 각급 학교 별로나 지역별로 가장 잘 훈련된 교사가 교실 영어 사용에 관한 시범을 보이고, 나아가 교사들 간에 공동 연구집회를 통해 교실 영어 사용을 촉진시킬 것. (3) 교실 영어 활용이 입학 시험 위주의 교육과 다인수 과밀 학급 등의 이유로 제약을 받는다면, 우선 특별 과외활동 시간에서 만은 교실 영어를 필수적으로 사용할 것. (4) 영어 교육 목표가 의사소통 능력개발에 있다는 확실한 인식과 함께, 한국의 영어 교사는 수업중에 자국어 사용을 극소화하고 목표 언어인 영어 사용을 극대화할 것. (5) 관련된 행정 및 연구 후원 기관이 교실 영어 안내서 개발에 적극적인 지원을 해야 하며, 특히 교과서 발행자는 교과서와 함께 교실 영어 지침서를 발행하여 영어 교육 현장에 보급하므로, 영어 수업을 영어 수업답게 개선시키는 선봉적 역할을 할것. 끝으로, 영어는 영어로 가르쳐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먼저 영어 수업시간에 "교실 영어" 사용의 활성화를 주창하고 있다.

      • Hawaii 의 한국인 피진 영어 : 음악학 , 통사론적 접근 Phonetic and syntactic approach

        이창욱 한국강원영어영문학회 1995 영어영문학 Vol.14 No.1

        Pidgin English란 17세기 경부터 영어에다가 중국어, 말레이어와 같은 동양어와 포루투갈어 따위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일종의 사투리 영어라고 찰 수 있는데 중국 연안지방에서 뿐만 아니라 태평양제도, 서인도 제도. 남미, 서아프리카 및 멜라네시아 군도 등지에서 토착민과 영어 사용국민과의 통상거래나 교제시에 사용되었는데 Pidgin 이란 Business를 중국식으로 발음하여 이를 표기한데서 유래한다. 그런데 한국어와 영어사이에도 Korean Pidgin English(K.P.E.)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발굴해서 연구해 보고자 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K.P.E.의 대표적인 특징으로는 문법구조나 음성학적으로 모국어인 한국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할 수 있겠다. 우선 음성학적으로는 영어에서는 음소적인 차이가 있는 자음 /p/와 /f/, /v/와 /b,/, /l/과 /r/등의 발음이 한국어에는 없기 때문에 이들을 구별 못하고 사용하고 있으며, 단어 끝에서는 항상 모음 'ㅡ'와 'ㅣ'를 한국어처럼 강하게 발음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통사론적으로는 한국어의 대표적인 특징인 SOV Word order, Empty Categories of Subject and Object 그리고 Scrambling등의 현상이 K.P.E.에 그대로 반영 되고 있다. K.P.E. speaker가 체계적인 영어교육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모국어의 습관이 K.P.E.에 그대로 반영되었는데 이러한 오류는 영어를 배우는 한국 학생들에게서도 종종 볼 수 있는 현상들이다. K.P.E.도 일종의 제2외국어인 만큼 K.P.E.에 나타난 문법적인 오류들을 좀 더 분석하여 영어 지도자들이 참고한다면 조기영어교육뿐만 아니라 모든 계층의 영어 학습자들에게 도움이 되리라고 믿는다.

