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복음주의 선교신학 발전사로 본 장훈태 박사

        소윤정 ( So Youn Jung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1 복음과 선교 Vol.54 No.-

        필자는 한국 복음주의 선교신학 발전에 있어서, 1992년 백석대학교 (구. 천안대학교) 대학설립 추진위원을 시작으로 1994년부터 2000년까지 동대학 선교학과 학과장을 역임하고 2021년 6월 백석대학교 선교학 교수로 정년퇴임하는 선교신학자 장훈태 박사의 공헌과 헌신적 삶의 역사적 의미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한국 복음주의 선교신학은 시대적으로 큰 도전에 직면해 있는데, 급변하는 세계상황과 다문화 사회로 한국 사회구조의 근본적인 변화가 있어지고 있는 이러한 상황가운데 한국복음주의 선교학의 지표를 다시금 확인하고 지나간 발자취를 회고하면서 앞으로의 발전전략을 수립함에 있어서 한 시대를 복음주의선교신학 발전을 위하여 살아온 선교신학자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은 이론적인 선교신학 연구와 달리 실천적인 선교신학 발전을 위한 토대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먼저 장훈태 박사의 학회 활동을 중심으로 복음주의 선교신학발전에 기여한 점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를 재구성하고 활성화하는데 기여하였고, 한국연구재단과 관련하여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가 한국 인문학 발전에 있어서 학문적 객관성을 인정받고 저변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학술지 <복음과 선교>를 등재지로 승격시키는데 헌신하였으며, 개혁주의생명신학회를 설립하는데 토대가 되어 역할을 다하고 <생명과 말씀>을 등재로 승격시키는데 큰 헌신을 하였다. 뿐만 아니라 모교인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신학연구소 발간 < ACTS신학저널 > 학술지를 등재지로 승격하도록 현신하였으며 지피지기(知彼知己)의 마음으로 한국중동학회의 회원으로 활동하면서 ‘수쿠크’도입을 반대하기도 하였다. 또한 지역학 연구를 위하여 한국아프리카 학회 활동을 하게 되었으며 편집위원으로 활동중이다. 두 번째로 학문적 성과면에 있어서 매년 평균 7편의 다양한 논문들을 계속적으로 발표하고 있는 장훈태 박사는 2019년을 기점으로 선교신학 주제 연구보다는 서부아프리카를 중심으로 한 지역학연구에 열의를 다하고 있다. 이는 학제간 융합을 통한 인문학발전에 기여를 인정할 만하며 기존의 다른 선교신학자들에 비하여 선구자적 역할을 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세 번째로 선교실천적 측면에서 장훈태 박사는 지역학연구 논문발표와 함께 실천적인 선교활동을 통하여 복음이 증거되는 일에 앞장서고 있다. 선교지 정보 알리기와 연구소외 지역을 방문하고 연구하면서 선교실천적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이는 비거주선교의 형태의 하나로 비거주 선교를 실천하며 선교동원에 기여하고 있는 1세대 비거주선교사 모델이라고 생각한다. The author discusse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Missional Scholar Dr. Chang Hun Tae’s contributions and dedicated life who began his career as a member of the Promotion Committee of the Foundation of Baekseok University(Former Cheonan University), successively served as the Dean of the Department of Mission Studies in the same university from 1994 through 2000 and is retiring as a Professor of Mission Studies at Baekseok University in June 2021 in the development of Korea Evangelical Mission Theology. Korea Evangelical Mission Theology is facing a great challenge currently. In this situation, where there are fundamental changes in Korean social structure with rapidly changing world situation and multicultural society, examining the missionary theologian who has lived a period for the development of Evangelical Mission Theology in establishing the developmental strategy in the future, checking on the indicators of Korea Evangelical Mission Studies again and recalling the past steps could be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mission theology unlike the theoretical mission theological studies. First, this study examined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evangelical mission theology, focusing on Missional Scholar Dr. Chang Hun Tae’s academic activities. He contributed to restructuring and revitalizing the Korea Evangelical Missiological Society and devoted himself to the promotion of Academic Journal, The Gospel and Mission to a registered journal, concerning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so that Korea Evangelical Missiological Society could get its academic objectivity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Humanities and expand the base, played his role as the base for the foundation of Society for Reformed Life Theology and made a great dedication to the promotion of Life and Word as a registered journal. Moreover, he was devoted to the promotion of the academic journal ACTS Theological Journal published by his alma mater, Asia United Theological University ACTS Theology Institute to a registered journal and opposed the introduction of ‘Sukuk,’ active as a member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Middle East Studies out of his mind to know his enemy and himself to win the battle. In addition, for regional studies, he came to be active in the Korean Association of African Studies and active as an editor. Second,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Missional Scholar Dr. Chang Hun Tae, who continuously publishes seven papers every year on average, fulfills his zeal in regional studies, focusing on Western Africa rather than studies of mission theological topics since 2019. It is worth recognizing his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humanities through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and it can be evaluated that he played a pioneering role compared to other existing missionary theologians. Third, from the aspects of missionary practice, Missional Scholar Dr. Chang Hun Tae has led the spread of the Gospel through practical missionary work along with the presentation of papers on regional studies. Reporting on information about the mission fields and visiting and investigating the areas excluded from research, he seeks missionary practical methods. It is judged that it is one of the forms of nonresident mission work, which is the first-generation nonresident missionary model contributing to missionary mobilization, practicing non-resident mission work.

