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찬술불교문헌의 확장성에 대한 일고찰 - 태현의 『보살계본종요』를 중심으로 -

        김천학 한국서지학회 2017 서지학연구 Vol.7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boundary of Korean studies by paying attention to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ommentaries on the Buddhist texts written by Koreans. This is because the study on the East Asian commentaries on Korean Buddhist literatures can broden the scope of Korean studies in that Korean Buddhism extends its scope through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ommentaries of Korean Buddhist literatures and its extended domain continues to spread through various speculation. This article introduces the commentaries of 11 Koreans (9 Silla, 1 Koryeo, 1 Chosun) surveyed to date, and in particular, focusing on Bosatsukaihonshuyousho(菩薩戒本宗要鈔), a commentary on Taehyun (太賢)’s Bosalgyebonjongyo(菩薩戒本宗要, hereafter Jongyo), I examined the expansion and significance of Korean studies. Jongyo is the document which became the standard of the practice together with Beommanggyeonggojeoggi (梵網經古迹記) in Japan which places emphasis on the bodhisattva precepts. This point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the Taehyun was regarded more important even though there were many characters before him such as Zhiyi(智顗), Fazang(法藏) in China and Wonhyo(元曉), Uijeog(義寂) in Silla dynasty. This shows that Taehyun’s interpretation of Beommanggyeong was important in the understandins of bodhisattva precepts in Japan. It is presumed that Jongyo was handed over to China soon after it was written and it was handed to Japan as well at the time of Beommanggyeonggojeoggi’s passing to Japan. In China, since Daofong (道峯)’s preface had been attached, the significance of Taehyun is highlighted and Jongyo with the preface was brought to Japan again. Thereafter more than nine kinds of annotations on Jongyo with Daofong’s preface were written in Japan. On the other hand, there are three kinds of commentaries on Jongyo without Daofong’s preface. In this way, Jongyo was spread widely in Japan and the fact that Taehyun was highly appreciated in China could be one reason for this situation. This is an example of expanding the scope of Korean Buddhism by the process in which Jongyo, a Korean Buddhist literature was appreciated in China and Japan, and many commentaries were written as well in China and Japan. 본고는 한국불교를 다양하게 연구하기 위해서 한국인이 찬술한 불교문헌에 대한 중국과 일본의 주석서에 주목하여 한국학의 외연을 넓히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그것은 한국불교가 주석서를 통해 외연이 확장되고 한국불교에 내포된 사유가 계속 전파된다는 일면을 포함하고 있다는 데서 한국학의 범위를 넓힐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현재까지 조사된 한국인 11인(신라9명, 고려․조선 각 1명)의 주석서를 소개하고, 그 가운데 특히 태현의 『보살계본종요』의 주석서인 『보살계본종요초』에 주목하여 한국학의 확장성과 그 의의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보살계본종요』(이하 『종요』로 약칭)는 『범망경고적기』와 함께 보살계를 중시하는 일본에서 학습의 전형이 된 문헌이다. 태현 이전에 중국의 지의, 법장 등이 신라에서도 원효와 의적 등 지명도 높은 다수의 인물이 『범망경보살계』에 관한 주석서를 저술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에서는 『범망경보살계』에 한해서는 태현의 주석서가 더 중시되었다. 그만큼 태현의 『범망경』 해석이 일본의 보살계 해석에 중시되었다는 뜻이다. 『종요』는 저술된 이후 바로 일본으로 전해지며, 일본에도 『범망경고적기』가 전해지는 시기에 함께 전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중국에서는 도봉(道峯)의 서문이 쓰여지면서 태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이것이 다시 일본으로 전래된다. 일본에서는 도봉의 서문이 붙은 『종요』의 주석서가 9종 이상 저술된다. 한편, 도봉의 서문이 붙지 않은 주석서도 3종 이상에 이른다. 이렇게 『종요』는 일본에서 크게 영향을 미치는데, 여기에는 중국에서 태현을 높이 평가한 것도 한 원인이 될 것이다. 이렇게 해서 한국불교문헌인 태현의 『종요』가 당과 일본에서 중시되며, 특히, 일본에서는 주석서로 재탄생하면서 한국불교의 외연을 확장하였다. 한국불교의 확장성의 의미는 바로 여기에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즉, 한국불교의 문헌이 주석서를 통해 해석되고 재탄생하는 과정의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한국불교문헌은 중국불교문헌에 못지않게 중국과 일본에서 연구되고 주석된다. 이것은 한국불교가 중국과 일본에서 그만큼 중시된 것을 의미한다. 한국불교가 중시되면서 전파되고 생성되고 재탄생되는 과정을 거쳐 새롭게 확장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한국불교의 확장성을 탐구하는 것은 한국학의 범주를 넓히는 것을 의미한다. 향후 우리는 이와 같은 주석서에 대한 면밀한 연구를 통해 한국불교 연구의 범위 내지는 한국학의 범위를 넓힐 필요가 있다.

