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제 4회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한국언어치료학회 공동학술대회 사전등록 3차 안내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한국언어치료학회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1 No.1
제 4회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한국언어치료학회 공동학술대회 사전등록 3차 안내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와 한국언어치료학회에서는 제 4회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한국언어치료학회 공동학술대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하오니,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홍보를 부탁드립니다. 1. 주제: 청각장애 언어재활: From Startup to Stardom 2. 일시: 2015년 11월 7일(토) 오전 9:00 ~ 오후 6:00 3. 장소: 우송대학교 서캠퍼스 우송예술회관 (대전광역시 동구 자양동)
제1회 한국언어치료학회․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공동학술대회 개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한국언어치료학회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제1회 한국언어치료학회․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공동학술대회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1. 선생님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2. 제1회 한국언어치료학회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공동학술대회를 2009년 11월 21일(토)일 09:00 ~18:00에 개최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별첨 및 본 학회 홈페이지(www.ksha1990.or.kr)의 공지사 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3. 학술발표대회 사전 접수기간은 2009년 11월 9일(월)~13(금) 17:00시 까지 입니다. 4.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한국언어문화학」의 연구 동향 - 네트워크 분석과 내용 분석의 활용 -
양길석,구민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1 한국언어문화학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의 학술지에 실린 논문의 연구 경향을 분석하여 학회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고 학회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창간호부터 17-3호까지의 학술지에 게재된 440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법과 내용 분석법을 병행, 적용하여 연구 경향을 분석하였다. 네트워크 분석 결과 키워드 출현 빈도 측면에서는 ‘한국어교육, 문화 교육, 한국어, 언어문화, 한국어 교재’ 등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시기별로 구분했을 때 ‘한국어교육, 문화교육, 한국어, 요구분석, 한국어 교재’ 등은 시기와 구분 없이 출현 빈도가 높았으나 등재지 이후 시기에는 보다 한국어교육에 초점화된 키워드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중심 구조 측면에서는 ‘한국어교육, 문화교육, 언어문화, 한국어 교재/한국어, 한국 문화/문화’ 등의 순으로 연결중심성 값이 높게 나타났고 이 키워드들은 전체 시기의 연구 경향을 대표한다고 볼 수 있다. 내용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한국어교육 관련 주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기별로 살펴보면 초창기 언어문화를 포함한 문화 자체를 주제로 한 연구가 꽤 많았으나 최근으로 올수록 언어 관련 연구와 교육 관련 연구의 비중이 점차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전반적으로는 질적연구 방법의 비중이 높고 시기별로 보면 최근으로 올수록 설문조사 연구 및 양적 연구방법의 비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dentity of the society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of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s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nd to seek the direction the journal should proceed. To this end, the research trend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 and the content analysis method in parallel for 440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s published in the first issue through 17-3. As a result of network analysis,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keywords, the frequenc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ulture education, Korean language, language culture, Korean language textbooks’ was found to be high. When categorized by period, ‘Korean language education, cultural education, Korean language, Needs analysis, and Korean textbooks’ appeared in a high frequency regardless of the period, but the frequency of keywords focused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higher than in the period after registration. In terms of the central structure, the value of connection center was high in the order of ‘Korean education, cultural education, language culture, Korean textbooks/Korean, and Korean culture/culture’, and these keywords can be considered to represent the research trend of the entire period. As a result of the content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any topic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Looking at each period, there were quite a lot of studies on the subject of culture itself, including language culture in the early days.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overall, the proportion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s high, and the proportion of survey research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ends to increase as they become more recent.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한국언어치료학회지의 토픽 모델링 및 트렌드 분석: (2002∼2018)
신명선,조경원 한국언어치료학회 2019 언어치료연구 Vol.28 No.3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ntitatively analyze topic modeling and trends in the Journal of Korean Speech and Hearing Association (KSHA), using text mining, one of the big data analysis techniques. It is meaningful to find out what kind of research is being carried out in the field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field. Methods : We collected korean abstracts and key words of 805 papers published from 2002 to April 2018 in KSHA Journal. After preprocessing the collected data, LDA analysis was performed to extract topics and the trends of extracted topics were produced. Proportion of the topic and similarity through IDM. Results : We discovered 9 topics were the best number of topics and the topic trends reflected the main issues of KSHA Journal. The topic modeling derived from LDA and IDM analysis were language development and language disorders (29.1%), intervention of communication disorders (21.4%), neurogenic communication disorders (12.8%), voice disorders (9.7%), hearing disorders (8.7%), fluency disorders (7.4%), language of multicultural children (6.5%), recognition of speech-language therapy (3.1%),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1.4%). Conclusions : This research focused on identifying which topics were dealt with in the Journal of KSHA, from 2002 to 2018.