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Use English as a Teaching Medium

        PARK, WON 한국영어교육연구학회 1992 영어교육연구 Vol.- No.12

        본 논고의 목표는 영어 수업에서 영어를 교수 매체로 사용해야 하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이의 효과적 실천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첫째, 듣고 말하기 위주의 구두 영어 수업이 되지 않고 있는 한국 영어 교육 현장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러한 영어 교육으로 인한 청화 장애의 실례를 필자의 경험을 통해 입증하고 있다. 둘째, 한국 영어 교육의 기본 목표인 의사소통 능력 개발을 달성하기 위해, 그 첫 단계로서 영어 수업에서 "교실 영어" 사용의 당위성을 주장하고 있다. 셋째, 한국의 영어 수엽이 온통 자국어 투성이로 진행되고 있는 이유를 다음 4가지로 진단한다. (1) 대다수의 영어 교사들이 다인수 학급에서 입시 위주 영어 교육을 해야 하는 여건에서, 영어를 교수 매체로 하기에는 교사의 부담이 지나치게 크다고 생각한다. (2) 교실 영어 사용이 실제 사회 생활에 필요한 의사소통 능력 개발과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없다고 생각한다. (3) 영어 문법이나 번역을 지도할 경우에는 인지가 발달한 성인 학습자에게는 자국어 사용이 오히려 유익하다고 생각한다. (4) 보다 더 원천적인 이유는 영어 교사가 다양한 교실 상황에 대처할만큼 교실 영어 및 구두 영어 구사에 자신감이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넷째, 교실 영어 사용의 개선책으로 6가지 방안을 제시하면서 각각 구체적 실례를 들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1) 한국식 영어를 피할 것. (2) 영어 수업용 교육 용어에 숙달할 것. (3) 가급적 짧고 관용적인 구두 표현을 선호할 것. (4) 같은 한가지 상황에 대해 다양한 표현으로 변화를 이르킬 것. (5) 비격식 구어체 영어와 학생용 속어를 이해할 것. (6) 교육용 대화를 통해 교실 영어를 자연스럽게 익힐 것. 다섯째, 교실 영어 활용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5가지 제안을 하고 있다. (1) 한국과 같은 영어 교육 환경에서는 "교실 영어"라는 교과목을 영어 교사 양성 및 연수 기관에서 특수 목적을 위한 영어 프로그램으로 개설할 것. (2) 각급 학교 별로나 지역별로 가장 잘 훈련된 교사가 교실 영어 사용에 관한 시범을 보이고, 나아가 교사들 간에 공동 연구집회를 통해 교실 영어 사용을 촉진시킬 것. (3) 교실 영어 활용이 입학 시험 위주의 교육과 다인수 과밀 학급 등의 이유로 제약을 받는다면, 우선 특별 과외활동 시간에서 만은 교실 영어를 필수적으로 사용할 것. (4) 영어 교육 목표가 의사소통 능력개발에 있다는 확실한 인식과 함께, 한국의 영어 교사는 수업중에 자국어 사용을 극소화하고 목표 언어인 영어 사용을 극대화할 것. (5) 관련된 행정 및 연구 후원 기관이 교실 영어 안내서 개발에 적극적인 지원을 해야 하며, 특히 교과서 발행자는 교과서와 함께 교실 영어 지침서를 발행하여 영어 교육 현장에 보급하므로, 영어 수업을 영어 수업답게 개선시키는 선봉적 역할을 할것. 끝으로, 영어는 영어로 가르쳐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먼저 영어 수업시간에 "교실 영어" 사용의 활성화를 주창하고 있다.