      • 한국 대학생들의 발산적 영어 학습 활동에 관한 연구

        노승빈(Roh, Seungbin) 한국영어교육연구학회 2017 영어교육연구 Vol.- No.49

        본 연구는 2년의 기간을 거쳐 한국 대학생 398명에게 창의적 사고기법 중의 하나인 발산적인 영어 학습 활동들을 학기 프로젝트 7개를 집중적으로 작성하도록 지도하고 개별활동지마다 점수와 피드백을 주었다. 이러한 발산적인 영어 학습 활동들을 통하여 학습자 스스로 창의적인 사고행위를 촉진하도록 격려하였으며 학습자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영어로 과감하게 표현하는 능력을 함양하도록 지도하였다. 일련의 발산적 영어활동들의 단계적 난이도를 적용하여 실시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가 발산적 사고행위를 할 수 있는 능력함양과 환경 조성을 제공하였다. 수강학생들은 대부분 대학교 1학년과 2학년들로 구성되어 있고 11개의 설문문항을 질문하였고 각 문항별로 응답유형(주관식, 자유형식)으로 답하도록 하였다. 발산적인 영어활동의 목표가 학생들의 자유로운 아이디어와 의견을 도출될 수 있도록 질문과 워크시트를 통해 유도하는 활동이므로 설문지 형식도 학생들의 자유로운 의견을 질문에 서술하도록 하였다. 본 설문결과의 분석은 주로 학생들의 주관적인 설문 응답을 텍스트 분석하였기 때문에 문항 간 교차 분석하는 부분은 크게 의미가 없었다. 긍정적으로 답하는 학생들은 대부분 일관성 있게 긍정적이고 모르겠다/아니다 라는 부정적인 답변을 한 학생의 경우에는 대부분 부정적이었다. 그리고 과별/학년별/성별 차이에도 별다른 특이점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상당부분의 발산적 영어 활동을 경험한 학생들은 창의적인 영어 학습을 위해 발산적인 영어 학습활동의 중요성을 인정하였으며 교실 현장에서의 수렴적 영어 학습활동과 더불어 발산적 영어 학습활동의 통합적용의 필요성을 인식했다. 발산적 영어 학습활동의 발전과 적용을 위해 학생들은 다양한 여러 가지 방법들과 제안을 하였으며 발산적 영어 학습활동들이 현장에서 적용되기 어려운 이유와 환경을 조목조목 설명하기도 했다. 설문 결과를 집계하면서 향후 발산적 영어 학습활동의 적극적인 도입을 위한 교과과정과 정책의 변화, 평가방법의 다양성 등 해결해야 할 사항들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도 제안하며 7가지 고찰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asked 398 Korean college students to write down 5 or 7 worksheets as team work projects and homework regarding di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and gave feedback on their responses per each semester. Through these di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ies, learners themselves were encouraged to facilitate creative thinking behavior and guided to express their ideas and opinion in English. By applying the gradual degree of difficulty, divergent English activities helped students think creatively and provided the environment they were able to freely express what they thought. The survey respondents mostly consisted of 1st and 2nd year college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one capital and two local areas. At the end of each semester after completing divergent English activities, students were asked to response the questionnaire including open ended 11 questions. Since the purpose of the divergent English activity was to induce students free ideas and opinions via questions and worksheets, the style of the questionnaire was to describe their unconstrained ideas and opinions. Becaus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mostly focused on text analysis of the open-ended responses, there were no meaning to analyze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each question. However, many survey respondents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di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for the creative English education. They also recognized the necessity of integrating divergent and con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To develop the di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each student understandably suggested variable methods and strategies and sharply explained the difficult reasons to apply di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riented the con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as well as system of an college and company entrance examination. By review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is study stressed the necessity of consideration regarding the change of curriculum and educational policy, the variability of evaluation and so on for introducing di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in the future.

      • Korean Pidgin English in Hawaii : Phonetic and syntactic approach 음성학·통사론적 접근

        Lee, Chang Wook 한국강원영어영문학회 1995 영어영문학 Vol.- No.14

        Pidgin English란 17세기 경부터 영어에다가 중국어, 말레이어와 같은 동양어와 포루투갈어 따위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일종의 사투리 영어라고 할 수 있는데 중국 연안지방에서 뿐만 아니라 태평양제도, 서인도 제도. 남미, 서아프리카 및 멜라네시아 군도 등지에서 토착민과 영어 사용국민과의 통상거래나 교제시에 사용되었는데 Pidgin 이란 Business를 중국식으로 발음하여 이를 표기한데서 유래한다. 그런데 한국어와 영어사이에도 Korean Pidgin English(K.P.E.)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발굴해서 연구해 보고자 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K.P.E.의 대표적인 특징으로는 문법구조나 음성학적으로 모국어인 한국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할 수 있겠다. 우선 음성학적으로는 영어에서는 음소적인 차이가 있는 자음 /p/와 /f/, /v/와 /b/, /l/과 /r/등의 발음이 한국어에는 없기 때문에 이들을 구별 못하고 사용하고 있으며, 단어 끝에서는 항상 모음 'ㅡ'와 'ㅣ'를 한국어처럼 강하게 발음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통사론적으로는 한국어의 대표적인 특징인 SOV word order, Empty Categories of Subject and Object 그리고 Scrambling등의 현상이 K.P.E.에 그대로 반영 되고 있다. K.P.E. speaker가 체계적인 영어교육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모국어의 습관이 K.P.E.에 그대로 반영되었는데 이러한 오류는 영어를 배우는 한국 학생들에게서도 종종 볼 수 있는 현상들이다. K.P.E.도 일종의 제2외국어인 만큼 K.P.E.에 나타난 문법적인 오류들을 좀 더 분석하여 영어 지도자들이 참고한다면 조기영어교육뿐만 아니라 모든 계층의 영어 학습자들 에게 도움이 되리라고 믿는다.

