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언어로부터 연상되어지는 색채이미지 비교연구

        차정민(Cha Jeong min),미쯔보시무네오(三星宗雄) 한국색채학회 2010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4 No.2

        본 연구는, 문화나 환경의 요인으로 인한, 언어에서 연상되어지는 색채공간의 공통점과 상이성에 대하여 주목하였다. 한국인(서울거주,71명),일본인(동경거주,70명),일본거주한국인(동경장기간거주,70명)의 3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언어에서 연상되어지는 색채를 조사하였다. 색조를 의미하는 12개의 언어에 관하여 각각 연상되어지는 색을, 제시되어진 색챠트에서 선택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한국과 일본의 이미지가 색과 어떠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하여도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다. 1.색채 언어에서 연상되어지는 색채 이미지에서, 한국과 일본이라는 문화적 환경에 의한 상이점은 크게 두드러지지 않았다. 그렇지만, 일본인 집단은 각각의 색채 언어로부터 연상되어지는 색채 이미지의 선택 범위가 넓은 특징을 지니며, 한국인 집단은 각각의 색채 언어로부터 연상되어지는 색채 이미지의 일치성이 높았다. 2.언어의 “부드러운 색”, “탁한 색”, “맑은 색”, “밝은 회색조의 색”, “어두운 회색조의 색”이 제시하는 실제의 색채는 다양하게 이미지 되어지고, 언어의 “선명한 색”, “강한 색”, “연한 색”, “진한 색”에서 제시되어지는 색채 이미지는 문화적 환경과 상관없이 일치되어지기 쉽다고 판단되어졌다. 3.언어의 “한국의 이미지”에서 “Vivid Red”, “Deep Red”가 연상되어졌으며 이 결과는 3집단에 있어서 높게 일치하였다. 한편, 언어의 “일본의 이미지”에 대하여 한국인 집단은 “Vivid Red”가 높게 연상되어졌으나 일본인 집단과 일본거주한국인 집단에 있어서는 “Grayish Pink”, “Pale purple”, “Light purple”이 높게 연상되어졌다. 다음으로, 그 색이 연상되어진 이유에 대한 결과로서, “한국의 이미지”에 대해서는 “정열적이다”, “감정적이다”, “솔직하다”가, “일본의 이미지”에 대해서는 “차분하다”, “이성적이다”가, 가장 많이 기술되어졌다. 그렇지만, “한국”과 “일본”의 이미지에 있어서, 자국인 집단이 지니고 있는 이미지가 타국인 집단에서는 엿볼 수 없는 점들도 시사되어져, 한국과 일본의 교류에 있어서 보다 깊고 본질적인 이해가 요구된다고 생각되어졌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color space associated from the word. 71 residents in Seoul(the native Korean group), 70 residents in Tokyo(the native Japanese group)and 70 ling term residing Korean in Tokyo(the Korean in Japan group) participated in the present research. all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the generation of 30’s to that 50’s. all of them worked for enterprise and commercial service. according to as a results, be summarized below. 1.A color image associated with a language had little cultural environmental effect. However, The selection space of the color agreed in the Korean group more, and As for the Japanese group, the selection space of the color image was larger then Korean group. 2.In three groups, the color space associated from "vivid tone","pale tone", and "strong tone", "deep tone" was corresponding. But, the associated color space was shown from "soft tone", "dull tone", "light tone", "light grayish tone", "dark grayish tone" of the language in each group as a different color space. 3."vivid red","deep red" was associated from "Korea image", It is accorded highly in three groups. and "grayish pink", "pale purple", "light purple" was associated from "Japan image" on the Japanese group and the Korean in Japan group. but, "vivid red" was associated from "Japan image" on the Korean group. next, there were a lot of "be Settled", "reasonable" as an image of Japan, and "passionate", "sentimental" appeared a lot as an image of Korea. These results seem to indicate that deeper understanding is necessary between Korea and Japa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보건실 환경색채에 대한 문화집단별 비교연구

        박혜경(HeyKyung Park),메이니오(Mai Neo),오지영(JiYoung Oh),이민재(MinJae Lee),수지원(SohJian Yuan)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2