      • KCI등재

        Missio Dei and Korean Church

        EunSoo KIM 한국선교신학회 2012 선교신학 Vol.29 No.-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가 1952년 이후 세계교회에 처음 등장한 후, 한국은 1969년 1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의 제2차 총회를 “오늘의한국에있어서의Missio Dei”라는주제로열면서공교회의협의체 에 의해 정식으로 도입하였다. 한국교회가 하나님의 선교를 받아들이게 된 배경은 세 가지로 정리된다. 먼저는 NCCK회원 교단들이 주축이 된 도시산업선교(UIM)의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UIM이Missio Dei의배경이 될 수 있었던 것은 한편, 1960년대 한국의 급격한 산업화와 노동환경의 변화, 그에 따른 성장위주의 군사독재정권에 대한 선교적 대응으로서 Missio Dei를 현재적 종말론적 시각에서 수용한 것이고 다른 한편,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과거와는 달라진 한국적 상황에서 새롭게 발견하고 이것을 선교적 과제로 수용한 한국교회의 자의식과 신학적 발전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다음은 1960년대 그리스도인들의 사회 정치적 참여이다. 이들은 하나님의 통치가 한국 교회에는 물론 한국 역사속에서도 이루어져야한다는 강한 의식에서 교회는 사회문제를 진지하게 수용하여야한다고 주장하였다. NCCK 회원교회를중심으로전개된이러한 노력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의 영역이 교회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세계 역사속에서도 계속되어야한다는 인식이 확산됨으로써 Missio Dei신학을 공교회가 받아들이게되는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끝으로 토착화논의이다. 그 주요 쟁점은 성서전통과 한국문화전통과의 연결성이다. 서남동은 기독교역사 의민중전승과한국의일반역사의민중전승의두백성모두고난의역사로 보고 한국교회의 선교적 과제는 기독교와 한국의 두 민중전승이 Missio Dei 안에서 합류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전통문화와 종교와의 대화는토착화논의의중요한주제이며, 1963년Mexico 세계선교와전도위 원회(CWME)의 쟁점이었다. 결국 한국교회의 토착화 논의에는 Missio Dei신학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한국교회의 ‘Missio Dei’ 이해에는중대한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었다. 1976년 한국신학연구소의 심포지엄에서 ‘Missio Dei’를 지지하는 심일섭과 비판하는 김명혁이 각각 주제를 발표하면서 중대한 오류를 범하였다. 이들은 Missio Dei란 말을 공적으로 처음 사용한 때가 1952 ‘윌링엔’대회이며 ‘호켄다이크’가 주장하였다고 하였으나 대회의 공식보고서나 대회기간중에 사용된 적이 없을 뿐 아니라 Missio Dei는 후켄다이크가 아니라 독일 슈투트가르트의 감독 하르텐슈타인이 처음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NCCK가 Missio Dei를 공식 수용한 총회를 직접적으로 비판한 반응은 거의 없었으나 에큐메니칼 선교에 대한 보수적인 교회들의 비판은 매우 강하였다. 대표적으로 1975 서울에서 개최된 The evangelical Conference for Mission을 들 수 있다. 이들은 “social-political oriented Missio Dei”에 대항하여구속에대한성서적가르침에근거한“Missio Christi”로대체되어 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1982년 채택된 “The Seoul Declaration: Toward an Evangelical Theology for the Third World”에서복음주의자들은 서구신학을 비판하면서 고난당하는 자들의 관점에서 자신들의 해석학을 찾고자시도하였고, 그결과Missio Dei를선언문에서고백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일부 복음주의자들은 Missio Dei를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한국교회의 과제는 Missio Dei를 복음의 토착화를 위한 단초로 삼는것과‘Missio Dei’를한국교회의일치를위한신학적근거로활용하는 것 그리고 ‘Missio Dei’를 성령론적 관점에서 발전시키는 것이다.

