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과 목표에 관한 고찰 - 20세기 말 개정된 교육과정 및 해설서를 중심으로 -

        임문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05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9 No.2

        이 연구는 20세기 말 거의 같은 시기에 개정된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그 해설서를 비교하여, 차후 한국의 교육과정과 해설서 개발에 도움을 얻기 위함이다. 첫째로, 한국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은 학문의 체계와 학습의 우열 및 발전 의지를, 일본은 수학의 일상생활에의 적용과 수학 학습의 즐거움을 중시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로, 일본의 산수과 교육과정 해설서는 한국에 비해, 교육과정의 개정에 초점을 맞추어 산수과 목표를 세분하여 구체적으로 해설하고 있다. 각 내용 영역에 대한 전체적 목표를 진술하고 학년별 내용의 관련을 표로 만들어 제시한 것은 좋은 점으로 생각된다. 끝으로, 일본은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해설서의 학년별 목표에서, 교육과정에 제시된 산수과의 목표를 일관성있게 반영하면서 큰 틀만을 개략하고 있는데. 이는 교과서 제작에서 융통성과 창작성 발휘를 기대하는 배려로 생각할 수 있다. In this study I compared Korea's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nd its handbook with Japan's curriculum and its handbook. Based on that work, I induced some suggestions which is useful to develop mathematics curriculum in the future. First, the purposes of Korea's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focused on the system of mathematics, scholastic ability and learning volition. On the other hand, Japan's curriculum concentrated on the utility of mathematics in daily life and the motive of learning mathematics. Secondly, purposes of mathematics education written in Japan's curriculum handbook, differing from Korea's, are closely divided into concrete items. Finally, purpose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each grade, written in Japan's curriculum handbook, are presented in outlined form according to general purpose of mathematics curriculum. The merit of this way is that the researcher could display flexibilities and creativities in making mathematics textbook.

      • KCI등재

        일본의 학술지를 통해 본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최근 5년간을 중심으로

        강홍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3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일본수학교육학회에서 발행하는 초등수학교육에 관한 학술지 ‘산수교육’을 통하여 학술지의 구성, 게재된 초등수학 관련 논문의 개요를 파악하여 정통적 초등수학교육 학술지인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에 시사점을 주기 위함이다.

      • KCI등재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변천 및 시대구분

        김현미,신항균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요목기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이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변화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 으로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의 시대를 구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기별 교육과정 의 총론에서 개정 배경 및 방향과 편제 및 시간 배당을 분석하였고, 초등학교 수학 과 교육과정에서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부분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지 금까지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은 기존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사회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지식, 기능, 태도 요소를 추가하면서 꾸준히 변화하는 특징을 보 였다. 따라서 앞으로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은 미래 사회에 필요한 새로운 수 학적 개념이나 기르고자 하는 수학적 능력 및 태도를 중심으로 다양한 교수학적 변환이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은 변화의 특성을 기준으로 ‘도입기(교수요목기~3차)-확립기(4차~6차)-전환기(제1: 7차, 제2: 2007 개정)-통합·안정기(2009 개정~2015 개정)’로 시대를 구분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우리나라 초등 수학교육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립하고 미래 지향 적인 교육과정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the contents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mathematics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s in Korea, and also to divide the periods of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To this end, the background, direction, organization, and time distribution of a revision were analyzed in the curriculum generals in each period.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ims, contents, methods for teaching and study, and the evaluation parts were analyzed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Until now,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has shown a characteristic that it has steadily changed by adding new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elements required by society based on the existing curriculum, while being in accordance with the backgrounds and directions of the revisions by period. Therefore,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 various pedagogical transformation centered at new mathematical concepts or mathematical abilities and attitudes to be develop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 changes, the history of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is divided into ‘introductory period(syllabus~3rd)-establishment period(4th~6th), transition periods(1: 7th, 2: 2007 revision), integration·stabilization period(2009 revision~2015 revis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the systematic establishment of the education history of Korea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and also for the development of the future-oriented curriculum.

