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파불교 전래와 전통 한국불교 - 테라와다 불교의 전래와 관련하여 -

        고영섭 한국선학회 2009 한국선학 Vol.24 No.-

        이 논문은 고중세의 한국에 전래된 비바사(毗婆沙)와 마하연(摩訶衍)과 현대에 새롭게 전래해온 ‘테라와다’(上座, 上座部) 불교의 접점과 통로에 대해 논구한 글이다. 고운 최치원(857~?)의 「봉암사지증대사적조탑비」(鳳巖寺智證大師寂照塔碑)에는 “사(성)제를 역설하는 소승의 비바사가 먼저 왔고, 일(불)승을 역설하는 대승의 마하연이 뒤에 왔다”라는 구절이 보인다. 불교사에서 ‘비바사(毘婆沙)’는 ‘비담(毘曇)’ 혹은 ‘구사(俱舍)’와 ‘성실(成實)’로 표현되는 아비달마불교의 다른 표현이다. 바닷가에 접해 있던 가야와 탐라 및 백제와 신라 일부는 아비달마 계통의 부파불교를 접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 때문에 한국불교사에서 부파불교는 낯설지 않다. 전통 한국불교는 비바사(毘婆沙)와 마하연(大乘)을 모두 받아들였다. 이것은 빠알리어계 경론을 기초로 한 남방불교와 산스크리트계 경론을 기반으로 한 부파불교를 다 수용한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통일신라 이후 한국불교인들은 분석적 성향을 지닌 부파불교보다는 신행적 성향을 지닌 대승불교를 취하였다. 해서 한국불교는 중국 이래 13종파의 물리적 종합(비빔)과 화학적 삼투(곰)의 방법으로 인도-중국-일본 불교와는 다른 개성을 발휘해 왔으며 선법과 교학의 통섭 노력인 ‘교선일치(敎禪一致, 義天)’, ‘선교일원(禪敎一元, 知訥)’, ‘사교입선(捨敎入禪, 休靜)’을 특징으로 해 왔다. 그리하여 한국불교는 대승불교 전통을 확립하였으며 대승불교의 집대성지로 자리를 잡아 왔다. 한편 현대 시기인 한국의 민주화가 막 마무리 되어가던 1980년대 말엽, 군사정부에 대한 비판적 에너지의 발산으로 극도의 대립을 경험한 세대들은 이념 갈등에서 비롯된 정치적 혼란상에 대한 피로감이 높아졌다. 해서 바깥으로만 발산하던 에너지의 고갈로 생긴 심신의 피로감을 해소하기 위한 새로운 대안이 필요한 시점이었다. 이즈음 일부 불교인들이 민주화에 동참하면서 불교계 내의 주요 수행법인 간화선(看話禪)의 효용성에 대한 비판의 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뒤이어 1989년 무렵 테라와다의 본고장이라 할 수 있는 스리랑카와 태국 및 미얀마 등지로부터 위빠사나 수행법이 유입되었다. 위빠사나는 비교적 배우기 쉽고 경전에 제시된 수행방법을 그대로 따라 하기만 하면 된다는 장점이 있어 출가자뿐만 아니라 재가자들에게서 큰 호응을 얻어갔다. 때문에 ‘테라와다’ 불교의 전래는 한국불교가 직면하고 있는 여러 문제들에 대한 반성과 해소를 위한 새로운 대안의 요청과 부응을 의미했다. 지난 이십 여 년 동안 테라와다 불교는 위빠사나 등의 수행법을 기반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한국불교의 ‘역사적 사실’이 되어 있다. 이제 ‘대승불교와 소승불교의 접목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져야 할 때이다. 테라와다 불교의 수용은 대승불교의 전통을 고수해온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훼손하기보다는 오히려 한국불교의 외연을 넓히는 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의 급선무는 부파불교와 대승불교를 한국불교라는 ‘하나의 원’ 속에 담아내어 이 땅의 불교로 온전히 자리매김 시키는 일이다. 그리하여 한국불교의 내포를 단단히 하고 외연을 넓히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또한 우리는 고중세의 전래 이래 다시 전래해 온 부파불교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대소승을 아우르는 새로운 한국불교를 만들어갈 절호의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ider contact point and passage between vibhāṣa(毗婆沙) and mahā-yāna(摩訶衍), which were introduced to Korea in the old and middle age, and ‘Teravada’ Buddhism, which were newly introduced in the modern age. Bongamsajijeungdaesajeokjotapbiof Goun Choi Chi-Won shows that vibhāṣa of Abhidharma Buddhism putting emphasis on the Four Varna System came first and mahā-yāna of Mahāyāna putting emphasis on one vehicle came later. In the history of Buddhism, ‘ vibhāṣa'(毘婆沙) is another expression of Abhidharma Buddhism, which is expressed as ‘Pitan’, ‘Abhidharmakosa’ or ‘Satyasiddhi’. It is assumed that parts of Gaya, Tamra, Baekje and Sinra faced Hīnayāna Buddhism of Abhidharma system. Because of the historical fact, Abhidharma Buddhism is not unfamiliar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Traditional Korean Buddhism accepted both of vibhāṣa(毘婆沙) and mahā-yāna(大乘). It means