      • KCI등재

        선교 목적 한국어 교재개발과 이주민 선교의 적용: 『세계관 한글공부』의 외국인 유학생 전도 활용을 중심으로

        정혜원 한국선교신학회 2020 선교신학 Vol.57 No.-

        오늘날 해외 선교지와 국내 이주민 선교 현장에서 한국어 학습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주민 선교는 유형별로 선교전략을 달리하여 접근해야 한다. 국내 외국인 유학생들은 초기 정착과정에서 한국어 공부에 대한 필요가 크다. 한국어 공부는 선교의 좋은 접촉점이 되지만 큰 수요에 비해 선교를 위한 한국어 교재개발과 공급이 매우 절실한 상황이다. 선교목적 한국어 교재개발은 학습자인 외국인 유학생, 한국 인 교사, 성경과 일반 내용을 융합한 텍스트와 유학생들의 삶과 학업 현장의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 이를 토대로 한국의 유학생 전도용 한국어 공부 교재로 개발한 본 연구자의 졸고 『세계관 한글공부』 교재를 분석했다. 한국 유학생인 학습자 상황, 세계관 연구방법과 한국어 교육을 접목한 특징, 내용과 구성을 중심으로 교재를 분석하고, 유학생 선교현장에서 교재를 활용한 선교적 적용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Today, the number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s increasing rapidly. Migrant mission should be approach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migrants. Since there is a great need for studying Korean language in the early settlement process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studying Korean language is a good point of contact for mission. However, compared to the high demand, there is no supplement of Korean textbooks for mission purpose. Korean language textbook development for mission purpose should consider foreign students as learners, Korean teachers, text of biblical and general contents, and the context of foreign students. Based on this, I analyzed 『Learning Korean with worldviews』 as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evangelism and present an evangelism plan by using it for foreign students.