      • KCI등재

        수학과 국가교육과정의 정의적 영역 목표 고찰

        남진영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에서는 수학과 국가교육과정에 진술되는 학교수학의 정의적 영역 목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먼저, 우리나라에서 연구된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을 정리하고, 우리나라 제1차 교육과정부터 현 교육과정까지 진술된 학교수학의 정의적 영역 목표를 분석하였다. 이어서 홍콩, 싱가포르, 핀란드의 수학과 교육과정에 진술된 정의적 영역 목표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수학과 국가교육과정의 정의적 영역 목표 진술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This study discusses on aims for affective development in national curriculum of mathematics. Firstly,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school mathematics studied in Korea are investigated. Secondly, aims for affective development in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of mathematics from the 1st curriculum to the current one are inspected. Thirdly, aims for affective development in national curriculum of Hong Kong, Singapore and Finland are researched. From the result, suggestions on the statement about aims for affective development are proposed.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연구의 동향 분석

        문소영,조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9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and knowledge structures of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by apply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To do this, we analyzed the frequency of the occurrence of keywords in the journal and conducted keyword network analysis using the Krkwic program and NodeXL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749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keyword cleansing process and 48 keywords, including mathematics curriculum, mathematics textbooks, school mathematic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 etc. appeared more than five times. Secondly,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showed that the keywords―mathematics textbooks, school mathematic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mathematical communications―have high connection centrality. Finally, we provid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본 연구에서는 키워드 네트워크를 통해 국내 초등수학교육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지인『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에 수록된 논문의 키워드를 대상으로 본 학술지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자료수집은 창간호부터 2018년까지 총 378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논문에 포함된 총 1140개의 키워드들에 대하여 Krkwic 프로그램과 NodeXL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 분석 및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빈도분석 결과 최소 5회 이상 출현하여 나타난 키워드는 48개로 수학과교육과정, 수학교과서, 학교수학, 수학문제해결, 수학영재 등이 있었다. 둘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에서 중요성이 높게 나타난 키워드는 수학교과서, 학교수학, 수학과교육과정, 수학문제해결, 수학적의사소통 등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학술지의 연구의 주요한 연구 주제어를 파악하고 연구 동향을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제언을 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연구의 동향 분석

        문소영,조진석,Moon, So Young,Cho, Jinseok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9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에서는 키워드 네트워크를 통해 국내 초등수학교육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지인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에 수록된 논문의 키워드를 대상으로 본 학술지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자료수집은 창간호부터 2018년까지 총 378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논문에 포함된 총 1140개의 키워드들에 대하여 Krkwic 프로그램과 NodeXL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 분석 및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빈도분석 결과 최소 5회 이상 출현하여 나타난 키워드는 48개로 수학과교육과정, 수학교과서, 학교수학, 수학문제해결, 수학영재 등이 있었다. 둘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에서 중요성이 높게 나타난 키워드는 수학교과서, 학교수학, 수학과교육과정, 수학문제해결, 수학적의사소통 등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학술지의 연구의 주요한 연구 주제어를 파악하고 연구 동향을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제언을 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and knowledge structures of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by apply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To do this, we analyzed the frequency of the occurrence of keywords in the journal and conducted keyword network analysis using the Krkwic program and NodeXL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749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keyword cleansing process and 48 keywords, including mathematics curriculum, mathematics textbooks, school mathematic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 etc. appeared more than five times. Secondly,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showed that the keywords-mathematics textbooks, school mathematic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mathematical communications-have high connection centrality. Finally, we provid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 국내 분과 발표 :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학교 수학 용어 변화표