      • 한국 대학생들의 발산적 영어 학습 활동에 관한 연구

        노승빈(Roh, Seungbin) 한국영어교육연구학회 2017 영어교육연구 Vol.- No.49

        본 연구는 2년의 기간을 거쳐 한국 대학생 398명에게 창의적 사고기법 중의 하나인 발산적인 영어 학습 활동들을 학기 프로젝트 7개를 집중적으로 작성하도록 지도하고 개별활동지마다 점수와 피드백을 주었다. 이러한 발산적인 영어 학습 활동들을 통하여 학습자 스스로 창의적인 사고행위를 촉진하도록 격려하였으며 학습자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영어로 과감하게 표현하는 능력을 함양하도록 지도하였다. 일련의 발산적 영어활동들의 단계적 난이도를 적용하여 실시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가 발산적 사고행위를 할 수 있는 능력함양과 환경 조성을 제공하였다. 수강학생들은 대부분 대학교 1학년과 2학년들로 구성되어 있고 11개의 설문문항을 질문하였고 각 문항별로 응답유형(주관식, 자유형식)으로 답하도록 하였다. 발산적인 영어활동의 목표가 학생들의 자유로운 아이디어와 의견을 도출될 수 있도록 질문과 워크시트를 통해 유도하는 활동이므로 설문지 형식도 학생들의 자유로운 의견을 질문에 서술하도록 하였다. 본 설문결과의 분석은 주로 학생들의 주관적인 설문 응답을 텍스트 분석하였기 때문에 문항 간 교차 분석하는 부분은 크게 의미가 없었다. 긍정적으로 답하는 학생들은 대부분 일관성 있게 긍정적이고 모르겠다/아니다 라는 부정적인 답변을 한 학생의 경우에는 대부분 부정적이었다. 그리고 과별/학년별/성별 차이에도 별다른 특이점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상당부분의 발산적 영어 활동을 경험한 학생들은 창의적인 영어 학습을 위해 발산적인 영어 학습활동의 중요성을 인정하였으며 교실 현장에서의 수렴적 영어 학습활동과 더불어 발산적 영어 학습활동의 통합적용의 필요성을 인식했다. 발산적 영어 학습활동의 발전과 적용을 위해 학생들은 다양한 여러 가지 방법들과 제안을 하였으며 발산적 영어 학습활동들이 현장에서 적용되기 어려운 이유와 환경을 조목조목 설명하기도 했다. 설문 결과를 집계하면서 향후 발산적 영어 학습활동의 적극적인 도입을 위한 교과과정과 정책의 변화, 평가방법의 다양성 등 해결해야 할 사항들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도 제안하며 7가지 고찰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asked 398 Korean college students to write down 5 or 7 worksheets as team work projects and homework regarding di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and gave feedback on their responses per each semester. Through these di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ies, learners themselves were encouraged to facilitate creative thinking behavior and guided to express their ideas and opinion in English. By applying the gradual degree of difficulty, divergent English activities helped students think creatively and provided the environment they were able to freely express what they thought. The survey respondents mostly consisted of 1st and 2nd year college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one capital and two local areas. At the end of each semester after completing divergent English activities, students were asked to response the questionnaire including open ended 11 questions. Since the purpose of the divergent English activity was to induce students free ideas and opinions via questions and worksheets, the style of the questionnaire was to describe their unconstrained ideas and opinions. Becaus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mostly focused on text analysis of the open-ended responses, there were no meaning to analyze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each question. However, many survey respondents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di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for the creative English education. They also recognized the necessity of integrating divergent and con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To develop the di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each student understandably suggested variable methods and strategies and sharply explained the difficult reasons to apply di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riented the con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as well as system of an college and company entrance examination. By review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is study stressed the necessity of consideration regarding the change of curriculum and educational policy, the variability of evaluation and so on for introducing di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in the future.

