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조선족 아동의 한국어-중국어 이중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요인

        이귀옥,전효정,박혜원,강완숙,장미자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various factors which affect child language development and the effects of bilingual experiences on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143 Korean-Chinese children in China were selected to test Korean-Chinese language development, cognitive development, and the bilingual environments. The best predicting model of the Korean and Chinese development was suggested. The age, parents' language attitude, and cognitive development directly affected the children's Korean development while memory indirectly affected the children's Korean development. Similarly, the age, parent's Chinese use and cognitive development directly affected the children's Chinese development, while memory and fathers' education indirectly affected the children's Chinese development. 본 연구에서는 중국 조선족 아동의 언어발달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와 중국어 발달을 예언하는 최적 모형을 각각 제시하고, 중국 조선족 이중언어 아동의 언어발달 수준과 한국어와 중국어 발달의 관련성과, 나아가 이러한 이중언어발달과 인지발달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중국 조선족 아동 143명을 대상으로 한 부모설문과 아동검사자료를 사용하였다. 한국어 발달의 예측모형을 검증한 결과에 의하면, 연령, 부모 언어태도와 인지발달은 한국어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으며, 기억력은 인지발달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이와 유사하게 중국어 발달을 예언하는 모형을 검증한 결과 연령, 인지발달, 부모의 한어사용 순으로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의 학력은 부모의 한어사용에 영향을 주어 간접적으로 중국어 발달에 영향을 준다고 하겠다. 또한 한국어와 중국어의 이중언어 발달이 인지발달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 Bayley 영유아 발달검사(K-BSID-II) 표준화연구(1):지역, 성별 및 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K-BSID-II 수행분석

        조복희,박혜원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17 No.1

        한국 Bayley 영유아발달검사(K-BSID-II)를 표준화하기 위해 서울/경인지역, 충청지역, 그리고 영호남지역에서 1,700명의 영유아에게 K-BSID-II를 실시하였다. 검사내용은 원 검사문항에 더해 예비연구를 통해 선정된 문항 2개, 본 연구를 위해 개발한 문항 2개 그리고 인접 연령집단의 문항세트로부터 2~6개 문항을 차용하여 구성되었다. 미국의 원검사에 해당하는 문항에 대한 수행만을 분석한 결과 한국 영유아는 인지발달 지수에서는 미국의 영유아와 유사하였으나(M=99.71(SD=11.21)), 동작발달 지수에서는 미국의 영유아보다 높은 경향(M=104.53 (SD=12.88))을 보였다. 인지발달지수와 동작발달지수간의 상관은 매우 높았으며(.99), 인지발달지수, 동작발달지수, 행동발달지수에 대한 검사자간 신뢰도도 각각 .91, .98, 그리고 .99로 매우 높았다. 발달 지수에 대한 성차분석결과 일부연령집단에서 인지발달지수와 동작발달지수모두에서 여아의 수행이 높아 여아의 발달이 남아에 비해 빠른 것을 다시 한번 입증하였다. 또한 지역에 따른 분석결과 충청지역의 영유아가 다른 지역의 영유아보다 높은 수행을 보였다. 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행동평정척도의 내적 일관성을 분석한 결과 Chronbach α값이 연령집단에 따라 .92에서 .96사이로 매우 높았다. 행동평정척도에서도 남녀차이와 지역별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 영유아의 발달 수준을 미국의 영유아와 비교할 수 있었으며, 성차, 지역차에 대한 결과를 논의하였다. 후속 연구에서 타당도와 신뢰도에 대한 분석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As the standardization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the norm for Korean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II, 1,700 infants from Seoul and its vicinities, middle-, and south-regions of Korea were tested with the standardization version of the K-BSID-II. The test included two items developed through the pilot study and two newly developed items as well as extra two-six items from adjacent age group sets in addition to the original BSID-II. Korean infants showed a very similar Mental Developmental Index (M=99.71(SD=11.21)) to US counterparts but the Psychomotor Developmental Index (M=104.53 (SD=12.88))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US norm sampl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DI and PDI was very high (.99). There were high inter-scorer reliabilities for MDI(.91), PDI(.98), and BRS(.99). Gender difference was evidenced in both MDI and PDI at several age groups revealing the faster development among girls.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 revealing the highest performance among infants from the middle section. There were high reliabilities of BSID-II Behavior Rating Scale(BRS) in all age groups(.92-.96). There were some factors of BRS showing gender as well as regional differences. Validity as well reliability analyses will be followed.

