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상담자가 심리검사 수행에서 겪는 어려움과 교육요구에대한 탐색적 연구

        조은이,박애실,민예슬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3 상담심리교육복지 Vol.10 No.6

        본 연구는 대학상담자가 심리검사의 선택, 실시 및 채점, 해석, 결과 작성 및 전달 과정에서 겪는어려움과 교육요구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총 41명의 대학상담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CQR-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심리검사 수행과정에서의 어려움으로 내담자에게 적절한검사를 판단하기가 어려움, 온라인 심리검사의 증가로 인한 혼란, 투사검사 및 지능검사 실시의 어려움, 검사결과의 통합적 해석이 어려움, 해석상담의 어려움 등 18개의 범주와 43개의 하위범주가도출되었다. 그리고 심리검사 수행에 대한 교육요구로 사례에 적합한 심리검사 선택방법에 대한 교육, 투사검사 및 지능검사의 실시 및 채점에 대한 교육, 심리검사 결과의 통합적 해석에 관한 교육,해석상담 교육 등 13개의 범주와 37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상담자의심리검사 활용 역량 증진을 위해 고려할 교육의 내용과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difficulties and educational needs that university counselors encounterin the process of selecting, conducting, scoring, interpreting, and delivering psychologicalassessment. A total of 41 university counselors were surveyed and analyzed using CQR-M. As aresult, 18 categories and 43 subcategories were identified for difficulties in performingpsychological assessment, including determining appropriate tests for clients, confusion due tothe increase in online psychological tests, conducting projection/intelligence tests, integratinginterpretation of test results, and difficulty in interpretation counseling sessions. In addition, 13categories and 37 subcategories were derived for educational needs concerning psychologicalassessment, including selecting suitable psychological tests for each case, implementing andscoring projection/intelligence tests, integrating test results, and interpretation counselingses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tent and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al initiatives aimedat enhancing counselor psychological assessment ability were discussed.

      • KCI등재

        아동상담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상담자 경력에 따른 차이 비교

        황민혜,이영애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4 상담심리교육복지 Vol.11 No.1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between child counselor’s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sychological burnou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16 child counselors,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6.0 and PROCESS Macro.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daptive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had the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sychological burnout.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mediating effect on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classifying novice and expert child counselors based on 3 years, novice group’s adaptive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had the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sychological burnou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expert group, only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had the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This study tried to find counselor factors that affect psychological burnout of child counselors. Finally,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아동상담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 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국내 아동 및 청소년 대상의 심리상담자 216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아동상담자 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과 부적응적 인 지적 정서조절의 유의한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둘째, 경력 3년을 기준으로 초심 아동상담자와 숙련 아동상담자를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초심 아동상담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심리 적 소진의 관계에서는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모두 유의한 부분매개 효과가 나타났으나, 숙련 아동상담자의 경우,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만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동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상담자 요인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상담자의 성인 애착 불안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 :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오애경(Ae-Kyoung OH),최한나(Han-na CHOI)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0 상담심리교육복지 Vol.7 No.4

        본 연구는 상담자의 성인 애착 불안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최소 3회기 이상 상담을 진행한 서울 및 수도권 소재의 상담자 총 19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3.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고, 부트스트랩핑 검증법으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첫째, 상담자의 성인 애착 불안은 심리적 소진,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은 심리적 소진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상담자의 성인 애착 불안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상담자의 성인 애착 불안이 심리적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뿐 아니라 성인 애착 불안의 상담자가 심리적 소진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표집, 자료 수집 및 분석 과정에서의 일반화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an online and offline survey of 196 counselor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who conducted at least three sessions of counseling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xiety and burnou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MOS 23.0,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by bootstrapping ver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dult attachment anxiety of counselor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burnout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burnout. Seco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xiety and burnout of counselor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counselors’ adult attachment anxiety affects burnout, and to find out specific ways to prevent adult attachment anxiety counselors from burnout effectively. In addit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 in the process of samplin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discussed as a suggestion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심리상담을 받은 학령기 특수교육대상자 어머니의 경험

        정은숙,박미하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4 상담심리교육복지 Vol.11 No.1

