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어 부사어의 분류와 분포 제약

        채희락 한국언어정보학회 2001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1 No.-

        문장에서 술어를 수식하는 대표적인 표현은 부사어이다. 부사어는 일반적으로 문장 구성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지 않는 첨가어(adjuncts)이기 때문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보충어(complements)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덜 이루어진 분야이다. 그렇지만 부사어는 피수식어의 의미를 구체화/한정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며 어순, 호응(concord)등의 통사적 현상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연구의 일차적 목적은 이러한 부사어를 통사적, 의미적 기준에 의해 정확하게 분류하고 그들의 분포제약을 밝히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부사어와 관련된 통사 현상으로, 부사어와 피수식어의 공기(co-occurrence)관계 및 부사어와 술어 어미의 호응 관계에 대한 분석을 제공하려고 한다. 부사어는 통사적인 기준과 의미적인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손남익 1995, 김경훈 1996, 임유종 1998). 통사적 기준으로는 단어나 구를 수식하는 성분부사와 문장을 수식하는 문장부사로 나누는 방법과 위치에 대한 제약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제약부사와 자유부사로 나누는 방법이 있다. 이 두 통사론적 기준에 의해 분류되는 부사들을 서로 어떤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는지 살펴 볼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장부사는 문두에 놓여야 한다는 위치적 제약이 있기 때문에 제약부사로 분류된다. 의미적 기준으로 부사어를 분류할 수도 있는데, 시간/공간 부사어, 양태/정도 부사어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의미적 기준에 의해 분류된 바사어는 통사적 기준에 의해 분류된 것들과는 어떤 상호 관련성을 맺고 있는지 살펴 볼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간부사와 장소부사는 자유부사에 속하며 양태부사와 정도부사는 제약부사에 속한다. 부사어와 피수식 요소와의 통사적 공기 관계 및 의미적 관계 그리고 그와 관련된 문법 현상도 연구의 대상이 된다. 예를 들어, 자유로운 어순을 가진 부사들이지만"*순이는 빨리 과연 달린다"에서 볼 수 있는 종류의 분포적 특성을 알아 볼것이다(심재기 1982, 송철의 1989). 또한 "길이/*길게 빛나다"와"*길이/길게 드리워졌다"와 같은 대조에서 나타나는 통사, 의미적 기능의 상관 관계 및 제약들의 상호 작용도 살펴 볼 것이다. 부사어와 술어 어미의 호응 관계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은 문장에서 부사어는 특정한 종류의 어미를 가진 술어와 함께 나타난다(김경훈 1996, 임유종 1998): 1) 나는 요즘[아무리 조금 자-아도] 피곤하지가 않다, 2) [만일 그냥 떠나-ㄴ다면] 후회할 것이다. 문장 내에서 밑줄 친 두 부분은 자매 관계에 있지 않지만 특별한 공기 관계를 이루고 있다. 우선 서로 공기 관계를 이루며 호응하는 요소들이 어떤 것이 있는지 체계적으로 살펴 볼 것이며 해당 두 요소의 관계에 대한 규칙성을 찾을수 있는지 알아 볼 것이다. 호응 관계에 대한 문법적 현상은 자질(features)을 활용하며 자질 정보의 흐름을 통제하는 메카니즘을 가지고 있는 PSG의 틀 내에서 설명하려고 한다. 복잡한 현상을 보이고 있는 한국어 부사어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그들의 분포 제약을 살펴 봄으로써 부사어와 관련된 기본적인 통사-의미 현상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또한 부사어 관련 제반 현상을 폭 넓게 연구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할 것이므로 한국어 문법 및 보편 문법의 확립에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한국어 양상 표현의 통사 의미 분석

        양정석 한국언어정보학회 2016 언어와 정보 Vol.20 No.2

        In this paper, I make semantic descriptions of Korean modal expressions in terms of Kratzer’s theory of modality(Kratzer1977,1981,Portner2009), and on the basis of the theory, show syntactic-semantic interpretation procedures for them, crucially concerning the principle of compositionality. To accommodate the notorious variability of modal meaning, the Portner’s function BEST is adapted to contain time and judge variables in addition to a modal base, an ordering source, and a world variable. Four modal base functions and eleven ordering source functions are sorted out for the use of parameters in the BEST function. The semantic variability of the Korean modal expressions are accounted for on the basis of different combinations of modal base and ordering source functions, and domain conditions indicating ‘judge’ variable or ‘current information’ in the common ground for a functional meaning description. The modal expressions are of different syntactic categories, some are Infls(e.g. -keyss-, -ulkesi-), some are Cs functioning as sentence enders(e.g. -tela, -ney, -kwuna/kwun, -ci), Cs functioning as clausal connectives(e.g. -ulyeko, -eya, -unikka, -killay, -ketun, -umcik, -nuntus, -ulseng), some are Vs(e.g. sayngkakha-, wenha-), and some are even discontinuous units restructured by a lower clause complementizer and a higher clause verb(e.g. -e twu-, -e po-, -e peli-).

