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언론정보학회 20년, 비판적 학술운동의 고민과 한계

        김서중(Suh-Jung Kim),김은규(Eun-Gyoo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0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43 No.3

        한국언론정보학회가 창립된지 20년이 지났다. 이 글은 비판적 학술운동이라는 창립정신으로 출발했던 학회의 20년을 되돌아보면서 그 정체성을 점검하고자 했다. 논문은 크게 세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는 1980년대 후반에 태동되었던 비판적 학술운동이 한국사회의 변화와 맞물려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살펴본다. 둘째는 비판언론학 진영의 학술운동을 표방하며 출발했던 ‘한국사회언론연구회’의 활동을 되돌아본다. 구체적으로 학회의 창립배경과 창립정신에 기반한 학술연대 운동, 언론연대 운동, 현안 대응 연대 운동 등의 활동을 점검한다. 셋째는 한국언론정보학회로 전환한 이후 학회의 활동 사항에 대한 점검이다. 학회의 20년을 되돌아볼 때, 무엇보다도 가장 큰 성과는 비판언론학의 학문적 영역을 확장시켰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학회의 외연 역시 성장하였다. 하지만 학회의 초기 정신과 정체성이 제대로 지켜지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여러 논란이 존재한다. 이에 본 글에서는 결론적으로 학회의 정체성 강화를 위해 사회적 현안에 대한 유기적 학술회의의 조직, 학보정체성 강화, 학문후속세대에 대한 지원, 분과활동의 활성화를 강조하고 있다. KACIS was established in 1988 for critical academic movement in communication area. For 20 years after establishment, KACIS has grown into major academic societ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reflection on the history of KACIS for 20 years. For this, this article review three areas on KACIS. First, It examine how critical academic movement that was initiated in middle of 1980s was changed in gear with Korean Society's shift. Second, It turn around the activity of 'Korean study group for society and communication', the predecessor of KACIS, which operate during 1988~1998. Third, it consider KACIS's activity after convert to association, during 1998~2008. When look back co 20 years of KACIS, first of all, the biggest fruit is to extend critical communication in academic area. However, several controversies exist about KACIS's identity. Conclusively, this article emphasize, for further development, organizing organic academic conference about social pending issue, strengthening journal's identity, fostering future academic generation, vitalizing research divisions.

      • KCI등재

        한ㆍ미 언론의 노근리사건 보도 비교 연구

        차재영(Jae-Young Cha),이영남(Young-Nam Rhee)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0 No.-

        이 연구는 한국 언론과 미국 AP통신의 노근리 양민학살 사건 보도에 어떤 차이가 있었는지 취재원 사용을 중심으로 기사를 분석하고, 그러한 차이를 초래한 원인이 무엇이었는지 매체사회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했다. 비교를 위해, AP통신의 보도에 이르기까지 사건의 실체를 다룬 기사들만 선택하여 분석한 결과, 한국 언론은 대부분 매우 적은 수의 취재원을 활용했고, 그것도 피해자 측 취재원에만 의존한 데 반해, AP통신은 피해자와 가해자 양측에서 훨씬 많고 다양한 취재원을 활용했음이 밝혀졌다. 이처럼 한국 언론은 AP통신에 앞서 일찍부터 노근리사건을 보도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취재원의 다양성’을 확보하지 못함으로써 사건의 진실을 온전히 규명하는 데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노근리사건을 취재했던 기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이러한 차이를 가져온 매체사회학적 요인을 분석한 결과, 개인적 차원에서는 한국의 기자들이 AP 기자들에 비해 노근리사건의 뉴스가치를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직 내부적 차원에서는 한국의 언론사가 AP통신과 달리 이러한 종류의 사건을 적절히 다루기 위해 필요한 취재시스템과 인적, 물적 자원을 감추지 못했고, 또한 입장이 다른 관계자들을 골고루 취재원으로 활용하는 관행도 제대로 확립하지 못한 점이 지적되었다. 그리고 조직 외부적 차원에서는 한국 언론이 민주화에 힘입어 노근리사건과 같은 정치적으로 민감한 문제를 다룰 수 있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사화 과정에서 여전히 ‘친미’ㆍ‘반공’ 이데올로기에서 비룻된 자아 검열기제에 일정하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compares the Korean and U.S. media's coverage of the No Gun Ri massacre, analyzing their usages of sources in the stories and explaining by the perspective of media sociology why they differed in them. For the comparison with the AP's report, we selected only the reports of the Korean media which dealt with the incident itself.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Korean media utilized a very small number of sources, and that they relied on the victims alone. In contrast, the AP's sources were much more numerous drawn from both the victims and offenders. As a result, the Korean media failed to ensure the 'diversity of sources' and to illuminate the whole picture of the incident, although they had started to report it far earlier than the AP. From the depth interviews with the reporters, through the framework of media sociology, it was found first at the personal level, that the difference was brought about by the divergent news evaluation. It seemed that the Korean journalists regarded the incident with relatively lower news value than their U.S. counterparts. Next, at the intra-organizational level, it was conceded, neither did the Korean new media have so flexible news collecting system, nor so much man-power and resource as the AP, which were required for the coverage of such an incident. The Korean media had not established the convention to utilize various sources with conflicting interests. Last, at the extra-organizational level, the Korean news media's coverage was still influenced by the self-censorship mechanism due to the ideologies of 'pro-Americanism' and 'anti-communism', even though the democratization of Korean society itself enabled the sensitive incident to be dealt with eventually by the media.

