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어교육 정책에 대한 고찰

        정명혜(Jung Myung Hye)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7 한국어교육연구 Vol.- No.7

        As the national and social func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been expanded and its status as a national policy has been rai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achieved quantitative growth and development for a short period of time. Despite this fact, it still has, however, many quality problems. In this regard,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legal and institutional tool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and suggest ways to improve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is end, agencies such as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Ministry of Justice are participat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grounds for the agencies’ participation in that education and their major projects, and analyzed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and laws pertaining to each agency. Based on this, this study identified probl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and suggested specific measures to improve the policies. First,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areoverlapping and confusing because several agencies conduct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different laws. So, there is a need for an agency that can be dedic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Seco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vary according to the target of education, and there is a need to cultivate brandsthat represent Korean language education.Third, the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policy is uniform without reflecting socio-cultural differencesby country.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stomized policies for target countries. Fourth, Korean language education lacks diversity in education cont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national standardized curriculum and standard textbooks. Fifth, when it comes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targets, there is sufficient support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whereasthere exists an educational blind spot for foreign worker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policy for foreign workers. 한국어교육은 국가 사회적 기능이 확대되고 국가정책으로서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짧은 시간 동안 양적 성장과 발전을 이루어냈다. 그러나 양적 성장만큼 질적 내실화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한국어교육을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어교육정책의 현황을 살펴보고 한국어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문화체육관광부, 교육과학기술부, 외교통상부, 고용노동부, 여성가족부, 법무부 등 한국어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부처별 사업 참여 근거 및 주요 사업 내용을 살피고 각 부처별 한국어교육 정책과 법령을 분석, 이를 토대로 한국어교육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책을 모색했다. 첫째, 한국어교육 정책은 여러 부처가 각기 다른 법에 근거하여 한국어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중복과 혼선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을 전담할 수 있는 부처가 필요하다. 둘째, 한국어교육은 교육 대상에 따라 교육기관도 다양한데 한국어교육의 대표 브랜드를 육성해야 한다. 셋째, 현행 한국어교육 지원정책은 국가별 사회문화적 차이를 반영하지 않은 채 획일적인데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대상국에 맞는 맞춤형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넷째, 한국어교육은 외연에 비하여 교육 콘텐츠의 다양성이 부족하다. 국가 수준의 표준교육과정 및 표준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국내 한국어교육 대상자 중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지원은 많으나 상대적으로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교육은 사실상 사각 지대이다.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한국어교육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정 유아 대상 한국어교육의 문제점과 제언- 다문화정책 유치원을 중심으로 -

        정선미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22 한국어문화교육 Vol.16 No.1

        본 연구는 다문화 정책학교-유치원에서 진행되는 한국어 수업의 상황 및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해결 방안을 제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에서는 다문화 유아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한국어 강사 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후, 3명의 한국어 강사 인터뷰를 통해 문제점과 관련된 의견을 듣고 이에 대한 요구사항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강사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기관(유치원)과 한국어 강사가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해결 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고는 다문화 유아 대상의 맞춤형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가 시급함을 역설하고 표준이 될 만한 교재 및 활동 자료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함으로써 다문화 유아를 위한 보편성 있고 학업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한국어교육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다만 설문조사 및 심층 인터뷰의 대상자가 적어 일반화된 결론을 도출하지 못하였다는 점에 아쉬움이 있다. 향후 본 연구에서 도출된 내용을 토대로 다문화 유아를 위한 한국어교육 방법 및 교육자료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어교육에서 학습자와 교사와의 상호 문화소통의 필요성 고찰 -초급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송재란(Song Jai Ran)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5 한국어교육연구 Vol.- No.3

