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소통학회 20주년 기념 : 한국소통학보와 게재 논문 동향 분석”

        이명선 한국소통학회 2021 한국소통학보 Vol.20 No.2

        본 연구는 한국소통학회의 20주년을 기념하는 4분야의 특별 프로젝트 중의 하나인 한국소통학보 논문 동향 분석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한국소통학회의 학술지인 한국소 통학보의 20년의 발자취를 뒤돌아보고, 현재를 인식하고 미래를 내다보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학보 20년의 거시적 시간 속에서의 논문 형태의 동향들과 게재된 논문들의 각각 의 미시적인 연구 동향 유목화를 통해서 분석하였다. 예를 들어 논문형식 자체 변화는 20년 학술지의 변화 (권 과 호), 논문 양 (한국어, 영어, 논문증가량)의 변화, 논문 투고 자 (소속대학, 개인 또는 공동 연구, 대학 외 연구기관, 외국연구기관)의 동향, 방법론 (양적 또는 질적) 동향에 관한 분석이다. 그리고 20년 362개 논문 주제들의 동향을 연 구주제어로 구분해서 분석하였다. 연구분석 방법으로는 질적 또는 양적 방법으로 분석 을 하였다. 분석의 이론적 접근으로서는 진행형 사회학의 개념을 사용했다. 그 결과로 서, 한국소통학보 20년 역사에서 학보는 학보 자체로서 지속적인 발전을 보여주면서 다 양한 연구 특히 소통과 커뮤니케이션 분야와 연관되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관한 연구를 통해 한국 사회 그리고 국제적 소통 관련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들을 의미 있는 연구를 수행해 오고 있다고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한국소통학보는 다양한 게재논 문을 통해 사회와 사람들에게 ‘확장’과 ‘다양성’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해주고 있다고 보인다.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rends in the Journal of Speech, Media and Communication Research (JSMCR), which is part of a special project to commemorate the 20th anniversary of the Korea Speech, Media & Communication Association. The study reflects on 20 years of recognizing the present and looking forward. Researchers analyzed 364 papers according to four categories based on changes to the journal, the journal registration process, research methodology, and research topics. The concept of progressive sociology was used as a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pproach for the analysis. During the 20-year history of JSMCR, the journal showed continuous development and published meaningful research on current affairs. In particular, it delivered 'expansion' and 'diversity' related to communication in society and among people through research and papers.

      • 한국형 소통 스타일 차원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박혜인,허경호 한국소통학회 2011 한국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소통 스타일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반영한 하부 차원을 제시하여, 이 개념을 측정하는 문항의 타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한국형 소통 스타일을 구성하는 하부 차원으로 격식성과 대인간 조화를 제시하고 이를 측정하는 20문항을 개발하여 구성타당도를 가지는 지 살펴보았다. 513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탐색적 인자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체면낮춤 격식성, 경청적 대인간 조화, 갈등회피적 대인간 조화의 세 개 인자가 떠 올랐으며 인자 적재치 기준을 만족하지않는 다섯 개의 문항을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열다섯 개의 문항으로 한국형 소통 스타일 하부 차원 측정 문항을 확정하였다. 이후 각 차원과 관련이 있을것으로 예상되는 체면민감성, 체면지향행동, 논쟁성향, 자기침묵, 인지욕구 변인과의 부분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동반타당도와 차별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한국형 소통 스타일을 세가지 차원으로 구성하는 것이 어느 정도 타당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소통 스타일 하부 차원을 제시함으로써 개인주의적 저맥락적 문화권인 미국에서 개발된 소통 스타일을 그대로 번역하여 국내 연구에 사용함으로써 생기는 문화적 타당성 문제 를 극복하고자 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는 나아가 한국의 의사소통 문화를 경험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는 한국적 커뮤니케이션 이론화 작업에 보탬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몇 가지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국인 유학생들의 스마트폰, 소통, 그리고 한국어 실력