that it accepted both of Southern Buddhism based on Pali sutra and Abhidharma Buddhism based on Sanskrit sutra. However, since the age of Unified Sinra, Korean Buddhist has accepted Mahāyāna, which gives priority to faith and practice rather than Abhidharma Buddhism, which has an analytical property. Therefore, Korean Buddhism has shown the property, which were different from the Buddhism of India, China and Japan through physical combination(mixture rice) and chemical infiltration(thick boil),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harmonization of the Doctrine and Chan’, ‘unitary of seon & kyo'(禪敎一元)’, ‘renouncing the teaching on scripture and entering into practice’ which were efforts for the combination of skillful teaching and doctrinal teaching. In this way, Korean Buddhism founded the tradition of Mahāyāna Buddhism and confirmed its position to make a synthesis of Mahāyāna Buddhism. In the late 1980s when Korean democratization was completed in the modern age, the generation, who experienced extreme confrontation by emitting critical energy against military government, was fatigued with political confusion resulted from ideological conflict. It was the time to need a new alternative plan to solve physical and mental fatigue, which was made by exhaustion of energy emitted outward. At this time, as partial Buddhists participated in democratization, there was a criticism for usability of ganhwaseon(看話禪), which was main training method of Buddhism world. After that, vipassana training method was introduced from Sri Lanka, Thailand and Myanmar, which can be an original place of Teravada. Because vipassana has the advantages that it is easy to learn and training is available by following training method suggested in sutra, it was greatly favored by Buddhist priest and ordinary lay person. Therefore, the introduction of ‘Teravada’ Buddhism meant the request and fulfillment of new alternative plan for various problems that Korean Buddhism faced. For the last 20 years, Teravada Buddhism became 'the historical fact' of Korean Buddhism as it confirmed its position on the basis of vipassana training method. Now, it is time to make various efforts for connecting Mahāyāna Buddhism to Hīnayāna Buddhism. The acceptance of Teravada Buddhism may be the way to enlarge the denotation of Korean Buddhism, which has insisted the tradition of Mahāyāna Buddhism rather than to give damage to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Therefore the most urgent work is to contain Hīnayāna Buddhism and Mahāyāna Buddhism in 'one circle' of Korean Buddhism and confirm it as the Buddhism of Korea. Do that way and we have to consider it as the opportunity to harden connotation of Korean Buddhism and enlarge its denotation. Also we have to remember that we are facing the good opportunity to make a new Korean Buddhism by harmonizing Hīnayāna Buddhism and Mahāyāna Buddhism by accepting Hīnayāna Buddhism, which has been introduced again since the introduction in the old and middle age.

