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뉴미디어 현실과 예술 - 2007년 이후 한국영상학회의 최근 활동을 중심으로

        오영재 한국영상학회 2020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8 No.5

        The advent of new media has been a great catalyst for many artists, thus stimulating their creative drive. It is clear that science and technology have reached an important position in relation to modern art, but without the artists' understanding of advanced science and engineering, this integration of art and technology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This study focuses on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Society of Media and Arts (KOSMA), presenting theories and discourse on new technologies and media, and on how artistic interpretations and practices in this regard have panned out in Korea over the last decade. KOSMA, founded in 1998, has been studying virtually all human activities that are fulfilled through a variety of media. This has allowed KOSMA actively to realize artistic creations and conduct research activities that reveal a variety of interests in media. KOSMA has endeavored to conduct multi-dimensional and integrated research projects under its motto “the multi-disciplinary expansion of academics” since 2007. This research purpose of KOSMA provides the basis for multi-disciplinary and integrated inquiries. It also reflects the research purpose to create new synergistic effects. KOSMA has provided meaningful forums with the keywords of many creative rendezvous instances involving recent technology and visual art as the main paradigm of research exploration. Through academic symposia and media art exhibitions, KOSMA has discussed a wide range of advanced concepts in art and technology within the context of it subject matter. The ultimate purpose of these activities is to pursue the integration of 21st century research exchanges as aggressive actions reflecting today’s media reality. This study, which looks back the activities over the past 10 years, would be a meaningful record and summary of contents that adds value to the constant efforts of the KOSMA. 새로운 매체들의 출현은 많은 예술가들의 창작 의욕을 자극하는 훌륭한 촉매제가 되어왔다. 현대미술에서 과학기술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된 것은 분명하지만, 첨단 공학에 대한 예술가들의 이해가 없었다면 예술과 기술의 통섭적 만남은 불가능하였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기술과 매체들에 대한 이론 및 담론들의 제시 그리고 이와 관련한 예술적 해석 및 실천이 최근 10여 년 동안 한국에서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에 대하여 한국영상학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998년 창립된 한국영상학회는 미디어를 통해 이루어지는 모든 인간 활동에 대해 폭 넓은 관심을 가지고, 그 속에서 예술의 모습을 규명하는 창작 및 연구 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해 왔다. 한국영상학회는 2007년 이후 “학문의 통섭적 확장”을 표방하며 예술과 여러 학문과의 다차원적인 융합적 연구들을 수행하는데 매진해왔다. 한국영상학회의 이러한 연구 취지는 다학제적인 융합적 연구의 토대를 제공하며 새로운 시너지 효과들을 창출해 내고자 하는 그 연구목적을 반영하고 있다. 한국영상학회는 최신 기술과 시각예술과의 창조적 만남을 탐구의 핵심 패러다임으로 한 여러 개념들을 논의의 주제어로 삼아 학술 및 작품 연구의 의미 있는 공론의 장을 마련해 왔다. 최근 10여 년 동안의 학술심포지엄과 작품 전시를 통하여 첨단 공학과 예술을 접목하는 큰 패러다임 안에서 논의되는 다양한 개념들을 핵심 주제어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활동들의 궁극적 취지는 오늘의 미디어현실을 반영하는 도전적 실천으로서, 21세기적 학문의 통섭적 교류를 지향하는 것이다. 지난 10여 년간의 활동들을 되짚어 보는 본 연구가 한국영상학회의 부단한 노력들에 가치를 부여하는 의미 있는 기록과 내용정리가 될 것이다.