        문성준,우분,신민재,서탁 한국소통학회 2020 한국소통학보 Vol.19 No.3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스마트폰에 대한 이용도가 그들의 한국 적 응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고자 서베이를 실시하여 분석했다. 과연 중국인 유 학생들이 스마트폰을 통해 한국 미디어를 이용하는 것이 한국인들과의 소통에 도움이 되고, 결국 한국어 실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스마트폰을 통해 중 국 미디어를 이용할수록, 중국인들과의 소통을 유지하여 결국 한국어 실력 향상을 저해 하는지 분석했다. 구조 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변인들 간의 직접 효과 및 간접 효과를 확인하여 중국인 유학생들이 스마트폰을 통해 한국 미디어를 이용할수록, 한국인들과의 소통이 활발해지면서, 한국어 실력이 향상되는 점을 발견했다. 동시에 중국 미디어를 이용할수록, 국내에 거주하는 중국인들과의 소통이 활발해지는 것이 발견되었으나, 그 들의 한국어 실력 하락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In order for Chinese students in Korea to test how the usage of the smart phone affects on their adaptation in Korea and their Korean skills, this study performed a survey targeting Chinese student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how the Korean mass media usage through a smart phone influenced on their interpersonal communication with Koreans, and finally affected on their Korean skills. Simultaneously, the usage of Chinese media through a smart phone urge for them to keep touching Chinese people in China and finally disturb their Korean skill development.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direct effects as well as the indirect effects among latent variables were tested. Finally, it was revealed that the more Chinese students use Korean media through smart phone, the more they tend to keep touching Koreans. It causes them to speak Korean fluently. Also it was revealed that the more Chinese students use Chinese media, the more they get along Chinese people which cause them to disturb the development of Korean skills.

      • KCI등재후보

        한국형 소통 스타일 하부 차원 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박혜인,허경호 한국소통학회 2011 한국소통학보 Vol.15 No.-

        연구는 한국인에게 독특하게 나타나는 소통 스타일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반영한 소통 스타일 측정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체면과 예로 대표되는 한국 의 소통 문화적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격식성과 대인 간 조화 차원을 소통 스 타 일의 하부 차원으로 제시하였다. 이 두 차원을 다시 세분하여 각각 자아체면 낮춤 격식성과 타자체면 높임 격식성 및 경청적 대인 간 조화와 갈등 회피적 대인 간 조화로 나누었으며, 각 각의 세부 차원을 측정할 수 있는 총 20개의 소통 행위 문항을 개발하였다. 탐색적 인자 분 석 을 통해 자아체면 낮춤 격식성, 갈등 회피적 대인 간 조화 및 경청적 대인 간 조화 차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이 세 차원이 체면지향성, 체면지향행동, 논쟁성향 및 자기침묵 변인과 갖 는 부분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동반타당도를 확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소통 스타일 하부 차원을 제시함으로써 미국에서 개발된 기존의 소 통 스타일 척도를 그대로 번역하여 국내 연구에 사용함으로써 생기는 문화적 타당성 문제를 극 복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몇 가지 한계점을 논의하고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imensions of Korean communication style and develop a new measure of Korean communication style reflecting unique Korean communicative culture. First, we examined the construct of Korean communication style. Second, we identified two major factors, formality and interpersonal harmony. The first dimension had two sub-dimensions, lowering self-face and heightening other-face. The second dimension had also two sub-dimensions, avoiding-conflict and listening. Third, we validated these dimensions of Korean communication style by relating them with other criterion variables such as sensitivity, face-oriented action, argumentativeness, self-silence, and need for cognition. We proposed one research question and six hypotheses to examine construct,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First, we created a total of 20 statements to measure the four dimensions. After conducting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 found only three dimensions. They were the lowering self-face formality, interpersonal harmony of avoiding- conflict, and interpersonal harmony of listening. Results showed that the lowering self-fac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oth of the face sensitivity and the face-oriented action. Also, the interpersonal harmony of listening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oth of the self-silence and argumentativeness. The interpersonal harmony of avoiding-conflic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silence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argumentativeness. The need for cognition hadn’t an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l of the three dimensions. These results show that these dimensions of Korean communication style have substantial validity although these dimensions had low explanatory power in a total variance of the factor analysis. In summary, we sought to overcome some cultural limitations of the existing communication style measures mostly developed in Western culture. Finally, we discussed some of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ed future direction.

