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의 미술치료 연구동향

        김진희 사)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19 임상미술심리연구 Vol.9 No.2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theses and academic journals in Korea to see how art therapy research is being utilized for preschoolers,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under the age of 18 who are subjects to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Based on analysis criteria, all the data were divided by areas of art therapy, age, the types of disabilities and the areas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support.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for preschoolers,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was highly utilized at 49.7 percent. Second, arts therapy for subject to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was used more for preschoolers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an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Third, arts therapy research was mostly for developmental disorders including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intellectual disability. Fourth,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support areas were used in the order of adaptive behavior, cognition, communication, behavioral development, and sensory motor. Based on the above results, future directions of art therapy research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as discussed and suggested. 본 연구는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인 18세 미만의 장애 유·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미술치료 연구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국내 학위논문과 학술지를 중심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기준에 따라 예술심리치료연구의 영역별, 연령별, 장애유형별, 발달재활서비스 지원영역별로 나누었으며 기술통계와 빈도분석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 유·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예술심리치료연구는 미술치료가 49.7%로 높게 활용되고 있었다. 둘째,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를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연구는 장애 청소년에 비해 유·아동을 대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셋째,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자의 미술치료연구는 자폐와 지적장애를 포함한 발달장애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넷째, 발달재활서비스 지원 영역은 적응행동, 인지, 의사소통, 행동발달, 감각·운동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향후 미술치료연구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 KCI등재

        발달장애 아동의 내재화 문제와 공격 행동에 대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김소담,이영옥 사)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22 임상미술심리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발달장애 아동의 내재화 문제와 공격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B시 소재 초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만 8세의 발달장애(심한) 남자 아동이다. 본 연구는 주 1회 40분씩 총 40회기 진행하였으며 측정 도구는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CBCL 6-18)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발달장애 아동의 미술치료 회기별 변화에 따른 내재화 문제와 공격 행동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 발달장애 아동의 내재화 문제(불안/우울, 위축/우울, 신체 증상)와 공격 행동에 대한 사전・사후・추후 T점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발달장애 아동의 내재화 문제 중 불안/우울, 위축/우울, 신체 증상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가 발달장애 아동의 공격 행동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미술치료가 발달장애 아동의 내재화 문제 완화와 공격 행동 완화에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인공지능 아동화 분석 앱을 활용한 아동화 특성과 양육 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 분석

        이성옥,김현진,한성욱,정광조,이은봉 사)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22 임상미술심리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인공지능 아동화 분석 앱 개발과 실제 적용사례에 관한 것이다. 아동화 분석 앱 개발과 효과 검증, 그리고 양육 스트레스와 아동화에 나타난 특성과의 상관관계 분석이 주요 연구주제이다. 연구대상은 A도 관내 유치원에 재학중인 만 3세∼5세 아동과 해당 학부모 2,856명이다. 한국 부모 양육 스트레스 검사와 아동화를 연구도구로 하여, 인공지능 아동화 분석 앱, 만족도 조사 등을 활용하고 비모수 방법인 스피어만 상관계수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양육자 중 22.8%가 보통 수준 이상의 양육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으며 고위험 수준에 해당하는 경우가 7.1%였다. 둘째, 아동화를 분석한 결과 난화 수준의 그림을 그리거나 지시를 이해하지 못해서 주제를 그리지 못한 아동화가 상당수 있었다. 셋째, 양육 스트레스와 아동화 특성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대부분의 그림 항목에서 수렴타당도가 확인된 것은 색 사용, 사지 생략, 덧칠, 인물 표현 방식 등이었다. 넷째, 인공지능 아동화 분석 앱을 이용한 아동화 분석에 있어서 상당한 수준의 일관성과 타당도를 확보하였음을 확인하였고, 아동심리 선별기능 장치로서의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양육자 만족도 조사에서 아동심리 이해도 증진, 시스템 만족도, 타인에게 권유하려는 의사 등에서 97%, 양육자 스트레스 이해도 증진 96%, 재이용 의사 74% 등 전체적으로 90% 이상의 만족도를 보였다.