      • KCI등재

        KDC 제5판 ‘한국음악[전 국악] 및 동양 전통음악’의 항목 전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강순애 한국서지학회 2011 서지학연구 Vol.49 No.-

        This paper analyzes the articles of “Korean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 Oriental Traditional Music” as revised in the 5th Edition of the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KDC), and suggests ideas for their improvement. It also examines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 from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to the present, while looking into the classification system attempted in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following classification systems of Korean music in Korean libraries: the KDC, which the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 the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 the classif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of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which is the specialized classification system for Korean music ; the KBS musical data classified table ; and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National Gug-ak Center’s traditional arts archive. The articles of the KDC 5th Edition’s “Korean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 Oriental Traditional Music” are also examined in detail, being divided into the domains of theor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Korean musical compositions, Korean musical instruments, and Oriental traditional music. The problems in “Korean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 Oriental Traditional Music” in the 5th edition of the KDC are categorized and discussed in the following: the subdivision and revision of Chongak, the notes deletion and subdivision of Buddhist music, the notes deletion and subdivision of shamanistic music, the addition of Christian music, and the subdivision of traditional Oriental music. This paper provides ideas for improvements for the 6th Edition of the KDC. 이 논문은 KDC 제5판에서 개정된 ‘한국음악[전 국악] 및 동양 전통음악’의 항목들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한국음악이 삼국시대부터 현재까지 발전된 과정과 국악 분야에서 시도된 분류체계를 살펴보고, 도서관계의 한국음악 분류는 표준분류법인 KDC, Dewey 十進分類法: 東洋關係細分展開表와 한국음악전문분류법인 국립문화재연구소의 한국전통음악자료분류법, KBS 음악정보실분류표, 국립국악원 전통예술아카이브 분류체계를 비교 평가하였다. KDC 제5판에서 전개된 ‘한국음악[전 국악] 및 동양 전통음악’의 항목들을 국악이론, 한국악곡, 한국악기, 동양 전통음악의 영역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KDC 제5판에서 전개된 ‘한국음악[전 국악] 및 동양 전통음악’의 문제점은 정악의 세부분류 수정 전개, 불교음악의 주기 삭제 및 세분 전개, 무속음악의 주기 삭제 및 세분 전개, 기독교음악의 추가 전개, 동양전통음악의 세분 전개로 나누어 살펴보고, KDC 제6판 전개 시 개선할 항목들의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미국브린모어대학에 소장된 헬렌 채핀의 한국 고문헌 장서 연구