      • Acquisition of Topic Representation in the EFL Class through the Integrated Skills Teaching

        康美圭(Mi-gyu Kang) 한국영어교육연구학회 2005 영어교육연구 Vol.- No.30

        본 논문에서는 외국어로서의 영어(EFL) 수업시간에 학습자들이 접하게 되는 영어의 “주제제시(topic representation)” 방법의 습득에서 영어학습자들이 겪게 되는 이해의 난점들을 살피고 보다 효율적인 학습방법으로 ”통합기술교육“을 제시해 보았다. 우선, 영어와 한국어의 경우 모두에서 무표적 어순(unmarked word order)을 취하는 구문에서의 주제제시 방법을 살펴 보았는데, 영어에서는 명령문(imperatives)을 제외하고는 주제어(topic word)를 주어 자리에 놓는 것으로써 그 주어자리에 놓인 명사가 담화(discourse)의 주제임을 암시해 준다. 반면에, 한국어에서는 은/는(un/nun)과 같은 주제어 표시 불변화사(particles)를 이용하여 주제어를 나타내 준다. 따라서 한국어에서는 문장의 주어가 곧 주제어일수도 있고 주제어와 주어가 서로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 유표적 어순(marked word order)을 취하는 구문의 경우, 주제어는 주제화(topicalization)되기 위해 문두로 이동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이 때 두 언어 모두 의미 해석에 있어 변화를 초래하게 되는데, 특히 양화사구(quantifier phrases)나 의문사구(wh-phrases)의 이동일 경우 문장 전체를 해석 범위로 취하는 넓은영역해석(wide scope readings)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담화(discourse) 속에서 ‘주제’를 계속 유지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수동구문(passivized constructions)이 쓰이는데, 두 언어 모두에서 주제를 고수하기 위해 수동표현이 쓰임을 살펴 볼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법적 사항을 EFL 수업에서 학습자가 습득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대상어(target language)를 실제로 이용하면서 언어의 네 가지 기술을 적절히 균형을 이뤄 학습케 하는 통합기술(integrated skills) 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이 영어의 ‘주제어 제시’ 방법을 습득하도록 유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기존에는 언어수업을 듣기, 말하기, 쓰기, 읽기 등 네 가지 언어기술(language skills)을 서로 분리하여 습득하게끔 하는 수업방식이었던 반면에, 통합기술교육은 대상언어 수업의 최종 목표가 무엇이든 간에 그 수업을 통해 듣기, 말하기, 쓰기, 읽기 기술을 적절하게 이용하여 대상언어에 대한 능력을 균형 있게 향상시키도록 하는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는 또한 통합기술교육의 실현을 위해 실제 교실 수업에서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approach와 Consciousness-Raising tasks를 이용하는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영어 구사능력(communicative proficiency)이 그 어느 때 보다도 절실히 요구되는 현 시점에서 외국어 교육의 보다 획기적이고 효율적인 수업방식의 용기 있는 도입은 학습자들과 교육자 모두에게 보다 의미 있는 시간을 제공해 주리라 생각한다.

      •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y Factors and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Park, Won 한국영어교육연구학회 1990 영어교육연구 Vol.- No.10