      • KCI등재

        한국 선교단체들의 전도유형과 방법에 대한 연구

        이선이(Seonyi Lee) 한국선교신학회 2015 선교신학 Vol.40 No.-

        한국 선교단체는 1960년대에서 1980년대에 크게 활약하여 한국 교회 전도에 영향을 미쳤다. 본 논문은 ‘선교한국 88’에 참여한 한국 선교단체들을 중심으로 전도유형과 방법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한국 미래의 전도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전도유형을 현존유형(간접적 방식),선포유형(직접전도와 대중매체), 설득유형(양육과 제자훈련), 능력전도유형(상담과 치유), 선포공동체형성유형(교회개척과 전도특 공대)의 다섯 가지로 분류하여 볼 수 있다. 선교단체들을 그 유형에 따른 분석에 의하면, 대학생 선교단체의 전도유형은 선포, 설득, 선포공동체형성유형에 속한다. 선포유형은 복음전도 훈련을 통한 개인전도, 설득유형은 양육과 제자훈련, 선포공 동체형성 유형은 해외에 교회개척을 하는 것이다. 해외파송선교단체의 전도유형은 선포공동체형성유형과 현존유형이다. 예를 들면, 한국 OMF와 한국OM은 선포공동체형성유형에 속한 단체로서 교회개척의 비전을 가지고 있다. 바울선교회와 GP선교회 역시 미전도 지역에 교회를 세우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현존전도유형의 예로서 한국 국제기아대책기구(KFHI)는 재난 지역, 오병이어선교회(FNGN)는 영양불량 지역, 한나선교회(HA NNAH)는 비개발지역을 돕고 있다. 선교적 관점으로 한국 선교단체를 평가하면 다음과 같다. 대학생 선교단체의 개인전도는 전도의 소명을 학생들에게 불러일으키는 데 기여했지만 다양한 전도방법을 개발하지 못하고 전도에 대한 좁은 시각을 대중화시켰다. 제자훈련과 양육은 교회성장에 기여했지만 개인 구원과 사회적 책임성을 포괄하는 통전적 선교신학을 반영하지 못하였다. 해외파송 선교단체는 주로 교회개척에 비중을 두며 간접적 전도방식의 사역을 하였다. 그러므로 한국선교단체가 미래의 전도전략을 위해 더욱 전문성, 다양성, 통전성이 요구된다. 오늘날의 선교단체들은 과거의 선교단체들보다는 더 조직화되었다. 그런데 한국선교단체는 주로 선포, 설득, 선포공동체유형에 속한다. 제자훈련과 양육은 성령이 함께하지 않으면 지적 추구에 머물게 된다. 한국기독교의 전도유형은 능력전도와 현존전도로 보완되어야 한다. 한국 기독교를 성장시키려면 통전적 전도를 기초로 삶으로 보여 주는 변화인 현존전도와 능력과 치유를 포괄하는 능력전도 유형을 활성화해야 한다. Korean Mission Organizations and their activities were popularized during 1960s to 1980s. The goal of the thesis is examining evangelization types and methods of mission organizations in Korea. There are five evangelization types; presence, proclamation, persuasion, power evangelism and proclamation community formed type. The evangelization types of student mission organizations uses three types; proclamation, persuasion and proclamation community formed type. The method of the proclamation type is through personal evangelization after university students have trained as evangelists. The method of the persuasion type is by nurturing and discipleship training. The method of the proclamation community formed type is church planting in which missionaries go abroad worldwide. Therefore, students mission organizations were devoted to growing Korean churches. Mission organizations that have sent out missionaries have been working in two patterns: the proclamation community formed type and the presence type. For example, by the proclamation community formed type, Korea OMF and Korea OM have a vision for church planting. The Paul Mission and the GP Mission have also tried to set churches in non-Christian regions. For example, by the presence type, KFHI has helped emergency regions, FNGN for malnutrition regions and HANNAH for undeveloped regions. According to the missiological perspective, I evaluated the Korean mission organization. Personal evangelization has provoked students for calling evangelism but was not enough to develop various methods and popularized narrow understanding about evangelization. Discipleship training or nurturing was devoted to church growth but not reflecting whole missiology, both personal salvation and social responsibility. They have evangelized vigorously worldwide, however need more professionalism, diversity and unification for the future. The mission organizations for sending missionaries do not repeat the failure of western missionaries, and will work centering around the natives. Today’s mission organization has developed more than before 1960-80s. The Korean mission organization were mostly used for proclamation, persuasion and the proclamation community formed type. Korean Christians add another type: the power evangelism type and the presence type. The Holy Spirit is the source of the power. Christian life itself will show people Jesus. The discipleship training and nurturing could be approached intellectually without the Holy Spirit. Only by changing our life will create changing in society. Wholistic evangelization is the only way to revive for the Korean Church.