      • 미디어소통의 관점에서 본 조선족 여성의 재현

        신정아 한국소통학회 2019 한국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06

        미디어재현은 텍스트에 담긴 이미지와 스토리를 분석하는 관점이다. 미디어를 통해 재현된 인물과 사건이 갖는 의미를 생산과 수용이라는 관점에서 연구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양방향 미디어의 발달에 따른 콘텐츠 수용 방식의 변화는 더 이상 텍스트 연구만으로는 콘텐츠가 갖는 의미와 효과, 실천적 맥락 등을 통찰하기 어려운 시점에 와 있다. 미디어소통은 이러한 재현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콘텐츠 연구방법이다. TV 프로그램 연구에서 시작된 미디어소통 프로그램을 완결된 텍스트로 바라보지 않고, 프로그램을 둘러싼 사회문화적 맥락, 수용자의 상황, 재현된 미디어의 특성과 유통 생태계, 프로 그램의 포맷과 장르 등을 가로지르며 새로운 관계맺기를 시도하는 역동적인 소통의 장으로 파악한다. 이는 미디어를 통해 재현되는 이야기들이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수용되면서 누구에게, 어떤 공감대를 형성했는지를 파악하고, 그 의미와 효과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과거 시청자들이 수동적 소비자로 머물 러있을 때에는 텍스트의 내용과 의미, 수용상황과 맥락을 분석하는 것만으로 프로그램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격적인 1인 미디어 시대의 도래와 다양한 플랫폼을 횡단하는 콘텐츠의 시대에 텍스트는 더 이상 일회성 생산물에 머무르지 않고, 이용자들의 다양한 욕구와 필요에 의해 자유로운 변형과 복제를 통해 새로운 정체성을 부여받는다. 달라진 미디어 환경에서 콘텐츠의 생애주기는 생산자 가 아닌 역동적 수용자의 해석과 변형, 유통에 따라 좌우된다. 따라서 콘텐츠는 미디어를 통한 양방향 소통의 산물로 인식되어야 하며, 콘텐츠가 갖는 의미와 효과 역시 생산과 전달이라는 일방향이 아닌 다양한 관계맺기를 통한 소통하기로 접근해야 한다. 미디어소통은 이기상의 ‘사이놓기 이성’, 플루서 의 ‘기술적 상상’ 등의 개념에 담긴 새로운 기술 시대의 주체와 세계 간의 관계맺기 방식에서 출발한 다. 미디어소통은 생산자와 수용자, 수신자와 발신자의 관계를 정보전달과 복제라는 수동적·일방향적 구조가 아닌 상호이해와 공존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고, 문화적 가치가 발현되는 소통과 공감의 장으로 분석한다. 본 연구는 미디어소통의 관점에서 국내 미디어의 조선족 재현의 추이를 살펴보고, 최근 개봉한 영화 <우상>(이수진 감독, 2019)의 여성 조선족 재현이 갖는 의미를 분석한다. 한-중 수교를 전후로 하여 한국 미디어에 등장하기 시작한 조선족 캐릭터는 TV와 영화, 뉴스보도 등을 통해 다양하게 재현되어 왔다. 2010년 영화 <황해>(나홍진 감독)를 기점으로 조선족 남성 캐릭터의 폭력적 재현이 장르화되면서 이후 한국영화 속 조선족은 범죄자라는 인식이 강화되었다. 이러한 클리셰는 TV 드라마에도 그대로 적용되어 OCN과 SBS 등에서 조선족 남성을 잔혹한 범죄자로 반복 생산해오고 있다. 여성 조선족의 재현은 수교 초기에는 결혼이주여성으로 그려지면서 한국 사회에서 순응하는 캐릭터로 등장한다. 이후 식당도우미, 돌봄 노동자, 불법체류자 등의 이미지로 확대 재현되면서 비록 신분은 불안정하고 낮은 계층이지만 자기 주도적으로 운명을 개척해나가는 당찬 여성이미지가 새롭게 형성되기도 했다. 여성 캐릭터의 범죄 재현은 2016년 영화 <미씽: 사라진 여자>(이언희 감독)를 시작으로 본격화되었다. 2017 년 영화 <악녀>(정병길 감독), 2018년 드라마 <미스트리스>, 2019년 영화 <우상> 등을 통해 모성과 범죄를 결합시켜 추방과 배제의 서사가 생산되기 시작했다. 남성 조선족 재현이 잔혹한 범죄의 원형으 로 한국 수용자들에게 공포와 두려움의 대상이 되었다면, 여성 조선족의 재현은 모성의 실천이라는 궁극적인 윤리의 측면에서도 한국인 여성과의 대비 또는 한국인 남성에 대한 원한 등을 통해 폭력을 정당화시키는 잔혹한 캐릭터로 묘사된다. 미디어소통의 관점에서 볼 때 한국 미디어의 조선족 재현은 공포와 두려움, 혐오를 양산하는 장이 되어 왔다. 한국에 거주하는 85만의 조선족 동포들의 수용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채, 왜곡되고 과장된 이미지를 반복 재생산하면서 혐오의 일상화를 부추겨왔고, 이는 2017년 영화 <청년경찰>(김주환 감독) 을 기점으로 조선족 사회의 집단적 분노를 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 감독과 제작사를 상대로 한 명예훼 손 소송과 국가인권위원회 제소를 통해 드러난 재한 조선족 동포단체의 목소리는 한국 미디어의 부정적 재현에 대한 깊은 문제제기이자 새로운 소통의 장을 요구하는 공존의 몸부림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디 어소통의 관점에서 조선족 재현의 문제를 성찰하고, 다문화 혹은 상호문화의 시대를 맞이한 한국 사회 에 필요한 인식과 실천의 방법을 모색해본다.