        2011년 이후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수가 정체되었지만 아직도 각국에서의 한국어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이다. 국내 유학생 중에서도 중국인 유학생이 전체의 59.3%을 차지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중에서도 중국인 학습자로,그 중에서도 한국어를 처음 배우기 시작하는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학습의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20년 이상 모국의 생활, 문화, 언어 등에 익숙한 학습자들의 사고는 한국어를 배우는데 누구나 예외없이 언어습득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다. 그래서 교사는 목표언어인 한국어에 모든 초점을 맞출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모국어간섭과 문화의 차이에서 오는 어려움을 인정해 주어야 한다. 중국인 학습자들도 이러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예를 들어서 한국어 모음을 익히는 과정에서도 모국어간섭을 받는다. 단모음 /ㅡ/와 이중모음 /ㅢ/, /ㅗ/와 /ㅓ/의 발음에 지속적인 오류를 일으키는 것이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상황에서 교사가 그들의 모국어간섭을 수용하기보다 한국어 이해만 촉구한다면 역효과가 날 수 있음을 논하고자 한다. 필자가 가르치고 있는 교재에서 호칭어 ‘-씨’가 사용되고 있다. 호칭어에서도 한국과 중국과의 이해의 차이가 있음을 먼저 학습자에게 설명해주면서 ‘-씨’를 설명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어교사가 문화상대주의적 입장에서 학습자의 문화를 함께 수용할 때 보다 나은 학습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늘 인식해야 한다. 이때 학습자는 상호 문화의 이해를 통해 한국어 교육의 지향점일 한국어 의사소통능력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다. Ever since 2011 the number of the internal foreign students have been stagnant, but many contries have interests with korean contiually. Among the interal foreign students chinese students take 53.3% of the whole students. This Essay would like to discuss about korean language learning method for the beginning level chinese students. Those who have the thinking that made by the native life, culture and language over 20years must be met many difficulty in language acquisition unexpectionally. Therefore the teacher should not focus on the korean language as a goal, but accept the difficulty from difference of a native tongue interference and culture. Especially these difficulties are adapted to chinese language learners. For example, the chinese learners are influenced by the native of the tongue interference in the process of the practice the korean vowel. They have corrupted consistantly the pronounciation of the short vowel / ㅡ/, the dipthong /ㅓ/, /ㅗ/ and /ㅓ/. In this condition, I want to discuss about the fact that teacher's demand of the understanding of the korean culture without accepting their native tongue interference will make a negative effects. In the textbook which I am teaching now, the address form ‘-씨’ is in use. In this using address form, teachers must explain the difference of the understanding between korean and chinese first to the learners. Korean teachers must have their own recognition that the move effective teaching method can get by the accepting the learner's culture from the angle of the cultural relatirism. At this time learners can make remarkable progress in having the capacity of korean language communication which is the tarket of the korean teaching from the understanding of mutual culture.

      • KCI등재후보

        한국어 교육과정(KSL)의 학교 현장 정착을 위한 제언

        문윤주(Mun Yunju)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8 한국어교육연구 Vol.- No.8

        2013년에 고시된 한국어교육과정의 문제점을 반영하여 2017년에 개정 한국어교육과정이 수정 고시되었다. 그러나 한국어교육과정은 아직까지 일선 학교 현장에서 안착되지 못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교육과정의 가장 본질에 해당하는 수업의 두 축인 교사와 학습자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그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먼저 2017년 교육과정이 이전의 교육과정과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 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과정이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을 학습자와 교사측면에서 예상하고, 그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학습자 측면에서 학습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한국어 숙달도에 맞춘 개별화된 학습 시스템이 필요하지만 현재의 학교 현장에서 이것을 뒷받침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제기하고 이러한 문제점은 유동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해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단위학교를 넘어선 네트워크의 필요함을 말하였다. 둘째, 교사의 측면에서 한국어 교육과정을 학교 현장에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한국어 전문 교사가 필요하며 현재 교원양성과정을 담당하고 있는 교대와 사대에서 한국어 교육과를 신설해야 하며 현직 교사들을 위한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함을 말하였다. 한국어 교육의 중요한 축을 맡고 있는 KSL 강사와 이중 언어 강사의 처우도 개선되어야 하며 이들과의 유기적인 협조가 중요함도 언급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육과정의 특성상 전체 교사의 참여와 학교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 또 다가올 다문화 미래 사회에 대비하기 위한 세계시민의식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이러한 비판적 검토와 활발한 논의를 통하여 한국어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안착되 기를 기대한다. Mun Yunju. 2018. The suggestion that How can KSL take root in the Class. - Focus on KSL students and teachers in the class. The J 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Vol. 8. 17-34. The new KSL was notified on September 2017. It has reflected a lot of improvement compare to ver. 2013. But KSL still was not took root in the class. In this paper, I will analyze some problem about KSL and suggest some solution for teaching Korean Class. It will be proceeded by two way (student and teacher). In terms of students (in KSL class), They need a personalized curriculum. But they can’t be supported by school system. This problem will be solved by floating curriculum. And it needs a regional network over the school. In terms of teachers and school, Teacher’s teaching ability for the KSL is very unsufficient. They need a effective training program. And they must have ‘multicultural teacher competence’ based on Global Citizenship.