      • KCI등재

        선교적 교회론과 한국 교회 선교

        이후천(Hu Chun Lee) 한국선교신학회 2016 선교신학 Vol.43 No.-

        서구 교회의 선교 패러다임은 그동안 전통적 교회 선교, 교회성장론에 기초한 교회 선교, 건강한 교회론에 근거한 교회 선교, 선교적 교회론에 기반을 둔 교회 선교론으로 이행되어 온 바, 한국 교회의 선교 역시 동일한 패러다임으로 수용되어 약간 변형되면서 자가 발전되고 있다. 여기서 교회 선교란 파라처치와 구별되는 지역교회 중심적인 선교를 말한다. 그런데 이 교회 선교가 위기를 맞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미래 교회 선교 전략과 그 방향성, 그리고 한국 교회 선교의 질적, 양적 성장을 위한 새로운 계기를 마련하고, 새로운 로드맵을 짜며, 그에 따른 적절한 플랫폼을 구축해야만 한다. 이 글은 서구에서 새롭게 태동 발전하고 있는 선교적 교회론의 특징들 중에서 한국 교회에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신학적 논리들을 정리해 본다. Missio Dei 신학의 통전적 해석, 교회성장론과 건강한 교회론의 대안적 성찰, 지역사회에서 교회의 사명과 역할에 대한 재각 성, 국내전도와 해외선교의 이분법적 구별을 극복, 신학교육의 방향성과 콘텐츠에 대한 역사적, 신학적 자기반성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바로 그것들이다. 그리고 이 글은 한국적 상황에서의 선교적 교회론이 당연히 필요하고 가능하다고 보면서 그것이 강조하고 있는 논리들을 실제로 선교현장에 적용함에 있어서 무엇이 문제가 될 수 있는지도 살펴본다. 1) 선교적 교회론은 그것을 성취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매뉴얼을 세계의 미숙한 교회들을 위해 제공할 필요가 있지 않겠는가, 2) 보냄을 강조함으로써 자칫 방치할 수 있는 교회 내부의 갈등이나 재정 책임, 교회갱신의 문제를 누가 책임질 것인지, 3) 기존의 교회가 제공하지 못하는 교회의 본질을 말함으로써 선교적 교회론의 논리가 너무 훌륭하다 보니 교단이나 교회 이탈의 명분을 제공하는 것은 아닌지, 4) 용어 ‘선교적’이 함축하고 있는 모호성보다는 합의된 정의가 필요한 것은 아닌지 한국에서 문제될 수 있는 것들을 제기한다. 아무튼 이 선교적 교회론은 교회 선교를 중심에 두고 있다. 한국의 교회들이 자신들 삶의 자리에서 하나님의 선교를 어떻게 수행할 것인가를 묻고 대답하기 때문이다. 또한 한국적 상황화를 추구하는 선교적교회론은 교회가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 그 본질인 선교를 어떤 장소에서건, 어떻게 이 정치와 경제, 종교들의 문화 속에 성육신 할 수 있는지를 항구적으로 다룬다. 물론 한국의 교회 선교는 이 선교적 교회론을 통해 공동체 중심의 노마드적 교회 선교, 공동체 중심의 저비용 교회 경영 및 선교 사역, 상시 가능한 교회 선교 사역(디아코니아) 및 정의, 평화, 창조의 보전 실현, 교회 직제의 수평화를 통한 교회 선교 의사소통, 선교자원의 공동체화를 통한 지역에서의 고효율적 재배치를 이뤄내야 할 것도 과제이다. The mission paradigm of the Korean church has followed, with miscellaneous variations, the same route of the mission paradigm of the western church which has developed from the traditional church mission, through the church growth oriented mission, the church mission based on the healthy ecclesiology, till the mission oriented church. The church mission defined as the local church (not para-church) centered mission has recently encountered a crisis, and an appropriate reaction is necessary which includes new strategy and direction for the future church mission,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church mission both in its quality and quantity, and an appropriate infra structure to make these possible. This article questions what elements of the mission oriented ecclesiology can contribute to the Korean church. It sees the possibilities and necessities of the mission oriented ecclesiology in the Korean context, and examines what role it can take in the mission field. It suggests to share the experience and programs with the churches in the world. It also examines the potential problems that the outward mission strategy can produce such as the conflict within a church and financial problems. The mission oriented ecclesiology is interested in the church mission, because the Korean church continuously asks how it can perform the Missio Dei in the everyday life. The mission oriented ecclesiology also tries to find the identity of the church and to search for the way to make the church incarnated into its context such as politics, economy, religion and culture.

      • KCI등재
      • KCI등재

        한국교회의 아시아 선교 이슈들

        김한성 한국선교신학회 2018 선교신학 Vol.52 No.-

        한국 교회는 타문화권 선교 초기부터 아시아 선교에 자원을 집중해 왔다. 아시아 선교를 위한 지역 연구도 비교적 일찍부터 있었다. 한편, 전 세계 인구의 약 60퍼센트가 집중된 아시아는 인종적 다양성도 매우 클 뿐 아니라, 정치, 외교, 경제, 문화, 종교도 매우 다양하다. 아시아에 한국 교회의 선교 자원이 집중되는 추세는 한국 선교 인력의 증가가 멈추더라도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시아 대륙에서 가장 큰 선교 자원을 제공하는 교회는 미국 교회나 영국 교회가 아니라 한국 교회이다. 이런 점에서 한국 교회는 아시아 선교를 더욱 책임 있는 자세로 수행해야 한다. 한국 교회의 아시아 선교의 이슈들은 다음과 같다. 아시아의 규모를 고려할 때, 아시아에 있는 한국 선교사의 수는 충분하지 않다. 한국 선교사들은 협력 선교를 추구하는 한편, 물량 선교는 지양해야 한다. 또한 선교사의 추방과 입국 거부의 위협을 적절히 대처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자국민 종교 활동을 제한하는 여러 아시아 국가들의 환경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한국 선교사들은 아시아에서 선교의 마중물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 Since sending its missionaries to China in 1913, the Korean church has heavily engaged in the Asian mission. She studied Asia for the mission purpose since the 1980’s. Asia, approximately 60 percent of the world population, has many ethnic groups with diverse politics, diplomacy, economy, culture, and religion. The resources of the Korean church were concentrated in Asia, which will be likely to continue for some time in the future, even when the growth of the Korean missionary force slows down. The largest missionary force in Asia comes from the Korean church and not from the American church or the British church, which clearly shows the Korean church’s crucial role in the Asian mission. I identified six pressing issues in the Asian mission of the Korean church.