      • KCI등재
      • KCI등재

        소통연구교육 전문기관 필요성에 대한 정책소통 PR 공무원의 인식에 관한 연구

        김병희,조삼섭,김현정 한국소통학회 2019 한국소통학보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validity of policy communication education and research institute establishment which can contribute to standardization of public relations capacity of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policy communication.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ing 189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policy communication PR in the central minist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olicy communication officers have a high need for strengthening capacity in government communication activities. In addition, the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professional development in relation to communication research education activities, and they showed a high awareness of necessity of establishing research institutes and utilization of them in establishing educational institutions.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policy communication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and the policy communication activity that fits the needs of the people. 본 연구의 목적은 정책소통 담당 공무원의 PR 역량의 상향 표준화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소통 교육 및 연구 전문기관 설립의 타당성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앙부처의 정책소통 PR분야를 담당 공무원 189명을 대상으로 소통연구기관 설립의 필요성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결과 정책소통 담당 공무원들은 정부 소통 활동에 있어서 역량강화방안에 대한 니즈가 높았으며, 정부기관의 소통 연구 교육활동 관련 교육기관 설립 필요성과 교육기관 설립 시 활용에 대한 욕구도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통연구교육 활동과 관련하여 전문가 육성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높이 인식하고 있었으며, 무엇보다 연구교육기관 설립의 필요성 및 교육기관 설립 시에활용하겠다는 데에도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정책소통교육연구원 설립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 보다 국민의 니즈에 맞는 정책소통 활동을 구현하는데 기여할수 있을 것이다.