      • KCI등재

        3세 아동의 가정환경 자극과 발달 수준이7세 아동의 지능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수정,곽금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home environment and child development at 3 years of age on intelligence development at 7 years. The participants were 143 mother-child dyads whose home environment and child development were measured using the mothers' reports when the children were 3 years old. At 7 years, the children’s intelligence was evaluat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III. The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ome environment and child development, as well as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hild development and intelligence, and between home environment and intelligence. Educational stimuli, acceptance, and linguistic stimuli from the home environment demonstrat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intelligence.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intelligence and each of the following: fine-motor, linguistic, and cognitive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ed that home environment at 3 years had a small influence on intelligence at 7 years, and home environment had direct positive effects on child development. Furthermore, the stage of development had direct positive effects on intelligence at the age of 7. This study suggests that home environments and the developmental levels of children in early childhood affect their intellectual development in middle childhood.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 초기 가정환경 자극과 아동의 발달 수준이 7세 지능 발달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143명의 아동과 아동의 어머니 쌍들이다. 아동이 만 3세 때 가정환경 자극과 아동발달을 어머니 보고를 통해 측정하였고, 4년 후인, 만 7세 경, 한국웩슬러III 아동지능검사를 실시하여 아동의 지능을 측정하였다. 3세 가정환경, 아동 발달, 그리고 7세 지능 간 상관을 분석한 결과, 3세 가정환경과 아동발달은 매우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으며, 아동발달과 지능, 그리고 가정환경과 지능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가정환경 자극의 하위영역 중, 학습적 자극, 온정적 반응성, 언어적 자극 등이 지능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아동발달의 하위영역 중, 소근육 발달, 언어 발달, 인지 발달 등이 지능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각 변인 간 직․간접적 경로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검증한 결과, 3세 가정환경자극은 근소하게 7세 지능에 영향을 주면서, 아동발달을 통해 간접적으로 지능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또한 3세 가정환경 자극은 아동발달에 그리고 아동발달은 7세 지능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현 연구를 통해 아동 초기 가정환경 자극과 아동 발달 수준이 아동 중기 지능발달에 영향을 주고 있음이 제안되었다.

      • KCI등재

        의심의 기술 발달: 선택적 신뢰와 증거성 추론

        최영은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9 No.1

        Much of knowledge about the world comes from indirect experience such as, obtaining information/knowledge from others, rather than direct experience. Growing up in an environment, filled with information and claims made by the media and on the internet,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how children come to develop skills of evaluating various sources of information. Recent years have seen much increase in the amount of research related to this topic,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The aim of the present paper is to provide an in-depth review of this growing field, involving the development of selective trust, a bias in trust in testimony, and evidential reasoning. Based on the extensive literature review, encompassing papers published internationally as well as domestically, the paper aims to provide a comprehensive and thorough introduction to the major discoveries made in this field and to suggest future studies that can help further illuminate the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세상에 대한 지식 습득은 직접 경험을 통해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직접 경험보다는 간접 경험, 특히, 타인의 정보 전달을 통해 많은 부분이 이루어진다. 미디어와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출처의 정보가 범람하는 사회에서 성장하는 아이들은 다양한 정보의 출처에 대한 신뢰를 어떻게 발달하고 있을까? 최근 들어 이와 같이 정보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출처에 대해 선택적으로 신뢰하고, 비판적 판단과 사고를 하는 능력의 발달에 관하여 발달심리학자들이 새롭게 주목하기 시작하였고, 관련한 연구가 다양한 영역에서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표는 선택적 신뢰와 증언신뢰 편향성의 개념을 중심으로 제시된 연구 결과들과 언어에 기반하여 정보 신뢰성을 판단하는 증거성 추론 발달의 연구들로 분리되어 진행되어 오던 연구들 사이의 접점을 찾아 통합적인 틀에서 두 영역의 연구들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특히, 두 영역의 연구를 정보의 신뢰성에 대해 비판적 관점을 발달시키는 과정의 측면에서 연결 및 통합하고, 이러한 발달의 궤도를 완성하는데 향후 필요한 연구와 이러한 인식론적 발달에 기여하는 요소들에 대한 연구를 제언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애정적 양육이 남·여 중학생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남정민,성현란,권선영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7 No.3