      • KCI등재

        한국 미디어 아트의 어떤 태동 - 서울미디어 연구회 출현 및 한국영상학회의 형성과 초기 활동

        심철웅 한국영상학회 2019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7 No.3

        본 논문은 1995년 11월 결성된 서울미디어 연구회 모임 기록과 연구 내용 등의 활동과, 서울미디어 연구회를 기반으로 1998년 창립된 한국영상학회의 초기 활동 기록과 발간물에서 발췌한 주요 내용을 고찰한 글이다. 서울미디어 연구회는 당시 미디어 매체를 다양한 작업으로 활용한 작가들과 연구자,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그룹으로서 정규적으로 모여 서로의 작품을 발표하고, 우리나라 미술계 및 미디어 시각문화 산업계에서 발돋움하기 시작한 미디어 아트 영역에 대한 다각적인 시각을 교류하였던 모임이다. 이 모임은 몇 해 후에는 한국영상학회의 창립으로 이어지게 된다. 우리나라 미디어 아트와 시각문화예술 전반에 걸친 급격한 변화와 확장에 요구되는 시각미술 담론과 비평적 시각에 대한 보다 깊은 연구와 논의의 장의 설립이 절심함을 인지하였기 때문이다. 초기 한국영상학회의 활동은 서울미디어 연구회에서 제기되었던 미디어 아트 담론과 기술적인 확장에 따른 형식과 변화 및 관련된 미적 가치 등에 대한 연구를 추진하고, 당시 활발한 미디어 아트 작가들의 작품 전시를 기획하는 일로 이루어지게 된다. 본 글은 서울미디어 연구회 회장직을 수행하고 2,3대 한국영상학회 회장이었던 심철웅의 기록물과 소장 서류 및 발간물 등에서 발췌한 사실들을 모아 정리한 것으로서, 20여 년 전 우리나라 미디어 아트 역사의 한 활동들을 조망하여, 오늘날 급진적으로 더욱 확장되고 있는 뉴미디어 아트의 제반 담론과 작품들의 현상들을 보다 새로운 관점과 미래에 대한 현안으로 고찰할 수 있기를 바라는 목적을 가진 논문이다. This paper concerns the activity of the Seoul Media Research Group (SMRG), which lasted from November of 1995 to 1998 and the Korean Society of Image Arts & Media (KOSIAM), which was in existence from1998 to 2005. The resources informing this writing are the selective written records on the activities of SMRG and KOSIAM by Cheol-Woong Sim, the president of SMRG and KOSIAM (2000-2004). SMRG consisted of artists, professors, instructors and professionals in various areas of media arts in Korea at that time. They gathered regularly for discussions and exchanged their perspectives on the aspects of media arts, visual culture and the media industry which had emerged as new futuristic phenomena. Several years later the activities of SMRG moved to KOSIAM after members realized the need to form an organization to deal with many drastic changes, the expansions of areas of media arts, and critical perspectives and discourse on visual arts, especially in relation to new media art areas. The early activities of KOSIAM included research that started in SMRG, focusing on discourse, aesthetic value and the phenomenon of new media technologies that appeared to influence heavily the formation of media and visual arts. This writing was facilitated given the vast, varied, and precious rare records of Cheol-Woong Sim kept during those periods, written in his personal calendar notes, paper handouts, in KOSIAM journals and in an exhibition catalogue at that time.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review the accomplishments of SMRG and the early activities of KOSIAM, which presented important perspectives on and provided critics of the new media arts of the time. These critical views and the related discourse are applicable to the phenomenon of media arts in their new and current form. I hope this work becomes meaningful text capable of generating new viewpoints on the current issues of media arts.

      • KCI등재

        브랜드로고 디자인에 나타난 한국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 :퍼스Charles Sanders Peirce 기호유형에 근거한 브랜드로고 분석을 중심으로