        이혜은,에릭 펌로이,한지희 한국서지학회 2017 서지학연구 Vol.72 No.-

        Bryn Mawr College that located in the western suburbs of Philadelphia, Pennsylvania, has Korean rare books 42 titles and 84 volumes. Bryn Mawr College’s entire Korean book collection was the gift of Helen Burwell Chapin (1892-1950), a graduate of Bryn Mawr and an Asian art historian who gave the collection to the college shortly before her death. During 1926-1927 she lived in Japan and traveled to Korea for the first time. Then she spend the years 1929-1932 in China, Japan and Korea. She made two trips to Korea during the fellowship. The first was in August and September 1929, then she returned to Korea again in September 1930. Since then, Chapin came to Korea as an Asiatic Arts and Monuments Specialist for the US army military government from 1946 to 1948. Chapin donated to Bryn Mawr her collection of Korean books, along with many other Asian books, scrolls, and other artifacts, shortly before her death in 1950. Examining the Korean collection by subjects, there are 6 titles and 7 books of Classics, 11 titles and 28 books of History, 18 titles and 42 books of Sciences and Arts, 7 titles and 7 books of Literature. 이 논문은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한국 문화재 수집가 헬렌 채핀(Helen Burwell Chapin, 1892-1950)을 새롭게 발굴하고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브린모어대학에 소장된 한국 고문헌 42종 84책을 조사하여 장서의 특징을 연구한 것이다. 브린모어대학의 한국 컬렉션은 브린모어대학 졸업생이자 아시아 미술사 연구자인 헬렌 채핀의 기증품이다. 헬렌 채핀은 1926-1927년에 일본에서 살면서 한 달간 한국을 여행하였고 1929-1932년에는 중국, 일본, 한국에 머물렀는데 이 당시 1929년 8월과 9월, 1930년 9월에 한국을 방문하였다. 이후 채핀은 미군정의 문화재 전문가로 다시 한국에 와 1946년에서 1948년까지 근무한다. 채핀은 1950년 사망하기 직전 한국 고서를 비롯한 수집품을 다른 아시아 유물 등과 함께 브린모어대학에 기증하였다. 조사의 결과 브린모어대학에 소장된 한국 고서는 경부(經部) 6종 7책, 사부(史部) 11종 28책, 자부(子部) 18종 42책, 집부(集部) 7종 7책이다. 이 가운데 삽화가 수록된 책이 19종 50책에 달했다. 삽화를 중심으로 나누어 보면 행실도 5종, 계도(界圖)와 기물도(器物圖) 등이 포함된 의례서가 4종, 변상도가 수록된 불서 2종, 도가서 3종 등이다. 중종 37년(1547) 석두사에서 간행된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보살만행수능엄경』 10권 4책과 광해군 2년(1610)에 경오자체훈련도감자로 훈련도감에서 인출한 ꡔ주문공교창려선생집ꡕ 권27-29 1책이 국내에서는 완질이 확인되지 않은 희귀본으로 주목된다.

      • KCI등재

        페트로바의 「한국 기록문화 유산의 해제(Описание письменных памятников корейской культуры)」 제작과정 연구 - 상권을 중심으로 -

