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신종교 연구의 현황과 전망 -신종교연구지를 중심으로-

        김항제 ( Hang Je Kim ) 한국신종교학회 2009 신종교연구 Vol.21 No.-

        한국의 종교지형은 불교, 천주교와 개신교를 포함한 기독교가 주류이며 뒤안길로 밀려난 유교가 명맥을 겨우 유지하고 있고 한국의 신종교는 그 규모에 있어 주류 종교와 현격한 차이 때문에 많은 수에 비해 변변한 지형을 갖고 있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종교지형을 하나의 정원에 비한다면 밟고 밟아도 돋아나는 질경이 풀보다도 더 질긴 잡초인 한국의 신종교는 하나의 정원을 꾸미는 구색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난국의 신종교도 종교생태계를 지켜온 파수꾼역을 해왔다고 할 수 있다. 건강하게 지속될 수 있는 한국의 종교생태계는 다원화된 종교의 생태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구의 신종교 스스로 종교생태계의 조화를 위한 종교라고 할지라도 종교의 사회적 기능 곧 통합기능을 상실한 채 역기능적인 한국의 신종교도 잡초의 밭에는 널려 있음도 부정할 수 없다. 그래서 한국의 신종교는 하늘의 별 만큼 생기기도 하고 멸하기도 한다. 이에 한국의 신종교를 비판적으로 연구하는 것은 한국의 신종교 자신을 위해서만이 아니고 한국의 종교생태계를 위해서도 피할 수 없는 요청이라고 할 수 있다. 하여 한국신종교학회는 새 천년기를 맞이하면서 출발하게 되었고 그에 부응하여 10여년의 세월이 흘러왔으며 학회지인 `신종교연구`는 매년 2집씩 총 19집(2008년 현재)을 출간하기에 이르렀다. 총 5천4백여 페이지에 달하는 `신종교연구`지에는 한국의 신종교를 연구해온 연구자들이 발표한 연구논문이 다수 실려 있어 한국 신종교 연구의 현황과 전망을 대략이나마 살피는데 크게 부족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 신종교 연구의 현황과 전망을 한국신종교학회의 학회지인 `신종교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은 나름대로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한국신종교학회의 `신종교연구`지를 통해 살핀 `한국 신종교 연구의 현황과 전망`은 비록 한국의 신종교 연구를 전체로 현황과 전망을 말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그러나 한국의 신종교를 연구하는 저작물이나 학술발표가 극히 미미한 점을 생각한다면 반드시 그렇지도 않다. 한국신종교학회가 한국의 신종교 연구를 선도하는 한국의 유일한 학회이며 `신종교연구`지는 한국신종교학회의 학회지잉기 때문이다. 다만 본 논문에서 덧붙이고 싶은 제언이 있다면 세계화시대를 맞이하여 신종교 연구를 위한 국제적 연대 또한 꼭 필요하고 요청되는 활동이 아닌가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신종교학회에서도 국제학술회의를 2년마다 개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일본에서 열리는 신종교 연구를 위한 국ㅈ적 연대도 그러한 의미에서 매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제적 연대가 온라인상에서도 이루어져 연구의 자료와 내용을 공유하고 상호 연구를 진작 시키는 노력이 경주된다면 금상첨화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Religions in Korea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main groups: Buddhism, Roman Catholicism and Protestantism. In comparison, Confucianism maintains its slender existence and new religions are not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However, an important point to emphasize is the fact that the new religions in Korea have been keepers watching diversities of religions. On the contrary, contributing to social integration of the new religions is still open to criticism. That is an important reason why so many new religions have destroyed themselves. Over the past 10 years, a considerable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by Korean Association for the new religions. An example of the studies is the journal of new religions published twice a year. There are numerous studies in the journal of new religions. The present and future of Korean new religions have been discussed in the journals. But the question of universal validity remains unsettled. Is spite of this limitation, what is apparent is Korean Association for the new religions is an leading association studying new religions in Korea. Now we are in the age of globalization. International network and activities for the new religion studies can be helpful to meet the needs of the times. International conference can be a good example to illustrate one of our efforts.

