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아동문학비평사 시고(試攷)

        최지훈(Choe, June) 한국아동문학학회 2010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18

        한국아동문학비평사는 1950년 6월을 기점으로 일단 전기(前期)와 후기(後期)로 나눈다. 그것은 광복으로부터 6.25전쟁 발발 때까지의 해방공간 5년을 일제 강점기의 비평사의 연속으로 본 것이며, 그 이후는 완전 분단 상태로 반도 남쪽만의 비평사이기 때문이다. 전기를 다시 비평 맹아기, 오욕수난기로, 후기는 비평모색기, 기초 형성기, 비평전문화기, 비평발전기 등으로 세분했다. 비평 맹아기(1908-1925)는 최남선(崔南善)의 『소년(少年)』이 창간 될 때부터 소파(小波)의 『어린이』지를 비롯한 어린이 잡지가 속출하기 시작하던 1920년대 전반까지이다. 이때는 비평의 맹아라 할 수 있는 투고 작문을 꼲고 평하던 글을 발견할 수 있었던 때이다. 오욕 수난기(1925-1950)는 일제강점기 후반에서 해방공간 5년간을 포함한 기간으로, 이 시기에 본격적인 비평과 이론이 전개되기 시작했다. 이는 주로 문학을 사회주의 운동의 방편으로 삼고 이 이념을 문학 가치의 기준으로 삼고자 하던 주장(카프 문학 활동)이 일색을 이루었다. 1930년대 후반부터 광복이 되기까지 10여 년간은 일제의 탄압으로 우리말과 글로 된 모든 문학 활동이 정지된 암흑기여서 비평도 사라졌다가 광복이 되자 카프의 활동이 그대로 복원되어 나타났다. 비평모색기(1950-1967)는 6.25전쟁과 전후기로 일컬어지는 1950년대와 그리고 4.19와 5.16으로 시작되는 60년대 전반기의 비평 활동이다. 이때는 남북이 적대적인 관계로 완전한 분단을 이루고, 국토와 국민의 삶이 완벽하게 피폐해진 때다. 50년대 전반은 비평이 사라진 진공 상태로 있다가 50년대 후반부터 연평, 계평, 월평 등의 시평 위주로 발표된다. 이때는 ‘반공’ 이념이 절대적인 사회와 국가의 가치로 지배되던 때로서 전 시기에 있었던 사회주의 이념은 완전하게 배격되었다. 이런 때에 아동문학 전문지로서 비정기 간행물인 《아동문학》이 약 10년간 10호까지 발행되어 아동문학 기초이론의 전개를 중심으로 아동문학 비평의 재건이 시도되었다. 기초형성기(1967-1976)에는 전국에 초등교육을 맡을 교사 양성 기관으로서 국립 교육대학이 설립됨으로써 아동문학도 학문적 연구의 대상이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비평 문학의 토대가 되었다. 서민 문학론이 등장하면서 열도 높은 논쟁이 전개되었다. 그것은 이재철의 「아동문학개론」과 같은 탁월한 아동문학연구서와 이오덕의 「시정신과 유희정신」과 같은 평론집, 무크지 《아동문학사상》와 월간 《횃불》과 같은 아동문학 비평 전문지가 간행되었기 때문이었다. 이 시기(1967-1976)는 아동문학 연구와 함께 그 이전의 어느 때보다 활발하게 비평이 전개되었다. 그 대표적 연구자와 논객들은 이재철, 박경용, 임헌영, 오규원, 김요섭, 이상현, 유경환, 이오덕 등이었다. 비평 전문화기(1976~1990)는 계간 아동문학을 위한 비평 전문지 <아동문학평론>가 창간된 1976년을 시발점으로 한다. 이는 이 논문이 발표되는 2010년 현재까지 35년간 계속 발간되고 있는 아동문학사 초유의 전문잡지이면서 비평전문지다. 이 잡지의 존재는 아동문학을 전문으로 하는 평론가가 존재하게 하였으며 아동문학을 위한 비평이 상존하게 했다. 그래서 이 시기에는 신진 전문 평론가들이 잇달아 나타나 한국아동문학 르네상스라고 할 전성기를 열어가는 세력이 되었다. 이 시기에는 아동문학을 학문의 대상으로 연구하는 신진학자들도 여러 대학에서 배출되었으며 중요한 논문들이 계속 생산되었고 한국아동문학학회가 조직되어 오늘까지 활동하면서 한국 아동문학 연구와 비평의 중심이 되고 있다. 비평 발전기(1990~현재)는 한국 아동문학의 르네상스로 일컬어질만한 시기였다. 특히 이 시기에는 동화문학이 융성해졌고, 아동문학 전문지가 속속 창간되었으며 아울러 아동문학을 전문으로 하는 젊은 전문 평론가가 대거 등장했다. 이 시기의 특징으로 ①아동문학 평단의 여성화 추세가 가속화했다. ②많은 젊은 어머니들이 아동도서에 대한 모니터 능력이 탁월해졌다. ③사업이 된 독서지도 운동이 전개되어 비평의 바탕적 분위기를 형성했다. ④ 아동문학 전문지의 족출(簇出)과 좌우 이념적 평단이 형성되었다. The Criticism history for Korean Childrens literature[C.h. 한국아동문학비평사} is divided the Former term and the Latter term from June 1950. I consider that C.h of 5 years, from the Liberation(Aug. 1945) to the Korean war(Jun. 1950)[to be called the time of liberation(해방공간)] is continuity of C.h under the Japanese imperalistic rule. And I consider that C.h after the Korean war is distinguished from C. h before it C.h because of only the Southern Korea without the N. K. C. h of the Former term [the Former] is subdivided in two, the Bud term and the Suffering term. C. h of the Latter term[the Latter] is subdivided into four, the Groping term, the Forming Basic term, the Professional Criticism term, the Developing Criticism term. The Bud term(1908-1925) is from when Namsun Choi published the 1st