        Kobyakova, Uliana 한국서지학회 2021 서지학연구 Vol.88 No.-

        This paper describes the process used by Olga Petrova (1900-1993) to compile the Description of the Written Heritage of Korean Culture, a catalog of old Korean books held by the Institute of Oriental Manuscripts (IOM) in St.Petersburg, which was published in two volumes, in 1956 and 1963. In a 1954 paper Petrova adopted six classifications (language, literature, history, philosophy, law, and references), providing each book’s title, type of edition, year of creation, and number of volumes. By 1954, Petrova had already identified the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most of the old books held by the IOM and had created the classification framework for both volumes of the catalog. For Volume 1 of the Description, Petrova relied on six catalogs and six lists written in Western languages and in Japanese, and on two books written in Korean as references. Among them, Bibliographie Coréenne by M. Courant is the most frequently referenced material in all except two sections of Volume 1; Petrova used this reference to describe 43 old books out of a total of 105—the other two sections mostly contain Japanese old books. The next most referred catalog is 朝鮮圖書解題 (Bibliography of Korean books, 1932), which Petrova used to describe 25 old books included in four sections of the Description. Of the lists, the most referenced materials are 東洋文庫朝鮮本分類目錄 (The list of Korean books held in Toyo Bunko) and 朝鮮書籍目錄 (List of Korean Books). Finally, Petrova’s description of 45 old books provides no references as, 36 of them were not included in any catalogs or lists; thus, Petrova analyzed and described the content of these old books directly. 본 연구는 러시아 한국학자 올가 페트로바가 저술한 상트페테스부르크 동방학연구소 소장 한국 문헌 해제인 「한국 기록문화 유산의 해제」 상권(1956)의 제작 과정과 해제 작성에 활용된 참고문헌을 분야별로 심도 있게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문에서는 먼저 페트로바가 해제 제작 이전인 1954년에 발표한 한국 고서에 대한 논문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페트로바가 한국 고서를 여섯 분야로 분류하여 제목, 판종과 창작연도, 권책수를 중심으로 정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녀가 논문의 발표 시기에 이미 대다수 고서의 내용과 성격을 파악하였으며, 상․하권 해제의 분류체계의 틀을 작성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권에 해제의 작성에는 서양어와 일본어로 작성된 해제 6종, 목록 6종과 한글 자료 두 권을 참고문헌으로 활용하였다. 이 가운데 가장 많이 참고된 자료는 쿠랑의 「한국 서지」로 상권 105종 서적 중 43종, 9분야 중 일본 서적 위주인 2분야를 제외한 전 분야의 해제에서 활용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두 번째 주요 참고 자료는 「朝鮮圖書解題」(1932)로 4분야에 25종 서적의 해제에서 사용되었다. 목록 자료 중에는 「東洋文庫朝鮮本分類目錄」과 「朝鮮書籍目錄」이 가장 많이 참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45종 서적에는 참고문헌이 제시되지 않았는데 그 중 앞 책의 이본과 일본 간행본에 해당하는 자료는 9종이다. 페트로바는 참고문헌에서 확인되지 않은 나머지 서적의 내용을 직접 분석하여 해제를 작성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중국 절강도서관 소장 한국 고문헌의 수집과 특징

        김효경,안혜경 한국서지학회 2019 서지학연구 Vol.80 No.-

        This paper studies and analyses Korean rare books preserved in Zhejiang Library of China. The collections categorized as Korean rare books include 218 titles and 1,120 volumes in Zhejiang Library. The Zhejiang area was one of the regions where the culture of book collection was very active in China. Therefore book collection of Zhejiang library was also formed by the donation of Zhejiang region’s collector.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Korean rare books in Zhejiang library was also originally a collection of books from the Zhejiang area’s collector. In addition, we also checked how they came to collect the Korean rare books. Next, we conducted a bibliographic analysis of Korean rare books by subjects, publishing period, and edition. First, examining these by subjects, there are 25 titles and 129 books of Classics, 76 titles and 270 books of History, 42 titles and 296 books of Sciences and Arts, and 75 titles and 425 books of Literature. Second, by publishing period, they range from Changjinjip published in 16th century to Joseongohwaljapanseupyeop (Sample book of typo in Joseon period) in 20th century. Expecially most of the books were published in 19th century. Finally, analysing Korean rare books by edition, woodblock printed books are made up the greatest portion, whereas there exist 37 metal printed books and 34 manuscript ones. In addition, the material features were reviewed around ex libris seals, books awarded to organizations or individuals by the kings of Joseon dynasty, and the handwritten record of collector Wang Xiu. We hope that this series of investigations and research will be used as basic data on related research. 본 연구는 중국 절강도서관에 소장된 한국 고문헌을 실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의 결과 절강도서관에서 한국 고문헌으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자료는 모두 218종 1,120책이었다. 중국 절강지역은 중국 내에서도 장서문화가 활발한 지역 중 하나인 만큼 절강도서관도 절강지역 장서가들의 기증에 의해 장서가 형성되었으며, 한국 고문헌 역시 원래 절강지역 장서가들의 소장본이었음이 확인되었다. 이어서 한국 고문헌에 대한 주제별, 간행시기별, 판본별로 서지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제별로는 경부 25종 129책, 사부 76종 270책, 자부 42종 296책, 집부 75종 425책이 소장되어 있다. 간행시기별로는 16세기 간행된 『창진집』부터 20세기 간행된 『조선활자판습엽』에 이르기까지 분포되어 있으며 19세기의 장서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판종별로 살펴보면 목판본이 가장 많으며, 이 외에도 금속활자 37종, 필사본 34종 등이 소장되어 있다. 또한 한국 고문헌의 자료적 특징으로 장서인과 인문을 중심을 살펴보고, 파악된 8종의 내사본과 장서가 왕수의 친필 기록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이 조사와 연구가 향후 중국소재 한국 고문헌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書誌學硏究」 게재 불교서지학 논문의 연구동향에 관한 분석