      • KCI등재

        한국 신종교연구의 세계화를 위한 과제와 전망 -한국 신종교학회와 세계 신종교학회의 만남을 중심으로-

        안신 ( Shin Ahn ) 한국신종교학회 2012 신종교연구 Vol.26 No.-

        본 논문은 한국 신종교학회의 세계화와 2011년 대만에서 열린 세계 신종교학회의 국제학술대회의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한국 신종교학자들의 당면 과제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로 신종교연구에서 최근 서구학자들의 관심이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로 확대되고 있다. 세계 신종교학회는 1970년대 서구신종교들의 부흥과 더불어 스웨덴, 이탈리아, 영국, 미국의 학자들이 주축이 되어 연구소와 지역학회를 중심으로 형성되었고 2009년에 국제학회를 결성하고 국제저널을 출판하고 있다. 2011년 처음으로 동양에서 세계대회가 개최됨으로써 한국 신종교학회와 세계 신종교학회의 활발한 상호 교류가 기대된다. 둘째로 대만의 유불선 다종교상황에서 기독교 사립대학 알레떼이아대학교(眞理大學校)의 대회유치는 세계 신종교학회의 학문적 위상과 연구범위를 잘 보여준다. 단순히 제도종교나 신종교 종단에 대한 연구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기독교와 이슬람을 포함한 기존 세계종교들의 새로운 변화들과 종교문화 콘텐츠의 종교성에 대해서도 깊은 관심을 보여준다. 셋째로 발표된 논문들의 내용을 분석해 볼 때 학제 간 연구, 사회과학적 접근, 종교문화의 콘텐츠분석, 비교종교연구 등이 연구의 주된 흐름으로 자리 잡고 있다. 넷째, 학술대회에 이어 마련된 대만지역 종교문화답사는 세계의 학자들이 대만의 종교인들을 직접 조우하며 ``살아있는 종교박물관``으로서 대만의 다종교상황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결론적으로 한국 신종교학회는 국제학술대회에 대한 지속적 참가와 학술교류를 위한 제반여건을 강화하고 신종교 관련 전문연구소들과 유관 학회들과의 긴밀한 협조를 이루어 장기적 안목에서 세계 신종교학회의 학술대회를 개최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준비가 필요하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task and respect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Academy of New Religions (KANR) by analyzing the 2011 Cesnur Taiwan Conference. Taiwan Conference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re is a paradigm shift from the West to the East in the study of new religions. Scholars of Sweden, Italy, UK, and USA have played major roles in studying new religions in the West since the 1970s. In 2009, they founded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New Religions (ISSNR), publishing its English journal twice a year. Taiwan Conference was the first conference held in Asia. We can expect active interchanges between KANR and international societies. Second, the multi-religious situation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 Taiwan and a Christian host institution, Aletheia University, reflect the present academic concern and boundary of ISSNR. The object of study covers institutional religions, new religious groups, new trends of existing religions, and religiosity of religious culture contents. Third, by classifying more than 50 papers delivered at the conference, inter-disciplinary studies, social science approaches, contents analysis of religious culture, and comparative study of religions are major trends. Fourth, post-conference excursion was very helpful for scholars to participate local festivals and to visit major Taiwanese religious communities. In conclusion, Korean Academy of New Religions needs to keep continual relationship with international scholars through conferences and communications. Strengthening the research abilities to study new religions and cooperating with other academic groups, KANR should create the creative environment to hold the next international conference of new religions.

      • KCI등재

        신정론 유형으로 본 한국의 신종교

        김항제 ( Hang Je Kim ) 한국신종교학회 2012 신종교연구 Vol.27 No.-

        신정론(Theodicy)이란 이 세상에 현존하는 악과 그에 따른 고통 그리고 불의에 대한 하나님의 의를 설명하는 신학적 성찰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이유 없이 당하는 고통과 그 고통을 당하는 의인들에 대한 신학적 성찰이다. 이러한 신정론은 오늘날에도 만연하고 있는 고통과 소위 고통 받는 인간 곧 의인 때문에 범종교적인 주제가 되고 있다. 특히 의인의 고통에 대한 신학적 이해는 어떤 종교든 관심하는 것이고 신종교 또한 같은 맥락에서 그에 대한 신학적 답변을 요청받고 있다. 한국 신종교의 신정론은 그 태생적 이유 때문에 대개의 경우 종말론적 신정론을 갖고 있다. 한국의 신종교도 기성종교(established religion)에 대한 종파(sect)의 성격을 갖고 태어났으며, 종파로서의 성격 중 가장 분명한 것은 종말론적 시대경륜론dispensation)을 갖고 있다는 점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신종교의 시원으로 볼수 있는 동학(천도교)부터 그 사상적 특징 중 하나가 개벽사상 혹은 지상천국사상인 점을 보면 분명하다. 한국의 신종교는 내세에서의 복락만을 추구하지 않는다. 오히려 한국 신종교의 관심은 현세에서의 구원에 있다. 따라서 내세에 관한 교리가 없거나 미약하며 현세에서의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 교리가 지배적이다. 그러나 신정론 유형으로 본 한국 신종교는 대개의 경우 세월의 흐름에 따른 종말의 지연은 종말론적 신정론의 유형변화를 운명적으로 겪게 되었다. 이는 가치의 문제가 아니고 정체성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종파로서의 신종교가 발전하여 기성종교가 되지 말라는 법도 없기 때문이다. 다만 유형의 변화에 따라 정체성도 변화한다면 태생적 조건은 한계가 될 것이며 그러한 한국 신종교의 유형변화는 자신의 종말론적 역동성을 잃게 하며 그로 인해 한국사회에서 무시되고 결국은 도외시될 것이다.신정론이 종교문화를 형성하는 이데올로기라면 한국 신종교의 신정론 유형변화는 한국의 신종교가 형성해온 종교문화의 지형이 변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신정론 유형변화에 따른 적절한 대응을 모색하지 않는 한국의 신종교는 생존을 가름하는 일도 일어날 수 있음을 성찰해야 할 것이다. Theodicy is a theological reflection on God`s justice explaining the reality of evil and its accompanying pain. Especially, Why do righteous people suffer from pain without any reason? How can they be consoled? Where is righteous God? Christian theology responds to these questions in the name of theodicy as well known. However, theological discussion about the pervasive pain is not only Christian problem but also all religions` problem. That is,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righteous people`s pain is the matter of concern to all religions including new religions. The pain of modern society results from social structure more than personal immorality. Theodicy can be politics of praxis to overcome the reality of pain and evil. Therefore, the politics of theodicy is a theological dialectic of the reality of sin and evil, and the participation in salvation today. The politics of theodicy is an active participation in God`s future against the reality of sin and evil. Consequently, it will be meaningful to examine the meaning and the type of theodicy in sociology of religion and the politics of theodicy of Korean new religions. Generally, new Korean religions inherently have eschatological theodicy. However, as the time goes by, the delay of the end of the world causes the change of theodicy type. This is not the problem of virtue but identity. A sect of religion may become an established religion later. But if the change of theodicy type causes the change of identity, it is possible to loose the eschatological activity of new religion. It could result in disregard in Korean society. If theodicy is an ideology establishing religious culture, the change of theodicy type will make change in the culture of new Korean religions. Therefore, appropriate reaction of new Korean religion is necessary for their survival.