        한국사회는 대내외적으로 국제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문화적 부흥기를 맞이하고 있다. 그러나 서울올림픽 개최 이후, 많은 중소규모 제조업이 인력난을 겪게 되면서 중국과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외국인 노동자들이 유입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사회가 다문화적 성격의 사회로 변모해가는 시점에서,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와 배려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중에서도 타문화권에서 이주한 사람들의 성향 및 선호를 배려한 환경색채계획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서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한국인과 말레이시아인을 대상으로 각 국의 인지색채와 환경색채에 대한 감성적 인식을 비교분석하여 문화적, 감성적 인식차이를 알아내고, 환경배색에 대한 선호 경향을 알아내어 환경배색에 대한 감성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우선, 집단별 연구에 대한 문헌조사와 선행연구를 통하여 문화집단 간 연구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도출하였다. 2014년 8월초에서 9월초까지 ‘보건실 현대화 사업’에 참여한 10개의 초등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분광측색기를 이용한 환경색채를 측색하였으며 측색된 색채데이터를 기반으로, 환경배색팔레트를 제작하여 본 연구의 조사도구로 활용하였다. 마지막 단계로 각 국가의 인지색채 및 보건실 환경색채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기 위하여 2014년 11월에 디자인전공 한국인 80명과, 2015년 1월에 말레이시아를 방문하여 디자인 전공 말레이시아인 80명, 총1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인과 말레이시아인을 대상으로 인지색채, 환경색채에 대한 감성인지 및 환경배색에 대한 선호 경향을 비교분석함으로서, 색에 대한 국가 간 문화적 차이를 알아 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타문화의 색채의식 및 선호에 따라 향후 환경의 색채계획에 활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Korean society is facing a cultural renaissance connecting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ternally and externally. Since Seoul Olympics, small or medium-sized manufacturing industries, especially in the 3D industry(Dirty, Difficult and Dangerous) have been experiencing the shortage of manpower, therefore foreign workers from China and Southeast Asia countries began to enter Korea to search for jobs. Korea is at the point of transform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so there is a need to be considerate and understanding on variety of different cultures. Hence, it is necessary to learn about foreigners" preferring color schemes for friendli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ultural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colors between Korean and Malaysian and to evaluate the emotional difference on the environment as the most preferred and non-preferred trends and environment colors. First of all, theoretical backgrounds on cross-cultural studies were drawn through wide range of previous studies. In early August till September 2014, we visited the 10 primary schools were involved in "health unit modernization" to measure the environment colors, using the spectrophotometer(Minolta CM-2500d). Lastly, a survey was conducted by 160 people (80 Koreans and 80 Malaysians) from November 2014 to January 2015, in order to examine the trend of preferred color schemes of each country. The collected results from Korean and Malaysian were compared, and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were found out by comparing the color awareness and preference. We believe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the color scheme in the future environment design according to different color awareness and preference.

      • KCI등재

        학생용 및 컬러리스트용 포스터컬러의 색명과 색채 분석연구

        황하예진(Hwang Hayejin),박연선(Park Yunsun),전창림(Jeon Changlim) 한국색채학회 2010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4 No.4