      • KCI등재

        국가이익과 언론

        김성해(Sung-Hae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0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42 No.2

        국제적인 권위를 자랑하는 뉴욕타임스와 월스트리트저널과 같은 미국 언론에 대한 한국사회의 정보의존성은 외환위기 이후 더욱 심화되고 있다. 그러나 전쟁과 같은 군사ㆍ안보분야가 아닌 경제, 무역, 금융 분야의 국제적 현안에 있어 이들 언론과 국가이익간의 관계를 다룬 연구는 많지 않다. 이 연구는 이에 1990년대 말부터 최근까지 이어지고 있는 국제통화체제 위기에 대한 미국 엘리트 언론의 보도를 분석함으로써 달러체제의 위기라는 합의된 국가이익에 있어 미국 언론이 자국 정부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먼저 아시아외환위기, 아시아통화기금, 말레이시아위기 및 신국제통화체제를 다룬 기획, 분석, 의견기사 152개를 ‘미디어프레임, 보도태도, 전문적의견제공자 및 담론전략으’로 구분해 분석했다. 그 다음, 미국 언론과 다른 엘리트 간의 협력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이들 보도에서 확인된 전문의견제공자들의 인터뷰, 정책보고서 및 연구논문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미국 언론은 국가이익을 달성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채택된 대외정책을 보도함에 있어 미국정부와 밀접하게 협력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더욱이 이들은 이 과정에서 ‘특정기사에 대한 사회적 의미부여하기, 특정한 방식으로 틀짓기, 특정한 잣대로 평가하기 및 전략적인 정보원의 활용’과 같은 담론전략을 취함으로써 언론의 신뢰도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대중외교관(public diplomat)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르로 드러났다. 연구자는 이를 토대로 국가이익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은 강대국의 언론에 무차별적으로 노출된 한국사회에서 국가이익을 수호하고 실현하기 위한 언론과 정부의 바람직한 관계와 언론이 취해야 할 담론전략이 무엇일까에 대한 고민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There emerges a growing concern about South Korea's intellectual dependence on U.S. financial news media. However, those media's inherent relationship with national economic and financial interests has been poorly addressed. This paper thus attempts to identify such a strategic partnership between media and the government by analysing news coverages over four critical arena interwoven with U.S. dollar based financial system. For this purpose, total 152 news articles about Asia crisis, Asian Monetary Fund, Malaysia currency crisis and the new international financial architecture have been examined in terms of frame, attitude, cue-givers and discursive strategies.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not only have the media actively deferred to government leadership but they have also acted as public diplomats in way of not hampering journalistic credibility. Hence, it is claimed that Korean society needs to formulate a model of media's strategic partnership with government at least in foreign policy arena, as well as to launch discursive strategies against nation-bound global news media.