      • KCI등재

        『한국신종교사전』 편찬을 위한 기초연구-연구방법론의 제기로부터 표제어 추출까지-

        김도공 ( Do Gong Kim ),윤승용 ( Seung Yong Yun ),고시용 ( Shi Yong Ko ),김항제 ( Hang Je Kim ),원영상 ( Yeong Sang Won ),권동우 ( Dong Woo Kwon ),허남진 ( Nam Jin Heo ) 한국신종교학회 2014 신종교연구 Vol.31 No.-

        본 연구는 근현대 한국 신종교의 역사?교리?교조?조직?의례?문화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연구하여 사전(事典)으로 편찬하기 위한 기초 방법론의 제시와 표제어추출에 그 목적이 있다. 한국신종교사전의 편찬은 향후 신종교 관련 연구 및 일반적 활용을 위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근현대 한국문화의 연구를 위한학술 인프라구축에 기여할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진행한 작업은 『한국신종교사전』 편찬을 위한 ①신종교 관련자료의 조사, ②범주분류, ③표제어 추출이다. 『한국신종교사전』 편찬을 위한 분류체계는 크게 대분야, 중분야, 소분야로 하며,그 하위구조에 집필해 갈 구조를 다시 10개 범주로 구분하였다. 대분야는 자생신종교, 불교신종교, 기독교신종교, 외래신종교, 신종교(학)일반/신영성운동이다. 사전집필의 범주구분은 교단명, 인물, 교리/사상, 역사/사건, 의례/상징/문화예술, 문헌, 단체, 유적/성지, 조직/제도, 기타로 대별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표제어를추출하였다. 표제어는 각 교단의 한국종교문화사적 위상 및 연구 성과, 대사회적활동 등을 고려하여 대항목, 중항목, 소/세항목으로 구분·기술하도록 하였다. 항목 표제어 추출은 ①기초자료조사를 통한 표제어 추출, ②공동연구를 통한 1,2차 점검, ③사전편찬회의를 통한 3차 점검을 거쳐 완성하였다. ①기초자료조사를통한 표제어 추출은 문헌조사, 웹사이트를 통한 자료수집, 실태조사에 의한 확인으로 진행하였다. ②공동연구를 통한 1, 2차 점검 및 수정을 통해 대/중/소항목의 비율을 조정하고, 표제어 선정기준 및 원칙을 세워 ??한국신종교사전??에 적합한 표제어를 추출하도록 하였으며, 각 범주에 대한 표제어 선정기준을 마련하였다. ③사전편찬회의를 통한 3차 점검에서는 각 분야 전문가인 편찬위원들의 문제제기 및 의견을 수용하여 표제어의 전반적인 수정을 가하여 최종 점검을 받은 후 표제어를 확정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ynthetically review histories, doctrines, organizations, religious rituals, and cultures for the Korean new religions in the modern history and to suggest the methodology and entry words for the compilation of a new religion dictionary in Korea. The compilation of a new religion dictionary in Korea may serve as the objective basis for the further related studies and general uses, and can contribute to build the academic infra-structure for studying the modern Korean cultures. Especially, this research focused on 1) reviewing the related data and references, 2)classifying categories, and 3) suggesting entry words in new religions. The classification scheme, which consists of three scales (large, medium, and small) according to fields, includes the 10 categories as its sub-schemes. The large category is classified into 5 fields such as 1) native new religions, 2) Buddhist new religions, 3)Christian new religions, 4) foreign new religions, and 5) general new religions/new spiritual activities. The 10 categories of its subscheme is 1) religion title, 2) central figures, 3) discipline/thought,4) history/evenement, 5) ceremony/symbol/culture and art, 6)documents, 7) foundations, 8) historic site and shrine, 9) organization and system and 10) the others. The entry words are originated from these categories. The entry words are classified and described into the three types of articles : large, medium, and small, considering status, academic results, social activities for each entry word. The process for suggesting entry words passed through the three steps such as 1) sampling entry words based on the review for basic data and references, 2) the two times checking co-works and study, and 3) the final checking discussion by the committee for the compilation of dictionary. The second step had made adjustments tothe ratios of large, medium, and small article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checking works and suggested the standards and principles for sampling entry words. In the last step, the committee, which consists of experts in various fields, had made the final check through various problem presentation and discussions for entry words and come to the definite decision for entry words.