      • KCI등재후보

        한국어 교재의 통시적 연구와 현황

        나은영(Nha, Eun-young)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1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4

        한국어 교재의 발전 과정은 최초의 한국어 교재가 개발되고 나서 약 2세기가 지나면서 역사적으로나 한국어 교육학적으로 많은 변화가 있었다. 한국어 교육학이 점차 학문적인 분야로 정착되어 가는 것이 사실이고, 특히 한국어 교재의 연구사에 대해서는 국어학사와 같이 체계적이고 본격적인 정리가 필요하다. 한국어 교재의 변화과정을 역사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당시의 정치 문화와 사회적 요소는 물론 교재의 내용과 형식에서 강조점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한국어 교재 편찬의 역사적 변천과 실제 교재형식이나 내용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특히 시기별로 나누어서 한국어 교재와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사에서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한 시기와 한국어 교육학적인 시기가 어떻게 연계했는가를 보았다. 이에 따라 각기 구분한 시기별 교재 내용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보고,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시기 구분과 각 시기에 한국어 교재의 내용적 특성이 어떠한지를 재정리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재의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한국어 교재가 기준 삼아야 할 방향은 향후 과제로 삼으려 한다. ‘교재는 교육의 모든 것이다’라는 말처럼 교재에는 교육내용, 교육목표, 교육 방법 등이 총체적으로 들어있다. 따라서 교재의 중요성은 한국어 교육에 두말할 나위 없이중요하다.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proces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according to the periods from the 18th century until the present. This study focuses o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which are divided into six perirods diachronically and shows various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in each period. Major theme in the study is how Korean language textbooks changed in their formats during the six periods. A lot of contents and schemata in the testbooks teaching styles, student tasks 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eriods are discussed. This study suggests the diverse textbooks for the development of the future Korean language learning with the various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future, Korean language researchers need more detail studies and efforts for the various Korean language learners’ textbooks, depending on their nationalities and levels in addition.

      • KCI등재후보

        일본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의 현황 : 교육과정, 교사, 학습자를 중심으로

        김창구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2 한국어문화교육 Vol.6 No.2

        이글에서는 일본 대학의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교육과정과 교사, 학습자를 중심으로 기술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일본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의 미래를 전망한다. 주지하듯, 이른바 ‘한류붐’과 2002년 한일월드컵을 기점으로 일본에서의 한국어교육은 괄목할만한 성장을 거듭해왔다. 일본 내 한국어 교육의 현황은 10여년전인 2005년 国際文化フォーラム을 통해 대대적으로 실시된 바가 있으나, 최근에는 거의 이루어진 적이 없다. 이번 조사의 결과, <전공한국어> 과정은 현재 약 23개 대학에 설치되어 있으며, <교양한국어> 과정을 설치하고 있는 대학도 전체 대학의 50% 이상을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담당교원은 모어별로는 한국어를 모어로 하는 교원이 일본어 모어화자 교원보다 더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전공별로는 일본어 및 일본문학 관련 전공자가, 임용 형태별로는 전임강사의 수가 늘어가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동기는 십년 전의 그것과 다를 바 없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의 목적도 ‘여행’이나 ‘단위 취득’을 위해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일본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은 교육과정도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못하고, 한국어교육을 전공한 교원의 수도 부족하며, 학습자의 학습 동기도 높지 않다. 따라서 일본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서 연구자들은 이론에 기반한 실천 연구를 통해 그 성과들을 축적하고, 그것을 한국어교육 현장에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교육의 실제와 접목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imed to look into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Japan’s universities, focusing on curriculum, teachers and students, and to prospect to it’s future, based on the analysis. Thanks for 2002 FIFA Worldcup Korea/Japan’s success, Korean language in Japan brought to remarkable growth. Since the large-scale survey on the condi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Japan had carried out in 2005 by THE JAPAN FORUM, no survey has conducted. According to this time’s survey, ‘Korean as major course’ has been set up in 23 universities, ‘Korean as general course’ in over the 50% of universities. As for ‘Korean teachers’, more than half was occupied by the native teachers. As for ‘Major’ concerned, the teachers who majored in Japanese language or Japan studies occupied more than the ones majored Korean studies(includ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for students’ motivation, they had extremely low motivation to learning Korean, along with the results of 10 years before. Here, I concluded that the curriculum is not established systematically yet, is insufficient in teachers who majored KFL, and the students’ motivation to language learning is too low. SO I suggested here that more Korean researchers have to do a classroom-based research extensively, thoroughly, based on theory, and have to accumulate the results, and then to apply them to the field.