      • KCI등재후보

        위축아동의 자기표현과 사회적 유능감을 위한 미술치료

        정현희,박주진 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13 임상미술심리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위축행동을 보이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미술치료를 실시하여 아동의 자기표 현과 사회적 효능감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대상은 초등학교 5학년에 재학 중인 여자아동 이었다. 미술치료 진행기간은 2012년 4월부터 8월까지이었고, 주 1회 16회기 실시하였다. 자 기표현과 사회적 효능감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표현척도, 사회적 효능감척도, K-HTP, 협동화를 사전, 사후로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은 미술치료를 통해 자기표현이 향상되었다. 자기표현 점수가 증가하였으며, K-HTP에 서도 자기표현의 변화를 볼 수 있었다. 둘째, 미술치료는 아동의 사회적 효능감을 향상시켰 다. 사회적 효능감 점수가 향상되었으며, 협동화에서도 사회적 효능감의 변화를 볼 수 있었 다. 따라서 미술치료가 위축아동의 자기표현과 사회적 효능감에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rt therapy for self expression and social competence. The subject in this study was a fifth grade child with withdrawl in the elementary school. Art therapy had been conducted once a week from April, 2012 through August, 2012. There were 16 sessions and each session lasted 50 minutes. The instruments used in pretest and posttest were Self Expression Scale, Social Competence Scale, K-HTP, and cooperative drawing.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tervention in improving self-expression.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Self Expression Scale and K-HTP. Second, art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tervention in enhancing social competence.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Social Competence Scale and cooperative drawing. This study showed that the art therapy was effective approach for child with withdrawl.

      • KCI등재후보

        피학대아동과 일반아동의 나무그림 반응특성

        신현복,이근매 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11 임상미술심리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피학대아동과 일반아동들의 나무그림 반응특성을 나무그림의 형식적, 내용적 으로 분석하여 반응의 차이를 살피고, 피학대아동의 학대 후 나타나는 심리적 특성이 나무 그림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 는 피학대아동은 C지역 ○ ○아동학대예방센터에 피학대아동으로 신고 된 초등학교 4-6학년 50명을 선정하였다. 일반 아동은 초등학교 4-6학년(성별무시)을 대상으로 K-CBCL(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의 문제 행동점수에서 T점수 60이하로 임상증후가 보이지 않는 아동 50명을 선정하였다. 피학대아동 과 일반아동의 나무그림을 Koch의 기준을 참조로 특수지표로 재구성하여 분석하였다. 자 료 분석을 위해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처리하였으며 각 집단의 나무그림 반응특성 각 항목에 빈도차이는 x²검증을 통하여 처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학대 아동의 나무그림의 형식적 분석에 있어서 그림자/음영과 지면선 항목을 제외한 크기/기울 기와 위치, 필압/선의성질과 지우기 항목에서 유의미한 통계적 경향성을 보였다. 둘째, 피 학대아동의 나무그림의 내용적 분석에 있어서 줄기, 가지, 수관, 기타에서 유의미한 통계적 경향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나무그림검사를 통하여 피학대아동들의 심리적 불안, 위축과 충동적 행동특성을 엿볼 수 있었으며, 나무그림검사가 피학대아동을 선별하는 보조적인 도 구로서의 활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grasp reaction characteristics of abuse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by analyzing forms and contents of their tree drawing, and to check how abused children's psychological responses after being abused are presented on the tree drawing. Study subjects are, first, 50 abused children selected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4th-6th grades who are reported as abused children by ○○child-abuse prevention center in C area and, second, 50 normal children (males and females) selected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4th-6th grades who received less than 60 of T-score on K-CBCL. Tree drawings were analyzed by a special index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study purposes based on Koch standard. For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SPSS WIN 12.0 was adopted and x²-verification used to exhibit comparative reaction characteristics between the group of abused children and the group of normal children with frequency differ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formal analysis, the tree drawings of abused children tended to place the tree only at the sides, either left or right, use significantly many short lines and draw with weak or dim lines. Second, in content analysis, the trees that abused children drew showed scars and knots on the tree stems or trunk with significant frequency, long but narrow stems and stalks, stalks with thicker ends with smaller middle, the father from the trunk the thicker the branches, unbalanced thicker stems with narrower branches, falling leaves or fruits, and peculiar trees. In conclusion, we could see a feeling of psychological uneasiness, shriveling, an impulsive act of abused children, the tree drawings presented chance of application as additional tool that select abused children.