      • KCI등재

        근,현대 한국 신종교 주문(呪文)에 나타난 한국인의 종교심성 연구

        김도공 ( Do Gong Kim ) 한국신종교학회 2012 신종교연구 Vol.27 No.-

        근·현대 한국 신종교(新宗敎)의 연구는 이제 개별적 종교의 소개나 단순 비교의 차원을 넘어서 보다 심층적(深層的)이고 통합적 시각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는 신종교 각각을 관통하는 공통의 주제가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 연구가 관심을 갖는 주문(呪文)에 대한 연구는 종교를 이해하는데 매우 유의미하면서도 중요한 종교적 핵심코드(Core code)가 된다. 한국 신종교가 가진 주문(呪文)의 유형과 내용분석, 사상적 연원 탐구 그리고 종교적 수행과 의례에서의 의미 등을 탐색 연구하는 과정에서 한국 신종교를 공통적으로 관통하는 종교적 의미와 신앙체계(Belief system)와 한국 민중들이 본래적으로 가지고 있는 종교적 심성의 원형(原型, Archetype)을 발견 할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그 사상적 연원(Origin of thought)을 확인할 수 있다고 본다. 한국의 신종교는 1860년 수운 최제우의 동학 창도이후 해방 전 12계통 백여 단체를 헤아릴 정도로 그 수와 규모면에서 대단하였으며, 해방 후 14계통 4백여 개까지되었으나, 현재는 3백여 개가 남아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러한 한국 신종교에서는 그 신행의 방법으로 다양한 주문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근현대 역사 속에서 그 종교적 역할과 명맥을 수행하고 있는 중요한 신종교의 주문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한국 신종교의 주문에 나타난 한국인의 주요한 종교심성은 천(天) 기(氣) 심(心)등의 핵심개념과 이에 대한 믿음과 수행의 체계 등으로 확인된다. 그러나 이러한 한국인 고유의 종교심성은 근현대 역사 속에서 매운 심한 혼돈 속에 빠져들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개념들이 각종 교육과 수행 등을 통해서 현대 한국인들의 생활과 의식 속에 자리 잡게 될 때, 현대사회의 많은 문제점들도 치유될 수 있는 그 방향을 찾을수 있으리라고 예상해 본다. The study of Korean new religion in modern and contemporary requires in-depth and integral perspective research rather than introduction of individual religion or simple comparison. In such research methodology, common theme penetrating every new religion is important element. In this research, religious spell or holy words has been dealt as an important and significant religious core code for understanding them. On the process of research through analysis of type and content of religious spell, investigation of ideological origin, and meaning in religious practice and ceremony, we can find out the religious significance and the belief system commonly penetrating Korean new religions, an archetype of religious nature of Korean people`s originally own, and furthermore, origin of thoughts. Korean new religion presently assumes to be remaining three hundreds organizations, soon after establishment of Donghak by Choi Je-Woo in 1860 was a hundreds organizations in twelve religious groups, and after the independence was, flourished in numbers and size, four hundreds organizations in fourteen groups. Those Korean new religions are using various religious spells for their belief and practice methods. This research has dealt with religious spells in important new religions taking significant role and continuing tradition of their religion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This research has found out that important religious nature of Korean is core concepts as like heaven(天), energy(氣), mind(心), and so on, and the structure of belief and practice in them. It also identify that religious nature of Korean was intactly melted in those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new religions. However, such religious nature of Korean was sunken in tremendous confusion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Nevertheless, in the tenets and thoughts of Korean new religion silently kept Korean calm religious nature i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especially in the religious spells used in those religions, they contains core concepts to heal emotional pathological phenomena of contemporary society. We can expect that when those concepts are located in the life and the consciousness of contemporary Korean by various education or practice, then diverse matters of contemporary society can be cured.