        본 연구는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심리상담을 받은 학령기 특수교육대상자 어머니의 생생한 경험 을 있는 그대로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그 경험의 본질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특수 교육지원센터에서 실시하는 심리상담을 10회기 이상 받은 학령기 특수교육대상자 어머니 8명을 대 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88개의 구성의미, 29개의 주제, 9개의 주제군이 나타났고, ‘행복한 삶을 위해 내 면의 힘을 끌어올리는 마중물’이라는 본질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학령기 특수교육대상자 어머니들을 위한 전문적인 심리상담 개입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학령기 특수교육대상자 어머니들에 대한 심리상담 지원 및 제도 개선에 대한 시 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lived experiences of school-aged special education recipients’ mothers who received psychological counseling at a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and to reveal the essence of those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8 mothers of school-aged special education recipients’ mothers who received more than 10 sessions of psychological counseling at a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And it was analyzed using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f Colaizzi(1978). As a result of the study, 88 constituent meanings, 29 themes, and 9 theme groups emerged, and the essence of ‘priming water that raises inner strength for a happy life’ was deri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basic data for developing a professional psychological counseling intervention plan for mothers of school-age special education recipients at a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In addition, implications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support and system improvement for mothers of school-age special education recipients were presented.

      • KCI등재

        상담자 전문성 발달과 상담교육 실태에 관한 고찰

        최현국(Hyun-Kug Choi)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0 상담심리교육복지 Vol.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상담자 전문성 발달에 관한 다양한 연구문헌의 내용을 개관하고 상담자 전문성 발달의 핵심요소와 상담자 교육의 실태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기존의 상담자 전문성 발달 연구를 종합적으로 살펴보았고 상담자 발달연구의 흐름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상담자의 전문성 발달에 있어서 ‘의도된 집중적 훈련’과 ‘성찰적 인식’이 핵심기제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담자 전문성 발달 모델은 장기적인 종단 연구와 질적 연구를 통해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상담자의 전문성 발달을 위해서는 단순히 지식과 기술역량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인지, 정서, 관계 능력의 통합적인 발달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상담자 발달에 대한 문헌연구 내용을 우리나라 대학원 석사과정 및 박사과정에서 상담과목 교육 실태와 비교 분석한 결과, 대부분 교과목은 이론적 지식 습득차원에 치중되어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상담자들이 좀 더 정확하고 체계적인 교육 환경에서 상담자의 통합적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법과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important factors in the proces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reviewing various empirical literatures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ounselors, and to evaluate the Korean counseli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m.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d the counselor s professional development. As a result, First, the counselor professional development model need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 through long-term longitudinal and qualitative research. Second, it was found that not only knowledge and technical competencies are important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ounselors, but also the integrated development of cognition, emotion, and relationship ability.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literatur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counselors with the current status of counseling courses in the master s and doctoral programs in Korea, most of the graduate courses were focused on theoretical knowledge acquisition, and practical education was not enough.

      • KCI등재

        ADHD 아동의 부모상담 과정에 대한 상담자의 인식: 근거이론적 접근

        오지원,신서원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2 상담심리교육복지 Vol.9 No.2

        이 연구는 ADHD 아동 부모상담 과정에 대한 상담자들의 인식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ADHD 아동의 부모상담 경험이 있는 상담자 15명을 인터뷰하고 근거이론적 접근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8개의 주제와 19개의 하위범주가 발견되었다. 결과들을 살펴보면 아동 중심의 상담 환경 및 부모들의 다양한 호소문제가 상담 환경 측면에서 보고되었고, 상담 목표 및 개입측면에서는 ADHD 이해 및 수용을 위한 심리교육, 과잉행동 감소를 위한 대처법 코칭, 부모의 정서적 안정을 위한 개입이 보고되었다. 상담의 효과로는 부모의 인지, 정서, 행동적 변화가 보고 되었으며, 한계점으로 부모상담을 위한 시간 및 경제적 자원의 부족, 사회정의적 관점에서의 접근 부족이보고되었다. 또한 참여자들은 더욱 효과적인 부모상담 및 개입을 위해 부모상담 바우처 지원, 자조집단의 활성화, 교사 및 학부모 교육을 제안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

        회복탄력성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문은주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2 상담심리교육복지 Vol.9 No.5

        본 연구는 메타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성인을 대상으로 한 회복탄력성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집단상담 프로그램 관련 개별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회복탄력성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22년 2월까지 국내에서 실시된 성인 대상 회복탄력성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연구 중에서 분석기준에 부합하는 논문 24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 논문들에서 산출된 72개의 전체 평균효과크기는 1.355로 높은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의 참여자 특성, 프로그램 운영방식 및 종속변인에 따른 효과크기 차이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참여자 특성으로는 산후우울경향 산모, 참여인원수는 6∼8명, 총 회기수는 13회기 이상, 주당 회기수는 주2회, 운영기간은 9주 이상, 1회기 시간은 60분 이하, 종속변인은 회복탄력성 증진을위하여 실시할 경우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회복탄력성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연구결과를 종합하고,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적인 운영에 필요한 정보와 지침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있다.