        김성수,황윤성 한국서지학회 2017 서지학연구 Vol.72 No.-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trends of 229 papers of ‘Buddhist bibliography’ published in Journal of the Institute of Korea Bibliography(Seojihak Yeongu) from its first issue (1986) to volume 70 (2017.6). 1) It is evaluated that 62 papers on Tripitaka and Jejonggyojang established firmly a bibliographical foundation in studying Tripitaka and Jejonggyojang. 2) 119 papers on various individual Buddhist literatures and temple-editions are evaluated to investigate various aspects and bibliographical identity of Buddhist publications, especially in the field of analytical bibliography and textual bibliography. 3) It can be evaluated that researches on the culture of printing with wood blocks and metal movable types in Korea and the world with a focus on Mugujeonggwanggyeong․Jikji․Nammyongsongjeungdoga, accomplished a great academic achievement in purely bibliographical subjects, especially including the technology of casting individual metal movable types, respectively used for printing Jikji and Nammyongsongjeungdoga. 4) In diachronic terms, ① the early researches from the first issue to the issues of the late 20th century began with the general and essential investigations of Buddhist scriptures and Tripitaka in Korean bibliographical study and expanded the horizon of Buddhism bibliography. ② the mid- and late researches since the 21st century have actively dealt with a variety of topics, including ‘studies on various individual Buddhist scriptures’ and ‘gugyeol’ and transcription of Buddhist scriptures, Zen writings, scriptures of esoteric Buddhism, and other Buddhist scriptures, and achieve a remarkable outcome from lasting and various perspectives. 이 논문은 「書誌學硏究」 창간호(1986)부터 제70집(2017.6)까지에 게재된 ‘229편’의 불교서지학 논문에 관한 연구동향을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大藏經 관련 연구 62편’에서는, 大藏經과 諸宗敎藏에 관한 서지학적 基盤硏究의 성과가 축적되었다고 분석되었다. 2) ‘單位佛書 관련 연구 119편’에서는, 形態書誌學과 原文書誌學 영역에서 중점적으로 연구되면서, 佛書 간행의 正體性 및 여러 현상들을 연구하였다고 분석되었다. 3) 한국인쇄문화 관련 연구 분야에서는 「無垢淨光經」․「直指」․「南明頌證道歌」를 대상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 목판인쇄 및 ‘金屬活字의 鑄造法’ 등 서지학 本然의 체계적인 연구 성과를 달성하였음을 파악하였다. 4) 통시적으로는, ① 창간호부터 20세기말까지의 초창기 연구에서는 한국서지학 연구에서 개괄적이고 필수적인 佛書 및 대장경 관련 연구부터 시도되면서 불교서지학의 地平을 차츰 넓혀 나갔다고 분석되었다. ② 21세기 이후의 중․후기 연구에서는, ‘개개 佛經에 대한 연구’를 비롯하여 ‘佛經의 口訣․寫經․禪書․密敎經典․기타 佛書’ 등 다양한 연구주제들을 활발하게 전개하면서, 지속적이고 다채로운 관점에서의 연구 성과들을 구축하였다고 분석되었다.