      • KCI등재

        한국SGI 성장의 차원에서 본 부산의 포교와 발전-SGI 전개와 문화회관의 형성을 중심으로-

        김현석 한국신종교학회 2022 신종교연구 Vol.47 No.-

        Korea SGI stands for Korea Soka Gakkai International, a new religion that started its activities when the Japanese Soka Gakkai (創価学会) was introduced into Korea. The Soka Gakkai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religious groups of new religions of Japanese origin, enjoying a fairly stable religious influence compared to other new religions. Established modeling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the Soka Gakkai, Korea SGI operates with its own sub-organizations and has ‘Districts’ [方面] centered around a large city as well as ‘Zones’ [圈] in the sub-administrative regions of the city. As of August 2022, Korean SGI is known to have 46 Districts and 146 Zones across the country. The fact that a city has well-established Districts and Zones means that the city has a large number of members and well-established Culture Centers for them. Culture Centers are religious facilities of SGI Korea, where its members can engage in basic religious activities, thus serving as the most active hubs for the believers. Currently, the Districts, Zones, and Culture Centers are most well established in the cities of Busan and Daegu, as well as in Seoul and Gyeonggi-do. All these regions have in common that the members of the Soka Gakkai formed small organizations from the time the Soka Gakkai was introduced into Korea, and that makes them considerably significant in the propagation history of Korea SGI in Korea. This is why this study examines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Korea SGI in Busan as well as the current state of its propagation there. In the past, Busan served as the Busan-Gyeongsang General Headquarters of Korea SGI, which was later divided into three General Headquarters, and then started to expand its influence while carrying out its regional activities. These three General Headquarters later developed into ‘Zones,’ which underwent the process of being divided into smaller ‘Zones’ several times over time and played a key role in shaping the’Districts’ and ‘Zones’ in present-day Busan. Of course, Busan witnessed the development of Culture Centers along the way, establishing 13 Culture Centers. However, the believers in the Yeongdo Zone could not keep their own Culture Center recently and are renting out the Culture Center instead, which means that Busan currently operates and manages 12 Culture Centers. Nevertheless, Busan still boasts of the second most Districts, Zones, and Culture Centers after Seoul and Gyeonggi-do, and this proves that there are many active believers in Busan with a stable religious influence.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organizational system of Korea SGI, the development and current status of its Culture Centers, and the spread of SGI Korea in Busan from the time the Soka Gakkai was introduced to the present day. It is hopefully expected that an understanding of what the process of the propag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 SGI looked like in Busan, which played a major role in stabilizing Korea SGI today, will be of great help to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current status of its propagation in Korea. 한국SGI는 한국 창가학회(Korea Soka Gakkai International)라는 의미로 일본의 창가학회(創価学会)가 국내로 유입되면서 활동을 시작한 종교이다. 오늘날 일본계 신종교를 대표하는 종교 단체 중 하나로 다른 신종교와 비교해도 상당히 안정적인 교세를 보인다. 일본 창가학회의 조직구조를 참고하여 확립한 한국SGI는 큰 도시를 중심으로 방면(方面)을 구성하고, 그 도시의 하위 행정 지역을 권(圈)으로 구축하여 다시 한국SGI 나름의 아래 조직을 두고 활동을 하고 있다. 2022년 8월 기준 한국SGI는 46개의 방면, 146개의 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방면과 권이 고루 확립된 도시가 그만큼 신자들도 많고, 신자들이 이용하는 문화회관도 잘 구축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문화회관은 한국SGI의 종교시설로 신자들의 기초적인 종교 활동을 할 수 있는 곳이므로 접근이 가장 활발한 장소이기도 하다. 현재 방면과 권, 그리고 문화회관은 서울과 경기도를 비롯한 부산과 대구가 가장 많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지역은 창가학회가 유입될 시기부터 작은 조직을 형성하여 활동한 도시라는 공통점이 있다. 그래서 한국SGI에서도 상당히 의미가 있고, 중요한 도시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연구에서는 먼저 부산에 집중하여 부산의 한국SGI 유입과 전개 과정 그리고 오늘날의 포교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부산은 과거 경상남도와 함께 부산에 거점을 두고 부(산)경(남)총합본부로 활동을 하였다. 이후 3개의 총합본부로 나뉘면서 본격적으로 지역적 활동을 개시해나가며, 부산의 교세를 넓혀나갔다. 이 3개의 총합본부는 훗날 권으로 발전하여 몇 번의 분권을 거치면서 오늘날 부산의 방면과 권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물론 이 과정에서 문화회관도 함께 발전하여 13개의 문화회관을 구축하기도 한다. 하지만, 최근 영도권 신자들의 회관이 없어지면서 임차회관을 이용하고 있다. 고로 현재 부산은 12개의 문화회관을 운영ㆍ관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여전히 방면과 권, 문화회관의 현황은 서울과 경기도에 이어 3번째로 많은 도시이다. 그만큼 활동하는 신자가 있고, 교세 또한 안정되어 있다는 방증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SGI의 조직체계와 문화회관의 전개와 현황을 부산이라는 도시에 적용하여 창가학회로 유입될 당시부터 오늘날까지의 부산은 어떠한 전개 과정을 거치면서 한국SGI가 포교가 되었는지 검토하고자 한다. 오늘날 한국SGI의 교세의 안정화에 큰 역할을 한 부산의 포교와 발전 과정을 파악한다면 필시 한국SGI의 국내 전개 과정과 포교 현황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한국전쟁이 신종교 형성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 -통일교를 중심으로-

