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허기반의 산학협력 유망분야 도출 방법 연구: 미활용 특허 사례

        박상영,이성주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6

        Ever since the Act on the Promotion of Industrial Education and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IAC) was enacted in 2003, domestic universities have been focusing on commercialization research that can be applied to basic research industries by collaborating with industry and government agencies. Despite these efforts, the ratio of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through IAC is low. Most technology transfer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tudies have derived core technologies by analyzing the applied patents. First, this study collected expired patents from major domestic universities, compare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expired and live patents, and finally found key patents among expired patents in order to identify companies and fields of application to which the patents can be utilized. The results of the study focus on expired university patents in terms of methodology and present a framework to identify patents capable of continuous IAC and technology transfer and match them with those in ne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2003년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협력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국내대학은 기업 및 정부 기관과 협업을 통하여 기초연구에서 산업에 응용할 수 있는 상업화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산학협력을 통한 기술이전 및 기술사업화의 비율은 낮은 실정이다. 대부분의 기술이전 및 기술사업화 연구는 권리가 존재하는 특허를 분석하여 핵심기술을 도출하였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권리가 소멸된 특허를 기반으로 산학협력 유망기술을 도출하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첫째 국내 주요 대학의 미활용 등록 특허를 수집하고, 둘째 미활용 특허와 활용 특허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여 미활용 특허의 가치를 검토하며, 최종적으로 미활용 특허 중 핵심특허를 발굴하여 해당 특허가 활용될 수 있는 기업과 활용 분야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의 미활용 특허에 초점을 맞추어 지속적인 산학협력 및 기술이전이 가능한 특허를 발굴하고 이를 잠재수요기업과 매칭하는 전략 틀을 제시한 연구로, 대학의 산학협력 활성화와 기업의 기술사업화의 효율성 증대에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선택과 집중의 이면: 조직생태학적 관점의 중소기업산학협력센터 소멸 사례

        홍은영,최종인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8

        In the early 1990s, the government laid the foundation for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through the industry-university-research cooperation project and raised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R&D) level of domestic small to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by improving their technology. This project has been promoted through th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Center located in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With more than 25 years of experience, these centers have helped to maintain the industry-university-related governance system by expanding the national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network and securing core competencies such as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coordinators. However, recently, the centers have been disappearing as per the sunset provisions of this project and in furtherance of the policy of selection and concentration. In this paper, the disappearance of the centers due to external environment variability, such as changes in government policy, is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organizational ecology. In conclusion, the disappearance of these centers has led to the collapse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governance, the loss of core manpower, and the weakening of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SMEs. Through this study, it is argued that there is a need for a new policy design for the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ecosystem, along with efforts to strengthen its governance and maintain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universities in this regard. 한국 정부는 1990년대 초반 지역균형 발전을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을 주도하였다. 이 사업을 통해 산학협력의 초석을 마련하고, 지역기업의 기술력을 제고하는 등 국내 중소기업의 R&D 수준이 향상되었다. 이 사업은 대학 및 연구기관에 위치한 중소기업산학협력센터를 통해 추진되어 왔는데 25년 이상의 오랜 경험으로 인해 초기 중소기업의 기술력 향상 도모, 전국적인 산학협력 네트워크 확대, 산학협력코디네이터 등의 핵심 역량 확보 등 산학연관의 거버넌스 체제가 유지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이 사업이 선택과 집중 정책에 따라 사실상 일몰되면서 이 사업을 추진하던 중소기업산학협력센터는 소멸위기에 놓여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정부정책의 변화 등 외부 환경의 변동성으로 인한 센터의 소멸을 조직생태학 관점으로 접근한다. 결론적으로 센터의 소멸은 산학협력 거버넌스 붕괴, 핵심 인력의 소실, 주로 창업 7년 이내의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약화를 불러왔다. 이 연구를 통해 산학협력의 거버넌스 강화, 대학 및 연구기관의 산학협력 핵심역량 유지 노력과 더불어 산학협력생태계를 위한 거버넌스 등 새로운 정책설계가 필요함을 주장한다.