        박영원,김성화 한국영상문화학회 2017 영상문화 Vol.0 No.31

        The Korean image was examined in the context of history and art history, and the Korean image seen from daily life and the Korean image from foreign viewpoint were examined. We searched for ways to utilize the results of Korean image search as a motive for creating Korean images. It is almost impossible to accurately define Korean images for designing Korean images or for designs using Korean images. In order to effectively produce and utilize these complex images, a goal-oriented analysis is required. In the logos of the top 500 companies in Korea, 19 companies' logos contained Korean images. This paper focuses on the theories about Peirce's sign types and the contents of the shift of sign channels. Therefore, we proposed the possibility of effective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Korean image in brand logo design. It can be used as an iconic channel of design created by actually photographing or utilizing everyday physical reality, art, design, and historical facts that have a Korean image. A indexical channel complete and indicate a whole connection from a part of reality or scene of Korean image. A symbolic channel that exists as a customary or arbitrary meaning. The use of sign channel shifts of icon-index, index-symbol, symbol-icon, icon-index-symbol can be the effective methodology for the production and analysis of more creative brand logos as well as general designs. 한국적 이미지를 역사적 맥락, 미술사적 맥락에서 살펴보고, 일상에서 나타난 한국적 이미지와 외국인 시각에서 본 한국적 이미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를 한국적 이미지의 브랜드로고 디자인 의 모티브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한국적인 이미지를 디자인한다든가 또는 한국적 이미지를 활용한 디자인을 위하여 한국적 이미지를 정확하게 규정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국적 이미지의 효과적인 생산과 활용을 위해서는 목적지향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국내 500대 기업의 로고에서는 19개 기업의 로고가 한국적 이미지를 내포하고 있었다. 퍼스의 기호유형에 관한 이론과 기호채널의 경로이동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브랜드로고 디자인에서 한국적 이미지의 효과적인 생산이나 활용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한국적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일상의 물리적 실체나 예술과 디자인 그리고 역사적 사실 등을 실제로 촬영하거나 활용하여 제작한 디자인의 도상적 채널, 한국적 이미지의 실체나 장면의 일부에서 전체로 연결되게 하던가, 또는 한국적 원인이 결과로 이어지게 지시하는 지표적 채널, 그리고 대상체와는 상관없이 관습으로 또는 자의적인 의미부여로 존재하는 상징적 채널이 경로를 이동하며 작동한다. 도상-지표, 지표-상징, 상징-도상, 도상-지표-상징의 채널 경로이동의 활용은 일반적인 디자인은 물론이고 보다 창의적인 브랜드로고의 생산과 분석에 효과적인 방법론이 된다.

      • KCI등재

        영상만이 가능한 무용표현 - 노먼 맥라렌의 “파드되(Pas de deux)”를 중심으로

        손우경 한국영상학회 2017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5 No.4

        노먼 맥라렌(McLaren)의 “파드되”는 발레안무와 영화기술을 융합한 실험영상으로 영화사에 중요한 영향 을 끼친 작품으로 평가된다. 무용영상에 있어서 영상기법의 역할을 이해하고 영상만이 가능한 무용표현 의 의의를 모색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파드되”에서 사용된 영상기법을 편집, 중첩, 시간조작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작품을 관찰, 해체하고 데이터화하여 기법이 사용된 부분의 체계와 형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각 영상기법은 무용안무의 의도와 밀접하게 관계하고, 공연과는 다른 무용영상만의 차별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하였다. 편집은 카메라의 움직임, 신체의 크기 등을 변화시켜 관객 시선의 몰입을 유도하였다. 중첩은 분리형, 거울형, 연쇄형의 타입으로 무용에 초현실적 경험을 부 여하였다. 시간조작은 슬로모션, 정지, 반복을 통하여 안무리듬을 재구성하는 기능을 하였다. 이러한 융 합예술에 있어서, 영상의 역할을 기법적 측면에서 고찰한 본 연구가 무용영상을 제작하기 위한 이 시대 의 작가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Norman McLaren's "Pas de deux" is an experimental film that combines ballet choreography and film technology, and it is regarded as a work that has made an important impact on the history of the film industry.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oles of cinematic techniques in dance films and to search for the significance of dance expressions that only moving images make possible. In this research, I analyze the cinematic techniques used in "Pas de deux" by focusing on editing, superposition and time remapping. The structures and forms of the parts where the techniques were used were analyzed by observing, disassembling and schematizing the works. Each of the cinematic techniques was closely related to the intentions of dance choreography and functioned to differentiate only dance films from stage performances. Editing led to the immersion of the viewer's gaze using techniques such as changes of camera movements and of the size of the body. Superposition resulted in surrealistic experiences of different types with regard to dance, including separation and mirrors and chains. Time remapping functioned to reconstruct choreography rhythms through slow motion, freezing and repetition. I hope that this research on the roles of moving images in intermedia art will be helpful for artists of this era who strive to produce dance films.