      • Some Morphological Features of Early Modern English

        함영용(Young-yong Ham) 한국영어교육연구학회 2005 영어교육연구 Vol.- No.31

        King James Version(1611)의 영어는 Shakespeare의 영어와 더불어 초기 근대영어의 양대 축을 형성한다. 이 논문은 King James Version에서 사용되고 있는 영어의 몇가지 형태론적 특징들을 분석함으로써, 초기 근대영어 문법의 한 단면을 제시하고 이와 함께 초기 근대영어의 형태론이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현대영어의 그것과 어떻게 다른가를 보여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 살펴본 초기 근대영어의 형태론적 특징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break, speak, swear, tear, drive, cleave, get, beget, bear 등과 같은 강변화 동사의 과거시제형에서는 a 또는 o가 구별없이 사용된다. (2) 오늘날의 영어에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예들에서 때때로 강변화 동사의 과거분사형 -en 어미가 보존되어 있다. (3) 3인칭 중성대명사 it의 소유격으로는 대부분의 경우 전통형 his가 사용되고 its의 예는 거의 사용되지 않거나 극히 적은 예들만이 발견될 뿐이다. (4) to와 ward(s)가 분리되어 사용되는 예들이 발견되기도 한다. (5) 이형태가 구별없이 사용되는 단어들이 많이 있다. (6) 오늘날의 영어에서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폐어들이 많이 있다. (7) -ly 어미가 첨가된 파생부사 대신에 때로는 단순부사가 사용되었다. 이 논문에서 다루지 못한 초기 근대영어의 그밖의 형태론적 특징들과 통사론적 특징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는 앞으로의 과제로 남는다.

      • KCI등재

        Korean EFL Learner's Comprehension Strategies for Idiomatic Expressions

        Jong-Hee Lee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2003 영어영문학연구 Vol.4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영어학습자가 숙어표현이 지니고 있는 비유적 의미를 이해하는 데 접근하는 방법을 파악하여 이로부터 적절하고 효과적인 지도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질문주제를 정하고 실험을 통하여 그 해답을 찾고자 하였다.: (1) 실험참여자들이 숙어의미를 파악하는데 활용한 이해전략은 무엇인가?; (2) 모국어로 된 숙어의 인지과정을 설명하는 인론적 기초 중 어떠한 모댈이 영어숙어표현에 대한 한국학습자들의 의미인식에 적용되는가?; 그리고, (3) 이러한 두 가지 연구주제에 대한 해답은 한국의 영어교사들에게 어떠한 외국어 지도방안을 암시하는가? 등이다. 이 실험(한국인 대학생 60명 참여)에는, decomposable idion (이하 DI 숙어라 함)이 전체의 2/3인 30문항과 non-decomposable idiom(이하 NI 숙어라 함)이 전체의 2/3인 30문항이 초급수준(30명) 및 중급수준(30명) 참여자들에게 각각 제공되었다. 위의 실험결과를 연구주제에 따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 1 연구주제-이해전략; 대다수의 실험참여자들은 DI 숙어보다는 NI숙어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더욱 많은 어려움을 겪었으며, 이 두 가지 경우의 의미파악과정에서 모두 다단계 이해전략에 의존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러한 두 실험집단이 활동한 숙어의미파악을 위한 접근방식에는 분석가치가 있는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즉, 초급수준의 영어능력을 갖춘 실험대상자들은 DI 숙어에서 그 구성성분인 개별단어 자체의 의미를 분석하는 기법에 73.90%의 높은 의존률을 보였으나, 중급수준의 영어능력을 갖춘 실험대상자들은 NI 숙어에서 위와 같은 기법에 대한 의존률이 59.33%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반면에 전자의 실험대상자들은 해당 숙어의 문맥적 요소에 의존한 비율이 17.57%이었으나, 후자의 실험대상자들은 이러한 문맥적 요소에 30.00%까지 의존한다는 결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자료분석에서 얻은 중요한 결과는 해당 숙어표현이 지닌 전체적인 의미와 그 구성성분인 개별단어의 의미간에 존재하는 상호 연계성 또는 근접성의 정도가 그 숙어의 전체적 의미파악을 위한 접근방식 또는 이해전략을 선택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한국의 영어학습자들은 목표어의 숙어표현이 지닌 의미를 파악하는 과정에서는 위에서 지적한 해당 숙어를 구성하고 있는 개별단어의 분해가능성에 따라 이해전략을 자발적으로 선정하는 발견적 접근방식을 취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 (2) 제 2 연구주제-이론적 기초; 제 1 언어의 숙어에 대한 이해모델들은 모국어화자들의 언어 및 문화적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한 즉각적인 인식이 특징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한국으 영어학습자들은 이러한 배경지식이 불충분하므로 해당 숙어표현의 전체적 의미파악에서 주어진 개별단어의 개념적 의미와 그 숙어와 연관되어 있는 문맥적 요소들을 활용하여 다단계적인 해석접근방식에 의존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 제시된 제 1언어의 네 가지 숙어이해가설들은 모국어화자들에게 제한적으로 적용된다고 간주할 수 있으므로, 그러한 모델들은 대다수의 한국 영어학습자들이 활용하는 인지적은로 복잡한 다단계 숙어의미 도출과정을 설득력 있게 설명하는 데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는 것이다. (3) 제 3 연구주제-교육적 암시; 위의 이해전략의 연구주제로부터 얻은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영어학습자들의 자발적인 다단계 숙어의미 도출과정을 원활하게 실행하도록 하는 영어교사의 효과적인 지도방안으로써 숙어표현이 담고있는 사회언어학적 요소 및 숙어의미의 생성원리 등을 학습시간에 적절히 제공하는 "유사-발견적 접근방식 또는 준-학습자중심 이해전략"을 본 논문의 결론으로 제시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