      • KCI등재

        사드 루머(THAAD rumor) 보도에 나타난 한국 언론의 정파성

        홍주현(Juhyun Hong),손영준(Young Jun Son) 한국언론정보학회 2017 한국언론정보학보 Vol.84 No.4

        이 연구는 루머의 사회적 확산 과정에서 한국 언론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네트워크 분석과 프레임 분석을 통해 밝혔다. 언론의 이념적 성향과 뉴스생산 과정의 차이에 따라 언론 매체를 구분하고, 매체별 보도를 비교했다. 이념적 성향에 따른 보도량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보수 언론은 사드 루머를 불필요한 오해로 보고, 사드 유언비어가 사회적 갈등을 유발한다고 했다. 진보 언론은 황교안, 외부세력, 거짓말을 많이 언급했고 ‘괴담을 반대하는 외부세력이 있다’는 정부의 입장을 비판했다. 루머 프레임을 비교해 보면 보수언론은 루머의 확산 원인을 악의적 괴담이 확산되고 있다고 본 반면에, 진보 언론은 사드의 유해성을 입증하기보다는 정부와 보수 언론이 사드 괴담을 유포한 세력을 비판하는 것에 주목했다. 오프라인 매체와 비교해서 온라인 매체는 감정적 표현과 비논리적인 이야기 구성으로 선정적인 보도 경향이 강했다. 한국 언론은 사실 확인이나 과학적 검증보다는 각자의 정파적 성향에 따라 사드 루머 이슈를 보도했다. 보수·진보 매체는 사드 루머의 발생 원인과 반대 시위 주체, 전자파의 유해성 등에서 양극화된 프레임을 제시했다. 한국 언론의 정파적 보도는 우리 사회의 정치적 대치 관계를 더욱 심화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국 언론이 식견 있는 공중(informed public)을 확보하는 데 성공적이지 못하며 오히려 민주주의 질서 자체를 위협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This study stereotyped the media on the basis of ideological inclinations and media types and explored the news coverage through word analysis, network analysis, and frame analysi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onservative media and progressive media in terms of the amount of news. The conservative mainstream media considered the THAAD rumor as an unnecessary misunderstanding and a rumor based conflict of the south-south. The progressive mainstream media mentioned much about Hwang Gyoan, external influences, and lies and highlighted the government’s opinion that there was external influence that spread a vicious rumor. Conservative media mentioned on the bringing about social disturbance and in case of progressive media mentioned social disturbance, and progressive media mentioned the responsibility of government and the attitude of conservative media about the diffusion of the rumor. In conclusion the press framed the THAAD rumor on the basis of their ideological inclinations instead of the role of journalist.

      • KCI등재

        한국과 미국 일간신문의 정정보도 기사 비교연구

        임양준(Yang-June 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07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7 No.1