      • KCI등재후보

        한국어 텍스트에 사용된 이음표의 자동전사

        윤애선,권혁철 한국언어정보학회 2003 언어와 정보 Vol.7 No.1

        In this paper, we have proposed Auto-TUS, an automatic transcription module of three union symbols|hyphen, dash and tilde (`-', `|', `~') - using their linguistic contexts. Few previous studies have discussed the problems of ambiguities in transcribing symbols into Korean alphabetic letters. We have classified six different reading formulae of the union symbols, analyzed the left and right contexts of the symbols, and investigated selection rules and distributions between the symbols and their contexts. Based on these linguistic features, 86 stereotyped patterns, 78 rules and 8 heuristics determining the types of reading formulae are suggested for Auto-TUS. This module works modularly in three steps. The pilot test was conducted with three test suites, which contains respectively 418, 987 and 1,014 clusters of words containing a union symbol. Encouraging results of 97.36%, 98.48%, 96.55% accuracy were obtained for three test suites. Our next phases are to develop a guessing routine for unknown contexts of the union symbols by using statistical information; to refine the proper nouns and terminology detecting module; and to apply Auto-TUS on a larger scale.

      • SOMEONE`S SPEECH AND SPEAKER`S THOUGHT: THE SENTENCE-FINAL PARTICLE "-KO" IN KOREAN

        김종현 한국언어정보학회 2001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1 No.-

        이 논문은 한국어 간접인용조사 ``고``가 종결표지로 사용될 때 발생하는 화용적 기능을 설명한다. [묘출발화/사고](RST)의 관점에서 1인칭 화자와 3인칭 인물 사이의 관계 개념에 근거하여, 인용 정보에 대한 화자의 반응이 언어적으로 수용되는 과정에 대한 표상의 문제를 취급한다. 인용 명제에 대해 화자가 취하는 주관적 관점을 평가하기 위해 필요한 요인들을 변별하여 주고, 1인칭 화자의 내적 판단 영역이 인용의 정보 상태와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제약들을 파악한다.

      • KCI등재

        전산언어학에서의 한국어 필수논항의 의미역 상정과 재고

        김윤정 ( Yun Jeong Kim ),김완수 ( Wan Su Kim ),옥철영 ( Cheol Young Ock ) 한국언어정보학회 2014 언어와 정보 Vol.18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ume the Sematic role of the obligatory argument of the predicate in a Korean sentence, and to accomplish the task to attach the assumed thematic role to the real corpus. With this study, the maximum of the Sematic role was determined and the Criterion of the Sematic role was set. The maximum of the Sematic role was determined 22. This study arranged the Sematic role of case marker and attached the Sematic role to the predicate of the sentence within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The program to attach the thematic role was developed(UTagger-SR). The Sematic role of case marker and Case frame dictionary was equipped in this program. By attaching the Sematic role, it was found that the most important the Sematic role in the korean sentence is the theme of the predicate and the next is the subject of the predicate. (Ulsan University)

      • KCI등재

        한국어 TimeML -텍스트의 사건 및 시간 정보 연구

        유현조 ( Hyun Jo You ),장하연 ( Ha Yeon Jang ),조유미 ( Yu Mi Jo ),남승호 ( Seung Ho Nam ),신효필 ( Hyo Pil Shin ),김윤신 ( Yoon Shin Kim ) 한국언어정보학회 2011 언어와 정보 Vol.15 No.1

        TimeML is a markup language for events and temporal expressions in natural language, proposed in Pustejovsky et al. (2003) and latter standardized as ISO-TimeML (ISO 24617-1:2009).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further specification of ISO-TimeML for the Korean language with the concrete and thorough examination of real world texts. Since Korean differs significantly from English, which is the first and almost only extensively tested language with TimeML, one continuously run into theoretical and practical difficulties in the application of TimeML to Korean. We focus on the discussion for the consistent and efficent application of TimeML: how to consistently apply TimeML in accordance with Korean specificity and what to be annotated and what not to be, i.e. which information is meaningful in the temporal interpretation of Korean text, for efficient application of TimeML.