edition of magazine Sonyun[boy] (1908) to the ist half of 1920s when all sorts of magazine headed by Orini[Children](by Jungwhan Bang) for children were published. This term is when the comment for contributions are found that the words is called buds of review(or criticism). The Suffering term(1925-1950) is the last term of the Japanese imperalistic rule and the time of liberation. This term was beginning to be developped in earnest criticism and literature theory. Such operations are exclusively occupied by KAPF that the critics who use the literatures as an instrument for the socialism or communism movement make the socialism the standard of the value of literature. About 10 years, from the latter half of 1930s to the Liberation of Korea(1945), Korean literatures were the dark term because could not use the Korean words and latters by the Japanese imperalistic rule. Therefore the criticism of literature were disappeared. But when Korea became independent from the Japanese imperalistic rule, the operations of KAPF were intactly restored to the former state. The Groping term.(1950-1967) is the time of the criticism works from the Korean War(1950) to the first half year of 1960s that began with the 4.19(the democratic revolution) and the 5.16(the military coup). This term was the days when the Korean Peninsula was completely divided into two domains on South and North, and S. Korea have made hostile relations with N. Korea. And the term was the days when the life of people have thoroughly become impoverished. On the postwar days -the first half of 1950s, there were not the criticism, but there were the views of year or month or season. On this term, the national worth and ideology was only The Anti-communism. To say nothing of communism, even any socialism cannt be admitted, because anti-communism was the national doctrine or dogma in the boundary of Korea society. At such a time, a mook Adong-Munghak(아동문학/ the Childrens literature) that had been published vol-number from 1st to 10th for about 10 years. These magazines had attemptted rehabilitation of the criticism of the Korean Childrens literatur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basic theory. On the Forming Basic term(1967-1976), the Childrens literature became the subject of study, because there are founded the national teachers collages for elementary education on all parts of country. And the criticism of the childrens literature was based on these situations. On this term, there was full of controversial ardor according to advent of the literature for the humble classes[서민문학]. A cause of these states of the controversy was because of prominent works to be published. There were books of research about the childrens literature as Jeachul Lees The survey of Childrens literature[아동문학개론], essays in criticism as Oduk Lees The spirit of Poet and the spirit of Pastime[시정신과 유희정신], and the children literary journals as mook Adongmunhak Sasang[아동문학사상/ the thought of Childrens literature] and monthly Hwetbul[횃불 / the tor