        본 연구는 한국 일간지와 미국 일간지를 통해 보도된 정정보도 기사에 대한 특성과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주제별, 유형별, 발생원인별, 그리고 보도방식별로 내용분석을 통하여 정정보도문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한국 신문인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 그리고 미국 신문으로는 『뉴욕타임스』와 『샌프란시스코 크로니컬』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된 정정보도 기사는 총 1,736건이었다. 연구결과 두 나라 일간지의 정정보도 기사내용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첫째, 한국 일간지에 게재된 정정보도 전체 기사건수는 미국 일간지에 실린 기사건수보다 약 절반정도 적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주제 면에서 한국 일간지는 사회(36.0%), 정치(18.3%) 그리고 경제(12.1%) 순으로 정정기사 건수가 많았고, 미국 일간지의 경우 문화(17.4%%), 라이프스타일(8.6%), 그리고 스포츠(7.0%) 순으로 오보기사 건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정보도 유형별 분석 면에서 한국 일간지는 이름(26.2%), 사실오류관계(18.1%), 그리고 용어(15.8%) 순으로 정정기사 비율이 높았으며, 미국 일간지는 숫자(33.7%), 철자(12.1%), 그리고 날짜(5.6%) 순으로 오보비율이 높았다. 넷째, 한국 일간지의 경우 정정보도 발생 원인으로는 기사의 확인 소홀로 인한 원인(68.7%)이 가장 주된 원인으로 조사되었으며, 미국 일간지는 기자나 편집자의 단순실수(51.2%)가 오보기시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정기사 보도방식 면에서 한국 일간지의 경우 두 종류의 형태만을 사용하여 정정보도문을 싣고 있으나, 미국 일간지는 6가지의 다양한 방식을 사용하여 정정보도문을 게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s the corrections on the Korean and the U. S. daily newspapers for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For the research, Chosun Ilbo, Hankyoreh Shinmun, The New York Times and The San Francisco Chronicles are selected. The main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and American newspapers are as follows: Firstly, the average number of newspaper errors in Korean dailies are as half as little of those in the U. S. dailies. Secondly, regarding the subcategory of mistakes, the largest thematical number is the societal matters(36.0%), followed by politics(18.3%) and economy(12.1%) for the Korean newspapers. By contrast, errors in culture(17.4%) is the most frequently made by the American newspaper reporters and editors, followed by lifestyle(8.6%), and sports(7.0%). Thirdly, in terms of content of mistakes, errors in names(26.2%) that occurred the most, followed by misidentifications(18.1%) and mis-attribution(15.8%) for the Korean dailies; the errors in numbers(33.7%), spelling and typographical errors(12.1%) and date(5.6%) for the U. S. dailies. Fourthly, one of the critical reasons that mistakes occurred because Korean reporters are lack of double checking the stories; the U. S. reporters simply by overlooking the articles. Finally, the Korean newspapers make use of only two kinds of correction formats, while the U.S. newspapers use six different correction formats for their newspaper readers.

      • KCI등재

        한국 비판언론학의 질적 연구방법 적용사례 연구

        강진숙(Jin-Suk Ka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0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4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비판언론학의 질적 연구방법론 적용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방법론적 성찰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비판언론학의 정체성 일부를 형성해온 언론학 패러다임 논쟁을 살펴보고, 이 논의를 기초로 질적 연구의 특성과 전통적 방법론의 유형에 대해 논의하였다. 나아가 한국 비판언론학을 주도해온 한국언론정보학회의 학술지에 게재된 학술논문들을 분석하여 질적 연구방법론 적용사례의 경향들을 분석하였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한 분석범주는 이론적 배경 및 방법론, 표본추출전략, 자료 수집방법, 자료 분석방법 그리고 신뢰성 검증 등 총 다섯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표본논문의 추출기간은 자료검색이 가능한 1998년도의 『한국언론정보학보』 제11권부터 최근 2007년 제40권까지로 설정하였고, 이 기간에 게재된 총 254편의 논문들 중에서 본 연구의 주제에 부합하는 논문들을 수집해 들어갔다. 논문의 수집방법은 키워드 검색기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비판언론학은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함에 있어 보다 세부적이고 엄격한 방법론적 논의와 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된다. 다양한 이론과 방법론을 적용하고 있지만, 방법론을 설계하고 결론을 도출함에 있어 세부적인 분석범주와 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As past paradigm discussion was restricted to the political issues and related antagonistic ideologies, there are desires to reignite discussion from the concrete theological practices and differences in methodological variations. Interactive Study does not require mere antithesis phase but requires interactive study creation as phase itsel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quality methodology case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application of the methodology. For this purpose, current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discussions will be examined and characteristics of quality study and traditional methodology types will be scrutinized. In further, researches in the scientific journals of Korean Association for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tudies will be analyzed to point out trend of quality methodology. The scope of analysis includes theological background and methodology, sampling method, data collecting method, reliability analysis. Appliance of quality research method requires more rigid and detailed methodological discussions and applications.

