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은유추출기법을 이용한 편의점내 식음공간 연출

        노연아(Noh, Yeon-Ah),한경수(Han, Kyung-Soo) 한국식공간학회 2021 식공간연구 Vol.16 No.1

        연구의 목적은 편의점 공간 변화를 인지하여 편의점내 식음공간 구성요소를 도출, 소비자 가치관 변화에 따른 소비패턴을 파악한 차별화된 식음공간 연출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소비자 잠재된 내면심리를 파악할 수 있는 은유추출기법을 이용하였다. 연구도구로 소비자의 편의점 공간 인식을 파악하였고 문헌고찰과 심층면접을 통해 편의점내 식음공간 구성항목을 도출, 내용요소를 분석하였다. 면접대상은 통계자료에 의해 편의점 공간 주 이용고객 25세에서 35세 12인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소비자들이 인식한 편의점 공간 최종개념은 이용이 자유로운 휴식처와 같은 공간으로 판명되었다. 도출된 편의점내 식음공간 영역별 구성은 도입부 영역, 중심부 영역, 서비스 영역이었다. 도입부 영역은 입구, 카운터, 물품진열대로 상품구입 후 식음공간 가기 전까지이다. 중심부 영역은 섭취공간으로 소비자의 니즈에 따라 1) 개성적인 식음공간 2) 오락적 식음공간 3) 상업적 식음공간으로 구별하였고 서비스 영역은 간편식 섭취를 위한 부가기능을 행할 수 있는 공간을 말한다. 편의점은 판매공간과 식음공간이 공존하지만 식음공간은 판매식품 필요성에 따라 형성된 영역이다. 따라서 단순 공간 분리가 아닌 소비자 식사를 위하여 마련한 식음공간임을 인식한 공간연출 계획이 필요하다. 결론에서 식음공간 연출을 제시하고 학문의 발전과 실무적 연구 방향,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fferentiated displays of dining space that reflects consumer’s changed consumption pattern based on new space composition in conveniece store(CVS). Zaltan Metaphor-Elicitation Technique that allows us to identify the inner psychology of consumers, was employed as methodology. How consumers perceive CVS was examined as its study instrument and the composition items of dining space derived from its literature reviews and in-depth interviews and then their content elements were analyzed. Interviewees were 12 CVS users aged from 25 to 35, who are major main consumers according to statistical data. Consumers’ ultimate CVS perception turned out to be a space for freedom and rest. The dining space consists of entrance, main, and service area. The entrance area includes entrance, counter, and display stand before consumers reach the dining space. The main area is a place where intake occurs and is classified into 1,differentiated dining space, 2,entertaining dining space, and 3,commercial dining space. The service area is a space for additional function. CVS has both selling and dining space, and the latter is created by food consumption. In other words, CVS needs space display plan for meals, not simple space separation. The dining space display is shown and academic development, direction for its further practical study, and its limitations are suggested in the conclusion.

      • KCI등재

        내용분석을 통한 식공간 연출 연구 동향

        박반야(Park, Ban-Ya),이지은(Lee, Ji Eun) 한국식공간학회 2016 식공간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식공간연구]의 연구현황을 분석함으로써 그 동안의 [식공간연구]의 주제 및 연구 방법과 대상들을 살펴보고, 식공간 연출 새로운 시장의 영역확장에 대해 재검토함으로써 (사)한국식공간학회 뿐만 아니라 연구 발전에 기여 하고자 하였다. Excel을 이용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총 10년의 기간을 2년씩 분류하였다. 각 연구들의 키워드를 바탕으로 유목을 분류하였으며, 각 유목의 기준점을 정의 하였다. 내용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 번째, [식공간연구] 주제 물리적 환경, 문화·고서 와 소비자행동 부분이 꾸준히 연구되어 지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교육과 식품 관련 주제들이 뒤를 이었음 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연구대상을 살펴보면, 음식점과 음식은 꾸준히 연구되어지는 대상이며, 소비채널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임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설문대상은 소비자가 37편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네 번째로 연구자의 수는 1인이 54편으로 제일 높게 나타났다. 다섯 번째, 연구자의 소속시관의 경우, 학계에 소속된 연구자와 업계에 소속된 연구자가 공동을 참가한 경우도 점차 증가 하였다. 여섯 번째, 연구의 형식은 질적연구보다 양적연구의 형식의 비율이 높았으며, 분석방법은 빈도/기술 통계분석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통계분석방법 수의 경우 시기가 지날수록 한 가지 보다는 3개에서 4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f dining space creation management study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research development of The Table & Food Coordinate of Korea. Analysing dining space creating management study’s subjects, methods and objects of researches will help to reexamine a new field of markets and studies. By using Excel, frequency analysis was done and 10-year period was classified by two years. Based on each article’s keyword, categorical data was classified and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s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ntent analysis, research subjects about physical evidences, culture/ antique books and customer behavior were steadily studied. Education and food were the next. Second was about research view points. Restaurants and food were consistently studied and studying about consumption channel had increased. Third was about questionnaire and survey targets. Consumer was seen as frequently as in 37 articles. Forth was about the number of researchers. 54 articles were studies by single researcher. Fifth, collaborative researches between academia and business were on the rise. Sixth, quantitative research articles’ proportion was higher than that of qualitative ones. It is also found that three to four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were used over time instead of one method.