        고부가가치 산업인 색채의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아동기 때부터 체계적이고 올바른 색채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발전도 중요 하지만 색채 교육의 기본이 되고 실생활에서 가장 가깝게 색채를 익히며 배우는 화구용품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화구용품은 화구 회사마다 각기 다른 색채와 색명, 같은 색채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색명을 나타내고 있으며 또한 교육용 채색재료와 전문가용 채색재료의 색명과 색채가 균일하지 않아 채색재료를 통하여 색채 감각을 익힌 학생들이나 작업자들에게 많은 혼선을 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판중인 채색재료 중에 교육용 포스터컬러와 전문가용 물감 중 컬러리스트용 포스터컬러의 색채와 색명을 조사하여 한국 산업규격(KS G 2614)과의 적합성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시판 중인 교육용 포스터컬러에서 한국 산업규격(KS G 2614)을 따르지 않는 색명이 자주 사용되며 같은 색명의 색채라도 제조사에 따라 색채가 다르며 한국 산업규격(KS G 2614)의 규정 허용치를 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교육용 포스터컬러의 세트 구성에서 색상들이 고르게 분포하지 않아 혼색교육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있었으며 한국 산업규정 안에서도 서로 맞지 않는 체계가 있어 제조자나 사용자가 혼란에 빠질 위험이 있고 교육 효과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representative high value-added business can be color. For developing to an advanced country of color, it"s important to not only cultivate professional colorists but also educate systematic color from childhood, the starting point of high skilled manpower in the future. It"s an important to develop and advance the proper color education program in childhood but the importance of the most fundamental drawing equipments that we can learn color in actual life the most closely is magnified. Korean drawing equipments use different colors and color names for each company so other color name is shown in spite of same color. Also, as color names and colors between coloring materials on education and coloring materials for experts are not equal, there are lots of confusion for students or workers who have learned color sensation through the coloring materials. Therefore, in this study, colors and color names of poster colors on education among the coloring materials on the market and poster colors for colorists among the paints for experts are examined, suitability and problems with Korean Industrial Standard(KS G 2614) were analyzed, the pallet formed by color names and colors for effective color education of poster colors for both education and professional colorists was suggested and furthermore, the standard analyzing 12 sets of coloring materials was suggested.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현대 상업가로 건축물의 입면 적용색채 분석

        진로(Lu Chen),류지선(Jiseon Ryu),이진숙(Jinsook Lee) 한국색채학회 2016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0 No.2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인 현대 상업거리를 대상으로 양국의 현대 상업거리 건축물 입면에 적용된 색채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연구배경과 목적에 따라 연구목표를 설정 후,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연구계획 방향을 모색하였다. 2) 대상지 선정 및 현황분석과 각 대상지의 색채 분석 방법을 설정하였다. 3) 선정된 대상지역 건축물의 색채현황 비교 · 분석 단계로 먼저 건축물의 색채를 주조색 · 보조색 · 강조색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대상지의 연속적 가로공간의 가로변에 입지하고 있는 인접 건축물간의 L*a*b*색차값을 추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각 대상지의 건축물 입면 색채 현황을 분석한 결과 한국과 중국 모두 YR계열과 N계열이 주로 적용된 것으로 보아 양국 모두 따뜻하고 밝은 분위기를 연출하였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한국과 중국 현대 상업거리 건축물 입면의 색조 분석 결과 적용된 전반적인 색조는 light-gray 색조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는 양국 모두 건축물 입면에 사용된 재료와 색채들이 대부분 밝은 석재 · 금속 · 유리를 사용하여 밝은 분위기를 연출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각 대상지 건축물 입면의 L*a*b*색차 분석결과 중국 현대 상업거리 건축물 입면의 평균색차가 한국의 현대 상업거리 건축물 입면의 평균 색차가 보다 더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중국의 현대 상업건축물의 색채는 비교적 단조로운 느낌을 주는 반면 한국의 현대 상업거리 건축물 입면의 색채는 중국에 비해 다양성을 추구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양국의 현대 상업거리 건축물 입면에 작용된 색채를 비교 ·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으로 분석 대상지가 4군데로 제한하여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대상지를 선정하여 분석을 하고자 한다. This study made comparison and analysis of colors applied to façade of buildings in typical modern commercial avenues in Korea and China, and its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1)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direction of research planning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analysis of the preceding researches. 2) This study prepared the colors extracted through the process of selecting target areas. 3)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lors of selected architectures, the color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dominant colors; supplementary colors; highlighting colors. L*a*b* color difference values of building elevation on the streets were extracted, analyzed, and compared.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olors applied to façade of buildings in each avenue, the lines of YR and N were mostly applied both in Korea and in China, indicating that the warm and bright mood is favored in both of the two countries. Next, according to the tone analysis of façade of buildings in modern commercial avenues in Korea and China, the harmony of light-gray colors is mostly found as the overall tone. It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light-colored stone, metal, and glass were mainly used for façade of buildings for the bight atmosphere in both of the two countries. Last, the analysis of L*a*b* color difference for façade of buildings in each avenue suggested that the average color difference of façade of buildings in China’s modern commercial avenues is smaller than that in Korea’s. The building elevation color in Korean modern commercial street created diversity and lively feeling. The building elevation color in Chinese modern commercial street created single and stiff fee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colors applied to façade of buildings in modern commercial avenues in Korea and China. But the limit of this study is four places to analysis by Korea and China. In the next study, I will find more places to analysis between Korea and China.