      • KCI등재

        한국어 피동형의 전산적 구현

        홍정하 한국언어정보학회 2000 언어와 정보 Vol.4 No.1

        이 논문에서는 피동접사 '이, 히, 리, 기'와 결합하는 피동형과 관련된 형태·통사적 문제를 전산적 관점에서 다룬다. 전산처리에서 이러한 피동형의 형태적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동접사 '이, 히, 리, 기'와 결합할 수 있는 타동사 어간의 분포가 제한되어 있다. 둘째, 타동사 어간이 결합할 수 있는 피동접사는 고정접사는 고정되어 있다. 셋째, 피동형 중에 타동사 어간과 피동접사가 결합할 대 형태적으로 변화하는 것들이 있다. '나누다/나뉘다, 모으다/모이다, 잠그다/잠기다, 자르다/잘리다'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이러한 형태적 문제 외에도 전산처리에서 피동형과 관련된 통사적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능동형의 타동사가 피동형이 되면서 논항구조도 함께 변화한다. 둘째, 피동문의 행동주가 문장에서 생략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문제가 쉽게 풀리었다', '소리가 잘 들린다'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이 논문은 한국어 피동접사 '이, 히, 라, 기'와 결합하는 피동형의 형태·통사적 특징을 전산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표상모형으로는 자질구조를, 구현도구로는 Malage를 사용한다.

      • KCI등재후보

        어휘정보구축을 위한 사전 텍스트의 구조분석 및 변환

        최병진 한국언어정보학회 2002 언어와 정보 Vol.6 No.2

        This research aims at transforming the definition text of an English-English-Korean Dictionary (EEKD) which is encoded in EST files for the purpose of publishing into a structured format for Lexical Data Base (LDB). The construction of LDB is very time-consuming and expensive work. In order to save time and efforts in building new lexical information, the present study tries to extract useful linguistic information from an existing printed dictionary. In this paper, the process of extraction and structuring of lexical information from a printed dictionary (EEKD) as a lexical resource is described. The extracted infromation is represented in XML format, which can be transformed into another representation for different application requirements.

      • 한국어 합성 동사성 명사의 어휘구조와 다중 동사성명사 구문

        류병래 한국언어정보학회 2001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1 No.-

        본 논문의 목적은 ``다중 동사성 명사 구문`` (Multiple Verbal Noun Construc-tions)의 논항실현 양상을 이론 중립적으로 고찰해 보고, 이 분석을 제약기반 문법이론인 최근의 핵심어주도 구구조문법 (Hean-driven Phrase Structure Grammar)틀 안에서, 특히 다중계승위계를 가정하는 제약기반 어휘부를 기반으로 형식화해 논항의 실현과정을 기술하고 설명하는 것이다. 우선 일본어의 유사한 현산을 분석한 Grimshaw & Mester (1988)의 격실현 양상에 관한 일반화를 기반으로 한국어 동사성명사구문의 논항실현 양상을 ``논항전이``(argument transfer)라는 이론적 장치를 이용해 형식화할 수 있음을 보이고, 동사성 합성명사의 논항구조를 만들기 위해 ``논항합성``(argument composition)이라는 이론적 장치를 제안한다. 나아가서 다중 동사성 명사구문의 논항실현 과정에서 보이는 겹격표지 현상을 ``격복사``(case copying)를 제안해 동사성 명사의 격표지가 합성명사에서 분리되어 문장단위에서 실현될 때 동일한 격을 복사해 실현한다는 점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수동과 능동 등 문법기능의 변화현상에서 하위범주화된 요소들의 격변화가 자의적이 아님을 실례를 들어 보여 주고자 한다. 일본어의 경동사 (light verbs)에 관한 분석인 Grimshaw & Mester (1988) 이래 한국어에서도 이와 유사한 구문에 대한 재조명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Ryu (1993b), 채희락 (1996), Chae (1997) 등 참조). 한국어에서 ``하다``와 동사성명사 (verbal nouns)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동사성명사구문``(Verbal Noun Construc-tions)에 대한 기존의 논의는 대부분 하나의 동사성 명사가 ``하나``나 ``되다``등 소위 문법기능을 바꾸는 ``경동사``들과 결합하여 복합술어가 되는 문법적 현상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와 비교해서 동사성 명사의 어근이 두 개 이상 결합하여 동사성명사들끼리 합성명사(compound nouns)를 이루고 그 동사성 합성명사가 문법기능의 변화를 바꾸는 ``경동사``와 결합하여 이루어진 복합술어에 대해서는 논의가 거의 없는 형편이다. 특히 이 지적은 핵심어주도 구절구조문법틀 내에서는 논란의 여지가 없다. 본 논문의 대상은 바로 이러한 합성 동사성명사의 논항구조와 동사성명사에 의해 하위범주화된 논항들의 문법적 실현양상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1)과 같은 ``다중 동사성 명사 구문``(Multiple Verbal Noun Constructions)의 논항실현 양상을 이론 중립적으로 고찰해 보고, 이 분석을 제약기반 문법이론인 최근의 핵심어주도 구구조문법 (Head-driven Phrase Structure Grammar)틀 안에서, 특히 다중계승위계를 가정하는 제약기반 어휘부를 기반으로 형식화해 논항의 실현과정을 기술하고 설명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