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위탁급식 종사원의 동료관계가 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경수,이정탁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6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1 No.2

        본 연구는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종사원들의 동료관계가 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영양사, 조리사, 조리원들을 대상으로 동료관계와 생활의 질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의 주 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종사원의 생 활의 질 33개 문항을 요인분석 실시하여 위탁급식운영 병원 급식종사원들의 생활의 질은 직원몰입, 직무조절, 직무환경, 가정-일 관계, 직원 및 경력만족으로 총 5개 요인으로 구분 되었다.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7개 요인으로 제시되었으나 직 원몰입(Employee engagement)과 직무조절(Control at work) 의 문항이 같은 성분으로 구분되었으며, 직무환경(Working condition)과 직업 및 경력만족(Job and Career satisfaction) 이 같은 성분으로 구분되었다. 병원위탁급식 종사원들의 동 료관계에 관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 9문항 중 협력 적인 동료관계와 경쟁적인 동료관계로 분류되었다.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종사원들의 동료관계가 생활의 질 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협력적 동료관계가 직원몰입 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동료관계가 직무스트레 스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협력적인 동료관계가 직무스 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관계가 가정-일 관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협력적인 동 료관계가 직무환경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협 력적인 동료관계를 통해 생성된 심리적 안전감이 직무환경 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동료관계가 일반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협력적인 동료관계 가 일반적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종사원의 직군별(영양사, 조리사, 조리원)로 동료관계가 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본 연구는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종사원들의 동료관계가 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영양사, 조리사, 조리원들을 대상으로 동료관계와 생활의 질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의 주 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종사원의 생 활의 질 33개 문항을 요인분석 실시하여 위탁급식운영 병원 급식종사원들의 생활의 질은 직원몰입, 직무조절, 직무환경, 가정-일 관계, 직원 및 경력만족으로 총 5개 요인으로 구분 되었다.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7개 요인으로 제시되었으나 직 원몰입(Employee engagement)과 직무조절(Control at work) 의 문항이 같은 성분으로 구분되었으며, 직무환경(Working condition)과 직업 및 경력만족(Job and Career satisfaction) 이 같은 성분으로 구분되었다. 병원위탁급식 종사원들의 동 료관계에 관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 9문항 중 협력 적인 동료관계와 경쟁적인 동료관계로 분류되었다.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종사원들의 동료관계가 생활의 질 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협력적 동료관계가 직원몰입 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동료관계가 직무스트레 스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협력적인 동료관계가 직무스 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관계가 가정-일 관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협력적인 동 료관계가 직무환경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협 력적인 동료관계를 통해 생성된 심리적 안전감이 직무환경 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동료관계가 일반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협력적인 동료관계 가 일반적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종사원의 직군별(영양사, 조리사, 조리원)로 동료관계가 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 This study examined co-worker relationship on of life between employees of contract foodservice in general hospital. Contract foodservice managed general hospitals surveyed from 1 October 2015 to 31 October 2015. A total of 230 questionnaires (cook-30 questionnaires, nutritionist-50 questionnaires, cook’s helper-1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7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study. As a result, the quality of life of employees contract foodservice general hospital was composed of sub-factors (employee engagement, stress at work, home-work interface, working condition, general well-being). co-worker relationship was composed of sub-factors (cooperative co-worker relationship, competitive co-worker relationship).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nd significant results were shown. ooperative co-worker relationship had an effect on employee engagement, stress at work, working condition and general well-being. competitive co-worker relationship.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 전통식문화 인식 및 교육방안