      • KCI등재

        한국불교에 비추어 본 테라와다불교(Theravāda Buddhism)의 현황과 과제

        임승택 한국선학회 2009 한국선학 Vol.24 No.-

        한때 테라와다불교는 소승불교라는 비하적인 명칭으로 일컬어지기도 하였다. 그러나 불교사 전반에 걸친 이해가 심화되면서, 붓다의 가르침을 원형에 가깝게 보존하는 종단이라는 인식이 확대되어가고 있다. 급기야 한국 내에서 테라와다불교를 표방하는 단체들이 공식적으로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상황에서 필자는 테라와다불교의 정체성을 밝히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아울러 한국불교의 현실에 비추어 그들의 사례로부터 도움을 받을 만한 내용들이 있는지에 관해서도 흥미를 갖게 되었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고의 초반부는 현존하는 남방 테라와다의 특성과 양상에 초점을 맞추어 기술하였다. 한편 본고의 중반부에서는 기존의 한국불교 종단들에서 노출된 문제점을 진단하고 그것의 해소 방안으로서 테라와다불교의 사례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항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루었다. 이 과정에서 필자는 오늘날의 한국사회가 그간의 전통사회와 다르다는 언급과 함께, 한국의 현실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테라와다불교 스스로 해결해야 할 과제 또한 안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였다. 본고의 후반부에서는 바로 이점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필자는 한국에서의 테라와다불교가 아직은 나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한국인들에 의해 자발적으로 도입되었다는 사실을 높이 평가한다. 필자는 테라와다불교가 잘 정착된다면 특정 종단을 초월하여 한국불교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영향이 발생하게 될 것이라고 본다. 따라서 기존의 한국불교와 테라와다불교는 동반자적 관계 정립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본 논문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Theravāda Buddhism used to be regarded as inferior to Mahāyāna Buddhism. However, having the deep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Buddhism, we are gradually changing our attitude toward Theravāda Buddhism. Now it has recently spread that Theravāda is closely connected with Buddha's orignal teaching. At last, the formal organizations which claim to stand for Theravāda come into the picture in Korea. In this situation, I became aware of the need to investigate on the identity of Theravāda Buddhism. And I also began to pay attention to the help which we can receive from the examples of Theravāda Buddhism for solving the problems of Korean Buddhism. So, I described in detail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and aspects of Theravāda Buddhism in the beginning of this paper. And then, examining the problems which have existed in Korean Buddhism, I dealt with the settlement programs which we can benchmark from the Theravāda Buddhism. I thought that today's Korean society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society and there should be some preparations which Theravāda Buddhism needs in order to settle down in Korea as well. I focused on these subjects in the latter half of this paper. I set a high value on the fact that Theravāda Buddhism was spontaneously introduced by Koreans who have deep religious beliefs. In fact, many Koreans seem to be favorably disposed for Theravāda Buddhism. I think that if Theravāda Buddhism were settled well in Korea, it would impact positively on Korean Buddhism including all the Buddhistic organizations in Korea. Therefore, I arrived at a conclusion that Theravāda and Korean Buddhism need to maintain the amicable relationship.