      • KCI등재후보

        불안정애착아동의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최나리 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15 임상미술심리연구 Vol.5 No.2

        이 연구는 불안정애착아동인 남자 초등학생의 문제행동 감소를 위해 미술치료 프로그램 을 적용한 사례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남자아동으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주1~2회, 50분씩, 총 16회기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 아동․청소년행동평가척 도(K-CBCL)를 실시했으며 회기별 진행과정의 행동변화를 사전·사후에 살펴보았다. 이 연 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청소년행동평가척도(K-CBCL)의 문제행동 영역인 공 격성 척도의 점수가 낮아지는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둘째, 아동의 회기별 행동관찰을 통해 문제행동이 감소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음을 밝혀내었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를 통 해 불안정애착아동의 학교, 일상생활에서 나타났던 문제행동이 완화되었고 미술치료 프로그 램이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art therapy treatment for problematic behavior reduction in Insecurely Attached children. The study's participant was a boy who is in the 4th grade. He received a total of 16 sessions of art therapy, once or twice a week with each session lasting 50 minutes. The measurement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K-CBCL, the behavior changes of each session were observed for pre and post t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rt therapy was effective on aggression reduction which is one of the problematic behaviors in the K-CBCL. Art therapy was also confirme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the problematic behavior through the observed behavior in these sessions. The subject showed a decrease in problematic behavior in their school and daily life.

      • KCI등재후보

        미술치료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김미정 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13 임상미술심리연구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 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로 진단 받은 만 5세 남아이며,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연구목적에 맞게 3단계로 분류하여 2013년 5 월부터 8월까지 주 1회 50분씩 총 12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측정도구로 는 K-CBCL검사와 HTP 그림검사, KFD 그림검사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술 활동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효과적이었다. 첫째, K-CBCL 을 사전, 사후 실시한 결과 문제행동이 감소되었으며, HTP와 KFD를 통해 사전, 사후의 변화를 질적으로 살펴본 결과 문제행동의 감소를 나타냈다. 둘째, 회기별 진행과정에 따른 행동의 변화를 통해서도 미술활동이 ADHD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미술치료의 중재가 ADHD 아동의 문제행동을 감소시 키는데 효과가 있었음을 증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rt therapy to reduce problematic behaviors of a ADHD child. The art therapy program were applied to a five-year old child. The program consisted of twelve 50-minute sessions and each session was held once a week. Korea-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House Tree People (HTP) test, and Kinetic Family Drawing (KFD) were used to see effect of the art program. Instruments were applied before and after the sessions and one follow-up measurement was follow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art therapy was effctive in reducing the problematic behaviors of the partipant. In addition, the results of HTP and KFD tests improved over time. In conclusion, the study proved that art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reducing problematic behaviors of a ADHD child.

      • KCI등재후보

        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최인혁,신명숙 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11 임상미술심리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정서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 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00초등학교 방과 후 종일 돌봄 수업에 참 여하고 있는 저소득가정 1~2학년 아동 30명을 선정하였으며, 2010년 6월 21일부터 9월 14 일까지 주 1~2회씩 총 15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인 미술치료 집단은 초기, 중 기, 후기의 3단계로 진행하였으며, 초기단계에서는 미술에 대한 거부감을 완화시키고, 친밀 감 형성 및 긴장감을 이완하여 자신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중기단계에서는 억압된 자신의 정서를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며, 자신의 내면을 탐색하고, 다양한 매체활용 을 이용한 미술활동을 통해 타인과의 관계를 개선하고 부정적인 자아상을 해소하는데 도 움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 후기단계에서는 자기상을 높이기 위하여 자신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모습을 가지게 하여 자신감을 부여 하였다. 비교집단의 미술활동은 자율적 인 환경에서 자신이 하고 싶은 초등미술교과 미술활동을 하도록 진행하였으며 프로그램 개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서 척도를 사전․사후 t검증을 통해 그 점수를 비교 하 였다. 미술치료 프로그램과 미술활동의 실시를 통해 나타난 정서 변화를 분석한 결과, 결 론적으로 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정서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art therapy and art activities on the emotional enhancement of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The subjects include 30 first and second graders from low-income families who were receiving after-school all-day care lessons at 00 Elementary School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experiment group received treatment over total 15 sessions once or twice per week from June 21 to September 14, 2010.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art therapy in three stages of early, middle, and late. The early stage was designed to reduce their rejection of art and help them develop familiarity, relax, and open themselves. In the middle stage, they were given opportunities to express their suppressed inner emotions, explore their insides, improve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rough art activities with various media, and resolve their negative self-images. In the final stage, they were encouraged to develop a positive aspect about their future to enhance self-image and boost their self-confidence. Meanwhile, the comparison group engaged in elementary school art textbook art activities of their free choice in an autonomous environment. The subjects' scores on Emotional Inventory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through t-test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intervention. The analysis results of emotional changes among the children that participated in the art therapy program or art activities were as follows: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motions of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 KCI등재후보