        이 논문의 목적은 영어 학습자의 인성 요인 중에서 외향성과 내향성이 언어 유창성과 어떤 상관관계를 이루고 있는지를 한국적 상황에서 검증해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이론적 구조를 위해서는 아동들의 인성과 제2언어 학습에 관한 예비 조사를 한 바 있는 Swain과 Burnaby(1976)의 모형이 원용되고 있다. 이 연구에 동원된 피실험자들은 인천직할시 동암중학교 3학년 1반과 2반에 속한 학생들로서 영어 실력이 비교적 우수한 35명의 남학생들이다. 이들에 의해 작성된 친소관계 측정표(sociogram)의 결과를 독립변수(x)로 하고, 규칙 빈칸메우기 시험(cloze test)에 의한 영어 숙달도를 의존변수(y)로 하려 두 변인의 빈도 분포를 산포도(scattergram)로 통계 처리한 결과 그 상관관계가 r_xy=.69로 산출되었다. 이러한 통계 수치는 학습자의 인성 요인과 영어 학습의 효과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성립되고 있으며, 특히 외향성 학습자가 구어 기능 뿐 아니라, 읽기 기능 및 감시장치가 작동되는 연습 문제에서도 학습 성과가 더 좋았음을 가리켜주고 있다. 제2언어 학습에 있어서 인성 변수의 중요성에 관한 본 연구의 결과는 제2언어 학습과정을 보다 잘 이해하고 학습자를 외향성으로 유도시킬 수 있는 교수 방법을 옹호하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영어 학습자의 인성 요인 중에서 외향성과 내향성이 언어 유창성과 어떤 상광관계를 이루고 있는지를 한국적 상황에서 검증해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이론적 구조를 위해서는 아동들의 인성과 제 2 언어 학습에 관한 예 비 조사를 한 바 있는 Swain 과 Burnaby(1976) 의 모형이 원용되고 있다. 이 연구에 동원된 피실험자들은 인천직할시 동암중학교 3 학년 1반과 2반에 속한 학생들로서 영어 설력이 비교적 우수한 35 명의 남학생들이다. 이들에 의해 작성된 친소관계 측 정표 (sociogram) 의 결과를 독립변수 (x) 로 하고, 규칙 빈칸메우가 시험 (doze test) 에 의한 영어 숙달도를 의존변수 (y) 로 하여 두 변인의 빈도 분포를 산포도 ( scattergram ) 로 통계 처리한 결과 그 상관관계가 Txv =.69 로 산출되었다. 이러한 통계 수치는 학습자의 인성 요인과 영어 학습의 효과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성립되고 있으며, 특히 외향성 학습자가 구어 기능 뿐 아니라, 읽기 기능 및 갑시장치가 작동되는 연습 문제에서도 학습 성과가 더 좋았음을 가리켜주고 있다.

      • Prosody Modifications of Maternal Speech in Korean language

        Kyunghee Lee(이경희) 한국영어교육연구학회 2017 영어교육연구 Vol.- No.50

        유아를 향한 성인 발화는 성인을 향한 성인발화와 비교해서 특별한 언어학적인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엄마들은 유아를 향해 발화할 때 더 높은 음조, 더 다양한 음조변화, 더 긴 쉼, 더 짧은 발화, 그리고 음성학적 반복이 나타난다. 선행연구(Fernald, 1989)에 따르면, 엄마들의 발화의 음운 변화는 언어마다 다르다. 게다가 그 연구들은 이탈리아, 영국, 프랑스인들의 엄마들 위주로 연구되어져 있다(Camaioni, L., Luigia and Longobardi, E.,2001;Goldman, 2007;Shute, B., and Wheldall, K.,1989). 하지만, 이 연구에서 연구자는 모든 언어의 보편화(universal)의 측면과 한국어가 모국어인 엄마의 발화를 중심으로 한 연구들의 희귀성을 기반으로 한국어에서 엄마 발화의 음운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참여자들은 자녀가 있는 3명의 한국어를 모국어로 발화하는 한국인엄마들이다. 그들의 자녀 나이는 9개월, 12개월, 그리고 18개월이다. 모국어가 한국어인 3명의 발화자들의 녹음은 그들의 집에서 이루어졌다. 그 데이터는 참여자들이 유아자녀에게 이야기책을 큰소리로 읽어 줄때와 다른 한국인 어른에게 이야기책을 큰소리로 읽어 줄때의 발화과정을 녹음한 것이다. 각각의 이야기 발화 시간은 30분정도였다. 그 발화샘플들은 프랏과 R과 같은 음성학적인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분석되어 졌다. 이 연구의 목표는 두 가지 측면이다. 첫째, 유아를 향한 한국어가 모국어인 엄마의 발화와 어른들을 향한 한국어가 모국어인 엄마의 발화 사이에 음높이 변화와 발화속도에 초점을 두어 연구한다. 둘째, 참여자들의 개인적인 환경의 영향력이 있는지도 살펴본다. 그 결과 유아를 향한 엄마의 발화는 더 높은 음높이와 더 느린 발화속도를 가지고 있다. 게다가, 한명이상의 자녀를 가진 엄마 발화자가 개인적인 환경때문에 음운적 변화가 더 발생하는 것 같다. 마지막으로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한국인 엄마의 한국어 발화 역시 언어의 보편화 측면에서 다른 언어들과도 유사한 결과가 밝혀졌다는데 의의가 있다.