      • KCI등재

        동아시아의 출가와 한국불교의 특징

        장미란 한국선학회 2018 한국선학 Vol.0 No.50

        동아시아 문화권은 인도문화권의 불교와 달리 절대왕권과의 관계성 속에서 동아시아불교만의 출가문화를 정착시킨다. 중국은 서역이나 인도에서 온 외국인 승려들의 주도로 시작되고, 한국은 중국불교화되는 과정의 것을 받아들인다. 도승(度僧)과 승단의 운용은 독자적인 자율에 의한 것이 아닌 국가관리하에서 이루어진다. 중국은 한인의 출가, 체발, 승려의 자격(도첩)을 국가로부터 공인받아야 했다. 한국은 불교공인 후, 많은 출가자가 배출되고, 승단이 정비된다. 숭불시대인 고려는 승과제도와 승계, 승록사, 왕사와 국사제도를 통해 승려의 정치적·사회적 위상이 높았다. 반면에 억불시대인 조선은 고려의 모든 불교정책이 철저히 통제되고 폐지되기도 하여 그 존립의 위기마저 겪으며 승직(僧職) 등으로 명맥을 유지한다. 이러한 출가와 관련된 모든 것들은 동아시아불교에서 출가문화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일제강점기에 승단은 식민지화되고, 승려들의 대처식육의 만연은 한국의 전통불교를 변질시킨다. 이 때 한국불교는 그 역사적 흐름에서 정착된 특성이 근현대기에 전통성을 지키고 정체성을 재확립하려는 한국불교계의 노력에 의해 더욱 확고하게 재발현된다. 한국불교계는 한국불교의 전통성을 드높이며 정화에 대한 자각의 목소리가 생겨났고 계율 중시의 선종 중심 독신출가승으로서의 정체성을 재확립함으로써 한국불교가 나아갈 길을 재확인하고 되찾은 것이다. 선종 중심의 조계종 성립과 정화운동을 펼치는 한편, 엄격하고 철저한 계율 실천에 전력하여 출가승가로서의 한국전통불교의 기강과 정체성을 확립한다. 이상으로 동아시아문화권에서 변용된 출가문화를 역사적 흐름에 따라 살펴봄으로써 동아시아불교권의 출가문화의 특징 및 한국 전통불교의 특성과 정체성을 찾아보았다. Buddhist ordination in East Asia started in China, and Korea adopted Sinicized customs. Ordination of monks and management of the sangha was not autonomous but state-controlled. In China, ordaining the Han people, shaving new monk’s head, and certifying a monk license had to be approved by the government. After the official recognition of Buddhism in Korea, many monks were ordained and the monastic order was systemized. The Goryeo dynasty politically and socially guaranteed the status of Buddhist monks through systemization of state certifying examination of monkhood, rank of monks, central Buddhist registry, royal preceptor and national preceptor. On the other hand, the Chosun dynasty controlled and abolished every Buddhist policy of its predecessor, and the Korean sangha barely survived with the existential threa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Korean sangha was also colonialized and the Buddhist monks were encouraged to get married and eat meat. To fight against this wide-spread corruption, the Korean sangha founded Jogye Order of Zen sect and carried on the purification movement. They were devoted to tighten the discipline and establish their identity as an ordained monkhood of traditional Korean sangha by undertaking the precepts strictly and thoroughly.

      • KCI등재
      • KCI등재

        『禪門撮要』와 현대 한국 간화선 전통의 중흥

        김종인 한국선학회 2009 한국선학 Vol.24 No.-

        20세기 초에 출간된 『禪門撮要』는 중국과 한국의 선사들의 글들을 모은 책이다. 『禪門撮要』의 전신에 해당하는 『法海寶筏』의 편자인 劉雲은 禪과 敎 간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서 『法海寶筏』을 편찬하였다 하며, 또 그러한 시각은 그 후에도 있다. 그러나 『禪門撮要』에 실린 글들은 대부분이 敎를 부정하거나 폄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敎에 대한 禪의 우위를 내세우기 위해 편집된 책으로 보아야 한다. 조선 시대를 거치면서 한국불교는 禪과 敎가 혼합된 상황이 되었다. 특히 근대 초기에 한국불교계에는 교학이 유행을 했다. 그러한 시기에 경허는 간화선을 통해서 한국 불교 전통을 세우려 하였으며, 백용성 역시 선불교의 부흥을 위해 노력했다. 경허는 『禪門撮要』의 편집자로 알려지기도 하였으며, 또 백용성이 이 책을 번역하여 널리 보급하였다. 오늘날 한국불교는 간화선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데, 근대의 시작점에서 출판된 되고 수차례에 걸쳐서 현토 및 한글 번역이 된 『禪門撮要』는 한국불교에서 禪敎 통합적 상황을 지양하고 선불교 전통을 확립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Sunmunchwalyo is an anthology of the famous Chinese and Korea Seon monks, and is published in 1907. This is an anthology of various famous Chinese and Korean Seon monks’writings. Yuun, the editor of Beophae bobeol which is the progenitor of Sunmunchwalyo, states that he edited the book in order to diffuse the conflict between Seon Buddhism and doctrinal Buddhism. However, most of the writings in Sunmunchwalyo are denying or placing low value on doctrinal Buddhism. This tells us that Sunmunchwalyo was edited for the propagation of the superiority of Seon Buddhism over doctrinal Buddhism. Seon Buddhism and doctrinal Buddhism in Korea had been integra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Moreover, doctrinal Buddhism was more popular in early 20th century. Sunmunchwalyo was published in this circumstance, and contributed for the resurrection of Seon Buddhism in the Korean Buddhist tradition by criticizing doctrinal Buddhism and its integration with Seon Buddhism. This book has been translated by several people and considered as the textbook of Seon Buddhism by Korean monks.