      • KCI등재

        개항 이후 초기 한미관계와 선교사의 역할 - 알렌과 헐버트를 중심으로

        박응규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4 복음과 선교 Vol.65 No.1

        개항 이후 초기 한미관계와 선교사의 역할 - 알렌과 헐버트를 중심으로개신교가 19세기 후반에 은자의 나라에 들어 온 시기는 제국주의가 발전하고 있던 시기였다. 또한 한국 주변의 세 강대국인 중국, 러시아, 일본이 서로 세력 다툼을 하고 있던 시기였다. 각국은 한국을 통제하에 둠으로써 상대 국가들이 군사 기지를 건설하는 일을 사전에 예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정치적 상황은 세기말의 일본 침공으로 연결되었다. 중국과 달리 한국의 제국주의 팽창은 서구열강에 의해 진행된 것이 아니라, 일본에 의해 이루어졌다. 유럽 제국주의는 기독교 왕국의 팽창에 기여했지만 일면에서는 기독교 선교에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한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의 기독교인들은 매국노라는 낙인이 찍혔다. 이것이 아시아에서 기독교가 발전하지 못한 이유 가운데 하나이다. 1884년 6월 일본에 파송된 감리교 선교사인 로버트 맥클레이(Robert S. Maclay) 부부가 선교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하였다. 그들은 그 여행을 통해 선교를 할 수 있다는 왕실의 허락을 받았다. 전면적인 허가는 아니었지만, 그것은 의미 있는 첫 발걸음이었다. 또 하나의 중요한 사건은 1884년 9월 20일 호레이스 알렌(Horace N. Allen)이 한국에 도착한 것이다. 그것은 한국 개신교 선교의 전면적 시작을 예고하는 신호탄이었다. 그는 북미 장로교 선교회에서 의료 선교사로 파송 되었다. 그의 파송은 1882년 미국 정부가 서울에 설치한 공사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1882년의 한미 수호 조약으로 인해 선교의 문이 개방된 이후로, 미 북장로교 선교부 소속 알렌이 중국에서 한국으로 선교지를 전임하여, 1884년에 “은둔의 나라”에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로 입국하였고, 나중에는 외교관으로 활동하였다. 1885년에는 북장로교 선교부의 언더우드와 미 감리교에 속한 아펜젤러와 윌리엄 스크랜톤이 한국에 도착하였다. 호머 헐버트(Homer Hulbert)는 우리나라 최초 근대식 국립학교인 육영공원 교사로 1886년에 내한하여, 교사로 활동하면서 우리나라의 근대 청년 교육 운동에 선구적으로 기여하였고 독립운동에도 크게 공헌하였다. 그 이후에 다른 선교 기관들도 한국에 선교사들을 파송하기 시작하였으며, 1889년에 오스트레일리아 장로교 선교부가, 1892년에 미 남장로교 선교부가, 1896년에 미 남감리교 선교부가, 1898년에는 캐나다 장로교 선교부가 각기 선교사들을 파송하였다. 당시 선교사들은 공식적인 설교를 할 수 없었지만 학교와 병원을 설립하는 일은 한국 정부의 허락을 받았다. 특히 알렌과 헐버트는 개항 이후 초기 한미관계와 한국의 선교역사에서 개척자의 역할을 어려운 상황에서 잘 감당해 낸 선구자들이었다. 이 논문에서는 그들이 선교사로 활동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에서의 선교발전과 한미관계를 발전시키는 데에 그들이 기여한 공헌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Early Korean-American Relations and the Role of American Missionaries :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Horace Allen and Homer Hulbert When Protestant Christianity entered the Hermit Kingdom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it was a time when imperialism was developing. Also, it was a time when Korea’s three large neighbors, China, Russia, and Japan, were struggling with each other for power. Each wanted to control Korea and to prevent the others from putting military bases there. This political situation led to the Japanese invasion at the turn of the century. European imperialism helped to spread Christendom and, in one sense, hindered the spread of Christianity. The indegenous Christians, except in Korea, were branded as denationalised people. This was one of the reasons why Christianity did not make much headway in Asia. In June 1884, the Rev. and Mrs. Robert S. Maclay, Methodist missionaries to Japan, made a trip to Korea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a mission, and during the trip obtained royal permission to establish a mission. Although this was not full permission, including preaching of the gospel, it was a meaningful first step. Another important event was Horace N. Allen’s arrival on September 20, 1884, signaling a full-scale opening of Protestant missions in Korea. He was sent by the Board of the American Northern Presbyterian mission as a medical missionary. His appointment was closely related to the diplomatic mission in Seoul established by the U.S. government in 1882. Since the treaty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 1882 opened a door for missionary work. Horace Allen of the Northern Presbyterian Board was transferred from China to Korea and thus became the first Protestant missionary to the “Hermit Nation” in 1884 and then became a diplomat of the United States to Korea. In 1885, Horace Underwood of the Northern Presbyterian Board, and Henry Appenzeller and William Scranton of the Methodist Episcopal Board, arrived on the field. Homer Hulbert arrived in 1886 as a teacher of Yukyeong Academy, the first modern national school and then he did very crucial role in educating many national leaders and in independence movement. Also, at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other foreign mission agencies began sending their missionaries to Korea: the Australian Presbyterian Mission in 1889, the Southern Presbyterian in 1892, the Southern Methodist in 1896, and the Canadian Presbyterian in 1898. These men were not allowed to preach, but were permitted by the Korean government to open hospitals and schools. Particularly, Allen and Hulbert were the pioneers in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the U.S. as well as various early missionary works in Korea. This paper seeks to examine their contributions to the early Korean-American relations.

