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양고전문헌학과 동양고전문헌학의 만남

        안재원(Ahn, Jae-Won) 한국서양고전학회 2017 西洋古典學硏究 Vol.56 No.1

        이 글은 서양고전문헌학과 동양고전문헌학의 관계를 추적하는 것이다. 글은 먼저 서양고전문헌학을 방법론적인 관점에서 하나의 학문으로, 교육의 관점에서 하나의 교육 기관으로 제도화시키는 데에 성공한 19세기 독일고전 문헌학의 전개 양상을 고찰하였다. 그 사례로 뵈크가 발전시킨 서양고전문헌학의 체계를 소개하였다. 다음으로 이를 바탕으로 독일고전문헌학이 일본과 중국의 국학의 성립에 이념적으로, 방법론적으로 어떤 영향력을 끼쳤는지를 추적하였다. 일본의 경우, 하가 야이치라는 학자가 중요하다. 그는 베를린에 유학했고, 그곳에서 서양고전문헌학을 배웠다. 일본 국학의 정립을 위해서 그가 독일고전문헌학으로부터 도입한 것은 두 가지였다. 방법론적인 관점에서 일본 국학의 현대화를 위해 그는 서양고전문헌학의 실증주의 전통과 백과사전적인 방법론을 일본 문헌학에 적극적으로 도입했다. 이념적인 관점에서 그는 19세기 독일의 국가주의 이를테면 훔볼트의 국민교양정신을 받아들여 일본의 이른바 국수주의의 확립에 결정적으로 기여한다. 중국의 경우, 량치차오가 중요하다. 량치차오도 하가 야이치와 마찬가지로 중국 국학의 현대화를 위해서 서양고전문헌학의 방법론을 중국문헌의 정리 작업에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함을 강조한다. 이 둘 사이에 있는 차이는 다음과 같다. 하가 야이치가 문학에 방점을 찍었다면, 량치차오는 역사학에 무게 중심을 두었다. 여기서 중국의 『유장』 사업의 의미를 추가했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한국 ‘고학’을 국학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현대화와 보편화가 필요한데, 이와 관련해서 서양고전문헌학이 방법론적으로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것이고 또한 이념적으로도 참고할 만한 대목이 있는 논쟁의 선례를 제공하기 위해서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estern] Classical Scholarship and Sinology. “German Philology” contributed a great deal to the establishment of Japanese national study(國學: Kokugaku) and Chinese philology (文獻學) in the early 20th century. For establishing Kokugaku, Haga Ya’ich (芳賀矢一, 1867-1927) who studied Western scholarship, including philology for about two years(1901-02) at Berlin University brought the idea of “Altertumswissensaft” characterized with positivism and encyclopedia into Japanese philology from German Philology regarding methodology. He took Enzyklopaedie und Methodenlehre der philologischen Wissenschaften of August Böckh as an important reference for it. Regarding ideology, however, the Kokugaku was footed on the idea of Wilhelm von Humboldt (1767-1835) who regarded philology as “Wissenschaft der Nationalität.” In China, Liang Qichao (梁啓超, 1873-1929) was an important scholar who received a strong influence from Haga Ya’ici. To modernize Chinese philology, Liang suggested that they should accept the methodology of textual criticism. The difference between Haga and Liang lies in the point that Haga put weight on Japanese poems, while Liang on history. Also, the paper added some observation of how Western Sinology was indebted to the classical scholarship in its methodology, agreeing to D. B. Honey’s book(Incense at the Altar: 2001). Furthermore, the paper introduced the Ru-Zang (儒藏) project driven by Beijing University, urging that it is time for us Koreans to compile and publish a work we may call tentatively Thesaurus Litterarum Coreanarum (『한국인문대전』).