      • KCI등재후보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학습자 분류 제안

        편윤희(Pyon Yoon Hee)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5 한국어교육연구 Vol.- No.3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의 효율성을 위해서 학습자를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학습자를 바르게 이해하여, 학습자에게 적당한 방법과 수준으로 한국어를 교육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다. 현재 한국어 교육은 ‘학문 목적’과 ‘취업 목적’으로 분류를 하고 있다. 그런데 한국어 교육의 수요자들은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그리고 변화된 수요자를 대상으로 교육은 하고 있는데, 과거의 분류에 의해서 교사의 재량으로 교육하는 형편이다. 수요자에 맞는 교육 체계가 부족한 형편이다. 현재 한국어 교육은 대한민국의 각 관청에서 시행하고 있다. 또 각 관청은 각자의 특징을 가지고 각자의 기준으로 한국어를 교육하려고 한다. 그래서 한국어 교사를 채용하고 한국어 교육을 실시할 때에 중복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 한국어 학습자를 ‘국내 학습자’와 ‘국외 학습자’로 분류하였다. ‘국내 한국어 학습자’는 ‘결혼이민자’, ‘중도입국 자녀’, ‘다문화 자녀’로 구분하였다. ‘국외 한국어 학습자’는 ‘국내에 입국한 유학생’, ‘교양을 목적으로 한국어를 습득하는 외국인’, ‘취업을 목적으로 하는 외국인’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국내에 입국하는 난민’, ‘국외 해외동포 자녀’까지 포함시켰다. 한국어 학습자를 구체적으로 분류하여 학습자에게 적합한 교재 확충과 교사 양성을 이룰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단 여기에서는 학습자의 국가별 언어와 문화 특징 등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았다. The subject of our study is to present a systematic approach to classify the learner to the efficiency of the Korean language. To understand correctly the learner, teacher have to know the suitable way and approach and to increase the efficiency when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It is that various government provid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ent. Also they do in each other by a himself criteria. So when they conduct to overlap and repeat for the recruitment and training of Korean teachers. In this study, the Korean students were classified as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ents. In domestic Korean language learners divide marriage immigrants, immigration midway children, multicultural children. Overseas Korean language learners divide the purpose of the study in Korea, the culture, the work. This study include a refugees in Korea and Korea diaspora children at overseas. Korean students classify proposed to be achieved by appropriate teaching materials and teacher training. Korean language classify, that just two, ‘student’ and ‘working’. This subject insist ‘Korean students’ and ‘Foreigner student’ from studying purpose. The former purpose to get Korea citizenship, the latter just foreign language for self-purpose. ‘Korean students’ is ‘marriage immigrants’, ‘multicultural children’. ‘Foreigner student’ is ‘student studying abroad’, ‘foreign workers’, ‘culture student’, etc.

      • KCI등재후보

        긴급재난문자를 활용한 한국어 어휘교육 방안 연구 : 결혼이주여성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송선주(Song Sun-Ju)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0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긴급재난안전문자를 활용하여 한국어 어휘교육을 하는 데 있다. 어휘교육을 통하여 초급 단계의 결혼이주여성들이 자연재난문자에 대한 이해와 원활한 의사소통으로 긴급 시 스스로 안전에 대비할 수 있으며, 한국에 정착해 사는 동안 긍정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한다. 제1장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안전에 대한 필요성과 목적을 말하였고 선행연구에 대한 논의들을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긴급재난문자 종류들 중 결혼이주여성들이 머물고 있는 한국의 지역적인 특성과 한국어 실력 등을 고려하여 자연에 관계된 자연재해문자 13가지로 한정하여 논의 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교육과정을 살펴서 한국어교육에서 결혼이주여성들의 안전에 대한 언급은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였고, 한국어교육에서의 긴급자연재난 시 결혼이주여성들이 인지하여야할 학습의 내용들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앞장을 토대로 생활관련 어휘, 안전관련 어휘, 금기관련 어휘, 사람관련 어휘, 알림관련 어휘 등으로 분석하여 한국어 교육적 가능 요소를 찾아보았다. 제4장에서는 교육 원리에 적용하여 학습 방안을 제시하고 어휘학습을 통하여 많은 결혼이주여성들의 안전에도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seeking one’s own safety in an emergency and enjoying positive life in Korea by understanding disaster messages and smooth communication in married immigrant women in the beginner level. Chapter 1 described the needs and objectives of safety in Korean learners and reviewed discussion on previous researches. Chapter 2 limited nature-related emergency messages to 13 kinds in consider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in Korea where married immigrant women live and their Korean proficiency. Korean curriculums were examined to understand how far Korean education refers to safety for married immigrant women.