      • KCI등재

        ‘언론’ 관련 용어의 의미와 쓰임에 관한 한국과 일본의 차이

        이윤복(Yunbok Lee) 한국언론정보학회 2021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10 No.-

        우리나라에서는 ‘언론(言論)’이라는 말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일본은 전혀 그러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 글에서는 역사적 · 사회적 차원에서 이러한 언론 관련 용어의 의미와 쓰임에 관한 한국과 일본의 차이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유교적 공론 정치의 토대가 정비되어 있었고 대간 언론 문화에 기반을 둔 언로 사상 및 성리학 보급에 따른 인간 중심 사상이 크게 발달한 한국에서는 근대 신문 생성기에 정론지가 크게 발달한다. 그리고 이러한 신문은 시사 잡지 부문을 주도하고 방송 부문에도 관여한다. 이러한 가운데 ‘기본적으로 사람 사이의 소통을 의미하는 언론’이라는 말이 여러 매체를 총칭하거나, 커뮤니케이션 관련 모든 현상을 포괄하는 용어로 널리 사용된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분쟁이 발생하면 쌍방 모두를 처벌하는 겐카료세이바이(喧嘩両成敗) 관행이 역사적으로 뿌리를 내려, 언쟁은 극력 억제되는 가운데, 메츠케(目付)와 같은 감시 기구가 크게 발달한다. 이와 동시에 자연 친화적 종교인 신도 및 사람과 사물이 서로 전화(轉化)한다고 보는 불교가 널리 보급된다. 이러한 가운데, 근대 신문 생성기에 먼저 나타난 정론지(대신문)가 성장하지 못하고 오히려 대중지(소신문)가 성장하여 지금으로 이어진다. 또한 시사 잡지 부문은 이러한 신문 부문과 무관한 형태로 입지를 구축하며, 방송 부문은 신문과는 그 성격이 다른 매체라는 인식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여러 매체를 포괄하는 고유의 용어는 나타나지 않으며, 신문, 잡지, 방송의 보도 및 논평 활동을 아우르는 용어로는 저널리즘이 사용되며, 그리고 프로파간다를 대신하여 사용되기 시작한 매스 커뮤니케이션이나, 기본적으로 매체를 의미하는 용어인 미디어가 커뮤니케이션 관련 모든 현상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term eonron (言論) is widely used in Korea, but seemingly not at all in Japan. In this article, we reviewed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Japan regarding the meaning and use of these media-related terms in both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s. In Korea, which developed human-centered ideas based on the spread of Daegan Eonron (臺諫言論) and Neo-Confucianism, newspaper quality developed significantly in the modern newspaper generation period. These newspapers lead the magazine sector and are also involved in the broadcasting sector. Meanwhile, the term eonron, which basically means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came to be widely used as a term that covers various media or all communication-related phenomena. However, In Japan, there is a practice of ‘Kenka Ryoseibai’ (喧嘩両成敗) that punishes both sides in the event of a dispute, thus amid extreme suppression of disputes, surveillance organizations such as Metsuke(目付) are developed. At the same time, a nature-friendly religion and Buddhism, which includes the belief that people and things are transmitted to each other, have been popularized. Meanwhile, quality newspapers, which first appeared in the modern newspaper generation period, did not grow, but rather, mass papers grew, leading to the present situation. In addition, the magazine sector has established a position independent of the newspaper sector, and the broadcasting sector is perceived to be a different medium from that of the newspaper. In this situation, unique terms covering multiple media do not appear, and journalism is used as a term encompassing the reporting and commentary activities of newspapers, magazines, and broadcasts. Additionally, mass communication, which began to be used in place of propaganda, is used as a term encompassing all communication-related phenomena.

      • KCI등재

        1950년대 미국무성의 미국 언론 전문가 파견 사업 연구 한국 언론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차재영 한국언론정보학회 201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87 No.1