      • KCI등재

        플라톤과 서양철학사 : 자체성(auto kath’ auto)과 철학적 최상급의 개념을 중심으로

        남경희(Nam, Kyung-Hee) 한국서양고전학회 2020 西洋古典學硏究 Vol.59 No.1

        플라톤이 서양 철학사에 끼친 영향은 기초적이고 다기적이나, 본고에서는 자체성과 철학적 최상급의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며, 이들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대안적 사유법을 위한 단서를 제안한다. 서구 철학의 주축적인 사유틀이나 개념들의 원류가 되는 것이 플라톤의 ‘바로 그것, 그 자신에 즉해 있는 것(auto kath’ auto: itself by itself)’ 또는 간단히,‘자체적인 것’이라는 개념이다. 이는 그가 형상을 규정하는 가장 대표적이며 고유한 표현으로, 자기동일성, 불가환원성, 독립성, 실체성 등을 함의한다. 자체적인 것의 개념은 두어 단계의 추론을 거치면, 비트겐슈타인이 말한 바, ‘철학적 사실’, 또는 ‘철학적 최상급’의 개념을 형성하게 한다. 자체성이나 최상급의 개념은 이후 서양철학자들, 가령, 데칼트의 절대 확실성 (인식적 최상급), 칸트의 정언명령이나 선의지(윤리적 최상급), 정치철학의 이상국, 논리실증주의의 이상 언어(언어적 최상급) 등의 개념 형성에 영향을 주며, 근현대의 인식론, 윤리학, 논리학 둥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사유범주들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검토한다. 이런 검토에서 비트겐슈타인, 소쉬르, 데이빗슨 등의 논의를 원용한다. 전면적 회의나 절대 확실성의 개념은 부조리하고, 철학적 사실 또는 최상급을 상정할 때, 규칙 준수의 역설에 봉착한다. 보편자, 추상체 둥의 자체적인 것 또는 최상급적 존재는 사념의 대상으로서 그 객관성을 확보할 수 없는 사밀적 존재이기에, 언어의 의미 기초가 될 수 없다. 이런 문제점들은 자체성이나 철학적 최상급 개념,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하는 서구 철학의 제 개념들이나 사유법이 재고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우리는 새로운 사고법을 모색해야 하며, 이를 위한 단서로 비트겐슈타인, 소쉬르 등이 제안하는 언어의 중심성, 마음의 사회성, 관계성, 그리고 동아시아적 사유법 등을 제안한다. 우리는 동아시아에서는 자체성, 실체성, 최상급, 심지어 진리 개념이 없이도 오랜 철학의 전통을 지속해 왔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Plato’s influences on Western philosophies are basic and manifold. This paper focuses on his concepts of ‘auto kath’ auto’ and philosophical superlatives. It further examines problems of these concepts and their history of influences on western philosophy, and suggests clues for alternative thinking. It is Plato’s ‘auto kath’ auto(itself by itself)’ that is the source of the main reasoning and concepts of Western philosophers. This is the most representative and unique expression when Plato defines main features of his Form. This phrase implies self-identity, irreducibility, independence, and essence. This concept leads Plato to form what Wittgenstein mentions as ‘philosophical facts’ or ‘philosophical superlatives.’ The concept of superlative is the logical basis for central concepts of major Western philosophers, such as the absolute certainty of Descartes (epistemological superlative), Kant’s categorical imperative or good-will (ethical superlative), the ideal language of logical positivism (linguistic superlative). These concepts have exercised long-lasting influences on modern epistemology, ethics and logic. This paper points out problems of these concepts, utilizing discussions of Wittgenstein, Saussure, and D. Davidson. The notion of absolute certainty or global skepticism is logically absurd, and assumming existence of philosophical facts leads us to lace the rule following paradox. It is argued that the self-identical or superlative being such as universals or abstracts turns out to be private entities which cannot provide the objective foundation for meanings of language. Thus the concepts of self-identity and philosophical superlative, and thought-categories of Western philosophy based on these must be critically reconsidered. These criticisms do not entail the end of philosophy. We need to look for new ways of thinking, and we may find some clues in centrality of language suggested by Wittgenstein, sociability of the mind, inter-dependance of existence, and East Asian concept of Li(禮) or correct name(正名). We should note that East Asian philosophers have developped a long tradition of philosophy without concepts of self-identity, philosophical superlatives, or even without the notion of truth.