      • KCI등재후보

        맛집의 식공간 연출 특성이 브랜드 이미지 제고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진희(Kang, Jin-Hee) 한국식공간학회 2017 식공간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effect of the dining space styling characteristics of the Matjip (a nice/popular restaurant) on brand image enhancement and repurchase intention using linea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SPSS. Recent trends show that more consumers are purchasing a food product of the Matjip experience. As a result, research model was verified showing that symbolic, cleanliness, aesthetic and convenience attributes, the sub-factors in the dining space styling of the Matjip,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rand image enhancement and repurchase intention. Consumers main awareness of the spatial rendering characteristics of the dining space styling is concerned with the history, tradition and local culture of the Matjip, the menu items and the hygiene of the provided space, the harmony of the atmosphere and space to match the concept and the relaxing arrangement of the chairs and tables for convenience to the user. To summarize the result of this study, foodservice companies recently increase trying to meet such needs and wants that consumers have to seek for more diverse experiences. Establishing the physical environment of Matjips and studying its effects would help those companies survive and make a sustainable growth, which are benefits to both the management of the food service companies and consumers.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다시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 맛집의 식공간 연출 특성이 브랜드 이미지 제고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SPSS의 다중회귀분석을사용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맛집의 식공간 연출 특성의 하위요인인 상징성, 청결성, 심미성, 편의성은 맛집에 대한 브랜드 이미지 제고와 재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맛집에 대한 브랜드 이미지 제고는 재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맛집의 식공간 연출 특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주된 인식은 맛집의 역사와 전통 및 지역 문화에 관심이 있으며, 제공되는 메뉴상품과 식공간의 위생, 콘셉트와 어울리는 분위기와 공간의 조화 및 의자와 테이블의 여유로운 배치를 통한 편의성 등에 관심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공간 연출을 통한 브랜드 이미지 제고의 가능성과 이를 통한 재구매의도의 유인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최근 다시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맛집의 물리적 환경을 구성하는 식공간 연출은 다양한 경험을 추구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니즈와 요구에 부응하는 외식기업만이 외식시장에서 생존은 물론 지속적인 성장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외식산업 경영자는 물론 소비자 모두에게 유익한 정(+)의 영향을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도되었다.

      • KCI등재

        한국식 전통 타락 아이스크림의 품질 특성

        김양숙,권오균,정태철 한국식공간학회 2022 식공간연구 Vol.17 No.2

        타락 아이스크림의 품질특성에 대한 본 연구의 목적은 사람들 사이에서 한국의 디저트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전통 음식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개선하며, 점차로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이다. 우유베이스와 타락베이스의 함유량을 다르게 제조하여 이를 토대로 관능적 최적화 실험을 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타락 아이스크림의 최적 제조조건을 산출하였다. 타락 아이스크림의 최적 배합비율을 도출하기 위하여 타락 아이스크림의 품질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 우유베이스와 타락베이스 2가지를 선정하고 관능평가 항목은 고소한 맛, 향, 단맛, 질감을 설정하여 최적 레시피를 도출하였다. 타락아이스크림의 이화학적 특성에서 pH, Brix, 색도를 측정한 결과 pH는 우유베이스가 많아질 수록 pH가 높아졌으며 타락베이스 양이 늘어날수록 pH는 낮아졌다. 명도는 우유베이스가 많아질수록 높아지고 타락베이스가 많아질수록 낮아졌다. 적색도와 황색도는 우유베이스가 많아질수록 소폭 낮아졌고, 타락베이스가 많아질수록 높아졌다. 본 연구를 통해 타락과 아이스크림에 대한 국내연구에 기틀이 되어 전통과 현대의 조합을 할 수 있는 디저트 연구의 토대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식물장식을 이용한 식공간 연출에 대한 외식고객의 선호도-만족도 연구