      • KCI등재후보

        韓國童詩 100年

        신현득(Sin, Hyeon-Deug) 한국아동문학학회 2008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15

        2008년에 한국아동문학은, 한국 현대 아동문학 100년과 한국동시문학 100년을 맞이하게 되었다. 한국현대아동문학은 1908년에 최남선(1890?1957)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唱歌라는 정형동시였다. 창가 이전에는 한국현대문학이 없었으므로 한국현대문학은 아동문학에서 시작된 것이 된다. 또한 한국아동문학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동시에서 시작되었으므로, 한국 아동문학 100년은 곧 동시 100년이다. 정형동시 창가의 첫 시집은 1908년 3월 20일 新文館에서 발행한 최남선 작 『경부텰도노래』였다. 최남선은 창가 형식으로 많은 시작품을 썼으며 특히 동화를 창가 형식에 담은 童話謠 를 창작하기도 하였다. 최근『경부텰도노래』와 이보다 2년 전인 1906년에 일본의 철도창가시인 오와다 다데끼(大和田建樹, 1957?1910)가 한국 침략을 정당화한 내용으로 쓴 『滿韓鐵道唱歌』를 비교 연구한 결과『경부텰도노래(京釜鐵道歌)』가 『滿韓鐵道唱歌』의 대응작임이 밝혀졌다. 이로써 한국 아동문학사는 국권운동에서 시작되었으며, 이를 위해 투쟁한 자랑스러운 역사임이 증명되었다. 국권운동에서 시작된 한국아동문학은 정형시를 중심으로 발전하였는데, 그중에는 학교의 『조선어독본』과 창가책에 실어 교재로 쓴 ‘學校唱歌’도 있었다. 창가는 童謠詩로 발전하여 더욱 예술성을 지니게 되었으며, 윤극영, 방정환, 정열모, 한정동, 윤석중, 김태오, 서덕출, 이원수, 강소천 등 동요시를 전문으로 쓰는 시인들이 출현하였다. 작품 중, 한정동의 동요시 ?굴네 버슨 말?(1930)과 강소천의 ?무궁화와 벌나비?(1931) 등은 일제에 저항하는 작품이었다. 이들 시인 중 윤석중은 우수하고 많은 동요시를 창작하여 세계적 동요시인이 되었다. Korean childrens literature in 2008 is a hundred years old and so does korean nursery rhyme. Korean modern childrens literature had started from a narrative song, rhymed verse by Choi, Nam-sun in 1908. There was no modern literature before a narrative rhyme, so Korean modern literature came to start from Childrens literature. Also, Korean childrens literature has started from nursery rhymes differently with others, so 100-year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is 100- year of Korean nursery rhymes. The first collection of narrative song in rhymed verse was『A Song of Kyung-bu Railway』of Shin Mun Sun by Choi,, Nam-sun, March 20th in 1908. Choi, Nam-sun had written a lot of narrative rhymes and especially a song of childrens story which was in a form of rhymed verse. Recently, as a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A Song of Kyung-bu Railway』and『Yang Han Chuldo Chang Gwa』which justified Koreas invasion by Japanese railway narrative song poet, Deki Owada(Dae Wha Jeaon Gun Soo 1957?1910) were turned out to be corresponding works. Therefore, Korean history of childrens literature started from struggle for national rights and it was turned out to be a proud history. Korean history of childrens literature has developed focused on rhymed verse and there were『Korean selections』and a textbook school narrative song. Narrative song has developed into nursery rhymes and has had artistry. The poets of nursery rhyme appeared including Yoon, Geuk-young, Bang Jungwhan, Jung Yeal-mo, Han, Jung-dong, Yoon,Seok-jung, Kim, Tae-o, Seo,Duk-chul, Lee, Won-soo, Kang., So-chun. Nursery rhyme of Han, Jung-dongs ?Gulne Buseon Mal?(1930) and Kang, So-chuns ?Mugunghwa and bee butterfly?(1931) were works to resist Japan. Among them, Yoon, Suk-jung became a poet of world nursery rhyme.

      • KCI등재후보

        한국 동시문학의 기원과 동시문학사의 필요성

        김관식(Kim, Kwan-sik) 한국아동문학학회 2018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34

        한국 아동문학의 사적 연구는 근대문학 형성기인 일제강점기에 집중되어 있고, 기존의 문학사적인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명을 받지 못해 왔다. 현대 아동문학의 사적인 체계는 1978년 이재철의 「한국현대아동문학사 연구」(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부터이다. 그 후 한국 동시문학에 대한 연구로 신현득의 「한국동시100년-정형동 시를 중심으로」, 최근에 아동문학에 대한 사적 연구로는 원종찬의 『한국아동문학사의 재발견』 등의 저서가 있다 1988년 이재철이 조직한 『한국아동문학회』를 중심으로 아동문학에 대한 연구 논문이 꾸준히 발표되고 있고, 그 밖의 석사학위 아동문학 관련 논문이 꾸준히 발표되고 있으나 이들의 연구는 대부분 현대 아동문학이 태동한 일제강점기의 아동문학에 대한 연구에 편중되어 있으며, 문학사적인 의의가 큰 작가의 작품에 대한 연구에 집중되고 있을 뿐, 현시점에 필요한 아동문학 창작 연구 분야는 저조한 편이다. 한국 동시문학사는 한국 시문학의 전통적인 맥락이 광의적인 동심을 반영한 시가문학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점에서 동시는 시와 별개의 개념이 아니라 한국 시의 원형으로 동심을 광의적으로 해석해야 동시문학의 위상이 정립된다. 따라서 한국 동시의 모태가 된 동시문학을 고대,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역사적인 변천 과정에서 시가의 발달 과정에서 동시의 영역으로 볼 수 있는 작품과 시인들을 올바르게 자리매김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The historical study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is concentrate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has not been significantly illuminated compared to existing literary studies. The private system of modern children’s literature is considered in Lee Jae-chul’s “Research on Korean Modern Children’s Literature” from 1978 (Dank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Ph.D. thesis) and later in Shin Hyun-deuk’s “100 years of Korean simultaneous poetry - focusing on regular poetry.” Recently, further studies have emerged, such as Won Jong-chan’s “Rediscovery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History,” which is a private study of children’s literature. In 1988, Lee Jae-chul organized a research paper on children’s literature centered on the “Korean Children’s Literature Society.” Other master’s degree papers on children’s literature are being published more frequently. Most of these studies are focused on the study of children’s literatur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Research into the works of the writer who has a great significance in literary history is focused on the research of children’s literature, and the creation research field necessary at the present time is poor. The history of simultaneous literature in Korea is not a concept separate from poetry, in that the traditional context of Korean poetry is rooted in poetic literature reflecting broad concentricity. The status of simultaneous literature is established by broadly interpreting the concentricity as a prototype of Korean poetry. Therefore, the simultaneous literature that became the mother of Korean simultaneous poetry was in the process of historical transition from ancient times,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Goryeo period, the Joseon Dynasty. In the development of the cigar, it was necessary to properly establish works and poets that can be seen as simultaneous areas.