      • KCI등재후보

        ‘업종-기술’ 매칭 테이블을 활용한 IT인력양성용 산학협력

        심재륜(Shim, Jare-Ruen),최진호(Choi, Jin-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0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8 No.2

        본 논문에서는 IT인력양성을 위한 산학협력을 위해 ‘업종-기술’ 매칭 테이블을 제안하였다. 업종분류는 「정보통신부문 상품 및 서비스 분류」 체계에 의해 △정보통신서비스,△정보통신기기,△소프트웨어 및 컴퓨터관련서비스로 나누었고, 기술분류는 정보통신연구진흥원(IITA)의 기술코드를 이용하였다. 업종별 필요한 구성 기술을 제시하였고, 인력양성을 위한 ‘기업(업종)-기술-대학(학부/학과/전공)’의 파이프 라인(pipe line)이 유지되도록 산학협력 방안을 제시하였다. IT인력양성 산학협력의 예를 제시하기 위해 부산지역의 기업(디지털콘텐츠개발서버스)과 부산지역의 대학 (멀티미디어·콘텐츠 분야)의 핵심 교육 프로그램을 도출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업종기술’ 매칭 테이블은 업종분류와 기술분류 방식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IT인력양성 측면에서 미래 기술 추세와 시장 변화 등에 맞게 산학협력이 되도록 ‘업종-기술’ 매칭 테이블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In this paper, we have proposed on the Matching Table of 'Type of IT Business - Class of IT Techniques' to train IT manpower as an educational-industrial cooperation. The Type of IT Business(TITB) are classified according to △IT Services, △IT Devices, and △Software & Computer related Services which are guided by KAIT(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The Class of IT Techniques(CITT) are brought from IITA(Institute for Information Technology Advancement). We have suggested on the element techniques from the Class of IT Techniques(CITT) according to the Type of IT Business(TITB) and proposed an educational-industrial cooperation program to line up 'Type of IT Business(TITB) - Class of IT Techniques(CITT) - University(DepartInentJMajor)'. The deduction process of the core education program is presented to show the educational-industrial cooperation between company(Type of IT Business : Digital Contents Development Service) and university(Major of Multimedia & Contents) in the Busan area. The Matching Table of 'Type of IT Business(TITB) - Class of IT Techniques(CITT)' varies as the way of classification according to IT Business and IT Techniques. The research on the real and exact Matching Table of 'Type of IT Business(TITB) - Class of IT Techniques(CITT)' is necessary for educational-industrial cooperation by the trends of techniques and the changes of IT market share.

      • KCI등재

        과학기술분야 산학협력의 성과에 관한 연구

        한찬희(Chan-Hee H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1

        이 연구에서는 산학협력에 누적된 성과를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산학협력의 성과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의 총 연구비가 해마다 꾸준히 증가했고, 다양한 분야의 지식재산권도 증가했다. 국내 특허가 가장 많은 성과로 나타났고, 디자인과 상표도 크게 증가하였다. 둘째 특허 출원의 증가와 함께 1건당 소요 연구비는 감소하여 생산성이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또한 연구비 10억원 당 기술 특허가 4건을 넘어서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셋째 기술이전은 2003년 산학협력법이 제정된 이후에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꾸준히 증가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다만 최근의 경향으로서 기술이전 건당 기술료가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는데, 산학협력 시스템을 점검해서 기술료에 대한 부분의 성과를 제고해야 할 필요가 있다. 산학협력은 현재 진행형인 정책이자 과제이다. 대기업, 일반기업, 벤처기업 등 산학협력을 통해 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분야의 경쟁력을 제고해야하고, 대학은 기술개발의 파트너로서 협력 연구를 통해 관련 분야 기술 개발에 노력하는 모습을 보일 필요가 있다. 아울러 과학기술분야뿐만 아니라 인문사회분야의 연구비 증가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전반적인 산학협력 시스템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chievements in industry - academia cooperation and to draw policy implications. To accomplish this, I analyzed the achievements of industry - academia cooperation in a timely manner. Research shows that the total research fund of universities has (consistently)increased, and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various fields have increased. Domestic patents are the most successful, and design and trademark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Second, as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increases, the required research funding per piece has decreased, and the productivity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addition, the number of technology patents exceeded 4 per 1 billion won of research funding. The third transfer periodof technology started in earnest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th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Act in 2003, and has shown positive results. A recent trend, however, has been a tendency that the technology fee per technology transfer has been declining.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system and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technical fe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research funding not only in science and technology, but also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KCI등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에 게재된 치위생학 관련 연구동향 분석

        이선미(Sun-Mi Lee),임미희(Mi-Hee Lim),김영임(Young-Im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0