        본 연구에서 남․여 중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애정적 양육이 자녀의 내재화․외현화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 지역의 남녀 중학생 463명의 자료에 대해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남․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높을수록 내재화․외현화 문제 행동이 유의하게 높았으나 애정적 양육에 따른 내재화․외현화 문제 행동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남아의 신체증상과 비행, 여아의 우울/불안에 대해서 부의 심리적 통제와 애정적 양육 간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였다. 비애정적 양육 시에는 심리적 통제 집단이 심리적 비통제 집단보다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이 유의하게 높았으나, 애정적 양육 시에서는 심리적 통제 집단과 심리적 비통제 집단 간에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모의 심리적 통제와 애정적 양육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는 전혀 유의하지 않았다. 애정적 양육은 지각된 부의 심리적 통제가 가지는 남아의 신체증상과 비행, 여아의 우울/불안에 대한 부정적 효과를 완화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perceived psychological control and affective parenting on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behaviors in junior midddle schoolers. The subjects were 463 boys and girls in junior middle school in Deagu and Gyeongbuk area. Two way analysis of variance by psychological control and affective parenting was used for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behaviors. psychological control had negative effect on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behaviors, but the effect of affective parenting was not significant on both behaviors. There wa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y fa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affective parenting on boy's physical symptom and delinquency and girl's depression/anxiety. In low affective parenting condition, high psychological control has negative effect on boy's physical symptom and delinquency and girl's depression/anxiety. However, In high affective parenting condition, negative effect of psychological control was released. Moreover there was not interaction effect of psychological control and affective parenting on any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behaviors.

      • KCI등재

        문장 처리 능력 발달에서 실행 기능의 역할 재검증: 억제인가 인지적 유연성인가?

        남민지,최영은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9 No.3

        Cognitive control hypothesis proposed that 4-5-year-old children’s immature inhibitory control leads children to commit unique interpretation errors in processing a temporary ambiguous sentence. However recent findings showed a tendency of association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children’s sentence processing ability rather than inhibitory control.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ich component of executive function between inhibitory control and cognitive flexibility, directly relates to 4-5-year-old children’s sentence processing ability. Using flanker task, children’s cognitive flexibility and inhibitory control were measured. A sentence act-out task was also administered to measure children’s sentence processing abil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cognitive flexibility indexed by sequential congruency effect significantly and uniquely contributed to children’s sentence interpretation errors, after controlling age, working memory, and abilities processing unambiguous sentences. By contrast, inhibitory control was not related to sentence processing.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cognitive flexibility plays a more crucial role than inhibition in the development of child sentence processing ability, suggesting further that active goal/cue monitoring may be an important aspect of sentence processing abilities. 실행 기능의 하위 요소 중에서 인지적 억제의 미성숙은 만 4-5세 아동들의 문장 해석에서 문장 초기 정보를 억제하지 못하여 오류를 범하게 하고, 문장의 오해석을 수정하지 못하게 하는 주요한 원인이라는 가설이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그 간의 축적된 연구들에서는 문장 처리 능력과 억제 능력 발달 사이의 직접적인 관계보다는 인지적 유연성과의 관련성이 더 많이 관찰되어 왔고, 두 요소 중 어떤 요소가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지를 검토한 연구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 4-5세 한국어 습득 아동들의 문장 처리 발달에 실행 기능의 어떤 요소의 발달이 기여하는 지를 보다 체계적으로 검토하였다. 아동들에게 중의적인 문장을 들려준 후, 문장의 의미를 시연하게 하여 문장 해석의 정확도를 측정하였고, 플랭커 과제를 통해 억제와 인지적 유연성을, 청각 작업 기억 과제로 작업 기억을 측정하였다. 회귀 분석 결과, 연령과 문장 처리 능력의 개인차를 통제하고도 4-5세 아동의 문장 해석 오류에 인지적 유연성은 유의하게 고유한 기여를 하였으나 억제 능력의 설명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실행 기능 발달에서 억제보다 목표 탐지 능력의 발달이 중요하다는 가설과 더불어 문장 처리 발달에서도 억제보다는 목표나 규칙의 변화를 꾸준히 탐지하면서 인지적으로 유연할 수 있는 정도의 발달이 보다 중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한국판 유아행동평가 척도 교사용(C-TRF)의 표준화 연구