      • KCI등재후보

        한국 아동문학이 나아갈 지향점

        신헌재(Shin Hun-Jae) 한국아동문학학회 2011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21

        본 논문은 현재 한국 아동문학에 불고 있는 경계 허물기의 경향을 두 가지 접근 방향에서 고찰하였다. 첫째, 한국아동문학의 내적인 경계 허물기 현상이다. 한국아동문학 안에서는 동화와 동시의 장르 한계를 넘어서려는 특성을 들 수 있다. 2000년대 후반기에 한국 아동문학의 동화와 동시가 그 고유 장르의 한계를 넘어 변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첫째, 동화는 소설화 경향을 보인다. 동화의 소설화 경향은 주변 환경의 변화와 내포독자로서의 아동상의 변모에 남다른 자극을 받은 작가들에 의해 일어난 것이다. 그들은 서사문학의 다양성과 풍성함을 동화에 가미함으로써, 아동문학의 수준을 끌어올렸으며 이는 긍정적인 의의로 받아드릴 만하다. 둘째, 동시가 시의 경계 넘나들기이다. 동시의 경계 넘나들기 경향은 동시인들 간에 일어난 동시의 개념 확장과 질적 수준 향상의 발로이다. 이는 아동 발달 정도를 배려한 보다 깊은 성찰과 표현상의 절제와 탁마된 작품으로 나아간다면 동시의 질적 향상을 기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아동문학의 외적인 경계 허물기 현상이다. 한국아동문학이 속해 있는 아시아 아동문학의 경계 허물기는 각 국가에 국한된 아동문학을 넘어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의 동아시아 아동문학과 공통 특성을 공유하는 아동문학군 형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아시아 아동문학군이 세계 아동문학의 주무대로 나아가 서구 중심의 아동문학을 보완할 가능태로서 의미를 가진다고 하겠다. 이러한 가능성을 두 가지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국제아동문학학회 회장을 역임한 장 뻬로(Jean Perrot)는 서구의 후기 식민지주의(colonialism)적 관점에서 아동문학의 관용의 문제를 새롭게 논의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한국을 위시로 한 아시아 지역의 아동문학권에서는 이미 20년 전부터 과거 가해국과 피해국의 경계를 넘으려는 시도를 해왔다는 점이다. 둘째, 아시아 아동문학의 자양과 에너지는 서구의 아동문학이 주로 추고하는 자연과 사물을 객관화, 도구화, 분절화 하는 근대 합리주의 사고경향을 제어함으로써, 보편적인 세계 아동문학의 정체성을 보완?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aimed to explore of aspects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field; one is a change in Korean children’s literature and the other is a change out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Since the second half of the decade in 2000, Korean children’s literature has deconstructed its genre. It is beyond the border of children’s literature boundary. Firstly, children’s novel has changed to adult novel, which is extricating a day dreaming Korean children’s novel. Many writers started to dynamic method to compose them. It could bear a construction to improve literary value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Secondly, poetry for children has changed to adult poetry. Writers of children’s poetry have tended to extend its concepts and contents. However, if this movement would go to deeper considerations and they would write poetry with restraint. Korean poetry for children could be developed. On the other hand Korean children’s literature has deconstructed out of its field. Korean children’s literature field tries to have been combined with Asian children’s literature; Korean, Japan, China and Taiwan have made Asian children’s literature field. It could be a dyanmis to supplement Western children’s literature field. Firstly, Jean Perrot said that post colonialism could show keys to solve problems of children’s literature. However, Asian children’s literature field has tried to deconstruct the border of nationalism. Secondly, Asian philosophy could take alternative direction to western children’s literature.