        양편승 ( Pyun Seung Yang ) 한국신종교학회 2011 신종교연구 Vol.25 No.-

        본 논문은 한국전쟁의 발발원인을 3가지 측면에서 설명하고 있다. 먼저 좌측 스펙트럼에 따르면 한국전쟁의 원인을 ``북한남침설``이라는 시각에서 설명하고 있으며, 우측 스펙트럼에 따른 한국전쟁의 원인은 ``세계전략설``로 보고 있다. 이 설은 스탈린이 적극적으로 남침을 주도적으로 기획하고 소련, 중국, 북한이 삼각공고체제를 구축하면서 남침을 준비했다는 이론이다. 마지막으로 중간 스펙트럼은 한국전쟁의 원인을 롤백전략설로 설명하고 있다. 스탈린의 롤백전략을 저지하기 위해 미국이 한국전쟁에 적극적으로 개입했다는 이론을 말한다. 다음으로 한국전쟁이 신종교 형성에 미친 영향은 해방 전후 생겨난 영적 집단과 신종교의 형성에 많은 영향을 주었는데 몇 가지로 요약하면, 민족사적 재난신드롬이 촉발되었고, 개신교계 반공주의자가 형성되었다는 점 그리고 기독교 신령집단 및 신종교의 등장으로 많은 영향을 끼쳤다. 끝으로, 한국전쟁이 통일교 형성에 미친 영향은 한국전쟁을 전후해서 창립된 통일교는 한국전쟁의 현장에서 직접 고난과 역경을 체험하면서 직접 많은 영향을 받았다. 여타의 신종교와 같이 한국전쟁이라는 고난의 현장 속에서 재난증후군의 영향을 받게 된다. 그리하여 통일교의 교리 가운데는 선민사상과 메시아의 대망사상 그리고 천년왕국사상 등이 포함되어 있다. 물론 재난증후군을 통해서만 이러한 특징들이 생겨난 것은 아니지만 일정 부분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한국전쟁은 동족간의 비극적인 사건으로서 엄청난 인적, 물적 손실을 가져다 준 가슴 아픈 사건이다. 그러나 본 논문은 이러한 전제 속에서 한민족이 세계의 선민으로서 이 땅에 메시아를 맞이하기 위한 탕감복귀섭리의 관점으로 한국전쟁을 새롭게 이해하고 인식하려고 한다. This essay explains the cause of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from the viewpoint of three sides. First is the left-side spectrum lays its view on the North Korea`s invasion of South Korea. Second is the right-side spectrum that stresses the view on the World Strategy as the cause of the Korean War. This is a viewpoint that Stalin had willingly controlled the invasion of South Korea and planned the solidity of Soviet Union, China, and North Korea. The last is the mid-point spectrum of the view toward the Rollback Strategy. It`s a theory that America entered into war to prevent Soviet Union`s Rollback Strategy from realizing. Furthermore,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r on the formation of new religions can be summed in a few key points such as the eruption of national and historical disaster syndrome, the coming of anticommunism by the Protestantism, and the emergence of spiritual movement and new religions based on the Christianity. Lastly, the effect of the Korean War on the formation of the Unificationism is that after the war it endured many hardships first hand similar to other new religions that were influenced by the disaster syndrome. In its doctrine, there is an idea for the chosen people, the belief of waiting for the Messiah, the belief of the millennial kingdom, and the nationalism sentiment. Although these elements do not always happen through the disaster syndrome,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disaster syndrome had partial effects. The Korean War was a tragic event of a fight between the people of the same nation that had resulted in a mass casualty of both humans and resources. But this essay has a motive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war as the indemnity of foundation for restoration and the preparation for Koreans as the chosen people to greet the Messiah.