        김민호(Kim, Min-Ho),정유화(Jeong, Yu-Hwa),나정기(Na, Jung-Ki) 한국식공간학회 2018 식공간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식물장식을 이용한 식공간의 선호도-만족도로 분석하고 파악함으로써, 이용자의 만족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문헌적 조사 방법은 선행 연구 및 관련 학위 논문 및 서적을 통하여 식물장식 및 식공간 연출 기본개념과 선호도와 만족도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실증조사 분석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 하였다. 빈도분석 실시하였고, t-test를 이용하여 선호도-만족도 간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물장식을 활용한 외식업체를 방문하는 고객은 여성이며 30대의 직장인이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업체의 규모와 공간 등을 고려하여 시각적으로 선호하는 식물장식의 이미지와 식물장식의 효과인 정서적, 환경적, 미학적인 기능성과 더불어 고객의 특성을 분석하여 고객의 욕구에 부합되는 공간을 구성하고 연출하여 쾌적한 식공간을 고객에게 제공해야 할 것 이다. 둘째, 선호도와 만족도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식물장식을 이용한 외식업체를 방문하는 고객의 선호도가 가장 높은 항목은 식물장식의 종류로 나타났으며, 만족도가 가장 높은 항목은 식물장식의 형태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가 선호도와 들의 만족도는 직접적인 상관 관계가 있다는 것이 증명 되었다. 그러므로 소비자들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식물장식이 필요하며,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적인 감성마케팅이 시도되고 개발 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ustomer satisfaction on dining spaces decorated with plants. The notion of the plant decoration and the dining space design, and the theoretical grounds of preference and satisfaction were give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for practical survey. Also,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were conducted to research. The major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at the main customers of the restaurants with plant decoration are females and majority of them are office workers in their thirties. Thus, it is advisable that a restaurant should analyze the preference and the emotional, environmental and esthetic functions of the plants in order to provide customers with a pleasant dining space to meet their needs. Secondly,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between the preference and the satisfaction. The item that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was the type of the plant, and the highest satisfaction was its shape. Last of all, it was proven that the customer preference is directly related to their satisfaction. Thus, it is recommended to be in customer’s position when choosing plant decorations, and a strategic, emotional marketing plan must be developed and tried.

      • KCI등재

        베트남음식레스토랑의 식공간 디자인특성분석

        응웬티응아(Nguyen,Thi Nga ),서정연(Jeong Yeon Suh) 한국식공간학회 2023 식공간연구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음식레스토랑의 조형적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베트남 식공간의 연구나 운영에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베트남 수도 하노이시와 호찌민시의 인지도와 선호도가 높은 베트남음식레스토랑 각각 5곳씩을 선정하여 방문, 조사하였다. 촬영한 사진과 선행연구, 문헌 등을 통하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오래된 소규모 단독건물 전체를 하나의 점포로 사용하기 때문에 식공간 전체를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식공간의 아이덴티티 구축에 유리하다. 또한 휴먼스케일적 도시건물규모를 유지하므로 친근한 이미지를 준다. (2) 점포가 보통 1층부터 사용하기 때문에 진입공간의 구성, 윗층과의 개방을 통한 중정 등으로 보다 유동적인 매장공간을 구성할 수 있으며, 관광객 등 보행자에게 직접적인 소구가 가능하다. (3) 베란다, 테라스, 포치, 옥외중정 등 다양한 매개공간을 통해 주변환경과 소통할 수 있는 공간적 경험을 제공하며, 외부에서 식공간이용자가 직접 보이므로 호감을 준다. (4) 철근콘크리트구조를 보편적으로 사용하였으나 이와 더불어 수공예적 요소가 곳곳에 건축부자재로 사용되어 면과 선, 현대와 전통 간의 대비와 조화를 잘 보여준다. 이상과 같은 디자인적 특성은 베트남 특유의 문화와 역사적 환경이 빚어낸 고유한 속성이다. 이를 모두 보편화하여 개별 식공간에 적용할 수는 없으나, 요소별로 지향하는 가치는 식공간기획이나 연구에 있어 충분히 고민해 볼 가치가 있다. 근래에는 우리나라에서도 베트남음식점이 증가하는 추세인데,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베트남의 음식뿐 아니라 베트남의 정체성을 충분히 보여줄 수 있는 우수한 식공간이 많이 만들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Vietnamese restaurants and provide information and knowledge necessary for the research and operation of Vietnamese food spaces. For this research purpose, 10 Vietnamese restaurants with high awareness and preference in Hanoi and Ho Chi Minh City were selected, visited, and investigated. Th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photographs taken,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Since the old small urban building is used as a single store, it is likely that the entire interior space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2) Since the store usually uses the first floor, it is possible to form a more flexible store space by configuring the entry space and opening it with the upper floor. (3) It provides a spatial experience to communicate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rough various mediation spaces such as verandas, terraces, porches, and outdoor courts. (4) Although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are commonly used, handcrafted elements are used as construction auxiliary materials everywhere, showing the modern and traditional contrast and harmony between planes and lines.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Vietnamese restaurants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reate many excellent food spaces that can fully show Vietnam's identity as well as Vietnamese food.