        강윤주 ( Yoon Joo Kang ),정희선 ( Hee Sun Jeong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3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28 No.3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전통식문화 이해를 돕기 위해 필요한 교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다문화가정을 이루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의 설문을 통해 전통행사 및 전통음식에 대한인식과 선호, 전통 식문화 교육 경험과 교육 방안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우리나라 전통행사 가운데 인식도에서는 설(2.82점), 추석(2.75점)순으로 나타났고, 선호도에서는 삼복(2.57점), 추석(2.56점) 순으로 나타났다. 설날, 정월대보름, 삼복, 추석, 동지에 먹는 대표적인 절기 음식에 대한 인식도는 삼계탕(2.86점), 떡국(2.75점), 오곡밥(2.57점) 순이었으며, 선호도는 삼계탕(2.67점), 떡국(2.37점), 팥죽(2.30점) 순으로 나타났다.한국 전통식문화교육 경험여부는 20대에서 40.2%, 결혼기간 1년미만에서 56.3%가 교육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결혼 초기 식문화에 대한 교육지원은 아주 미흡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과거 전통 식문화교육이 식문화 이해에 도움을 주었냐는 질문에 5점 만점에 4.16점으로 교육은 꼭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육받기를 원하는 전통식문화 분야는 전통음식 조리법(53.5%), 상차림과 예절(16.5%), 전통음식 영양(15%) 순으로 조사되었고, 가장 배우고 싶은 음식으로는 생활가정 음식이 69.5%로 조사되어 일상식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적절한 교육방법으로는 강의+조리실습(48.0%), 조리실습위주(34.5%)로 대부분 실습을 통한 식문화교육을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통식문화교육을 받았거나 받을 경우 어려운 점에 대한 조사결과, 언어의 어려움, 제철식품 및 재료구분의 어려움, 전통문화 이해 부족, 조리방법의 어려움 순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교육매체로는 직접강의가 71.5%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책, 신문 등 10.5%, 인터넷9.5% 순이었다. 전통식문화 활성화 방안으로 다양한 교육 자료의 개발이 31.5%, 교육접근의 용이성 25%, 문화간 이질감해소 22%, 교육환경 개선이 21.5%로 조사되었다.다문화 지원센타 등에서 한국 문화와 관련된 상당히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결혼이주여성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시간적?공간적 제약이 많아 교육접근성이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이해하기 쉽게 작성된 이론교재 보급 및 실습을 위한 동영상을 제작하여 이들이 자주이용하는 포털에 등재시킴으로써 이용확대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맞춤형 교육 방안으로, 결혼이주여성들이 선호하는 전통음식을 우선적으로 개발 보급하고, 그들이 이러한 교육을 통해서 전통음식 조리법을 습득한다면 결혼초기 서로 다른식문화로 어려움을 겪는 다문화가정의 화합에도 일조를 할수 있을 것이다. 이밖에 본 연구에서 심도 있게 제시하지 못한 전통 식문화에 대한 맞춤형 교육 방안은 선행 연구와 더불어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awareness of traditional Korean food culture among immigrant housewives in multicultural families, with the aim of introducing educational plans suitably designed for them. Our survey shows that Korean traditional holidays most well-known to the immigrant housewives are New Year`s Day and Chusuk. Sambok and Chusuk are at the top in terms of preference. Samgyetang, Ddukguk, and Ogokbab are among the best known festive food to immigrant housewives for holidays such as New Year`s Day, Jeongwol Daeboreum, Sambok, Chusuk, and Dongji; Samgyetang is the most preferred food, followed by Ddukguk and Patjuk. In addition, a vast majority of immigrant housewives who have ever attended Korean traditional cuisine education programs found the need for such an experience, with the score of 4.16 out of 5. In addition, the survey shows the order in which the immigrant housewives want to learn: the recipe of Korean food (53.5%), followed by table setting and manners (16.5%) and then nutrition (15%). The recipe of interest for most respondents is the one concerning daily food (69.5%). And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prefer cooking practice as a desirable educational method. The difficulties that they have when attending such an educational course are usually inability to understand the language, difficulty in identifying the ingredients (seasonal), and lack of cultural understanding. The most preferred educational method is direct lecture (71.5%), followed by written materials such as books and newspaper (10.5%) and the Internet (9.5%). Finally, strategies for promoting traditional food culture are suggested as following: developing educational resources (31.5%), making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more available (25%), narrowing the cultural gap (22%), and improv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21.5%).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d diffuse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first, and then provide many immigrant housewives with a 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s. It is expected that these efforts will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cultural differences in the early stage of international marriages and eventually contribute to the harmony in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학동기 아동용 닭찜의 관능적 기호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한국식생활문화학회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5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acceptance of four kinds of dak-jjim samples in third year schoolaged children (n=100). Soy sauce, red pepper paste, Vietnam fish sauce, and star anise were applied to samples for their familiar and exotic characteristics.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amples were observed in odor, taste, and acceptance (p<0.001). Soy (Soy sauce sample), RPPaste (Red pepper paste sample), and Soy_FishS (Soy sauce and Vietnam fish sauce sample) samples scored higher than Soy_StarA (Soy sauce and star anise sample) sample.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nsities of saltiness, sweetness, and hot spicy flavor (p>0.05). Liked attributes in samples were saltiness, sweetness, chicken flavor, potato flavor, moistness of chicken, hot spicy flavor, and color. Disliked attributes in samples were hot spicy flavor, saltiness, and ginger flavor.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amples were observed in familiar intensity and willing to try again (p<0.001). Soy, RPPaste, and Soy_FishS samples scored higher than Soy_StarA sample. Panels considered taste (46%) and nutrition (45%). Higher familiar intensity of sample was associated with higher acceptance in samples. In other words, familiarity of food affects acceptance of food. Therefore, familiar ingredients such as soy sauce and chicken can be used for development of Korean menu items considering taste and nutrition with enhanced Korean food acceptance in school-aged children.