      • KCI등재

        한국창가학회(KSGI)와 국제창가학회(SGI)의 평화주의에 대한 비교연구 -종교유형론적 관점에서-

        유광석 한국신종교학회 2022 신종교연구 Vol.46 No.-

        While existing studies of religious pacifism excluded the typological perspective on religions, the paper tries to make clear certain sectarian characteristics inherent in a ‘sectarian pacifism’, noting that they should be understood differently from the pacifism of established churches. In particular, despite the ideological and practical orientation of SGI peace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focus more on understanding sectarian specifications of KSGI that are bound to reflect the Korean context rather than SGI pacifism itself. Theoretically, the supply-side and demand-side aspects of Korean religious market are examined together to consider KSGI pacifism as a religious good, and further compare KSGI with the pacifism of Christian sect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an increasing membership of KSGI, the paper also pays attention to social differences between KSGI and SGIs in USA, UK, and Australia. In conclusion, through the theoretical interpretation of sectarian pacifism, the paper argues that it is an essentially religious act that cannot be simplified into a political act or a social movement. 논문은 종교평화주의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이 종교유형론적 관점과 특성을 배제 한 것과 달리, 종교유형론적 관점에서 ‘종파적 평화주의(sectarian pacifism)’라는 개 념으로 종파적 유형에서 두드러진 현상적 특징에 주목하여 그것이 한국창가학회와 국제창가학회에 의해 어떻게 그리고 왜 다르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특히, 국제창가학회(SGI)가 추구하는 국제주의, 시민운동, 현세주의 및 인간중심주 의적 평화주의가 한국창가학회(KSGI) 평화활동의 이념적 및 실천적 지향점임에도 불구하고, 종교유형론적 관점에서는 평화주의 그 자체보다 한국적 맥락을 반영한 KSGI의 종파적 특수성을 더 중점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론적으 로는 종교재(宗敎財)로서 KSGI의 평화주의를 고찰하기 위해 종교시장의 공급 측면 과 수요 측면을 함께 검토하였고, 비교분석을 위해 미국, 영국, 호주의 창가학회, 여호와의 증인들 및 메노나이트와 같은 기독교종파들의 평화주의를 개괄적으로 검토 하였다. 결론적으로 논문은 창가학회의 평화주의에 대한 종교유형론적 비교분석에 근거하여 적어도 한국에서는 정치행위나 시민운동으로 발전하지 못한 한국창가학회 의 사회적 특수성에 대한 종교유형론적 접근의 중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 KCI등재

        신종교의 다문화가정시대의 도래에 따른 대응 -통일교의 재한 일본인 부인 가정을 중심으로-

        김계정 한국신종교학회 2011 신종교연구 Vol.24 No.-

        Korea has become a multi-cultural society irrespective of its desire to become such. Issues of foreign workers and multicultural families have become important topics in academia. Although there have been some studies on marriages with immigrants from undeveloped or developing countries, few studies have examined marriages with immigrants from developed countries. Since 1980, the Unification Church has held multi-national mass-weddings which have produced numerous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these families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from academics and research on this trend is lacking. This study explores issues of multicultural families, how Korea deal with these issues, how different religions cope with them, and how the Unification Church responds to these issues, aiming to provide optimal ways of coping with them.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explores reasons why the Unification Church continues to hold multinational mass weddings producing multicultural families focusing on Japanese immigrant wives, given the large number of Japanese immigrant wives in Korea through the Unification Church’s mass weddings and the uniqueness of their origin from a developed country. This study explores the current issues of Japanese immigrant wives and their efforts to adapt to Korean society. This study’s findings suggest that multicultural families constituting a Korean husband and Japanese wife through the Unification Church’s mass weddings have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were married through general match-making services. The quality of marriage and the level of marriage satisfaction were very different; many wives from undeveloped countries using match-making services seem to sell themselves to resolve money problems and so were treated almost as slaves in their Korean households. Although this study did not conduct any empirical research,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s regarding issues of multinational marriage including marriage satisfaction provided strong evidence for these findings. Japanese wives in Korea who were married through the Unification Church were offered support programs from the Unification Church and they actively try to adapt to Korean society. Their experience can be described as becoming a unified family through their sincere belief in God, and building their own community by helping each other. This unique way of adapting may not be explained by the government’s immigration policy such as its assimilation policy, mosaic policy, or melting-pot policy. This study provides an in-depth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families, focusing on Japanese marriage immigrants who have learned how to live and integrate themselves into Korean society. This stud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given that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this topic. It is expected that this exploratory study will provide a basic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on this topic. 의도적이든 비의도적이든 한국에도 다문화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그러니 다문화시대의 도래에 따라 외국인 이주근로자나 다문화가정에 대한 연구가 여러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그간 주로 아시아권의 개발도상국 출신 결혼이민자에 대한 연구는 많으나, 선진국출신 결혼이민자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특히 1980년대 이후 수차례의 국제합동결혼식을 통해 다문화가정을 형성하여온 통일교의 일본인 결혼이민자에 대한 본격적인 학술적 연구는 아직 찾아보지 못했다. 이러한 연구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문화가정의 이해, 다문화가정시대의 도래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대응과, 한국 종교계의 다문화가정에 대한 대응, 신종교 중 통일교의 다문화가정 형성과 다문화가정시대의 도래에 대한 대응 순으로 글을 전개하며 적절한 대응책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한국내 다문화 사회 형성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고 그로 인해 국내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의 수도 적지 않은 통일교에서는 왜 국제합동축복결혼식을 계속 실시하여 다문화가정을 양산하는가? 국제합동축복결혼식을 통해 한국인 남편을 만나 한국에 와서 살고 있는 축복결혼 이주여성 중 국적별로 보아 그 수가 가장 많고, 경제적인 면에서 한국에 비해 선진국인 일본 출신 부인들로 구성된 한국 내 다문화가정의 실태는 어떠하며 그들은 한국사회에 적응하기 위하여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한국인 남편과 일본인 처로 구성된 다문화 가정은 지방자치단체나 상업적 목적의 결혼중매업소를 통하여 한국에 와서 사는 다문화가정과는 여러 면에서 다른 점을 볼 수 있다. 통일교로 인하여 형성된 일본인 부인 다문화가정은 돈으로 팔려오다시피 하여 한국에 와서 반 노예취급을 당하는 경우가 많은 아내들의 가정생활을 감내하여야 하는 일부 이주결혼여성과는 삶의 질과 결혼만족도가 다르다고 생각한다. 본고에서 그 차이에 대한 실증적 분석은 실시하지 아니하였으나 기존 연구문헌들에 나타난 결혼만족도등을 비교하여볼 때 그렇다는 잠정적 결론을 내릴 수 있다고 본다. 통일교 본부의 강력한 지원도 있고 그들 스스로도 한국사회에 적응하며 살아갈 자구책을 만들어 실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그간 다문화가정에 많은 연구 중에서 실제로 상당수의 결혼이주일본여성이 그들 나름의 독특한 방법으로 한국에서 생활하고 있으나 연구자의 관심을 적게 받아왔던 분야에 대하여 연구를 하였다.