      • KCI등재후보

        방정환 아동문학론의 문학 교육적 함의(含意)

        임성규(Lim, Sung-Kyu) 한국아동문학학회 2008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14

        아동문학 연구의 활황과 더불어 이제는 아동문학 교육을 통해 초등학교의 문학 교수-학습을 개선시켜 나가야 한다. 아동문학은 그 자체로 아동을 위한 계몽적 자질을 내함(內含)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력한 아동 교육의 매재(媒材)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러한 시각에서 우선적으로 고구(考究)되어야 할 것이 아동문학 교육의 철학적 기반을 마련하는 일이다. 이론적, 사상적 기저가 없는 교육 이론은 쉽게 흔들릴 수 있다는 점에서 아동문학 교육의 철학을 정초 하는 일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른 셈이다. 그리고 그러한 중심에 한국 아동 문학의 본격적 문을 연 방정환의 아동 교육 사상이 자리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방정환에 대한 아동문학적 접근은 그의 생애나 동화, 동요 등의 지배적 부분에 치중함으로써 방정환이 지향했던 아동 계몽 철학에 대해서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런 의미에서 방정환이 남긴 아동문학론은 방정환이 기획하고 구상했던 아동문학 교육의 설계도란 점에서 현재의 아동문학 교육을 발전시킬 수 있는 교육적 함의를 내장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것은 바로 아동 존중의 정신에 그 뿌리를 두고 있는 아동 중심의 문학교육 철학과 단순한 교훈을 넘어 심미적 즐거움을 강조하는 교육 설계론이다. 그러므로 성인과 동등한 인격체로 서의 아동을 재발견해냄으로써 근대적 아동문학의 시원을 마련한 방정환의 아동문학 교육 사상을 현재적 관점에서 재조명함으로써 초등학교 의 문학교육을 수행하기 위한 발판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ed to educational thought of Bang Jung-Hwan;s childrens literature through investigating childrens literature essay. He opened full-scale childrens literature through re-discovery of child and childrens literature. It is narrow perception him to establishing person childrens day. So, study of his childrens education philosophy is basic work for making theoretical base of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Creating childrens story and poetry for children is partial view in the his childrens education. His childrens essay have excellent feature for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In this point, Bang Jung-Hwans childrens literature essay is the essence of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and philosophy of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that we have to succeed. Specially, it was gushed Korean soil that anxiety national future. Its spirit help to raise childrens existence to clean position. The succession of his children respect philosophy is modern peoples indispensable task that living today. Actually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is now germinating. Increased childrens literature discourse after 90s help popular concern in childrens literature. But teaching-learning study discourse of childrens literature text in th classroom be have to reclaimed. In this context, we have to make a raise ideological, philosophical base for the root of childrens literature instruction. And this meaningful point, Bang Jung Hwans childrens literature essay is help to new philosophical root formation. Accordingly, more close material inquiry and interpretation work be have to accomplished for basic found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 KCI등재

        성평등 관점에서 본 아동문학의 현황과 쟁점 - 성역할 고정관념을 중심으로 -

        김지은(Kim, Jieun)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0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7