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nd practicing academic and clin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speech and language therapy field in the future. 목적: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하여 한국언어치료학회지의 토픽 모델링 및 토픽 트렌드를정량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언어치료 분야가 어떤 것에 관심을 가지고연구를 진행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 방법: 2002∼2018년 4월까지 17년 간한국언어치료학회지에 게재된 805편을 분석 대상으로 국문제목, 국문키워드, 국문초록을 웹 스크랩핑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보를 자동 수집하였다. LDA 분석으로 주제들을 추출하고, 토픽의 비중과유사도를 확인하기 위해 IDM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유사도가 높은 토픽들의 의미유용성을고려하여 토픽의 통합분석을 하였다. 결과: 2002∼2018년 동안 본 연구지에 게재된 연구 토픽은 9개로구분되며, 언어발달 및 언어장애(29.1%)와, 의사소통장애 중재(21.4%)가 50%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신경언어장애(12.8%), 음성장애(9.7%), 청각장애(8.7%), 유창성장애(7.4%),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6.5%), 언어치료에 대한 인식(3.1%), 조음음운장애(1.4%) 순의 비중으로 나타났다. 결론: 2002~2018년간 한국어치료학회지의 토픽 모델링과 트렌드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지가 언어치료 전반과 학제 간 융합연구주제를 받아들이고, 언어치료 분야의 발전적 변화를 가져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한국언어치료학회가 앞으로도 언어치료 분야에 학문적 가치를 구현하고 나아 가야할 방향 설정과 실천적전략을 수립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Bui Kim Luan,이길원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4 한국언어문화학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 대학들에서 진행하고 있는 한국언어문화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과 문제점에 대해 다루고 베트남의 한국언어문화 증진을 위한 방안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1993년 9월에 최초로 하노이국립대학교에 한국학과가 개설된 이후그 수가 꾸준히 늘어 2005년에는 9개, 2014 년 현재는 14개 대학교에한국언어문화 관련 강좌가 개설되어 있다. 또한 현재 10개의 대학교에서 한국언어문 화 관련 학과와 별도로 11개의 한국어센터 및 한국학센터를 보유하고 있다. 베트남 대학들의 한국언어문화학 교과과정을 보면, 대체적으로 1,2학년에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와 문법 과 목, 3,4학년에는 문화, 경제, 경치, 역사, 사회, 문학 등 한국학 관련 주요과목 및 통 번역과목이 배정되어 있다. 베트남 대학들의 가장 시급하고 당면한 과제로는 전문 교수진의 부족을 들 수 있다. 현재 베트남 대학들의 한국 언어문화학에 종사하는총 교수진은 133명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교수진의 비중은 차치하더라도 학생 대비 교수의 숫자가 적은 부분은 시급히 해결해야 할점이라고 본다. 이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베트남 정부와 대학에서 연구자들이 교육기관에서 일을 할 수 있게 우대 정책 등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그렇게 될 때 베트남에서의 한국언어문화학 교육은 장래에 큰 발전이 보장 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A Study in the Korean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n Vietnam. Journal of the International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1-2, 79-106. This paper presents status regarding current education of Koreanlanguage and culture at universities in Vietnam. In addition,solutions to strengthen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in Vietnam are also presented. The department of Koreanstudies at the VNU(Vietnam National University) Hanoi University,which is the first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in Vietnam, wasestablished in September 1993. In 2005, there were totally 9universities that were established and related to Korean languageand Korean studies. Until now, 14 universities all over thecountry, which have the faculty members of Korean languageand culture, have been established. Moreover, due to the highdemand of studying Korean, many universities have beencooperated with Korean government to establish the Sejongcenter. Recently in the universities in Vietnam, there has been avisible trend towards opening the center for Korean languageand Korean studies. Currently, 11 centers in 10 universities inthe country have been established Korean centers. Korean languageand Korean studies education in Vietnam is in great diversity. Besides increasing volume of the demand the quality of the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s clearly improved. Thisis due to the fact that many Korean companies are investing in Vietnam and the demand of studying Korean is increasingbecause of the Korean Wave. Moreover, support of Korean governmentand companies accelerate development of Korean centers inVietnam rapidly. The program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center is mainlyfocusing on the areas of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grammar, culture, economics, history, politics, society, translationcourse and more. The imperative problem in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education in universities in Vietnam is lack of professional staff. Now, the number of teachers in the faculty of Korean languageof universities in Vietnam are 133, including 14 doctors (10.5%),84 masters (63.2%), and 35 bachelors (26.3%).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Vietnamese governmentand universities should support the Korean researchers. It isevident that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n Vietnamwill more prosper in the future once these conditions arem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