      • 백석 시 「국수」에 나타난 식공간 연구

        허서윤,나정기 한국식공간학회 2015 식공간연구 Vol.10 No.1

        식생활사는 우리의 흘러가는 일상을 텍스트로 형상화하는 문학 세계에서 인간의 욕망과 이상, 사회, 문화를 담아내는 유용한 도구가 되어왔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전문학에서부터 동시대문학에 이르기까지 등장하는 식공간에 관한 소재는 우리 민족의 생활 풍습에서부터 시대의 변화에 따른 가치관의 변화, 현대로 와서는 대중문화를 읽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그간 진행되어온 문학 작품을 통한 음식연구는 대부분 고조리서와 문헌을 통해서 음식문화사를 고증하는 것이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연구는 전통음식문화의 시대적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전통음식을 재현 하는 데에 큰 역할을 담당해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인문학적 측면에서 음식문화를 연구하고, 문학작품 속에 나타난 음식의 상징적인 의미와 표현 방식에 따라 작가의 주제의식이나 가치관, 심리를 파악하는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음식연구의 다양한 관점을 수용하여 백석의 시에 나타난 식공간 자료를 고증하고 그것을 통해 작가의 작품과 경험세계를 이해하고자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 근대 문학에서 가장 많은 음식을 소재로 한 백석의 시 중에서도 단일 음식물이 처음으로 제목으로 쓰인 「국수」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한 편의 영화와 같이 감각적 이미지로 수사되는 가족들의 평범한 식탁은 그의 시 안에서 멋의 정취를 가진 유년시절의 정겨운 세계로 생생하게 펼쳐진다. 그 공간 안에서 음식은 입의 쾌락을 위해서도 아니고 배고픔을 해결하는 생계수단도 아니라 하나의 민족의식으로 존재했다. 「국수」에 나타난 ‘평양냉면’은 백석이 태어나고 자란 고향 마을의 맛이었다. 또한 작품 외적으로 작가가 처한 시대적 상황을 살펴보면, 그 국수의 맛은 유년기를 추억하게 하는 동시에 다시는 다함께 국수를 준비하던 시절로 돌아갈 수 없음을 인지하게 하는 매개체이기도 하다. 작품 속에 드러난 식공간에 대한 서술은 당시의 깊숙한 생활정서를 함의하고 있어 시에 등장하는 국수에 대한 식문화를 고찰할 수 있었으며, 이는 음식 연구의 민속학적 측면에서 우리에게 유의미한 단서들을 제공한다. 음식에 관한 추상적 사유들을 구체적으로 기술한 문학 텍스트를 해석하는 것은 식문화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접하고 작품과 작가를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이색카페 형태와 트렌드

