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제 4회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한국언어치료학회 공동학술대회 사전등록 3차 안내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한국언어치료학회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1 No.1

        제 4회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한국언어치료학회 공동학술대회 사전등록 3차 안내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와 한국언어치료학회에서는 제 4회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한국언어치료학회 공동학술대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하오니,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홍보를 부탁드립니다. 1. 주제: 청각장애 언어재활: From Startup to Stardom 2. 일시: 2015년 11월 7일(토) 오전 9:00 ~ 오후 6:00 3. 장소: 우송대학교 서캠퍼스 우송예술회관 (대전광역시 동구 자양동)

      • 제1회 한국언어치료학회․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공동학술대회 개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한국언어치료학회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제1회 한국언어치료학회․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공동학술대회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1. 선생님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2. 제1회 한국언어치료학회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공동학술대회를 2009년 11월 21일(토)일 09:00 ~18:00에 개최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별첨 및 본 학회 홈페이지(www.ksha1990.or.kr)의 공지사 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3. 학술발표대회 사전 접수기간은 2009년 11월 9일(월)~13(금) 17:00시 까지 입니다. 4.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KCI등재
      • KCI등재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언어 접촉 양상(LCP)이 한국어 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김현진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8 한국언어문화학 Vol.15 No.2

        본 연구는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언어 접촉 양상을 살펴보았고, 언어 접촉 양상이 한국어 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언어 접촉 양상에서 1) 한국어 상호작용 시간은 1주일 수업 동안 한국어로 상호작용한 빈도가 가장 높았다. 2) 한국어 사용 시 대화상대로는 서비스 직원들과 가장 많은 말을 했다. 3) 한국어로 말하는 목적은 수업/일과 관련된 긴 대화를 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4) 하루 동안 교실 밖에서 한국어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활동 중에서 한국어 듣기에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였다. 다음으로, 재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언어 접촉 양상과 한국어 능력, 언 어 접촉 양상과 학업성취도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이루었다. 마 지막으로, 언어 접촉 양상 중에 학업성취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변 인으로는 1주일 동안 수업 밖에서 한국어로 상호작용한 빈도, 하루 동 안 교실 밖에서 한국어로 읽기, 하루 동안 교실 밖에서 한국어로 쓰기 임을 알 수 있었다.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5–2.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Language Contact Profile on Korean proficiency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First, the results of the students’ Language Contact Profile show that (1) duration of speaking Korean in classroom per week was the highest in the duration of Korean language interaction, (2) international students spoke the most Korean with service personnel as communication partners, (3)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purposes for long conversations were to clarify classroom or job–related work, (4) the most time the students spent listening to Korean outside of the classroom per day.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Language Contact Profile and Korean proficiency, as well as between the Language Contact Profile and academic achievement. Finally, the duration of speaking Korean outside of the classroom per week and reading and writing in Korean outside of the classroom per day had an influence on internationa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Kyung Hee University)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한국언어치료학회지의 토픽 모델링 및 트렌드 분석: (2002∼2018)

        신명선,조경원 한국언어치료학회 2019 言語治療硏究 Vol.28 No.3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ntitatively analyze topic modeling and trends in the Journal of Korean Speech and Hearing Association (KSHA), using text mining, one of the big data analysis techniques. It is meaningful to find out what kind of research is being carried out in the field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field. Methods : We collected korean abstracts and key words of 805 papers published from 2002 to April 2018 in KSHA Journal. After preprocessing the collected data, LDA analysis was performed to extract topics and the trends of extracted topics were produced. Proportion of the topic and similarity through IDM. Results : We discovered 9 topics were the best number of topics and the topic trends reflected the main issues of KSHA Journal. The topic modeling derived from LDA and IDM analysis were language development and language disorders (29.1%), intervention of communication disorders (21.4%), neurogenic communication disorders (12.8%), voice disorders (9.7%), hearing disorders (8.7%), fluency disorders (7.4%), language of multicultural children (6.5%), recognition of speech-language therapy (3.1%),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1.4%). Conclusions : This research focused on identifying which topics were dealt with in the Journal of KSHA, from 2002 to 2018.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nd practicing academic and clin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speech and language therapy field in the future. 목적: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하여 한국언어치료학회지의 토픽 모델링 및 토픽 트렌드를정량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언어치료 분야가 어떤 것에 관심을 가지고연구를 진행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 방법: 2002∼2018년 4월까지 17년 간한국언어치료학회지에 게재된 805편을 분석 대상으로 국문제목, 국문키워드, 국문초록을 웹 스크랩핑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보를 자동 수집하였다. LDA 분석으로 주제들을 추출하고, 토픽의 비중과유사도를 확인하기 위해 IDM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유사도가 높은 토픽들의 의미유용성을고려하여 토픽의 통합분석을 하였다. 결과: 2002∼2018년 동안 본 연구지에 게재된 연구 토픽은 9개로구분되며, 언어발달 및 언어장애(29.1%)와, 의사소통장애 중재(21.4%)가 50%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신경언어장애(12.8%), 음성장애(9.7%), 청각장애(8.7%), 유창성장애(7.4%),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6.5%), 언어치료에 대한 인식(3.1%), 조음음운장애(1.4%) 순의 비중으로 나타났다. 결론: 2002~2018년간 한국어치료학회지의 토픽 모델링과 트렌드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지가 언어치료 전반과 학제 간 융합연구주제를 받아들이고, 언어치료 분야의 발전적 변화를 가져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한국언어치료학회가 앞으로도 언어치료 분야에 학문적 가치를 구현하고 나아 가야할 방향 설정과 실천적전략을 수립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언어문화학」의 연구 동향 - 네트워크 분석과 내용 분석의 활용 -