        어린이와 함께 책을 읽는 일은 수많은 편견과 차별을 되돌아보는 기회가 된다. 그중에서도 2020년 현재, 세계 아동문학계가 집중적으로 고민하는 주제는 성평등과 다양성이다. 성인지 감수성은 시대에 따라 변화한다. 2015년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성인지 감수성이 문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판적 논의가 활발하다. 아동은 세계 시민들이 자유롭게 교류하는 디지털 미디어의 영향 속에 놓여 있으며 성인지 감수성의 변화를 가장 빠르게 체감하고 흡수하면서 성장하는 독자다. 본 논문은 성평등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아동문학 작품에 대한 논의가 한국 아동문학 비평의 역사에서 언제부터 시작되었으며 그동안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살피고 몇 가지 쟁점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 아동문학 비평에서 성평등 관점이 명시적으로 제안된 것은 1980년대로 보인다. 아동문학에 여성주의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초기의 문제의식은 전래동화 중심의 논의를 거쳐 2020년 현재에는 구체적인 쟁점을 형성했다. 본 논문에서는 어린이 여성 인물과 여성의 문제 해결, 어른 여성인물과 마녀 이미지, 폭력과 여성의 몸을 살펴보고 작품 안에서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알아본다. 우리 아동문학이 그려내고 있는 여성 인물의 모습이 어떤 측면에서 성역할 고정관념을 답습하고 있는지 2000년대 이후 창작된 작품을 중심으로 사례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지금 우리 아동문학의 성평등 의식이 초기에 비해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음을 입증한다. 최근 초등학교 교실에서도 성평등 지수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부지런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이러한 결과의 반영이다. 학교 현장에서 성인지 감수성이 높은 아동문학에 대한 연구 자료에 대한 요청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성평등은 곧 다양성의 문제와 연결된다. 존재의 다름을 이해하고 다양한 삶에 대해 존중하며 연대하는 일에 우리 아동문학이 어떻게 함께 할 것인가를 논의하는 일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 논의는 학교 현장 및 행정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아동문학 교육 프로그램과 문학작품을 활용한 어린이 독서관련 사업에서 성평등 관점이 적용되는 방향을 점검하는 데 바탕을 제공할 것이다. Reading a book with children is an opportunity to review numerous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s. Among them, as of 2020, gender equality and diversity are the topics that the world children’s literature community is intensively focusing on. Gender sensitivity changes with the times. Since the 2015, ‘feminism reboot’, there has been active discussion about the influence of gender sensitivity on literature. Children exist under the influence of digital media in which citizens of the world freely exchange and are readers who are the fastest to experience the change in gender sensitivity. Expressions trapped in gender role stereotypes, narratives that target women as sexual objects, and the representation of characters using language of discrimination and hatred are key problems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equality. These issues must be taken seriously in children’s literature criticism. This thesis examines when and how the discussion on children’s liter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equality began in the history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criticism. It seems to be in the 1980s that the gender equality perspective was explicitly proposed in Korean children’s literature research. And then it examines what issues have been proposed and diagnoses current discussions. And based on these issues, we will look at the examples of the works created after the 2000s to see in what aspects the female figures depicted in our children’s literature follow the stereotype of gender roles. Through this, we will try to diagnose where the gender equality mind of our children’s literature is now. In recent years, efforts to increase the gender equality index have been made diligently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Teachers are constantly requesting research materials on this issue. Gender equality is related to the subject of diversit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of existence and to respect the various lives. Criticism of children’s literature should discuss how these points appear in the work. This discussion will provide a basis for examin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gender equality perspective is applied in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programs and children’s reading projects in schools and administrative institutions.

      • KCI등재후보

        중국 조선족 아동문학 체계론

        김만석(Kim, Man-Suk) 한국아동문학학회 2008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14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은 초창기 한반도 프로아동문학과 순수아동문학의 영향을 동시에 받았다. 해방 초기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은 조선아동문학과 소련 사회주의 아동문학의 지배적인 영향을 받으면서 창작되었다. 1950년대 후반기부터 중국 좌익의 범위 하에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은 중국의 계급주의아동문학, 정치아동문학의 영향을 받는다. 문화혁명 이후, 중국아동문학을 뒤따라 상처문학, 반성문학의 성격을 띠게 된다. 1990년대에 이르러 중국조선아동문학은 자기의 자주성을 살리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은 나라 안팎의 여러 가지 아동문학의 장점을 널리 수용하여 자기 민족적인 특징을 살려 가면서 중국이라는 사회, 정치, 환경에 적응하는 독자적인 아동문학체계를 구축한 아동문학이 되었다.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은 그 대상을 소년, 아동으로 명확히 밝힌 아동문학이다. 그러면서 아동문학은 성인들이 소년아동을 신심이 건전한 사회성원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쓴 문학임을 강조하고 있다. 때문에 아동문학은 아이들 자신의 유치한 문학이 아니라 어른들과 아이들을 위한 고상한 문학인 것이다. 그리고 일본의 선진적인 아동문학이론을 수용한 중국아동문학리론체계를 받아들여 아동문학을 유년문학, 동년문학, 소년문학으로 나누고, 이 3단계 문학이 통합된 문학임을 선언한 문학이다.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은 동요, 동시, 동화, 우화, 이야기, 수필, 아동소설, 아동희곡. 텔레비영화문학 등으로 그 장르를 나누고 있다. Childrens literature of Ethnic Koreans in China was affected by both early professional children literature of Korean Peninsula and pure childrens literature. In the early liberation, childrens literature of Ethnic Koreans had been created under Joseon childrens literature and socialism through Joseon and the Soviet Union. From the late of 1950s, Childrens literature of Ethnic Korean under the leftist had been affected by childrens literature of classism in China and political childrens literature. After the Cultural Revolution, the literature indicated injury literature, reflection literature following Childrens literature of China. In 1990s, Childrens literature of Ethnic Koreans in China made a step forward independence. Childrens literature of Ethnic Koreans has reflected the good points and characterized their own ethnicity, so it has become independent childrens literature that has adapted to society, politics, environment in China. Childrens literature of Ethnic Koreans in China has targeted for boys and children. In addition, adults have written them to bring up children as social members of sound body and mind. Therefore, childrens literature is not puerile but high-toned literature. Childrens Literature theory system of China has accepted the advanced childrens literature theory of japan and it has combined 3 system; youth literature, young age literature, boys literature. Childrens literature genre of Ethnic Koreans categorizes into nursery song, nursery rhyme, fairy tale, fable, story, essay, childrens novel and television movie literature.