        김영아,이진,김유진,김민영,오경자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4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유아 행동평가척도 교사용(C-TRF)을 표준화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1,371명(남아 679명, 여아 692명)의 18개월~5세 영유아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미국판 원 검사의 요인구조를 한국에서도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검사-재검사 신뢰도 값(.57~.82)이나 각 하위척도들의 내적 합치도 수준(Cronbach’s α = .52~.96)은 일부 척도를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판 C-TRF의 하위척도들은 상호 요인 간, 특히 내재화 및 외현화의 상위 요인별로 높은 상관을 보였다. 문제행동총점을 비롯한 대부분의 척도에서 임상집단(n = 33)과 비임상집단(n = 1,209) 간에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 수준 평균차이를 보였으며, 한국판 C-TRF 총점이 임상범위에 해당되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 보다 어머니가 실시한 한국판 CBCL 1.5-5의 하위척도 점수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나 수렴 및 변별 타당도를 뒷받침하였다. 성별, 연령대 별 척도 점수 비교 결과, 36개월 전후 남녀 네 집단으로 규준을 제시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판 C-TRF의 임상 및 연구 장면에서의 활용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andardize the Korean version of Caregiver-Teacher Report Form (C-TRF). 1,371 preschoolers (679 boys and 692 girls) age from 1.5-5 were selected as the normative sample.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original C-TRF’s factor structure can be appropriately applied to the Korean version of C-TRF. The reliability was tested via internal consistency (.52~.96) and test-retest reliability (.57~.82). The mean differences and Cohen’s effect sizes of the subscales between clinical and normative sample revealed the scale’s discriminant validity. Differences of mean subscale scores for different age and sex groups showed that 4 independent norms for sex (male vs female) and 2 age groups (18~35month vs 36~72month) would be reasonable for the scale.

      • KCI등재

        증거성표지의 이해, 산출과 마음이론발달의 관련성 연구

        최영은,장나영,이화인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4 No.1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ree to six-year-old Korean-learning children's production and comprehension of evidentials (esp., indirect inference and hearsay markers), and whether the development of Theory of Mind(ToM)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evidential understanding and use. The production of hearsay marker(-tay) became reliable after four years of age and yet, development of comprehension of this marker was delayed until 6 years. Indirect inference marker, -kes kata, by comparison, begin to develop rapidly after 5 years of age in both production and comprehension. Development of ToM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evidential comprehension and production(in particular, production of indirect inference). However, its unique contribution to evidential development was difficult to tease apart due to its high correlation with age. 한국어 습득 3-6세 아동을 대상으로 정보의 출처를 문법적으로 표시하는 증거성표지 중 타인의 보고를 표시하는 ‘-대’와 간접 추론을 표시하는 ‘-것 같다’의 산출과 이해의 발달 정도를 실험적으로 고찰하고, 증거성표지의 산출과 이해에 마음이론의 발달이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산출의 경우, ‘대’의 산출은 4세 이후부터 안정적으로 산출되었으나 ‘대’의 이해 발달은 5-6세에 이르러도 아직 성숙하지 않은 것으로 보였다. 간접 추론을 표시하는 ‘것 같다’의 산출은 5세 이후부터 이해와 더불어 급격히 발달되는 경향을 보였다. 마음이론의 수행 수준은 증거성표지 이해 및 산출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여 증거성표지 습득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음을 발견하였으나 연령과의 높은 상관으로 마음이론이 연령증가 이외에 증거성표지 이해와 산출에 미치는 고유한 영향력을 밝히지는 못하였다.