      • KCI등재
      • KCI등재

        대학 영상 교육을 위한 룩업 테이블 활용 및 아날로그 필름 룩 구현 워크플로우

        한동균 한국영상학회 2021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9 No.6

        아날로그 필름 시대와 디지털 영상 제작 초창기의 색보정은 기술적 한계로 인해 아주 좁은 범위의 이미지 재가공만을 의미하 였다. 하지만 기술의 발전에 따라 Log 혹은 Raw 이미지로 영상을 촬영하는 고성능 디지털 카메라가 등장함으로 인해 현대 영상 포스트프로덕션에서 색보정 단계는 더 이상 예술적 선택이 아닌, 필수 단계로 자리 잡았다. 본 논문의 문제의식은 대학 영상 교육의 현장에서 저학년 학생의 영상 제작 실습 작품이 기술적 이해의 부재로 인해 미흡한 완성도로 마무리되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현재 대다수 대학의 영상 관련 학과 커리큘럼에 있어 영상 제작 교육은 전학년을 대상으로 단계별로 실시되는 반면, 포스트프로덕션 단계에 관한 심화 교육 및 색보정 교육 실습은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이뤄지고 있다. 하지 만 이런 환경적 제약이 포스트프로덕션 기술의 중요성에 관한 영상 산업 종사자 및 영상 교육자들의 이해도 결여로 인한 결 과가 아님은 명백하다. 포스트프로덕션 기술의 이해를 위해선 매체에 관한 이론적 지식을 수학함은 물론, 촬영, 조명, 사운드 디자인 등 영상 제작의 다른 선행 분야에 관한 학습이 우선시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본격적인 포스트프로 덕션 단계의 학습 이전에 선행할 저학년 대상 영상 제작 실습에 적용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으로서 룩업테이블 워크플로우 의 활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 과정에서 필요한 시각적 예시로 디지털 영상의 아날로그 필름 룩 구현을 위한 LUT 제작 과정을 활용함으로써 학생 영상 작품의 시대적 배경 등의 선택 폭을 넓히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Color grading in the analog film era and the early days of digital video production meant only a very narrow range of image reprocessing due to technical limitations. Howeve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advent of high-performance digital cameras to capture images in Log or RAW formats have made the color grading stage in modern film post-production no longer an artistic choice but an essential step. This study suggests an alternative solution given the fact that the completeness of video production practice work by student on their first or second-year in the field of university video education is often insufficient due to their lack of technical understanding. Currently, filmmaking practice is conducted gradually for students in all grades in the video-related department curriculums of most universities, while in-depth education and color correction education practice on the post-production stage are conducted only for students on their third or fourth-year. However, these environmental constraints are not the result of a lack of understanding by film industry workers or film educator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post-production technology. They arise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earlier concepts in film production, such as principal photography, lighting, and sound design, which should be prioritized on top of theoretical knowledge of media in order to ensure a sound understanding of post-production technology.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present the use of a lookup table workflow as a realistic alternative that can be applied to the film production practice of students early in their college years who will later learn in the full-scale post-production stage. In addition, by utilizing the LUT workflow for the creation of an analog film look in digital images as a visual example necessary during the research process, we intend to contribute through this study to the expansion of the selection of student film works, such as by reviving the look of specific time periods.