      • 미국하바드옌칭도서관 소장 한국고서 디지털화 프로젝트

        李惠銀 한국서지학회 2007 서지학보 Vol.0 No.31

        국외에 산재되어 있는 한국 고서는 101개 기관에 약 10만책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이들 자료중 국내 미소장 희귀고서의 연구를 위하여 국립중앙도서관은 1982년부터 복사본이나 마이크로필름의 형태로 수집, 연구자에 제공하여 왔다. 정보기술의 발달에 따라 수집의 매체도 변화하여 2007년에는 하바드옌칭도서관에 소장된 한국 희귀 고서를 디지털화 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다. 이글에서는 하바드옌칭도서관과 한국고서, 그리고 디지털화 프로젝트의 진행과정,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을 통한 서비스 방안 등을 소개하고 향후 과제를 전망해 보고자 한다. It is estimated that about 100,000 Korean old books are preserved at 101 organizations in Japan, China, USA, France and Russia. Among them, there are many valuable materials to be studied and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has been collecting these materials since 1982 by means of microfilms or photocopies. Year 2007, National Library of Korea could digitize Korean materials for the first time in the Harvard-Yenching Library. I'll talk about digitization projects and services on KORCIS(Korean Old and Rare Collection Information System).

      • 일본에 유존하는 한국 불교미술에 관한 고찰 - 寫經을 중심으로

        김종민 한국서지학회 2010 서지학보 Vol.0 No.36

        본고는 학술진흥재단과 일본 규슈대학 예술학연구실의 도움으로 일본 내에 전해지고 있는 한국사경들에 대한 조사의 결과물이다. 사경은 불화나 불상처럼 불교에서 부처님을 대신하고 예배의 대상이 되는 법신으로서 많은 양이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사경은 화려하나 주목받지 못하고 있고, 많으나 쉽게 접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최근 발간된 사경연구서에서 확인하지 못한 일본 내의 사경을 발굴하고 조사하여 양질의 연구자료와 사례를 확보하여 연구대상의 확대와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과거의 연구자료 및 필자가 확인한 일본 내의 한국사경은 총46점이며 그중 11점이 현재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사경으로 확인되었다. 본고에서는 소개하는 사경은 미공개 11점 중 소장자의 동의와 허가를 받은 사경에 국한된다. 따라서 공개의 범위와 연구가 제한적일 수 있다. 또한 가급적 직접적인 열람조사를 기본으로 하였으나 소장자의 판단에 의해 공개는 가능하나 열람조사가 진행되지 않은 사경도 있다. 그러나 필자가 확인한 11점의 사경은 논란의 여지없는 고려시대 또는 조선시대 사경으로 일본 내에서는 중국 사경으로 전해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작품에 대한 국적오류는 반대의 경우도 있어 중국이나 일본의 작품이지만 한국의 사경으로 알려진 국적불명의 작품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한국사경연구에 좋은 자료를 제공하여 향후 사경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아울러 국내연구를 넘어 동아시아 3국이 소장하고 있는 사경의 연구에 기초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또한 일본 내에서의 한국사경이 보다 분명한 양식적 검토와 서지적 연구를 통해 국적오류를 바로 잡고 장차 추가로 더 발견될 한국 사경에 대한 연구가 확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the final research result of important Korean buddhist manuscripts within Japan area in the aid of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and Kyushu University Faculty of Humanities. Buddhist manuscripts have transmitted to a large amount of quantity as it is sacred as Buddhist or the object of worship in Buddhism. Buddhist manuscripts is magnificent, however, not paid to public attention, and plenty of amounts are exist but cannot easily access.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contrive and develop research subject by securing good quality of research materials and cases which is not founded in recent buddhist manuscripts in Japan.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as far as I identified, the Korean Buddhist manuscripts within the scope of Japan was 46 pieces total, and 11 has not yet unidentified among them. Buddhist manuscripts introduced in this study are confined only 11 unidentified pieces which are authorized and agreed by possessor. Thus, release and area of research could be somewhat restricted. Furthermore, I conducted a direct perusal, but there could be pieces that might be open to public but research has not been done. However, 11 pieces that I researched were incontrovertible manuscripts of Goryeo or Joseon Dynasty periods and many of them were generally transmitted to Chinese, and vice versa. This study wishes to help future study of Korean buddhist manuscripts. Besides, among the buddhist manuscripts being studied or belonged to three Asian nations, Korea, Japan, and China, it could be used a fundamental information for improvement of manuscript research. Also, the study on Korean buddhist should be more focus on sensible and bibliographical examination so that nation error can be corrected and future discovery on Korean manuscript will be enlarged.