      • KCI등재

        일본 법화계(法華系) 신종교의 한국 전파와 교의(敎義) -국내 본문불립종,영우회,입정교성회의 포교활동과 교의-

        윤기엽 ( Ki Yeop Yoon ) 한국신종교학회 2012 신종교연구 Vol.26 No.-

        본고는 현재 국내에서 활동 중인 일본 법화계(法華系) 신종교의 교단 중 본문불립종(本門佛立宗), 영우회(靈友會), 입정교성회(立正僑成會)의 포교활동과 교의를 고찰한 글이다. 이들의 교세(敎勢)는 한국 창가학회(한국SGI)와 같은 교단에 비하면 매우 미미한 편이나, 일찍 한국 땅에 전파되어 현재까지 존속해 오며 일본계 신종교가 갖고 있는 여러 가지 특징들을 보여주고 있어서 주목할 만하다. 본문불립종은 한국에 전파된 지 100년의 긴 역사를 갖고 있고, 영우회와 입정교성회는 재가주의(在家主義) 불교를 지향하며 이곳에 정착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다. 본문불립종은 1910년 국내에 들어와 학송사(鶴松寺)를 중심으로 포교 활동을 시작하였고, 현재 본산인 학송사와 서울의 신청사가 그 맥을 잇고 있다. 본문불립종은 사찰을 운영하고 신도를 지도하는 교무(敎務)를 두고 있으며 현증이익(現證利益)을 강조하고 있다. 영우회는 1960년대에 제주도 포교를 시작하여 부산, 서울·경기 지역까지 확대해 갔지만, 현재 부산본부 ``영우회 인너트립(inner trip)센타``가 그 맥을 잇고 있다. 또 입정교성회는 1979년 한국연락소를 설치하며 포교를 시작해 서울 한남동 교회를 중심으로 활동하였고, 부산지부를 운영해 오고 있다. 국내의 영우회와 입정교성회는 모두 재가주의(在家主義) 불교를 지향하며 개인의 생활 속에서 부처의 가르침을 실천할 것을 강조하고 회원들의 선조공양(先祖供養)을 중요시한다. 현재 한국 본문불립종, 영우회, 입정교성회가 처한 내외적 상황은 매우 열악한 상태로서 이들의 미래는 밝지 않다. 이들이 추구하는 『법화경』의 이상세계 실현을 위한 보다 구체적이고 혁신적인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This research looked into the propagation and doctrine of Honmon Butsuryushu(本門佛立宗), Reiyukai(靈友會), Rissho Kosei-kai(立正僑成會) among the Japanese new religions for the Lotus-Sutra group in Korea. Though their total number is slight in comparison with the Korea Soka Gakkai International(韓國SGI) now in Korea, they deserve to be researched because of the long history of propagation and the several characteristics of Japanese new religions. The propagation history of the Honmon Butsuryushu is 100 years old, and the Reiyuka, Rissho Kosei-kai have tried to plant their roots in Korea since they arrived in Korea. Honmon Butsuryushu came into Korea in 1910, and its Haksongsa(鶴松寺) took the lead in the propagation since then. Now Haksongsa and Shinchungsa(新淸寺) is keeping Korean Honmon Butsuryushu in existence. In the Honmon Butsuryushu, koymu(敎務) or priest has run temples and led their members, and the earthly profit have been emphasized. Starting the propagation in Jaeju province, 1960s, Reiyukai expanded propagating area in Seoul and Kyoungki province, but only ``Reiyukai inner trip center`` in Pusan keeps maintaining Korean Reiyukai`s existence now. Founding its liaison office in Seoul, 1979, Rissho Kosei-kai started missionary work in Seoul, and a Buddhist seminary in Hannamdohg of Seoul has been the lead in the propagation with managing its Busan branch. Reiyukai and Rissho Kosei-kai in Korea, which has pointed to Buddhism with focus on general believers, has put emphasis on practicing Buddha`s teaching in their daily lives and regarded their taking care of ancestors very highly. Because now they come to inferior circumstances inside and out, they don`t hold a bright future in developing their religious order. At this point, they have to lay out concrete and innovative plans in order to realize the ideal world of Lotus Sutra which they have been pur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