      •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세종의 리더로서의 소통능력

        오채원,허경호 한국소통학회 2012 한국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리더의 소통능력은 구성원들 간의 협력과 협조를 이끌어내어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게 할 수 있으 므로 중요하다. 역사 속에서도 리더의 소통능력은 중요했다는 점에 착안하여, 우리 역사 속에 탁월 한 리더로 기록된 세종대왕에 주목하였다. 세종은 우리나라를 15세기 동아시아 최고의 문명 ․ 문화 국으로 격상시켰는데, 이를 가능하게 해준 그의 리더로서 소통능력, 즉 리더십 소통능력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자는 상호작용성, 권한 위임, 개별적 배려, 비전 제시, 지적 자극, 신뢰 구축, 자제력, 카 리스마, 영감, 창의성, 그리고 열정 등 11개의 리더십 소통능력의 특징을 분석의 틀로 삼았다. 이에 따라 세종의 리더십 소통능력은 시기, 재위 중 다룬 사안의 중요도, 개인의 신념 및 심리적 압박감 의 정도에 따라 역동적이고 다양한 특성을 보인다. 그러나 신하들에게 의제를 주고 자신의 발언은 최소화하는 특성은 시기나 현안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보이기도 하지만, 재위 기간 전반(全般)에 걸쳐 관찰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세종과 같은 역사적 인물의 리더십, 그리고 조선왕조실록과 같은 고전을 소통 적 관점으로 살펴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새로운 장르의 개척을 통한 학문적 발달, 통섭적 시각 함양, 한국 소통학 전형의 발견, 이를 통한 한국적 소통의 정체성 확립, 아울러 온고지 신을 통해 현대의 개인과 조직의 조화 속에서 소통능력 함양에 도움이 되는 요소를 발견하는데 기 여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eature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of King Sejong as a leader by analyzing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 examined the whole duration of his reign, and devided it into the five periods of significant occasions. They were the early part of succession, stabilized governance, changing of his personal environment(e. g., worsened his illness, and the death of family members), building the Cheomsawon(the office of Prince Secretariat), and invention of Hunminjeongeum(the Korean alphabet). This study adopted a total of eleven elements of leadership communication competence as a frame of analysis. They were interaction, empowerment,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vision-providing, intellectual stimulation, confidence- building, self-control, charisma, inspiration, creativity, and passion. Results show King Sejong implemented opened communication on the basis of confidence-building, interaction, and empowerment. During the early part of succession, he showed invitational communication, moral-training communication, and quotative communication. The period of stabilized governance King Sejong implemented Master-King communication, warmhearted top-down communication, and bottom-up communication. When he faced changing of his personal environment he used pushing communication. The period of building the Cheomsawon, he also showed pushing communication. Finally, when King Sejong invented Hunminjeongeum he showed advantage-taking communication, and closed communication. In sum, throughout his entire life King Sejong was a great communicator and competent communication strategist.