      • KCI등재

        영상의 후각적 생생함이 향 제시를 통한 실감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국희,정윤진,이형철,안충현,기명석,김신우 한국영상학회 2015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3 No.3

        영상장면에 어울리는 후각정보를 제시함으로써 영상실감이 향상될 것이라는 가설은 예측 가능하다. 그러나 냄새가 연상되는 모든 장면에 어울리는 후각정보를 제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어떤 장면을 선택하여 후각정보를 제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실감향상방법인지는 연구가 필요하다. 한 가지 가능한 가설은 후각정보에 대한 묘사가 생생한 영상에 어울리는 냄새를 제공하는 것이 후각정보가 비생생한 영상에서 제공하는 것보다 더 강한 실감향상을 가져온다는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한 본 연구는 영상의 후각적 생생함을 세 가지 조건 (무관 vs. 비생생 vs. 생생)으로 구분하였고, 각 조건에 부합하는 영상을 수집한 후 세 가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1은 영상의 후각적 생생함을 참가자 내로 조작하면서 해당 영상과 함께 향을 의도적으로 경험하게 한 후, 실감향상과 향제시선호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2는 영상의 후각적 생생함을 참가자 간으로 조작하면서 실험 1의 결과가 요구특성에 의한 대비효과가 아님을 확인하였다. 실험 3은 우연적으로 향을 경험할 때도 실험 1과 동일한 실감과 향제시선호도 향상이 이루어지는 지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세 가지 실험 모두에서 후각적으로 생생한 영상이 비생생한 영상보다 후각정보를 통한 실감향상과 향제시선호도가 강해지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또한 향과 무관한 영상을 시청할 때는 후각정보가 실감과 향제시선호도를 오히려 저하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상실감분야에 기여할 뿐 아니라 광고 등의 영상을 활용한 마케팅 분야에도 폭 넓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Presenting appropriate scents with a video scene to increase the reality of a video is a predictable hypothesis. However, it is impossible to present matching scents for all scenes; therefore, finding the most effective way to improve the reality of video scenes with olfactory information is necessary. One possible hypothesis is that even when the same olfactory information is presented, a stronger improvement of video reality is realized when the scene is olfactorily more vivid than when the scene is olfactorily not vivid. To verify this hypothesis empirically, in this study we use three conditions of the olfactory vividness of video scenes (an irrelevant condition vs. a non-vivid condition vs. a vivid condition). After establishing these conditions, we collected and edited different videos with regard to each condition and then carried out three experiments. Experiment 1 used a within-participants condition of olfactory vividness of the video and posed two questions after the participants intentionally experienced certain scents with videos. The first question focused on improvements in the video reality with the matching scent, the second asked about preferences for the scent with the video. Experiment 2 was similar to Experiment 1, except it used a between-participants design, as we intended Experiment 2 to prove that the results of Experiment 1 did not stem from a contrast effect according to the demand characteristics. Experiment 3 was carried out to confirm whether we could observe the same results when the participants the scent by accident. As a result, we consistently observed the same results in the three experiments, finding that the level of video reality with olfactory information and scent preferences increased with the video in the vivid condition as compared to the non-vivid condition. Moreover, video reality was found to decrease in the irrelevant condition. This study has broad implications with regard to the level of reality in video and for those who market videos such as commercials.