        학대경험아동의 불안 감소 및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활동중심 미술치료 사례연구

        정진숙 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21 임상미술심리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학대경험아동에게 활동중심 미술치료를 적용하여 불안 감소 및 자기효능감 향상과 행동변화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11세 아동 1명이다. 연구대상에게 활동중심 미술치료를 주 2회, 50분, 사전 사후검사를 제외한 총 15회기 진행하였다. 활동중심 미술치료의 실시에 따른 불안 검사와 자기효능감 검사를 사전 사후로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행동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프로그램 진행을 회 기별 기록하여 기술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중심 미술치료가 학대경험아동의 불안 감소에 효과가 있었으며 둘째, 활동중심 미술치료가 학대경험아동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활동중심 미술치료를 실시한 결과 회기별 행동변 화에서는 눈 마주침, 물건을 챙기고 정리 정돈, 자발적인 활동하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 결 과적으로 활동중심 미술치료는 학대경험아동의 불안 감소 및 자기효능감 향상 등의 긍정 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임상현장에서의 미술치료 프로그램 기초자료 제 공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duction of anxiety, improvement of self-efficacy, and behavioral change by applying activity-based art therapy to abused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one 11-year-old child in the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ctivity-based art therapy was administered to the subjects twice a week, for 50 minutes, and a total of 15 sessions were performed excluding the preand pos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tivity-based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reducing anxiety of abused children, and second, activity-based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lf-efficacy of abused children. Third, as a result of the activity-based art therapy, there were changes in the behavioral changes for each session, such as eye contact, packing and organizing things, and voluntary activitie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ctivity-based art therapy had positive effects such as reducing anxiety and improving self-efficacy in children who experienced abuse, and it is significant in providing basic data for art therapy programs in clinical settings.

      • KCI등재후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인터넷중독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장성숙,이근매 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16 임상미술심리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인터넷중독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W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프 로그램 실시 전 인터넷중독척도(K-척도), 아동문제행동검사(K-YSR), 자기효능감검사를 실시하여 임상척도에 해당하는 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학교 상담실에서 주 1회 10주간 1회기에 90분씩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비 모수 검정인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통계 프로그램은 SPSS Window18.0 으로 하였 다. 그 결과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인터넷중독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에, 유의미 한 차이로 효과가 있었으며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인터넷중독 아동의 K-척도 변화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긍정적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인터 넷중독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집단미술치 료 프로그램이 아동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고립의 완화가 현실세계의 인식을 가져와 문제 행동을 감소시킨 효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로 K-척도변화와 문제행동감소 그리고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연구하여 보다 효과적인 집단 미술치료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을 제안한다. This study is about knowing how group art therapy program effects decrease in problematic behavior and self efficacy of children in internet addiction. Study recipient was 13 years old students who are in W primary school. K-criterion(Internet addiction criterion), child problem behavior diagnosis(K-YSR) and self efficacy test were conducted.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in counseling room of university about 90 minutes once a week for 10 times. Data was analysed by Willcoxon qualification and SPSS Window18.0 was used for1statistics program. Result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Group art therapy program made a positive difference in change of K-criterion of internet addict children. Second, the program effected positively in decrease of internet addict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Third, It also improved self efficacy of internet addict children. Results of these show that Group art therapy program effects on helping children to get out of isolation through interaction so that improve cognition of reality. Also it resulted in decreation of problem behavior. Therefore I suggest developing more efficient group art therapy program with studying relations of change of K-criterion and reduction in problematic behaviors, and also self-efficacy from now 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