      • KCI등재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n India

        니르자씽 한국어교육학회 2006 국어교육 Vol.0 No.121

        This paper deals with the researches in the field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Hereby it includes Korean language a part of foreign language researches in India. This paper looks at the present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India, with its focus on the point view of Indian students and teachers. With an analysis of the students' aim of learning the language and its comparison with the goals of curriculum design at the centre, this paper highlights some of the problems and difficulties faced by the students in their process of learning Korean language. Presently, the regular Bachelor course of Korean language can be distributed as Ist year, 2nd year and the 3rd year. While the students take admission in all these courses, their original aim for learning the language is to grow a communicative competence in Korean and so to have a future in this field. But with their course of studies, they loose their future hopes with it and are not being able to show a positive attitude towards learning the language and the only objective they have for it, is to get the Bachelor Degree from the university. Highlighting such students and course design oriented problems, this paper talks about few necessary approaches and suggestions for finding out an effective and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Indian situation of learning foreign languages. This interprets the kind of learning methods the Indian students' aim for in learning Korean in India.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에 관한 연구이다. 인도.·한국 간의 우호적인 관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인도에서 외국어 교육의 일분인,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이다. 본고에서는 인도에서 한국어 교육의 현황을 검사하고 이에서 한국어 교육 대상자인 학습자와 교사의 의견을 모아 학습목표와 한국어 교육과정 목표를 확인하여 현재 인도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문제점과 논쟁점을 밝히기로 한 것이다. 현재 인도에서 학습자들의 학습목표가 1학년, 2학년, 3학년의 과정에 따라, 조금씩 변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원래 목적인 한국어의 우수한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며, 한국어 분야에서 전망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한국어를 배우는 것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를 보여주지 않아, 대학교 학사 학위 취득에만 목적으로 바꿔 가고 있는 것이 문제로 밝히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학습자 목적인 ‘일상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한 한국어 교육 과정에 있는 문제점들을 확인하여, 이러한 교육환경에 대한 제안과 교사의 교수·학습 방법의 측면에서, 인도학습자에게 바람직하며 효과적인 한국어 지도방법 방안을 제시하였다. 여기서는 바람직한 한국어 교육은 학습자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하는 효과적인 교육 방법을 뜻한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교육

        정명숙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0 한국어문화교육 Vol.4 No.2

        한국이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면서 여성결혼이민자나 외국인 근로자, 새터민 등의 이주 외국인과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새로운 한국어 학습자가 되었다. 이로 인해 한국어 교육의 개념도 기존의 ‘재외동포 및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것’에서 벗어나 새롭게 변모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 과정에서 한국어교육 연구자들은 한국어교육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어교육은 무엇인가’라는 근원적인 물음을 던지고 이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근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고, 한국어교육 연구자들에게 고민을 던져 주고 있는 다문화가정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다문화가정 구성원 대상의 한국어교육에 관한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시대가 요구하는 ‘한국어교육’의 정의가 무엇이며, 향후 교육 현장에서의 한국어교육이 나아갈 방향과 한국어교육 연구자들의 당면 과제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As Korean society evolves,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with previously extrinsic elements such as migrant workers, migrant spouse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even North Korean defectors becoming new Korean learners within the nation's borders, so has evolved the concep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previously had existed as just teaching Korean language to overseas Koreans and foreign students. In this process, Korean language researchers can't help but to raise questions about the academic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a fundamental question like ‘what is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ries to search for an answer. In order to look for the answer, this paper looks into how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conducted for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and how Korean education study is going on for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Based on this, this paper tries to suggest a defini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quired for this multicultural context, as well as a direction of Korean education and tasks required of Korean education researchers within this multicultural con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