      • KCI등재

        근대 선학원의 개혁인식 연구

        김경집 한국선학회 2009 한국선학 Vol.23 No.-

        근대 한국불교는 자주적인 사상으로 인정받았지만 개항과 함께 들어온 일본불교와 일제의 통제는 교단조직과 신앙의례 등에서 많은 변질을 가져왔다. 일제는 한국불교의 행정체계를 바꿔 놓았다. 그 결과 본사 주지들의 권한이 커지면서 이를 유지하려는 친일적 행동이 발생되었다. 또한 일본불교의 유입으로 한국불교의 전통의례 역시 변질되었다. 이런 모습을 지켜본 뜻있는 수행자들이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찾고 새로운 시대에 맞게 한국불교를 유지하려는 뜻에서 1921년 설립된 것이 선학원이다. 이렇게 출발한 선학원은 개혁적 성향을 띠면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며 새로운 분위기를 만들어갔다. 처음 선학원을 창립한 사람들은 일제의 강점에서 한국불교 수행풍토를 지켜가는 것이 민족성을 지키는 일로 생각하였다. 그리고 시대에 뒤떨어진 조직과 운영체계를 변화시킴으로써 새로운 불교운동을 지향하였다. 일제의 견제와 재정적 압박이 가중되면서 1926년 5월 활동이 중지되었다. 잠시 활동을 멈춘 선학원은 일제에 의해 계행이 허물어진 한국불교를 정립하려고 1931년 1월 재건하면서 불조의 혜명을 지켜가는 것이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회복하는 일로 보았다. 그리고 그런 불교가 우리 사회에 어떻게 전개되어야 하는지 고민한 결과 사회적 지평을 확대하는 것이 최선의 길임을 인식하였다. 그 결과 대중 활동에 많은 심혈을 기우려 일제하에서 한국불교를 지켜나가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 In this paper, I present a reformative recognition of Seonhakwon in modern Korean Buddhism. The Seonhakwon was established 1921 November. This time Korean Buddhism was receiving governing of Japanese imperialism. It was like that and the Seonhakwon role the central agency of the zen Order in Korean Buddhism. The many activity of Seonhakwon left a many historical meaning from Korean Buddhism. The Seonhakwon to succeed the tradition of Korean Buddhism. It is to defend the idea of national Buddhism from Imje Korean Buddhist Order, to succeed to the thoughts of ven. Kyungheo. The operation and activity of Seonhakwon in modern Korean Buddhism were very progress. The Religio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Buddhist temple economy was systematized administrative. It pursued an independent a Buddhist temple economy and developed a system and the activity for the socialization of Buddhism.