        양길석,구민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1 한국언어문화학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의 학술지에 실린 논문의 연구 경향을 분석하여 학회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고 학회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창간호부터 17-3호까지의 학술지에 게재된 440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법과 내용 분석법을 병행, 적용하여 연구 경향을 분석하였다. 네트워크 분석 결과 키워드 출현 빈도 측면에서는 ‘한국어교육, 문화 교육, 한국어, 언어문화, 한국어 교재’ 등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시기별로 구분했을 때 ‘한국어교육, 문화교육, 한국어, 요구분석, 한국어 교재’ 등은 시기와 구분 없이 출현 빈도가 높았으나 등재지 이후 시기에는 보다 한국어교육에 초점화된 키워드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중심 구조 측면에서는 ‘한국어교육, 문화교육, 언어문화, 한국어 교재/한국어, 한국 문화/문화’ 등의 순으로 연결중심성 값이 높게 나타났고 이 키워드들은 전체 시기의 연구 경향을 대표한다고 볼 수 있다. 내용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한국어교육 관련 주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기별로 살펴보면 초창기 언어문화를 포함한 문화 자체를 주제로 한 연구가 꽤 많았으나 최근으로 올수록 언어 관련 연구와 교육 관련 연구의 비중이 점차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전반적으로는 질적연구 방법의 비중이 높고 시기별로 보면 최근으로 올수록 설문조사 연구 및 양적 연구방법의 비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dentity of the society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of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s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nd to seek the direction the journal should proceed. To this end, the research trend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 and the content analysis method in parallel for 440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s published in the first issue through 17-3. As a result of network analysis,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keywords, the frequenc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ulture education, Korean language, language culture, Korean language textbooks’ was found to be high. When categorized by period, ‘Korean language education, cultural education, Korean language, Needs analysis, and Korean textbooks’ appeared in a high frequency regardless of the period, but the frequency of keywords focused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higher than in the period after registration. In terms of the central structure, the value of connection center was high in the order of ‘Korean education, cultural education, language culture, Korean textbooks/Korean, and Korean culture/culture’, and these keywords can be considered to represent the research trend of the entire period. As a result of the content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any topic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Looking at each period, there were quite a lot of studies on the subject of culture itself, including language culture in the early days.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overall, the proportion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s high, and the proportion of survey research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ends to increase as they become more recent.

      • KCI등재

        한국어 교육과정 학습 한국어의 언어 재료 탐구 - 역사 교과를 중심으로 -

        신범숙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7 한국언어문화학 Vol.14 No.2

        본 연구는 중학교 역사 교과를 중심으로 다문화 학생들의 내용 영역 문식력 향상을 위한 학습 한국어의 언어 재료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어교육 과정에서 제시하는 언어 재료의 내용 구성 및 제시 항목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교육과정의 언어 재료는 구어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로 초급과 중급 단계에 집중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한 학습 한국어의 언어 재료로 제시되고 있는 어휘는 교과 학습의 목표가 되는 개념어들로 구성되어 있어, 내용교과의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 내용으로 활용되기 어렵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역사 교과를 중심으로, 학문적 문식성을 제고하는 데 유효한 어휘와 문법의 탐색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중학교 역사 교재를 입력하여 구축한 총 43,252어절의 말뭉치 분석을 통해 역사 교과의 고빈도 어휘를 추출하였다. 또한 4종의 교재 텍스트를 분석하여 역사 교과 언어의 통사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분석의 결과 학습 한국어의 교육 내용으로 포함해야 할 구체적인 어휘와 문법 교육 내용을 밝힐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or improving content area literacy among multicultural students, focusing on middle school history.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we examined the list of language materials provided in the current KSL curriculum.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language materials presented in the appendix to the KSL curriculum consist mainly of spoken language materials, which largely focus on beginner and intermediate levels. We therefore tried to find vocabulary and grammar that would be effective in improving disciplinary literacy, focusing on middle school history. We also extracted high frequency vocabulary in history subjects by analyzing the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 corpus, which consists of 43,252 word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sentences within this subject by extracting and analyzing texts of four kinds of textbooks. As a result, we extracted high frequency vocabulary and compiled a list of grammatical constructions used in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