      • KCI등재

        에토스에 관한 철학: 윤리학의 기원과 교육의 문제

        송유레 한국서양고전학회 2021 西洋古典學硏究 Vol.60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origin of ethics. To this end, I pay attention to the etymology of ‘ethics’, which is traced back to the Greek word ‘êthikos’, the adjective cognate with ‘êthos.’ In fact, ethics has appeared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as a philosophy about êthos. In this regard, two questions arise: First, what is êthos? Second, why there was a need for a philosophy dealing with êthos? Concerning the first question, I attempt to establish the thesis that ‘êthos’, regarded as the object of ethics, means character, although the term can refer to customs or habits etc. From this perspective, ancient ethics emerges as a philosophy about character or personality, not as a philosophy about customs, as has been claimed. As to the second question, I claim that education was the main concern at the beginning of ethics. In support of this, I link the concept of character to the concept of virtue, and shed a light on discussions about virtue by referring to the context of the debate over the ideal and method of education in the Greek classical period. Furthermore, it is shown that ethics started as a philosophy about character, but developed as a more comprehensive discipline which studies also habits and customs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Finally, I conclude by briefly assessing the bearing of the search for the origin of ethics on the contemporary discussion about what ethics is and does. 본 논문의 목적은 윤리학의 기원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윤리학’(倫理學)으로 번역된 영어 ‘ethics’의 어원에 주목하고자 한다. ‘ethics’는 희랍어 ‘êthikos’로 거슬러 올라가며, 이것은 명사 ‘êthos’에서 파생한 형용사이다. 사실상, 윤리학은 ‘에토스’(êthos)에 관한 철학으로 서양 철학사에 등장했다. 이와 관련해서 다음 두 가지 질문이 제기된다. 첫째, 에토스란 무엇인가? 둘째, 왜 에토스를 다루는 철학이 필요했는가? 첫 번째 질문과 관련해서 우리는 윤리학의 대상으로 지목된 에토스는 관습이나 습관이 아니라, 성격을 의미한다는 주장을 확립하길 시도할 것이다. 이런 시각에서 고대 윤리학이 성격 내지 사람됨에 관한 철학이었음이 드러날 것이다. 두 번째 질문과 관련해서 우리는 윤리학의 발단에 있어 교육이 주된 관심사였음을 주장할 것이다. 이 주장을 지지하기 위해 우리는 성격 내지 사람됨의 개념과 덕 개념을 연결시키고, 덕에 대한 논의를 희랍 고전기의 교육 이상과 방법을 둘러싼 논쟁의 맥락에서 조명할 것이다. 나아가, 우리는 윤리학이 성격에 관한 철학으로 시작했지만, 교육적 관점에서 습관과 관습의 문제를 포괄하는 철학으로 전개되었음을 보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윤리학의 기원에 대한 탐색이 덕 윤리를 둘러싼 현대 논의에 어떤 의미를 지닐 수 있을지 짧게 가늠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고대 그리스 사회에 대한 한국 중등 교과서의 오류 및 최병조 교수의 촌평에 대한 두 가지 제언 -『고대 그리스 법제사』 개정판 출간에 즈음하여-

        최자영(Jayoung Che) 한국서양고전학회 2019 西洋古典學硏究 Vol.58 No.2

        한국에서는 고대 그리스 폴리스 사회에 대한 여러 가지 오해가 만연해있다. 터무니없이 잘못된 지식이 광범하게 펴져있는 주요 원인은 해방 후 반세기 이상 중등 · 고등 교육의 교과서에 잘못된 내용이 기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중등 교사는 물론 대학 교수들도 그릇된 지식을 가지고 있어서 고대 그리스 사회에 대한 왜곡이 심각하며, 역사뿐 아니라 사회과학 전반에 걸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 왜곡되고 있는 사례의 예를 몇 가지 소개하도록 한다. 아울러 최병조 교수가 『서양고전학연구』 제35집, 189-219쪽에 실은 글 가운데 일부에 대해 필자의 의견을 재논평 형식으로 싣는다. 최교수의 글은 필자가 쓴『고대그리스법제사』중 부록 VIII, 『학설휘찬』(Digesta)에 그리스와 로마 법 사이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총 30여 개 발췌문에 관련한 논평이었다. 여기서는 필자가 여전히 미진하다고 생각하는 두 가지 점만 간단하게 지적하기로 한다. 하나는 ‘proxenetika (hermeneutikon)’에 관한 것, 다른 하나는 그리스 전치사 ‘epi’의 용법에 관련한 것(210-211쪽)이다. 동시에 이 글이 나온 지 이미 10년이란 세월이 흘러서, 개정판 출간에 즈음해서야 그 내용을 검토 반영하게 된 데 대해 양해를 구한다. 그 때 최교수는 로마법에 관련하여 필자가 사용한 부적절한 용어, 책명, 라틴어 번역에 보이는 오류까지 수정 의견을 내주었다. 그 세심함은 돈으로 헤아릴 수가 없는 것이다. 그런 세심한 배려 때문에 이번 개정판 출간으로 이 책은 한층 더 그 격조가 높아지는 계기가 될 것이며, 그 때문에 감사의 정을 전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