      • KCI등재

        선전 도구로서의 영상 이미지(에 관한) 연구 - 대한민국 대통령 <취임식 영상 이미지> 분석을 중심으로

        남종대,김학순 한국영상학회 2015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한민국 국민이 권력의 이미지 선전으로부터 과연 얼마만큼 자유로운지 그리고 더 나아가 대한민국 언론매체가 노골적인 선전을 일삼는 국가 권력의 통제로 부터 진정으로 해방되었는지를 대중의 ‘정신 지배’ 도구로서 사용되어온 영상을 분석하여 재점검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대상은 권력이 제작한 대한민국 대통령 취임식 영상 이미지들이었으며 모든 영상 이미지들은 아르빈 파노프스키의 도상해석학에 바탕으로 둔 도상분석법과 문화이론에서 파생된 기호분석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권력은 오랜 기간 동안 국가의 리더를 ‘우상화’시키는 전략을 통해 대중을 통치해왔고 그러한 전략의 도구는 다름 아닌 영상 이미지였다. 영상 이미지는 동굴벽화에서 현대의 영화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숭배의 대상을 생산하고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감각에 작용하며 이데올로기를 전달, 또 대중의 정신을 지배하는 반복적인 담론을 생산하며 권력 지배의 정당성 등을 지키는 도구로 사용되어온 것이다. 그리고 현대에 이르러서도 여전히 영상 이미지는 권력을 숭배의 대상으로 상승시키는 가장 강력한 이데올로기 전달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영상분석 결과 권력은 이미 삼국시대 때부터 형태가 갖춰진 그리고 범주화된 영상 이미지와 유사한 형태의 영상 이미지를 반복 생산, 배포하는 전략을 통해 대통령을 국가의 아버지 더 나아가 신화 속의 숭배의 대상으로 까지 우상화시키고 있었다. 그리고 범주화된 영상 이미지의 반복을 통해 대중의 사고를 틀 속에 가두고 끊임없이 권력을 숭배의 대상으로 인식하게 함으로 자신들의 대중 지배에 대한 정당성 확보와 더불어, 국가 정책의 입안과 실천에 있어서도 전폭적 지지를 받을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해왔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영상 이미지 구성 패턴의 반복을 통한 권력의 대통령 우상화 전략은 끊임없이 선전의 도구가 되어 대중들을 통제하고 조정해왔으며, 대중은 그 통제아래에서 한 번도 자유로웠던 적이 없었던 것이다. 결국 우리는 권력이 만들어낸 프레임 속에서 그리고 그 프레임 내부에서 생산되는 담론 아래에서 스스로도 모르는 사이에 구속되어 통치 받고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if the public and the media in South Korea have been genuinely released from governmental propaganda. The main targets of the research are propaganda images, especially those of Korean presidents which have been produced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Methodologies for this research are derived both from the iconography tradition based on Erwin Panofskyconography traa semiotics approach based on current cultural studies. One of the most powerful forms of medium for the institutions involved in governmental propaganda is none other than the image. The image conveys the ideology of the elite to the public and creates an 'a priori' status to dominate the minds of the public. Thus, images have been used as a tool to ensure the appearance of the elite's legitimacy to control the public. As a symbol of administrative power as well as the highest military commander, the presidents of the Republic of Korea have been idolized in images. The elite group uses images of presidents to align not only public's way of thinking but also to familiarize their senses and minds with the idea that they are an absolute and unchangeable cultural virtue. In short, images help to deliver their ideology successfully, making the public unconsciously worship idols created through the authority. Give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public in South Korea is completely free from governmental propaganda.

      • KCI등재

        포스트 디지털 매체 예술과 2000년대 한국 디지털 비디오아트 연구

        김연호 한국영상학회 2016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4 No.3

        2000년대 한국 디지털 비디오아트에 대한 연구는 한국 현대미술사나 영상예술사에서도 중요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포스트 디지털 매체 시대’의 시점에서 ‘디지털 매체 예술’이 표면화하기 시작한 2000년대를 살펴보는 것은 ‘포스트 디지털 매체 시대’에 도출될 수 있는 한국의 다양한 디지털 예술 형태를 논의하는데 중요한 논점들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특히 2000년대 디지털 매체 시대의 한국 디지털 비디오아트에 초점을 맞춰 당시의 예술사적 의미를 모색해 보려한다. 2000년대를 한국적 디지털 매체 시대로 가정하고 이 시기에 제작된 한국 작품들의 경향들을 분석하고자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디지털 비디오예술 축제와 디지털 비디오아트의 등장, 둘째, 한국 포스트 디지털 영상 매체 저장 장치까지의 전개과정과 넷 아트의 태동을 한국 작품들과 함께 함께 살펴볼 수 있다는 점, 셋째, 독자적으로 모색된 한국 디지털미디어아트의 탈장르성을 논의할 수 있기 때문이다. Research on Korean video art in the 2000s is important both in terms of the history of art and that of video art in Korea. Examining the 2000s, the period when ‘digital media art’ emerged, through the perspective of ‘post-digital media art’ can propose important issues in discussion of diverse forms of digital art in Korea that can be produced in the ‘post-digital media era.’ This paper focuses on Korean digital video art in the digital media era in the 2000s, attempting to find the art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 period. There are three reasons this particular period is assumed to be a digital media era. First, Korean digital video art emerged. examining the period provides an opportunity to survey the development of Korean video art until the point at which it employs post-digital visual media storage and the birth of net art. Third, it enables us to discuss the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Korean digital media art, which shows a tendency to be a post-genre in that it has developed independently.