      • KCI등재

        봉암사 결사의 정신과 퇴옹성철의 역할

        서재영 한국선학회 2007 한국선학 Vol.18 No.-

        봉암사 결사는 1945년 ‘부처님 법대로’라는 기치아래 문경 봉암사에서 행해진 스님들의 수행 결사를 말한다. 현대 한국불교의 서막을 열었던 이 결사는 4명의 조계종 종정과 7명의 총무원장을 비롯해 여러 명의 고승들을 배출한 기념비적 사건이다. 이는 봉암사 결사에 참여했던 인물들이 현대 한국불교의 근간을 이루어 왔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봉암사 결사의 정신과 수행전통은 이들에 의해 조계종의 종풍(宗風)으로 계승되면서 한국불교의 보편적 전통으로 확산되었다. 이 같은 의미를 지닌 봉암사결사에서 성철스님의 역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성철스님은 청담스님과 함께 봉암사 결사를 주도적으로 조직하였다. 청담스님 역시 봉암사 결사의 준비와 운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1947년 봉암사 결사가 출범할 당시에는 동참하지 못했다. 따라서 봉암사 결사를 조직하고 결사의 기틀을 잡은 것은 성철스님의 주도로 진행되었다. 둘째, 성철스님은 ‘전체적으로나 개인적으로나 임시적 이익관계를 떠나서 오직 부처님 법대로만 살아보자’라는 것을 결사의 원칙으로 내세웠다. 당시 시대적 상황은 일본불교의 영향으로 대처승(帶妻僧)들이 교단의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갖가지 미신과 비불교적 요소들이 만연해 있었다. 성철스님은 이 같은 상황을 일소하고 정법(正法)을 회복하기 위해 ‘부처님 법대로’라는 사상적 원칙을 통해 봉암사 결사의 정신적 근간으로 삼았다. 셋째, 성철스님은 공주규약(共住規約)이라는 엄격한 수행규칙을 통해 쇠락한 불교의 교법을 복구시키고자 했다. 모두 18개 조항으로 구성된 공주규약은 봉암사 결사의 성격을 고스란히 담고있으며, 당시의 수행생활을 생생히 보여주고 있다. 공주규약은 헤이해진 승가의 규율을 바로잡고 결사의 정신을 대중들과 공유하는 근거가 되었다. 넷째, 성철스님은 봉암사 결사를 통해 깨달음을 위해 매진하는 올곧은 수행자의 모습을 정립했다. 당시 승려들은 갖가지 기복적 의례를 행하는 것을 출가자의 중심적 역할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것은 부처님께서 부정하셨던 제사장의 역할에 매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성철스님은 각종 기복적 의례를 폐지함으로써 왜곡된 출가자의 이미를 혁파하고, 수행자 본연의 모습을 확립하고자 했다. 다섯째, 성철스님은 봉암사 결사에 참여한 수행자들에게 세속적 가치와 질서로부터 초연한 탈속적 승가상을 확립했다. 출가자라면 누구나 생사윤회로부터 해탈하겠다는 원대한 꿈을 가져야 하며, 세속적 가치와 질서로부터 자유로워야 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정신적 원칙을 통해 시대적 혼돈으로부터 불교를 지켜내고 불교의 정신을 재정립했다. 여섯째, 성철스님은 봉암사 결사를 통해 노동과 수행을 병행하는 선농일치(禪農一致)의 가풍(家風)을 되살렸다. 봉암사 대중들은 의례를 통해 얻어지는 시주물을 거부하고 사찰 소유의 토지에서 나오는 소작료도 거부했다. 대신 걸식과 노동을 통해 자급자족하는 선종의 수행전통을 회복하고자 했다. 이상과 같은 봉암사 결사의 정신과 전통은 왜색불교(倭色佛敎)로 인해 와해된 승가상을 다시 복원하고 한국불교의 정통성, 나아가 불교의 정통성을 확립해 내는 계기가 되었다. 나아가 이 같 은 결사의 전통은 조계종의 사상적 근간으로 수용되면서 현대한국불교의 전통으로 자리 잡았다고 평가할 수다. In 1945, under the banner of 'living like the Buddha's dharma' an association was formed at Bongamsa in Mungyeong. The Bongamsa association that heralded modern Korean Buddhism is a landmark event that produced four supreme patriarchs, seven presidents, and several illustrious monks of the Jogye order. This means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association played fundamental roles in developing modern Korean Buddhism. They passed down the spirit and practice tradition of the association as the spirit of the Jogye order, establishing it as universal tradition of Korean Buddhism. This study summarized the monk Seongcheol's role in forming the Bongamsa association as follows. First the monk Seongcheol, along with Cheongdam, played a leading role in organizing the association at Bongamsa. But the monk Cheongdam failed to participate in the foundation of the association, though h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preparing the foundation. Thus, the monk Seongcheol led the organization and initial development of the association. Second, the monk Seongcheol established the principles of the association that tell people to 'live like the Buddha's dharma' beyond individual or group's temporary interests. At the time, due to the influence of Japanese Buddhism, married monks became mainstream. In addition, a variety of superstitions and non-Buddhist factors were prevalent across the nation. Therefore, in an effort to sweep away such inappropriate practices and restore dharma, he set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the association called 'live like the Buddha's dharma'. Third, the monk Seongcheol tried to restore degraded Dharma through strict rules of conduct called Gongjugyuyak. Gongjugyuyak which consists of 18provisions is the embodiment of the features of the Bongamsa association and vividly shows the way people practiced Buddhism at the time. Gongjugyuyak tightened the relaxed rules of Buddhism and provided an opportunity to share the spirit of the association with the public. Fourth, the monk Seongcheol established the appropriate attitudes of monks to ceaselessly make efforts to gain enlightenment. At the time, lots of monks regarded performing a variety of rituals seeking blessing as their main role. This indicates monks were preoccupied with administering rituals which were denied by Buddha. The monk Seongcheol tried to abolish all kinds of rituals to lead monks to discard the distorted attitudes of monks and establish themselves as proper followers. Fifth, the monk Seongcheol established the unworldly image of the monk who was not disturbed by the value and order of the material world. That was because he believed every monk should dream of being liberated from an ongoing cycle of birth, death, and rebirth and be free of the value and order of the material world. Based on this principle, he protected Buddhism from turbulent social situations and reestablished the spirit of Korean Buddhism. Sixth, the monk Seongcheol restored the monk-farmer principle, under which monks were required to practice Buddhism and, at the same time, work for food. Monks at Bongamsa refused donations made through rituals and did not receive rent income gained from the property of the temple. Instead, they tried to follow the traditional way of Zen Buddhist practice to gain food by working or begging. The spirit and tradition of the Bongamsa association became an opportunity to resuscitate the image of monk degraded by Japanese Buddhism and to establish the legitimacy of Korean Buddhism. Furthermore, the tradition of the association developed into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Jogye order, establishing itself as the tradition of Korean Buddhism.