      • KCI등재

        한국교회 목회자의 해외선교 기초역량 고찰

        구성모 ( Ku¸ Seong Mo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1 복음과 선교 Vol.55 No.-

        본고는 한국교회의 지속 가능한 성장하는 선교를 위하여 목회 자를 대상으로 해외선교 기초역량을 설문을 통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여 미래 한국 선교의 동력을 찾으려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조사 분석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목회영역에서 우선시 하는 것들을 조사하였다. 둘째로 교회가 건강한 선교를 실천하지 못하는 이 유들을 조사하였다. 셋째로 목회자가 선교에 관하여 어느 정도 지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넷째로 한국의 목회자들이 교회에서 선교를 어떻게 실천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미래 한국 선교를 위하여 보충해야 할 내용들을 살펴보았다. 설문 조사방법은 모바일 폰을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 17을 사용하여 통계를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선교행정이 체계화가 부 족하였다. 둘째로 목회자들은 선교사에 대한 신뢰도가 낮았다. 셋째로 목회자들은 선교에 관한 기초 지식이 부족하였다. 마지막으로 목회자들은 선교 열의는 높았지만 그 목표와 선교비전이 분명치 않았다. 본 조사 연구에서 드러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선교의 동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로 신학교나 선교 전문기관, 선교사들은 교회가 선교에 동참하도록 지속적인 선교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로 선교사, 선교훈련기관과 선교사를 파송하는 기관은 선교사의 자질 저하를 해소하는 다양한 노력이 지속되어야 한다. 셋째로 변화하는 한국선교의 미래를 위한 연구개발(R&D)이 요청된다. 마지막으로 선교의 기초가 약한 한국교회의 체질을 개선하는 구체적인 방안과 교회 마다 분명한 선교비전을 세우고 이를 구성원들과 정서적인 공유가 필요하다.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basic capacity of overseas missions for pastors for sustainable growth of Korean churches and to find the energy of future missions. The following are the surveys and analysiss for this purpose.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things that are prioritized in the ministry area. Second, the reason why the church could not practice healthy missions. Third, the pastors’ knowledge of missions was ex- amined. Fourth, this study examined how pastors practice missions in church. Finally, the contents to be supplemented for future Korean missions were examined. The survey method was conducted using a mobile phon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nd reviewed using the SPSS program 17. The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ission administration lacked systematization. Second, pastors had low reliability of missionaries. Third, pastors had weak basic knowledge of missions. Finally, pastors had high enthusiasm for missions, but their goals and missional vision were not clear.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the energy of future of Korean missions. First, the seminarys, missional institutions, and missionaries need to provide continuous mission information so that the church can participate in missions. Second, missionary training institutions, missionary dispatch agencies and missionaries should continue to make various efforts to resolve the concerns of missionaries’ qualities. Third, R&D for the future of changing Korean mission is required. Final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oncrete measures to improve the constitution of Korean churches with weak foundation of missions and to establish a clear missional vision for each church and to share it with its members.