      • 한국 대학생들의 영어 단어 비교대조를 통한 창의적 영어어휘력 향상에 관한 연구

        노승빈(Seungbin Roh) 한국영어교육연구학회 2024 영어교육연구 Vol.- No.54

        This study is about improving creative English vocabulary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through comparing and contrasting English words. Although it is important to simply memorize the meaning of English words and use them in sentences, creative English learning is encouraged as learners expand the meaning by discovering the structural concepts and structural systems of English words through comparison and contrast. While 443 college students were taking a required liberal arts course, they were asked to select 4 to 6 words from a given text each week and compare and contrast English words as an assignment. As the students performed the assignment, it was interesting and they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ir English vocabulary was expanding. The research results exceeded expectations and enabled English learners to expand the meaning of English words and to discover the structural concepts and structural systems of given English words on their own. Rather than simply memorizing the meaning of English and passively understanding it, I was able to discover my own concept and composition system through comparison and contrast, thereby discovering meaning beyond the dictionary meaning and expanding the concept and system of English words.

      • Teaching the Usage of English Prepositions

        Park, Young 한국영어교육연구학회 1999 영어교육연구 Vol.- No.19

        전치사는 한국인 학생들이 영어를 공부하는데 있어 가장 어려운 부분중의 하나가 되어왔다. 이는 특정한 표현이 갖는 의미가 어떤 전치사를 쓸것인가를 결정하는 데 별다른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사실에도 기인하는 바 크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학생들이 영어를 공부할 때 빈번히 저지르는 오류의 원인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해결책을 고려해 보았다. 이러한 오류가 발생하는 가장 큰 이유는 전치사의 용법이 하나의 큰 덩어리로 다루어지지 못하고, 마치 그림 맞추기와 같이 단편적으로 학습되어 왔다는 데에 있다. 또한 학생들에게 전치사용법 상의 오류가 있는 문장들을 제시한 후 잘못된 부분을 고치라고 요구해 왔던 종래의 교수법은 지양되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학생들이 상당한 수준에 이르기도 전에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도리어 해가 되는 만큼, 교사들도 올바른 용법의 문장을 숙달시킴으로써 자연스러운 영어의 습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 기초영어 과정에서 영어 팝송에 대한 대학생들의 반응

        이헬렌계순(Helen K. Yi) 한국영어교육연구학회 2020 영어교육연구 Vol.- No.51

        It’s not difficult to find studies about English learning with English songs for young children or lower grades who enjoy to sing the songs regardless of languages. In that sense, most people commonly think that English pop songs will be useful or helpful for learning English. Nevertheless, there still remain questions of whether college students or adults sing pop songs very well without language barrier like young children do. Therefore, this paper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ollege students’ responses of English pop songs in connection with English learning – listening, speaking, reading, grammar, and vocabulary. The study was held 2 times in 2-year college located in the east part of Geonggi-do. Participants were 81 students in the first and 74 students in the second in basic English classes. English pop songs were presented about 15 minutes during the end of each class. In this study, six case studies are introduced: 김진성, 강문구, 2013; 이헬렌계순, 2013; Carmen Cheong-Clinch, 2009; Yi-Chun Chen & Pi-Ching Chen, 2009; Paola X. Romero, 2017; Swasti Nourmawati, 2012. Data collections are by means of questionnaire surveys created by author. The each questionnaire survey uses a five-point Likert type scale. In the first surveys, the students’ positive responses of the English pop songs were diminished at the end of the course even though they were pretty high before starting the course. In the second surveys, however, the results of the survey after course were more positive than the one before the course. To conclude, the difference of the results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survey were depend on frequency, familiarity, and learning method of English pop so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