      • KCI등재

        중국 조선족 아동의 초기 다단어 발화의 의미관계 분석

        이귀옥,이혜련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ategories of semantic relations between words in the early multiword utterances in order to examine the semantic relations' development of Korean-Chinese bilingual children and difference with monolingual of semantic relations categor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 children from 1 to 3 years of age and divided two groups using Brown's I stage and II stage. Each child's spontaneous natural speech during interaction with his/her caregiver was videotaped for about 30 minutes in which the same toys were provided as those at the nursery school attended by the child. The children's spontaneous utterances were transcribed and analysed for the semantic relations using Retherford's(1987) 20 semantic roles and KCLA(Korean Computerized Language Analysis 2.0, 2000). According the semantic roles, we analysed children's two-unit and three-unit semantic relations, then analyzed percentage of children and ranking of categories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occurrence and compared this data with studies of monolingual children. The result showed that children of II stage more used almost semantic relations than of I stage, especially in three-unit semantic relations children of II stage more frequently used than children of I stage.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milar developmental sequence in the several semantic categories. Comparing this data with monolingual children identified that bilingual children's development of relation delayed than monolingual. So, this study is consistent with De Houwer(1995) and Gathercole(in press).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체계가 상이한 한국어-중국어 이중언어를 습득하는 중국조선족 아동들의 제1 언어인 한국어 의미관계 습득을 조사하고, 단일언어아동인 한국아동의 의미관계 습득유형과 비교하여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발달과정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연변의 조선족 1,2,3세 아동 총 35명을 대상으로 동일한 장난감세팅하에서 약 30분동안 아동과 주양육자의 상호작용과정에서의 아동의 자발발화를 비디오로 녹화하여 전사하였다. 이 아동들의 자발발화 중 두 단어 이상 발화를 발췌하여 Retherford 등(1981)의 의미유형 분석범주에 따라 의미유형을 분류한 후 2어와 3어 의미관계를 분석하여 아동들이 사용하는 의미관계 유형을 백분율로 계산하여 순위를 매겨서 발달과정을 살펴보고, 단일언어아동의 의미관계 분석(Brown, 1973; 김영태, 1997, 조명한, 1982)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II단계 아동들이 I단계 아동들보다 2어 의미관계와 3어 의미관계 모두 더 빈번하게 사용하였다. 특히 3어 의미관계는 II단계 아동들이 I단계아동들보다 훨씬 더 많이 사용하여 의미관계 발달과정은 단일언어아동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단일언어아동들과 비교한 결과 이중언어아동들인 중국 조선족 아동들의 의미관계 발달이 단일언어아동들보다 다소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언어를 습득하는 초기에는 이중언어아동들이 단일언어아들보다 언어발달이 늦지만, 이중언어아동들의 언어발달 과정은 단일언어 아동과 동일하다는 선행연구(De Houwer, 1995; Gathercole, in press)의 연구를 지지하는 것이다.

      • KCI등재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 표현언어 척도의 한국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이유진,방희정,이순행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duce a preliminary Korean version of the Expressive Communication Scale of the Bayley-Ⅲ verifying its significant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to analyze the items to obtain a base for the standardization of Korean Bayley-Ⅲ. The Expressive Communication Scale of Bayley-Ⅲ was translated English into Korean by graduated students of development psychology and a primary research was completed with a consequence of elimination of 4 items, revision of 12 items, and supplement of 12 ite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gree of item difficulty, it was shown that the item arrangement was a little different to the original scale's, as expected.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reliability, Cronbach's α coefficient(.984), test-retest reliability(.977) and inter-scorer reliability(.986) was showed a strong correlation(p< .01). Third, a content validity was checked and the expressive language subtest of 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PRES) and preliminary Korean expressive communication scale of Bayley-Ⅲ had a correlation of .511 and Language subtest of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K-WPPSI) and preliminary Korean expressive communication scale of Bayley-Ⅲ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of .636(p< .05). 본 연구는 1세 16일부터 42개월 15일 된 영유아들을 대상으로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 표현언어 척도를 한국판으로 표준화하기 위한 예비 연구이다. 본 연구의 1차 예비 검사를 시행하여 미국판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 표현언어 척도의 문항들 중 4 문항 삭제, 12문항 수정, 12개 보충문항을 첨가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모집된 영유아 257명의 검사 결과 중 온전하게 수집된 244명의 검사 결과만을 분석 대상 자료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항 분석 결과, 기존 문항 난이도와 한국 영유아들을 대상으로 나타난 문항의 난이도는 대부분 비슷하였으나 몇몇 문항들은 다르게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신뢰도 분석을 위해 내적 일관성 신뢰도, 측정의 표준오차, 검사-재검사 신뢰도, 채점자간 신뢰도 계수를 확인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 .01). 셋째, 문항의 적절성을 살펴보기 위해 내용 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기존의 아동 언어평가 2가지와 상관을 보는 공인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