      • KCI등재

        미군정의 한국문화재 조사 활동 - 전적문화재를 중심으로 -

        이혜은 한국서지학회 2021 서지학연구 Vol.85 No.-

        This study is to conduct fundamental research on the U.S. military government’s policy on Korean cultural properties by examining the Helen Burwell Chapin archive of Bryn Mawr College in the United States. Helen Chapin, who majored in Oriental art in 1946, came to Korea as an Arts specialist at the Cultural Bureau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Chapin’s official reports were found through the “Palaces in Seoul” in RG 332, a document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preserved in the U.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still, Korea’s situation and activities at that time can be found in more detail through Helen Chapin’s papers. 이 연구는 미국 브린모어 컬리지 도서관에 소장된 헬렌 채핀 아카이브의 자료를 중심으로 미국 국립문서기록보관청, 미국 스미소니언 아카이브 등에 보관되어 있는 관련 자료를 조사하여 미군정의 한국문화재 조사 활동을 살펴본 것이다. 1946년 미군정은 동양 미술을 전공한 헬렌 채핀(Helen Chapin, 1892-1950)을 문화재 전문가(Arts and Monuments Specialist)라는 직위로 초빙하여 한국 문화재를 조사하게 한다. 헬렌 채핀의 활동과 문화재 조사의 상황은 그동안 관련 자료의 부족으로 많이 알려지지 않았으나 이번 연구를 통하여 헬렌 채핀의 생애나 학문적 배경, 그리고 우리나라 문화계 인사와의 교류 등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채핀이 작성한 자료를 통하여 문화재 조사의 상황, 조사 방법, 그리고 채핀의 세부적인 활동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채핀의 문화재 조사 기록과 한국 문화재에 대한 연구는 해방 이후 혼란한 상황 속에서 한국 문화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사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중국 상하이도서관 한국 고서의 현황과 특징

        옥영정 한국서지학회 2020 서지학연구 Vol.84 No.-

        이 글은 중국 상하이도서관(上海圖書館) 소장 한국 고서를 대상으로 서지적 분석을 진행하여 그 현황과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2014년의 실태조사결과에 따라 한국의 국외소재문화재재단에서 주관하여 고서목록이 작성되었으며, 2015년에 보고서로 작성되었다. 이 글도 2014년에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된 것으로, 상하이도서관 소장 한국 고서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고 그 내용의 특징적인 사항을 확인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한국 고서의 판본별 현황과 주제별 특징 등 서지학적 측면에서 다루어 볼 수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총 187종 1,260책의 고서의 주제는 경․사․자․집의 사부(四部) 가운데 사부(史部)가 72종으로 전체의 1/3 이상을 차지하였고, 각 유문별로는 별집류가 35종으로 가장 많은 수량을 보인다. 판본별로는 목판본이 79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금속활자본 63종, 필사본 11종, 목활자본 29종, 영인본 4종, 석인본 1종 순이다. 5종의 조선전기 인쇄본을 확인하였으며, 그 중에는 세종 때 간행된 경자자본 자치통감강목 완질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내사기록이나 장서인을 통해 상하이도서관에 소장된 한국 고서의 전래경위를 부분적으로나마 살펴볼 수 있다. This article is based on a bibliographic analysis of Korean books of the Shanghai Library in Chin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in 2014, a list of ancient books was prepared by the Overseas Korean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and was prepared as a report in 2015. This article was also compiled based on a survey conducted in 2014, focusing on identifying the overall status of Korean ancient books by the director of the Shanghai Library and checking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books. According to a survey on bibliographic aspects such a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ancient book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1,260 books of 187 types of ancient books accounted for 72 of the masters of Gyeong, Sa, Ja, and Jipu, accounting for more than one-third of the total, with 35 types of separate books being the largest number by type. By edition, woodblock prints were the most common with 79 types, followed by 63 types of metal type, 11 types of manuscript, 29 types of wood type, four types of photoprint and one type of stone type. Five early Joseon printed cop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the completion of the Gyeongjaja bon, which was publish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You can also check the history of Korean ancient books in the Shanghai Library through the records of the books and ownership stam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