        노연아(Noh, Yeon-Ah),장혜진(Chang, Hea-Jin),박반야(Park, Ban-Ya) 한국식공간학회 2020 식공간연구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텍스트 마이닝 기법 및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통해 이색카페 형태와 현재 이색카페 트렌드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위해 메가트렌드 기준을 바탕으로 2010년 1월 1일–2020년 9월 30일까지 포털 순위 1위인 네이버(Naver)에서 사회적 환경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기사 데이터만 텍스톰 4.5를 통해 수집하였다. 키워드 “이색카페”에 대해 수집된 데이터는 총 2,489개이었으며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해 빈도수가 높은 200개의 단어 중 분석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121개의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주요 언어들 심도 있는 분석을 위하여 중심성을 바탕으로 중요단어와 핵심단어를 추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 핵심단어를 통해 이색카페는 복합공간으로 힐링형과 체험형의 콘셉트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2) 총 4개의 그룹이 생성되었으며 그룹 1의 추출단어는 41개로 중요단어는 총 11개이다. 그룹 2의 추출단어는 30개로 중요단어는 총 7개가 추출되었다. 그룹 3의 추출단어는 29개로 중요단어는 총 1개이며 그룹 4의 추출단어는 21개로 중요 단어는 총 7개가 추출되었다. 결과에 따른 이색카페는 소비자가 일상에서 벗어나 심리 및 육체적 안정을 위해 먹고, 마시고, 새로운 것을 경험하는 공간이며, 일상과 여유가 공존하길 원하는 니즈를 바탕으로 형성되어있었다. 현재 이색카페 소비자층은 과거에 비해 확대되고 있으므로 주요 타깃 고객층을 정확히 파악하여 그에 맞는 이색카페를 힐링형 또는 체험형 콘셉트를 정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ypes of the differentiated cafes and analyze their trends by collecting big data and using text-mining technique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For this purpose of the study, the news on Naver to help understand the social changes were collected through Textom 4.5 from January 1, 2010 to September 30, 2020. 2,489 data was collected and among 200 words with high frequency, 121 key words were extracted. For in-depth analysis, important words and key words were extracted based on centralitie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1) Differentiated cafes refer to a complex space which can be divided into a healing and experience type. (2) A total of four groups were created. The first group: 41 extractive words and 11 important words. The second group: 30 extractive words and 7 important words, the third group: 29 extractive words and 1 important word. The fourth group: 21 extractive words and 7 important words. The differentiated cafes were places where customers eat, drink and experience for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ability; moreover, it was formed based on the needs that daily life and relaxation should co-exist. Compared to the past, customer base visiting the differentiated cafes is getting bigger.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nalyse the target customers and decide on whether a healing or an experience type the cafe should be accordingly.

      • 카페 공간이미지와 배경음악에 관한 연구

        강금수(Kum-Soo Kang) 한국식공간학회 2009 식공간연구 Vol.4 No.1

        Research indicates that the presence of music in service environments modulates various facets of the transactions taking place in those environments, and is known to affect consumers' behavior. However, the effect of background music (BGM) in food service area such as a cafe on the role of making pleasant environment has not been well addresse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background music in cafes in the capital city of Korea. When considering the guests' usual behavior to avoid unpleasant environment, the better choice of BGM matched with the cafe's image and main guests' preference would be an important aspect to please the target clients and to enhance the cafe's image.

      • KCI등재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 학산 테라로사’의 마케팅믹스 7P 연구 -

        이향무 한국식공간학회 2020 식공간연구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로서 2002년부터 한국형 커피 기업으로 성장한 ㈜학산 테라로사의 마케팅믹스 전략을 분석하는 것이다. 사례연구를 위하여 문헌 고찰과 참여 관찰 방법을 병행했다. 분석 기준으로 커피전문점의 서비스 마케팅믹스 7P를 ‘상품, 가격, 촉진, 장소, 물리적 환경, 서비스 과정, 사람’으로 도출했다. 연구 결과, 테라로사의 마케팅전략은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1) 고품질의 다양한 스페셜티 커피와 핸드드립 커피, 그리고 베이커리와 음식 2) 스페셜티 커피와 핸드드립 서비스에 따른 고가 전략과 원두별 다양한 가격 전략 3) 커피 품질에 따른 입소문 마케팅과 고품격 문화마케팅 4) 다양한 장소 정체성과 매장 위치 5) 도심과 자연의 다양한 외부 이미지와 고급스러운 내부 이미지 연출 6) 해외 커피 산지 직거래로 품질 좋은 커피 유통, 국내 여러 공장을 통한 신속한 로스팅 유통망 구축, 효율적이고 소통적인 바에서 이루어지는 서비스 과정 7) 수준 높은 직원 교육과 직원 복지를 통한 바리스타의 전문성 고양과 서비스 질의 고급화이다. 결론적으로 테라로사의 성공 핵심은 ‘고급화’와 ‘다양성’으로 집약되었다. 본 연구는 실무적 시사점으로 국내 커피전문점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품질 좋은 커피, 다양한 메뉴 구성, 공간의 차별화, 직원 교육 및 복지에 강조점을 두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