      • KCI등재

        1970년대 대구·경북 지역 아동문학 연구 : 〈한국아동문학가협회〉와〈대구아동문학회〉를 중심으로

        김종헌(Kim, Jong-heon)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4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1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how the children’s literature in Daegu-Kyeongbuk area accepted the new discourse of〈The Association of Writer at Korea children’s Literature(The Association of Writer)〉. As commonly known, the children’s literature in 1970s developed between the polarity of conservatism and progressivism. This was triggered by the establishment of〈The Association of Writer〉led by Lee Won-soo and〈The Association of Korea children’s Literature(The Association)〉led by Kim Young-il. After establishment,〈The Association of Writer〉published the organ『Hanguk Adong munhak』the following year in september, 1972. On the other hand,〈The Association〉published『Adong munhak』as their organ. In the meantime,〈The Association of Writer〉brought up the common touch and nature of children’s Literature to the surface. Meanwhile, Kim Sung-do became the second president of〈The Society of Daegu children’s Literature〉. The society expanded because of various reasons such as join of many rising authors. Although their turf was in region, they kept on their activity enthusiastically, mutually interchanging with the central children’s literary world. This is the point of departure of this study. By understanding the tendency of the local children’s literature, it could complement a feature of the Korean children’s literature. The local children’s literary world at the time was in a state of confusion about ‘common touch’. It is an instance which shows that the discussion about ‘common touch’ and ‘ethnicity’ of the children’s literature, which was brought up by〈The Association of Writer〉, was not accepted fully even in the association itself. Thus, although most of the authors in the region were the member of the association, discussion about the ‘common touch’ of children’s literary world could not become widespread. However, it is obvious that at the beginning of 1970s, based on the coterie awareness of〈The Society of Daegu children’s Literature〉where Lee Eung-chang and Kim Seung-do were working as the symbolic capital of the region, the children’s literary world in Daegu-Kyeongbuk contributed a lot to the establishment of 〈The Association of Writer〉.

      • KCI등재후보

        1930년대 이무영 아동문학 연구

        정진헌(Jeong, Jin-heon),김승덕(Kim, Seung-deok) 한국아동문학학회 2016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31

        이무영은 한국 근ㆍ현대문학사에서 농민소설가와 희곡작가로 알려진 인물이다. 본고는 이무영 작품 세계의 외연을 넓히고자 그동안 한국 문학사에서 소외되었던 1930년대 아동문학작품 활동에 주목했다. 이무영은 1929년 『조선일보』에 동화 「엿장사이야기」를 시작으로, 이듬해인 1930년부터 아동잡지 『별나라』에 아동소설 「어린영웅」과 수필 「오남매」를 발표한다. 그리고 1933년부터『어린이』에 아동소설 「장미꽃과 꾀꼴새」와 동극 「가난뱅이왕자」를 발표하며 아동문단에 참여를 보인다. 또한 1934년 『동아일보』 입사 후 애기네소설(유년소설) 19편과, 소년장편소설 「똘똘이」(총 72회), 유년동화 「복숭아」 등을 발표하며 1937년까지 아동문학작가로서의 길을 걸었다. 또한 1930년대 초 라디오 동화구연 프로그램에 참여해 동화를 낭송하며 아동문학의 발전에 기여하기도 했다. 이무영이 창작한 작품 내용을 보면 어린 주인공들의 모험담과 선행, 욕심에 대한 경계, 가난에 대한 연민의 정, 유년 시절 생활에 대한 단상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그가 『동아일보』 입사 이후 1935년에 연재한 애기네소설 ‘경재’ 시리즈는 유년들의 삶의 이야기를 사실적으로 그려냈다. 또한 1936년 2월 9일부터 5월 20일까지 총 72회에 걸쳐 연재한 장편소년소설 「똘똘이」는 청인(중국)에게 납치된 동생 복순이를 찾아 서울로 간 똘똘이와 그의 친구 수동이의 험난한 여정을 그리고 있는데, 이 작품은 14개의 에피소드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체의 서사를 이끌어 가고 있어 아동문학의 대중성에 기여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이처럼 1930년대 이무영은 성인문단에서의 활동뿐만 아니라 아동문단에 참여해 신문 및 아동잡지에 동화, 아동소설, 동극, 애기네소설, 장편소년소설 등을 발표하며 아동문학의 발전에 일조했다고 볼 수 있다. Lee, Mu-young is known as a peasant novelist and dramatist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literature. This paper is focused on children’s literature in the 1930s, which has been neglected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order to broaden the scope of the world of Lee, Mu-young’s works. Starting with a fairy tale, Yutjangsayiyagi published in CHOSUN ILBO in 2919, Lee, Mu-young published a children’s novel, orinyoungwoong and an essay, Onammae in a children’s magazine, BYULNARA in the following year, 1930. Then he joined the circle of children’s literature by publishing a children’s novel, Jangmikkotgwa kkoekkolsae and a dramatic play, Ganabangyiwangja in EORINYI from 1933. After entering DONG-A ILBO in 1934, also, he published 19 early children’s novels, a full-length juvenile novel, Ddolddolyi(a total of 72 times) and an early children’s fairy tale, Boksoongah, and walked a path as a children’s literature writer by 1937. In addition, he made a contribution to development in children’s literature by reciting a fairy tale in a radio storytelling program in the early 1930s. Most of the works created by Lee, Mu-young contain adventure stories and good deeds of young main characters, the boundary of greed, a sentiment of pity for poverty and memories of life in childhood. In particular, an early children’s novel, ‘Gyeongjae’ series that he published in 1935 after entering DONG-A ILBO, describes juvenile life stories realistically. The full-length juvenile novel, Ddolddolyi that he published serially 72 times from February 9th to May 20th 1936, shows a tough journey of Ddolddolyi that goes to Seoul for finding his younger sister, Boksunyi kidnapped by a Chinese man, and his friend, Sudongyi. In this novel, 14 episodes are organically connected and they lead the whole story. For this reason, this is rated as a novel, which contributed to the popularity of children’s literature. As stated above, Lee, Mu-young played a role in development of children’s literature by working in the circle of adults’ literature, and publishing fairy tales, children’s novels, dramatic plays, early children’s novels and full-length juvenile novels in the circle of children’s literature at the same time.