      • KCI등재

        영상 기록의 수행성에 관한 연구

        김이진 한국영상학회 2020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8 No.5

        During the 2000s, the boundaries between documentary films and artworks using record images became blurred, and convergence and transformation among genres have prevailed.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new topography of documentation via the moving image through its two orientations considering the concept of performativity as an enhancement for both. The two image recording orientations used here originate from the desire for conservation and possession. Conservation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value of records accomplished by observations and indexical images, while possession is disregarded as a residual characteristic in the mainstream of visual documentation, in which an agent of record is reflected. Documentation via the moving image, which is executed between the two conflicting desires, is performative. Performativity, referring to the acts of being fermented and created only through production and without an objective reference to authenticity illuminates the behavioral aspects of image recording and provides a conceptual basis demonstrating the value of its possessive characteristic.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research by Stella Bruzzi, who asserted that documentary production is a performative act, and attempts to complement the notion of performativity in documentation via the moving image through the temporary and incidental properties of image recording, which it is felt she overlooked. According to Erika Fischer-Lichte, temporary and incidental properties are prerequisites of performativity during performances. With an analysis of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image record and performance and a reconsideration of performativity by John L. Austin, who discovered the concept, this study intends to reexamine the performativity of documentation via the moving image. In addition, based on the idea of Austin, who saw the subject of the utterer and the world of customs as the conditions under which performative utterance is properly put into effect, conservation and possession in image recording are repositioned into a new relationship of thesis-antithesis-synthesis. 2000년대를 전후하여 기록적 영상을 사용하는 영화와 미술작품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장르 간의 융합과 변형이 빈번하게 나타난다. 이 연구는 영상 기록의 새로운 지형을 영상 기록이 가진 두 지향성과 둘 사이를 조율하는 수행성의 개념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영상 기록의 두 지향성은 보존과 소유의 욕망에서 비롯되어, 보존은 지표적 실사영상, 관찰자적 태도를 통해 성취되며 기록물의 가치와 직결되었고, 소유는 기록 주체가 반영되는 특질이자 주류의 영상 기록에서 잉여적 특질로 폄하되어 왔다. 두 상충하는 욕망 사이에서 실행되는 영상 기록은 수행적이다. 진위를 판별할 객관적 참조 대상 없이, 오직 수행됨을 통해 발효되고 창출됨을 의미하는 수행성은 기록의 행위적 측면을 조명하며 영상 기록이 가진 소유적 특징의 가치를 증명할 개념적 토대를 제공한다. 이 연구는 다큐멘터리 제작을 수행적 행위라고 주장한 브루지의 연구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그가 간과한 영상 기록의 일회성과 사건성을 통해 영상 기록의 수행성 개념을 보완하고자 한다. 피셔-리히테에 의하면, 일회성과 사건성은 퍼포먼스 공연에서 수행성이 발현되는 전제조건이다. 본 연구는 영상 기록과 퍼포먼스의 유사성을 분석하고, 수행성을 최초로 정의한 오스틴의 언어철학적 개념을 재고하여 영상 기록의 수행성을 재규명한다. 또한, 발화자라는 주체와 관습이라는 세계를 수행문이 적절하게 발효되는 조건으로 본 오스틴의 연구로부터 착안하여, 영상 기록의 보존과 소유의 특징을 새로운 정반합의 관계로 재배치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