      • KCI등재

        한국과 하와이 20~30대 남.여의 색채 인식 정도에 관한 비교ㆍ분석

        김유선(YooSun Kim),김유미(YooMi Kim)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1

        미국의 하와이주는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융합된 ‘melting pot’이라고 불리는 미국에서 지역적 특수성을 유지하고 있는 몇 안 되는 지역 중 하나로 자연인 이동이 빈번한 하와이와 한국의 성별에 따른 색채 비교?분석을 통하여 두 지역의 20~30대는 어떻게 다르게 또는 유사하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한국과 하와이 20~30대 남?여의 색채 인식 정도에 관한 비교분석을 제1요인 평가성(아름다운 색/추한 색, 단맛/ 짠맛/ 신맛/ 쓴맛), 제2요인 압도성(가벼운 색/ 무거운 색, 부드러운 색/ 딱딱한 색), 제3요인 활동성(따뜻한 색/ 차가운 색, 빠른 색/ 느린 색)으로 총15문항을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선호색은 한국과 하와이 남성 모두 같은 색상인 Bluish Violet를 선호하였으나 한국과 하와이 여성은 여성이 선호하는 Red계열을 한국의 여성은 선호하였으나 하와이 여성은 지역(하와이)적으로 선호하는 색채 중 하나이 Green을 택하였다. tone에서는 한국은 다양한 tone을 선택하였고 하와이는 몇 가지 tone만 확연히 선택하였다. 평가성 부분에서는, 한국의 남성과 여성, 하와이의 남성은 유사한 부분들이 있었으나 하와이 여성은 전형적인 여성들이 선택하는 색상과 달랐으며 하와이 지역만의 특이한 색채들을 선택한 것을 볼 수 있었다. tone은 두 나라가 유사한 부분이 많았고 먹는 음식에 따라 두 나라가 확연한 차이의 tone을 보이기도 하였다. 압도성 부분에서는, 두 나라 남성과 여성이 유사한 색상들을 선택하였고, 색상의 차이를 보이는 것들은 tone의 유사성을 보여 압도성에 대한 확실한 색채인식을 볼 수 있었다. 활동성 부분에서는, 온도감에 대한 따뜻한, 차가운 색채는 두 나라의 남성과 여성이 유사한 경향을 보였고, 속도감에 대한 빠른, 느림에 관한 색채는 비율이 높은 색채들도 있었지만 개인차를 많이 보였다. This paper provides baseline data for comparative analysis of color perception in youth from Hawaii and Korea. Hawaii is a unique U.S. state with its own culture and heritage. A survey targeting youth in Hawaii and Korea was carried out to analyze color perception in both countries. This survey was composed of three factors: judgment (sensational) colors (beautiful color/ugly color, sweet color/salty color/bitter color/sourness color), overwhelming colors (light color/heavy color/mild color/stiff color), activity colors (warm color/cold color, swift color, slow color). Each of the three factors had 15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urvey are that both Korean and Hawaiian males preferred a Bluish violet color while Korean and Hawaiian females had different color preferences. Korean females preferred red color while Hawaiian females liked green. Koreans preferred various tones while Hawaiians selected a particular tone. For judgment of colors, Korean males and females and Hawaiian males showed similar preferences. However, Hawaiian females showed unique preferences from other females. Both youth in Korea and Hawaii selected tones depending on their local food culture. For overwhelming colors, each region showed similar results. For activity colors, both regions showed similar preferences for temperature but different perception of velo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