      • KCI등재

        진각 혜심의 선사상 체계와 불교사적 의의

        김방룡 한국선학회 2015 한국선학 Vol.40 No.-

        본 논문은 한국 선종사의 관점에서 혜심의 선사상의 특징과 그 사상사적 위 상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혜심 당시 고려 선 종이 처한 현실은 어떠하였으며, 사상사적 과제는 무엇이었는가?” 둘째, “혜심 은 수선사 2세 사주로서 당시 한국선이 당면한 사상사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 여 어떠한 노력을 기울였는가?” 셋째, “혜심에 의하여 구축된 선사상의 체계는 이후 한국불교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선상상이 갖는 선종사적 의의 는 무엇인가?” 등의 문제의식을 가지고 출발하였다. 우선 한국의 선종은 나말여초 구산선문의 개창이후, 고려 초 법안종의 등장 과 고려중기 천태종의 개창으로 인하여 선종의 지형이 크게 변화되었다는 점을 밝혀 중국선종과 다른 고려선종의 현실을 논하였다. 이어 혜심은 수선사 2세 사주로서 고려 불교계의 현실 속에서 지눌의 수선사 선풍을 계승하여 고려 선 종을 중흥시켜야 하는 임무를 부여받고 있었다는 점을 밝혔다. 그리고 그의 선 사상과 관련된 『구자무불성화간병론』, 『선문염송』, 『진각국사어록』 등의 성격을 분석하여 『간병론』은 간화선, 『염송』은 공안선, 『어록』은 조사선의 성격을 주로 하고 있다는 점도 규명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혜심의 선사상 속에는 조사선과 공안선과 간화선이 공 존하고, 선과 교와 정토 및 밀교적 요소가 공존하며, 유교와 불교가 조화를 이 루고, 철학과 문학이 공존하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한국 선종사에 있어 서 혜심은 지눌과 공통의 문제의식을 가지고 유대하면서도 각기 시대적 사명을 다하였고, 시대적 상황 속에서 정치적인 타협과 사상의 불철저함도 지니고 있 다고 평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Jingak- Hyeasim’s Zen Thought and its status of thought history in the viewpoint of Korean Zen Buddhism history. I studied this theme with three critical mind as follows. Firstly, “What was the condition of reality and the problems facing Koryeo Zen Buddhism in Hyeasim’s days?” Secondly, “What kind of effort did Hyeasim, a chief monk of the second generation at Suseonsa temple, to solve the problems?” Thirdly, “What did his Zen thought have an effect on Korean Buddhism since then and what is the meaning of his thought in Zen Buddhism history?” Above all, I disclosed the change of Korean Zen Buddhism arising from the appearance of Fayan school in early Koryeo Dynasty and the foundation of Cheontae school in the middle of Koryeo Dynasty after the opening of Zen schools in nine mountains in late Shilla early Koryeo. Then I discussed the reality of Koryeo Zen Buddhism, different from Chinese Zen Buddhism. And I clarified Hyeasim’s duty that he had to succeed and revive Jinul’s Zen tradition as a chief monk of the second generation at Suseonsa temple in the condition of reality of Koryeo Buddhism. I also analysed some texts, 『Gujamubulseonghwa-Ganbyeongnon』, 『Seonmun-Yeomsong』, 『Jingakguksa- Eorok』 etc. which are related to Hyeasim’s Zen thought. Finally, I defined the 『Ganbyeongnon』 has the characteristics of Ganhwaseon, 『Yeomsong』 to Gonganseon, and 『Eorok』 to Josaseon. Through these discussion, I claimed that there were coexisted Josaseon, Gonganseon and Ganhwaseon and Zen sect, Kyo sect, Pure land sect and mystic Buddhism together, and the harmony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philosophy and literature in Hyeasim’s Zen thought. I thought that Hyeasim and Jinul performed their periodic mission, having common critical mind in Korean Zen Buddhism history and Hyeasim had some political compromise and halfway thought in those periodical condition.