      • KCI등재

        한국 선교다큐멘터리 영화의 현황과 문화선교적 역할 연구

        강진구 ( Kang Jin Goo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7 복음과 선교 Vol.39 No.-

        20세기까지 진행되어온 극영화 중심의 기독교영화제작은 21세기 들어서면서 한동안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그 대신 2009년과 2017년 사이에 24편의 기독교다큐멘터리가 극장에서 개봉되는 예사롭지 않은 현상이 일어났다. 이 가운데 15편은 선교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한국의 선교사들이 영화의 주인공으로 등장하고 그들의 선교사역이 스크린 위로 펼쳐지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선교다큐멘터리 영화의 부흥 원인에는 2009년 개봉되어 전 국민의 관심을 끌었던 <워낭소리>와 2010년 <울지마 톤즈> 같은 다큐멘터리 영화의 인기가 크게 한 몫 한 것으로 보이지만, 아울러 물질문명과 경쟁사회에 찌든 현대인들이 먼 나라의 가난한 사람들에게 봉사하며 헌신하는 순수함과 열정을 지닌 인간에 대한 동경이 작용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선교다큐멘터리 영화들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해외선교 현장 중심의 다큐멘터리 영화들로써 가난과 때로는 원시적 선교현장 속에서 사역하는 선교사들의 헌신과 고통을 묘사하고 있다. 둘째, 선교역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로 기독교 관객들에게는 자신의 신앙을 성찰하게 하고 아울러 선교적 소명을 고취시키는 역할을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셋째, 선교사로 헌신하기까지 외부에는 좀처럼 알려지지 않은 선교사 가족 안에서의 내적 갈등을 표현하는 다큐멘터리가 있다. 이것은 선교다큐멘터리가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일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선교다큐멘터리는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감동적으로 묘사한다는 점에서 교회를 불신하는 세상을 향해 교회의 신뢰도를 회복하고, 교회를 향해서는 선교에 관심을 갖고 선교 활동을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교회는 디지털 시대에 선교다큐멘터리를 통하여 영상 세대인 신세대와 소통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는 일도 필요하다. 따라서 교회는 적극적인 관람을 통해 선교다큐멘터리가 제작 상영될 수 있도록 선교다큐멘터리 영화를 소비하는 운동을 벌이면서 교회 안에서 영상을 활용하는 가운데 선교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선교다큐멘터리가 하나의 대중화된 장르로서 정착될 때 한국 교회뿐만 아니라 한국 영화계도 기독교 다큐멘터리 영화의 영향으로 새로운 변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본격화되기 시작한 한국 선교다큐멘터리 영화의 제작 및 개봉 상황을 분석하여 앞으로 한국교회가 신세대와 소통하며 기독교문화를 전개시키고 선교과제를 수행하는데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A new era of Christian documentary films has begun in South Korea. As many as 24 Christian documentary films were released in theaters between 2009 and 2017. Among them, there are 15 films directly related to missionary work. All of these films show the missionaries as the main characters. The reason for the revival of such films seems to have played a huge role in the popularity of documentaries such as < Old Partner(워낭소리) >(2008) and < Dont cry for me sudan(울지마 톤즈) >(2010). In addition, modern people of material civilization saw the purity and passion of the missionaries devoted to poor people in the faraway lands. There are three types of missionary documentaries. The first is a missionary film centered on missionary work in the field of missionary work, and is devoted to the dedication and distress of missionaries, who live in poverty or sometimes even primitive landscapes. The second is mission history documentary film, which reflects Christians beliefs and helps them learn about God`s call for missionary work. Third, there is a missionary documentary film about internal conflicts that occur inside the family until becoming a missionary. This shows that the missionary documentary film is developing in various ways. But most of all, missionary documentary films can act as a missionary to the people who watched the films and promote missionary work. And it can help restore the credibility of the Church towards a world of disbelief. Because the realistic and touching film has the power to move the mind. Therefore, the church needs to actively encourage Christians to watch missionary documentary films and assist in producing the films. Korean church needs to know that digital generations communicate via video. If the missionary documentary film becomes a popular genre, it will also have a good influence on the Korean cinema as well as the Korean church. The paper analyzes the production and release of Korean missionary documentary films that began in earnest in the 21st century. It will help to understand how the Korean church communicates with New Generation and performing culture missionary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