      • KCI등재

        대학상담센터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1979∼2021년

        황혜정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2 상담심리교육복지 Vol.9 No.2

        본 연구는 대학상담센터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대학상담센터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추후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1979년부터 2021년까지 발표된 논문 57편의 연도별, 종류별, 연구자별, 유형별, 대상별, 주제 영역별 연구동향은 어떠한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결과를 기초통계치로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2000년대까지는 발표 논문 수가 많지 않았으나 2010년대부터 많은 수의논문이 발표되었다. 둘째, 학위논문보다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의 편수가 큰 비중을 차지했다. 셋째,1인 연구자가 가장 많고 2000년대 이전에는 단독연구만 수행되었으나 점차 공동연구가 증가하였다. 넷째,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비중이 비슷하였다. 다섯째, 연구대상은 대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대학상담센터 상담사였다. 여섯째, 연구주제 영역은 대학상담센터 실태와 인식, 상담자 특성과훈련 영역이 가장 많았다. 대학상담이야말로 예방적 접근이 중요한 영역이므로 대학상담센터는 학생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노력해야 한다.

      • KCI등재

        긍정심리 원예치료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정서행동 특성에 미치는 효과

        양은향(Eun-Hyang Yang),양종국(Jong-Kuk Yang)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0 상담심리교육복지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심리 원예치료를 통해서 고등학생들의 정서행동특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분석하여 고등학생들의 생활지도 및 심리안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경기도 I지역의 A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 중 2017학년도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 결과에서 관심군 학생 15명중 참여를 동의 한 여학생 9명을 선정하여 5주 동안 주 2회씩 총10회기 긍정심리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평균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대응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긍정심리 원예치료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이 자신의 감정, 느낌, 욕구를 적절하게 표현하게 하는 전체 정서행동특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변화되었고, 둘째, 청소년들의 정서. 행동특성의 하위요인의 심리적 부담감, 기분문제, 불안문제, 자기통제부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변화되었다. 본 연구는 관심군에 해당되는 여학생 9명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on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traits of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data needed for high school students guidance and psychological stabili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mong the 1st year students at A High School in Gyeonggi-do I region, 15 students are known to have a concern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result of AMPQ done in 2017. 9 out of 15 students were selected to undergo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after having the consent. For 10 times twice a week over five weeks,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and after have gone through Paired T-test after gaining the average of pre-test and post-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made students express their emotions and feelings positively and the emotional/behavioral traits to express one s desire have shown a positive change statistically. Second, the subscales of Youth s emotional/behavioral traits-psychological burden, mood problem, anxiety problem, self-control slack- has changed meaningfully according to the statistics. This study analyzed only 9 nine girls and therefore hard to generalize the result.

      • KCI등재

        여성 상담자의 알아차림과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 : 스트레스 조절효과

        고하나(Ha-Na KO),김정규(Jung-Kyu KIM)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1 상담심리교육복지 Vol.8 No.1

        본 연구는 여성 상담자의 알아차림 및 알아차림의 하위 변인들과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스트레스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 상담사 자격 취득 전후인 여성 상담자 165명을 대상으로 K-KIMS척도, 스트레스 척도, K-CBI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자기 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적률상관분석, 위계적 중다회기분석, 원점수 회귀 방정식 구성, 존슨-네이만 방법을 적용하여 상호작용 탐색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알아차림의 하위 변인 중 수용과 스트레스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알아차림의 하위 변인 중 수용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는 스트레스 수준에 의해 조절되었으며, 알아차림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스트레스 수준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더 컸다. 이 같은 결과는 마음챙김 스트레스 완충기제가설에 부합되며, 상담자 소진 예방을 위한 알아차림 향상 프로그램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스트레스 수준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and women’s counselor burnout. For reaching this goal, data on 165 women counselors were collected. Participants completed online questionnaires on awareness, stress and burnou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Jonson-Neyman technique. The result indicated that acception of sub factors of awareness interacted with stress such that it played a more prominent role during higher stress than during lower stress. Consistent with a mindfulness stress buffering account, results showed that aware training for counselor is more effective in the high-stress condition. Therefore, if we offer aware training program to prevent burnout among counselor, we will need to carefully consider the conselor’s stress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