        This study analyzed the U.S. specialist program of the Department of State in the 1950s to modernize or Americanize Korean journalists and their newspapers, most of which were thought to be old-fashioned political papers, by transferring the institution and culture of American journalism.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U.S. Specialists’ activities and achievements, and their influences on Korean journalism.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n every second year from 1955 to 1959, the U.S. Department of State sent three journalism professors, Roscoe Ellard of the Columbia University, D. Wayne Rowland of th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and Floyd G. Arpan of the Northwestern University. All of these professors stayed six weeks in Korea, to have seminars and lectures for Korean journalists in Seoul and provincial areas, to visit as many newspaper companies and news agencies there as possible to review their management, news rooms, and printing processes, and to give some advices or suggestions to solve their problems. These professors’ activities seemed to make a few achievements and influences on Korean journalism, though not that many. It may be said that their efforts on the institutional level partially succeeded to persuade Korean journalists to build up some journalist organizations as well as school of journalism. Meanwhile their efforts on the cultural level mostly failed to transfer into Korean journalism the routines of objective reporting as well as the professionalism, based on the ethics and expertise of the journalists, prevalent in American journalism. 본 연구는 1950년대 중반 이후 미국무성이 교육교류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시행했던 미국 언론 전문가파견 사업의 내용과 성과, 그리고 그것이 한국 언론에 미친 영향 등을 분석하고자 했다. 미국무성은 이사업을 통해 미국의 언론 제도나 문화를 전파함으로써 친미적인 언론인을 양성하는 동시에, 아직 정론지 수준을 벗어나지 못해 대중매체로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것으로 평가된 한국의 언론을 근대화(혹은 미국화)시키려고 했다. 미국무성은 1955년부터 1959년까지 격년으로 컬럼비아대학의 로스코엘라드 교수, 남일리노이대학의 웨인 롤런드 교수, 그리고 노스웨스턴대학의 플로이드 아팬 교수 등3명의 언론학 교수를 선발해 한국에 파견했다. 이 교수들은 각각 한국에 6주 동안 체류하면서 서울이나지역의 언론사들을 방문해 경영, 편집, 제작 부문 등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다양한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결과적으로 이들의 방한 활동은 언론인 단체의 구성이나 언론인 재교육과 연구를 위한 기구의 설립 등 제도적 차원에서는 한국 언론에 일정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객관적 보도 관행의 보급이나 윤리 의식과 전문성에 기초한 전문직주의의 전파 등 문화적 차원에서는 사실상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KCI등재

        한국 대안적 공론장의 변화과정과 추동 요인에 대한 고찰

        김은규(Eun-Gyoo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0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3 No.-

        대안적 공론장의 현실화를 지칭하는 용어는 저항언론, 대항언론, 민중언론, 지하언론, 풀뿌리언론, 대안언론, 시민미디어 등 다양한 개념이 존재하다. 시대적 상황에 따라, 논자의 강조점에 따라 다양한 개념들이 제시되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은 한국의 언론구조가 민주적 공론장으로서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함에 따라 이를 보완하고자 했던 대안적 공론장의 변화과정을 고찰하고 있다. 정리하자면, 한국의 대안적 공론장은 70년대의 저항언론ㆍ자유언론에서, 80년대의 대항언론ㆍ민중언론, 90년대의 대안언론, 2000년대의 대안언론ㆍ시민미디어의 유형으로 변화해왔다. 이러한 변화를 추동하는 요인은 무엇보다도 시민사회의 확장과 사회운동 진영이다. 그리고 사회운동 주도세력의 성격에 따라 대안적 공론장의 내용성 역시 변화해 왔다. 80년대 민중운동이 한국의 사회운동을 이끌었을 때는 대안적 공론장도 당파성에 입각한 민중언론의 성격을 나타냈으며, 90년대 시민운동으로 그 주도권이 바뀌었을 때는 대안언론, 시민미디어의 유형으로 발현됐다. 또한, 사회운동과 대안적 공론장은 변증법적으로 변화 발전했다. 요컨대, 사회운동은 대안적 공론장을 통해 운동의 활성화와 역량을 축적하면서 사회변화를 이끌었고, 이러한 사회운동은 다시 대안적 공론장의 변화 발전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The concept of alternative sphere is terminologically various; resistance media, counter media, minjung media, grassroots media, underground media, alternative media, civic media, etc. Each terminology reflect the feature of times and the emphasis of advocator. This article explore the transformation of alternative public sphere and its motive in Korea. In a world, Korea's alternative public sphere has changed as following: resistance media and liberty media in 70', counter media and minjung media in 80', alternative media in 90', and alternative media and civic media in 2000'. The motive of transformation is basically the expansion of civil society and extension of social movement in Korea. As social movement's character has changed, the feature of alternative public sphere has also changed. Minjung movement played key role of social movement in 1980', the alternative public sphere characterized as minjung media or counter media which was based on working class consciousness. After this, According as civil movement have initiative of social movement, the character of alternative public sphere changed by alternative media and civic media. Besides, this article argue that the alternative public sphere of Korea has changed dialectically with social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