        도종훈,박지현 한국수학교육학회 2013 수학교육 학술지 Vol.2013 No.2

        본고에서는 2007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용어와 기호>란의 수학 용어를 기준으로 우리나라 초, 중, 고등학교에서 사용 중이거나 사용되었던 수학 용어가 해방 이후 현재까지 어떻게 변해 왔는지 조사하여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수학 용어 변화표``의 형태로 정리하였다. 수학 용어의 조사 및 정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용어와 기호>란은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경우 제3차 교육과정에서 처음 만들어졌고, 초등학교의 경우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 처음 만들어졌다. 이런 점을 감안하여 본고에서는 교육과정 문서에 <용어와 기호>란이 있는 시기의 용어는 <용어와 기호>란에 제시된 수학 용어를 조사하여 정리하였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해당 시기에 발행된 교과서들을 직접 조사하여 그 속에 제시된 수학 용어를 조사하였다. 둘째, 이 과정에서 교과서에 제시된 수학 용어와 교육과정 문서의 <용어와 기호>란에 제시된 수학 용어가 다르거나, 같은 교육과정 시기에 발행된 교과서임에도 서로 다른 수학 용어를 사용한 경우가 있었다. 이런 경우 교과서와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용어를 모두 제시하였다. 셋째, 교육과정 문서 및 교과서에 제시된 수학 용어를 조사하기 위해 교육과정 문서 혹은 시기별 교육과정 문서를 수집한 서적(교육부, 2000; 교육인적자원부, 1997, 2007; 이중권, 2004), 해당 시기에 발행된 교과서(강명경, 1969a, 1969b; 박한식, 1968a, 1968b, 1968c, 1968d; 이성헌, 1956a, 1956b, 1956c, 1956d, 1957; 정의택, 1947a, 1947b, 1947c, 1953a, 1953b, 1956; 문교부 및 교육부에서 발행한 초등학교 셈본, 산수, 수학 교과서 등), 한국교육개발원의 사이버 교과서 박물관의 교과서 자료들을 참고하였다. 넷째, 조사한 수학 용어는 모두 5개의 표로 나누어 정리하였는데, 이는 현행 2007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초등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 시기에 해당하는 국민공통기본과정의 5개 내용 영역인 수와 연산, 문자와 식, 함수(규칙성과 문제해결), 확률과 통계, 기하(도형, 측정) 영역의 영역별 수학 용어 변화표이다. 다섯째, 각각의 표에 제시된 용어들은 가, 나, 다 순서로 정리하였다.

      • KCI등재

        3차 교육과정 시기와 7차 교육과정 시기의 중학교 수학과 교과서 비교분석

        김미순,조완영 한국수학교육학회 2018 수학교육논문집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changes to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of third mathematics curriculum period and seventh mathematics curriculum period. This study put the math curricula from the third to the sixth one in third mathematics curriculum period as those math curricula witnessed the maintenance of industrial society paradigm. And then it put the math curricula from the seventh one to current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in seventh mathematics curriculum period as the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paradigm has continued throughout those math curricula. Based on those period categories, We compared and analyzed changes of the middle school math textbooks. For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math textbooks between the two periods, this study set the unit organization system, unit goal, task type and content development approach as analysis elements in the unit of ‘Nature of Figures’ in the second grade math textbooks for middle school.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textbooks of the two periods had many changes in the unit organization system, but the unit goal, task type, and content development approach stayed in low level goals and task type that require conceptual and procedural.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사회의 패러다임이 지속되었던 제3차 수학과 교육과정부터 제6차 수학과 교육과정까지를 3차수학과 교육과정시기로, 지식기반 정보화 사회라는 패러다임이 지속되고 있는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부터 현재의2009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까지를 7차 수학과 교육과정 시기로 구분하여 두 시기의 중학교 수학과 교과서는 어떠한변화가 있는지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두 시기의 중학교 수학과 교과서 비교분석을 위하여 3차 수학과 교육과정 시기에는 제3차와 제6차 교육과정 교과서를, 7차 수학과 교육과정 시기에는 제7차와 2009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를 중학교 2학년 수학 교과서의 ‘도형의 성질 단원’의 단원 구성 체제, 목표 수준, 과제 유형, 내용 전개 방식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두시기의 교과서는 단원구성체제는 많은 변화가 있었으나 목표수준 및 과제유형, 내용전개 방식은개념적·절차적 지식을 요구하는 낮은 수준의 목표 및 과제 유형, 내용전개 방식에 머물러 있음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2009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 단원 평가의 개발 방향과 과제

        강완,서동엽,나귀수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3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7 No.2

        연구의 목적은 최근 수학 학습 평가의 동향과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평가 항목의 유의점을 구현하는 초등 수학 교과서 단원평가의 개발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서 수학 평가의 최근 동향과 현실주의 수학교육론의 평가틀을 고찰하였다. 또한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평가의 유의점을 분석적으로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수학 교과서의 단원 평가의 개발 방향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또한 정립된 방향에 따라 수학 교과서 단원평가의 예시 문항을 제시하였다. 결론부에서는 초등학교 수준에서 수학 평가와 관련된 몇 가지 과제를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