      • KCI등재
      • KCI등재

        『초발심자경문(初發心自警文)』에 나타난 선사상 고찰

        박진영,서왕모 한국선학회 2023 한국선학 Vol.- No.6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Seon thought in the basic textbook of Korean Buddhist monks, Chobalsimjagyeongmun(CBJM), and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to illuminate its value as Korean Seon literature. CBJM consists of three texts: Bojo Jinul’s Gyechosimhakinmun(Chosim), Wonhyo’s Balsimsuhaengjang(Balsim) and Yaun’sJagyeongmun. We can find the contents that stand out or at least match the perspective of Seon school. Chosim includes not only the lifestyle devoid of discrimination and obsession in company with the cardinal meaning of Seon school such as ‘no establishment of words and letters’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of Jinul’s thought. Although there is no part directly related with Seon thought in Balsim, it is correspond with Seon masters’ teaching to emphasis on observing precepts and encourage arousal of the mind towards enlightenment through alerting to impermanence and death. In Jagyeongmun, another expression of Buddha nature, ‘Juingong’ appears, and Mengshan Deyi’s ideological influence of Ganhwaseon practice is also reflected. CBJM is a literature that can identify the identity and major traditions of Korean Seon, and is a systematic introduction to Seon practice that shows that Seon thought is the main ideology of the education for Korean Buddhist monks 이 글은 한국불교 승려들의 기초 교재인 『초발심자경문』에 내포된 선사상을 추출하고그 특징을 분석하여 한국 선 문헌으로서의 가치를 조명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초발심자경문』을 구성하는 텍스트인 보조 지눌의 「계초심학인문」, 원효의 「발심수행장」, 야운의 「자경문」에서는 선사상이 두드러지거나, 최소한 선종의 관점과 부합하는 내용들을확인할 수 있다. 「초심」에는 무분별·무집착의 생활상과 선종의 종지인 불립문자 및 정혜쌍수·돈오점수로 대표되는 지눌 선사상의 특징이 나타난다. 「발심」에는 선사상이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부분이 없지만, 계율 엄수를 수행의 필수 요건으로 중시하고 존재의무상과 죽음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발심을 촉구하는 것은 선사들의 가르침과 동일하다. 「자경문」에서는 불성의 다른 표현인 ‘주인공’이 등장하며, 간화선 수행에 관한 몽산덕이의 사상적 영향이 엿보인다. 『초발심자경문』은 지눌의 선풍과 계율 중시 경향, 몽산의 간화선 사상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한국선의 정체성과 주요 전통을 파악할 수 있는문헌이자, 선사상이 한국불교 승가교육의 중심 이념임을 보여주는 체계적인 선 수행 입문서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