      • KCI등재

        베트남의 식문화에 관한 연구 : 어장문화와 일상식 Fermented Fish sauce Culture and Daily meal

        조후종,윤덕인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97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12 No.3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survay in the field and literature. The result were; 1. In Vietnam, They took their meal in three times a day. They have taken Nuoc mam (fish sauce) with sliced red pepper, half a lime, etc... in every day every night. Fish Sauce was prepared with small fish (generally fresh- water fish), the same amount of salt, and stored in 8 months, and made filltered fluid. It's Nuoc mam. They have gained protein sauce from it. 2. Their basic menu were composed with rice, soup, food with marine products and meat (generally pork), various vegetables, tropical fruit. 3. Food of cereals were Com Trang (white rice), Pho (rice noodle), Chao (rice gruel), Banh Trang (rice paper), Banh mi (bread) etc... Food of meat were Ho sua, Banh bao chien (barbecued little pork), Suon Nuon (grilled pork), Cha Lua (sausage of pork) etc..., Thit bo nhung (grilled beef), Dog meat, Chicken, Duck, Frog. Food of fish were generally fresh-water fish, Ca Chien (grilled fish), Canh chua (soup with sour taste), Ca chem chung (steamed fish with fragrant vegetable), Lobster, Crab, Oyster, Cuttlefish, Shellfish, etc... Food of vegetables were Doa Hanh (Kimchi with a welsh onion), Rau xao hon hop (roasted vegetables), Goi Tom (salad), Canh he dau hu (soup) etc..., and They took much food of trophical fruit, Tra (Tea), Coffee, Lua Moi (distilled liquor). 4. For example, Their Daily meal were composed of Sup Bong Ca (Soup), Heo Sua, Banh Bao Chien (barbecued little Pork), Top Hap (steamed shrimp), Cua (steamed Crab), Luon Um (bioled a fresh-water eel), Lau Thap Cam, Hai Sam Sac Nam Dong Co, Trai Ca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급식·외식 연구주제의 확장: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의 20년간의 서지학적 재고

        한경수,이해영,신선화,채인숙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22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7 No.3

        For any research study,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er’s intended purpose, the depth of research is added, and the areaof the subject is expanded by clearly defining the scope and objective. The study was undertaken to analyze thebibliographic data of 254 papers in the field of foodservice and restaurant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DietaryCulture from 2002 to 2021. The study was divided into two periods: 2002 to 2011, and 2012 to 2021. Research topics werederived and research trends according to temporal changes were confirmed through analysis of keyword networks byperiod. In addition, analyzing the keyword network of simultaneous appearance of “foodservice” and “restaurant”, theresearch topic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relation to which keywords were expanded by period. Our analysis revealedthat the research topics were mostly studied for satisfaction and nutrition. Additionally, they were classified into procurement,Korean food before employee menu, marketing, restaurant industry, and quality. In the period from 2002 to 2011, it wasconfirmed that studies encompassed a wide range of research topics, focusing on foodservice and restaurant; in the secondperiod from 2012 to 2021, the research topics were more classified and subdivided.

      • KCI등재
      • KCI등재

        일본신찬을 통한 한국고대식의 추정연구 : 담산신사(談山神社)가길제(嘉吉祭)백미어식(2)

        김천호,Kentaro Kaneko,Takeshi Sumino,Takashi Kaneda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93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8 No.2