      • KCI등재후보

        주요섭 동화에 나타난 아동문학관

        정혜원(Jeong Hye-Won) 한국아동문학학회 2010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18

        주요섭은 지금까지 아동문학가보다는 <사랑 손님과 어머니>란 소설로 더 유명한 소설가이다. 때문에 후대의 아동문학연구자들이 그를 제대로 연구하지도 않았고 아동문학사에서 제외시켜 놓았다. 그는 상해 호강대학에서 교육학을, 미국 스탠포드 대학원에서 교육심리를 전공한 것을 바탕으로 근대 아동문학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작품을 창작하고 이론을 정립하였다. 이 논의에서는 그가 정립한 아동문학이론을 살펴보고 이 이론이 작품에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밝히고자 한다. 그는 아동뿐만 아니라 청소년에 이르기까지 관심을 가졌으며 언론매체에 다양한 글을 발표하기도 했다. 그 중 잡지『학등』 창간호에「아동문학연구대강」이란 글을 통해서 그가 가졌던 아동문학관을 펼치고 있었다. 이 글은 거의 1세기 전의 글이지만 현대 아동문학이론에 바탕이 되고 있으며 현대에도 여전히 그 이론이 유효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학의 기능이 교시적(敎示的) 기능과 쾌락적(快樂的) 기능이 있듯이 그가 쓴 글에서도 이 두 가지 기능을 근간으로 한 아동문학을 보여주고 있다. 그가 그 중에서 더 비중을 두는 것은 교시적 기능, 즉 교육성이다. 물론 당대는 아동을 대상으로 한 계몽운동이 활발했던 시기이다. 이런 측면을 감안할 때 그의 주장이 시대와 무관하지 않다고 설명할 수도 있으나 그가 전공한 교육심리학과 아동을 바라보는 관점이 라고 해석할 수 있다. 그 동안 아동문학에서 소외되어 있던 주요섭의 작품 발굴과 그의 이론을 통해 당대의 모습을 볼 수 있어 의미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Ju, Yo-Seop is well known not as a childrens literature writer as a novelist who wrote a novel, A man of a guest house and my mother so far. It has made researches on his works of childrens literature neglect and has made little of him as a childrens literature writer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childrens literature. He majored in Education at a college of Shang-hai, China and Educational Psychology at the Graduate School of Stanford University, US. This fact lets us notice how he was interested in the childrens literature. Actually he wrote many works for Korean children and made various theses on childrens literature. I am trying to make an analysis of his works in the aspect of the whole stream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His interest was on juveniles as well as children and he published various workson the media. Among them we can confirm what his points of view on childrens literature were and specially I am obliged to noticing an article, A study of childrens literature which appeared at the first number of childrens magazine, Hak-Dueng(Crane Light). You may recognize that this article which was written one century ago made bases of modern theories on childrens literature and shows two general functions of childrens literature; instructive and amusing. But he gave much weight in instructive function of childrens literature. The Enlighten Movement was the inevitable trend in his days but I am sure that his standpoints on childrens literature were possibly from his major, Educational Psychology. As we re-consider and analyze Ju, Yo-Seops works left out of the childrens literature history for a long time, we can have a clear grasp of the essence of Korean literature and the features of modern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