      • KCI등재

        불통과 갈등의 시대, 소통(학)의 변화 모색 : 소통권과 소통학의 역할을 중심으로

        정의철 한국소통학회 2021 한국소통학보 Vol.20 No.4

        ‘불통과 갈등 시대’란 말이 나올 정도로 한국은 물론, 다양한 나라들에서 사회갈등 양상은 점점 복잡다기화되고, 그 강도도 더해가고 있다. 이 연구는 디지털기술 발전에 도 불구하고, 소통과 공감보다 불통과 갈등이 심해지는 현실을 비판적으로 진단하고, ‘소통권(the right to communicate)’ 중심으로 소통과 소통학의 대응 방향을 찾고자 했다. 소통권은 ‘아래로부터(bottom-up)’, 즉, 시민의 생생한 일상이 이루어지는 ‘생활 세계’에서 소통의 질적·양적 확장과 성장으로부터 실천되며, 이러한 과정은 참여적 민 주주의의 가교이고, ‘소통학’의 핵심 연구주제이기도 하다. 소통학은 불통과 갈등 시대 에 맞서 상호교류와 호혜로 갈 수 있는 길을 제시하는 실천적 학문이며, 소통과 공감을 바탕으로 사회가 변화하는 과정에서 결정적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소통학 연구를 지원하고, 체계화하며, 현실화하는 과정에서 학회, 즉 학문공동체의 역할은 막중하다. 먼저, 다양한 연구자들과 유관 학문공동체 간 교류 강화가 중요하다. 연구주제 선정부 터 이론과 방법론을 정하고, 연구결과를 해석하는 전 과정에서 집단지성이 발휘되도록 학보나 특별세션 차원에서 공동연구 지원 프로젝트를 마련한다면, 학문의 확장과 다양 성 강화에 유익할 것이다. 소통 관련 학제 간, 학회 간 공동학술대회 개최, 공동연구 프 로젝트 발굴과 지원, 공동 신진학자 워크숍 등을 추진하는 것도 제안한다. ‘소통’을 연 구하는 신진학자들이 일찍부터 다른 영역이나 학회들에서 이루어지는 소통 연구를 접 하고, 교류하고, 배워나간다면 학제 간 연구로서 소통학의 토대를 탄탄히 할 수 있겠다. 다른 학제(인문학이나 기타 사회과학, 공학, 의약학, 보건학 등)에서 전개되는 소통 연 구 경향을 그 분야 연구자의 원고로 학술지에 소개할 수 있는 시스템도 필요하다. 이러 한 학제 간, 연구자 간 교류가 상호호혜적 배움과 학문의 다양성 원칙 속에서 추진될때 소통학의 패러다임 변화도 가능하며, 불통과 갈등이 아닌 소통과 교류의 시대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As the naming of the age of ‘no communication and conflict’ has become familiar, the scope and degree of conflict in Korean society has been intensified as time goes by. This research critiques the reality of worsening no communication and conflict situations rather than communication and sympathy, and further interrogates the proactive actions of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research based on the right to communicate. The right to communicate can be realized from the quantitative as well as qualitative expansion of communication in every day life situatons “from below”, in which citizens live their lively daily life; this process is the bridge of participatory democracy and a main theme of communication research. Communication research is a practical academic field, which can present a method for reciprocal relationship in response to the age of no communication and conflict. Academic association, as a community for academic activities, plays a vital role in terms of supporting, systematising and actualizing communication research. First of all, it is essential to strengthen the interchange of diverse researchers and related academic communities. Also, it is useful to enlarge the scope and diversity of the field by providing collaborate research projects, such as special journal edition and conferences, to facilitate collective intelligence in the whole process of selecting research topic and method as well as interpreting research outcomes.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academic association should collaborate conferences among diverse disciplines and academic associations, and support co-research projects as well as workshops for rising scholars. If rising communication scholars can contact communication research conducted in other fields from early age, and further interact with and learn from diverse scholars, it can lead to the reinforcement of the foundation of communication research. Mutual exchanges among diverse academic fields as well as researchers should be pursued based on mutually beneficial learning and diversity of academics.

      • KCI등재

        소통 연구 동향 : 1990-2019년 출판된 학술 논문에 대한 내용분석

        문안나 한국소통학회 2021 한국소통학보 Vol.2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소통 연구에 대한 동향을 고찰함으로써 학제 간 대화의 포석을 쌓 고 소통에 관한 새로운 연구 주제와 접근법에 대한 영감을 주는 것이다. 이 연구의 분 석 대상은 1990년대부터 2010년대에 출판된 학술 논문 중 소통에 대한 연구 128건이다. 내용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학문 분야, 논문 주제, 분석 대상, 분석 방법을 분석했다. 분 석 결과, 점차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소통에 대한 연구 성과를 발표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연구 주제는 대인・교육・전략 측면의 커뮤니케이션 효과가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 담론 참가자와 같은 사람뿐 아니라, 콘텐츠・프로그램・기술・사회를 분석 대상으로 다루 었다.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방식의 적용 사례 수는 비슷했고, 개발 방식의 연구 방법 을 적용한 사례도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소통학 또는 커뮤니케이션학으 로 분류되는 소통 연구의 지향점에 대한 논의를 제시했다. This study aims to lay the foundation for interdisciplinary dialogue on ‘communication study’ by exploring research trends in communication study and to inspire new research topics and approache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128 communication studies among academy articles published from the 1990s to the 2010s. A content analysis method was applied to analyze the academic field, thesis topic, analysis target, and analysis method. The results suggested that communication studies were gradually published in various academic fields. The research topic accounted for a large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effect in interpersonal, education, and strategic communication. Not only people such as participants in the discourse, but also content, programs, technology, and society were treated as subjects of analysis. The fact that research method of development as well a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applied was found. Based on these results, a discussion on the direction of communication science was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