        談山神社의 前身은 한반도로부터 일본으로 佛敎전래 이후 佛敎文化가 번성하던 7세기에 건립된 妙樂寺이다. 近世에 들어와서 국가적인 廢佛毁釋으로 神社로 바뀌었으므로 古代로부터의 1200년간 절의 佛供양식이 그대로 답습되어 전승되어 왔다. 神饌이라고 하나 실제로는 古代佛敎文化의 원형이라고 볼 수 있다. 문화의 교류가 빈번했던 한국고대의 식문화를 연구하는데 참고가 되리라 본다. 1) 高排 음식의 형태는 本神社와 同時代 同系統의 春日大社나 法隆寺 등 古代의 절이나 神社에 남아 있어서 현존하는 한국 고배차림과 상통하는 점을 뚜렷이 볼 수 있다. 단지 일본은 현재로는 死者나 神에게 대한 제사에만 남아 있다는 점이 한국은 경사스런 행사에도 널리 쓰여지고 있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또 한가지는 本神社의 고배형태가 단순한 圓柱型에서상부가 지붕 같이 넓어지는 형태로 변형된 것이다. 그리고 한반도의 고배음식은 실제로 행사가 끝나면 나누어 먹을 수 있는 음식인데 비해 「百味御食」은 형태만을 화려하게 만든 상징적인 것이다. 이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외관상의 모양만을 만든 것이라 보고 神人供食의 사상으로 볼 때 古代에는 먹을 수 있는 음식이였을 것이다. 현재 한국의 고배음식은 원래 불교, 도교, 유교, 샤마니즘 등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보아 인도와 중국에 근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뒷바침이 될만한 것이 없어서 앞으로 뿌리와 유래 그리고 변천과정 등을 조사해야 할 것이다. 2) 고배음식 위의 장식은 고추나 꽈리 등의 열매를 竹串(대나무 꽂이)에 꽂아서 더욱 화려하게 만든 점이 특징이다. 이는 李朝시대 궁중연회행사에서 고배음식에 床花로 꽂는데 까지의 발전과정에서 극히 시초단계의 형태로 본다. 생열매나 꽃이 보였고 다음이 떡으로 새나 꽃모양을 만들어 장식했고(사진 10) 그 다음이 계절과 관계없이 실크나 종이로 造花를 만들어 화려하게 장식했다. 3) 和稻의 紋樣은 매년 다르나 卍型은 필히 포함시키고 나머지는 다양한 종류중에서 선택한 것으로 보아 문양이 고대로부터 다양하게 발전했었음을 알 수 있고 卍자를 필히 넣는 것은 本神社가 절이였고 절형식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음을 증명해 준다. 4) 荒稻 本 제사에서는 현재의 벼보다 대가 수십센치나 긴 黑, 白, 赤 등 3종류의 古代米를 쓰고 있다. 赤米와 黑米는 玄米의 일종으로서 品種과 系統에 따라서 種皮의 색이 赤色系는 赤米, 黑紫色인 것을 黑米로 칭하여 사용했다. 白米는 현재의 도정된 쌀이라고 본다. 이도 원래는 대가 긴 古代米였다. 春日大社 제사에도 黑米飯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현재의 개량된 쌀이 되기 이전의 형태는 물론 최초에는 현미를 식용했던 점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 술이 달린 벼의 대를 그대로 장식한 것이 특이하다. 이는 쌀을 귀중한 식량으로 꼽았던 것으로 본다. 5) 果實御供의 과일은 각종 야생열매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현재 우리가 식용하지 않는 과일, 채소, 구근류가 보인다. 古代食用식물의 재연구조사가 필요하다. 6) 古代제사나 현재 고배음식에서 보이는 五色은 五行說에 근거를 두나 古代 신앙부터 다수의 종교의 부합적인 사상에 의하여 형성된 것으로 본다. The predeccessor of Danjanjinja was Myorak temple which is built in the 7th century. At that age, the Buddhist culture of Japan had highly prospected by transmitting Buddhism to Japan from Han peninsular On the other hand, the private god of Fujiwara family in Danjanjinja is Uchigami which is one of typical Japanese popular belief like Dangshin of Korean's. Through these historical background, it could by presumed that the Kakitsisai might be the original form of Korean Buddhist sacrificial offerings from ancient age. So this study on Kakitsisai what had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bout for 1300 years help us to study and estimate the ancient dietary culture of Korean and Japanese. 1. Kakitsisai performed high filling method in the sacrificial offerings like Kasuga, Horyuji and Korea. 2. The patterns and colors of high filling offerings are various in Korea and Japan. 3. They used unpolished rice by ancient rice, and called red and black one. We can guess both of countries ate unpolished rice at that age. 4. They used many kind of ancient wild fruits and vegetables. We could recognize what the ancients had eaten the fo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