        본 연구는 한국산학기술학회지에 게재된 치위생 관련 논문들을 분석하여 치위생계 연구동향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으며, 최근 10년간(2011년부터 2020년 12월까지) 게재된 치위생 관련 논문 총 90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경향을 분석내용별로 실수와 백분율로 처리하였으며, 키워드 분석은 초록에 제시된 키워드를 나열하고 워드크라우드를 통해 그림으로 시각화 하였다. 학문분류 중 사회치위생 분야가 73.3%로 가장 높았고, 임상치위생 14.4%, 기초치위생 8.9%, 교육치위생 3.3%의 수준을 보였다. 연구방법은 양적연구가 91.1%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자료수집방법은 질문지법이 65.6%로 가장 많았다. 연구대상은 일반성인이 20.0%, 치위생전공 대학생 15.6%, 치과위생사 13.3%, 성인 타직종과 대학생(비전공) 10.0% 순으로 나타났다. 자료분석방법은 중복처리 결과로 회귀분석이 61.1%로 가장 높았고, 빈도분석 54.4%, 일원배치분산분석 48.9%, 독립표본 t-test 46.7%, 교차분석 40.0%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산학기술학회지에 게재된 논문들을 분석하여 향후 치위생학 연구방향 설정에 도움이 되고, 치위생 학문이 발전된 학술지로 발전하는데 있어 연구의 방향을 정립하고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rends in dental hygiene research by analyzing dental hygiene-related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A total of 90 dental hygiene-related papers published over the past 10 years (from 2011 to December 2020) were analyzed. Research trends were treated as real numbers and percentages by analysis content. Keyword analysis listed the keywords presented in green and visualized as pictures through word clouds. In the academic categories, social dental hygiene was the highest researched subject at 73.3%, followed by clinical dental hygiene (14.4%), basic dental hygiene (8.9%), and educational dental hygiene (3.3%). Considering the research methods used, quantitative research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publications with 91.1%, whereas questionnaires were the most common among data collection methods (65.6%). Subjects enrolled in the studies included 20.0% general adults, 15.6%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ental hygiene, 13.3% dental hygienists, and 10.0% adults with other occupations and non-major college students. Examining the data analysis methods applied revealed that regression analysis was the highest at 61.1% as a result of overlapping processing, followed by frequency analysis (54.4%), one-way batch variance analysis (48.9%), independent sample t-test (46.7%), and cross analysis (40.0%). This study analyzes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AIS and helps to set the direction of future dental hygiene research. We also establish the direction of research and provide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dental hygiene studies.

      • KCI등재

        산학협력단의 특허실적이 기술이전사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노성여(Seong-Yeo Noh)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2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분야의 국가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차원에서 기업의 R&D Source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대학의 산학협력 시스템의 효과적인 활용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대학 산학협력단의 연구개발 성과물인 특허실적이 기술이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교육과학기술부·한국연구재단(2013)이 발표한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허실적을 독립변수로, 기술이전을 종속변수로 투입하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석결과 기술이전 전체 건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특허실적 요인은 국내 특허출원수와 해외특허등록수, 미래기술(6T)특허 출원 · 등록수, 과학기술특허출원수로 나타났고, 기술료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술이전 전체건수이며, 특허실적으로는 국내 특허출원수와 미래기술(6T)특허출원수, 과학기술특허출원수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시사점으로 많은 특허가 출원될 수 있도록 연구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특허의 주요대상을 미래기술(6T)과 과학기술분야에 집중해야 함을 제안하였으며, 특허출원에 많은 노력을 기울임과 동시에 계약기간에 대한 협상대책을 별도로 기획하여야 함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대학 산학협력단의 1차적인 연구성과인 특허실적만을 고려했다는 데에서 한계가 있을 수 있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근본적인 요인으로 제시될 수 있는 인적, 물적자원과 운영시스템 요인을 포함하여 연구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patent results of the University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influence technology transfer.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2013 panel data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MEST)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sults show that the patent result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total number of technology transfers are domestic patent application numbers, foreign patent application numbers, future technology(6T) patent application numbers, science technology patent application numbers. The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royalty are the total number of technology transfers. Domestic patent application numbers, future technology(6T) patent application numbers and science technology patent application numbers have a positive effect on patent results. The results implicate that more research and development is needed for more patents to be applied, that the main focus should be on future technology(6T) and science technology fields, and that effort should be directed at planning negotiation strategies for the term of the contract. However, this study is the need to research, including primary research is so patent performance may be limited in having only been considered in future studies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nd operating system factors that may be presented to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this raises.

      • KCI등재

        산학협력이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송건호(Song, Geon-Ho),이철규(Lee, Cheol-Gyu),유왕진(Yoo, Wang-Jin),이동명(Lee, Dong-My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0 No.11

        본 논문은 산학협력 네트워크 활동이 중소 벤처기업의 기술혁신 성과에 어떻게 미치는지를 연구한 것으로 산학협력을 통한 공동장비 활용협력, 기술인력 지원 및 교류협력, 공동 기술개발 및 기술지도 협력의 세 가지 요인 이 기업가 역량과 흡수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최종적으로 이러한 기업가 역량과 흡수 능력이 중소벤처기업 의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화반월지구에 위치한 1100여개의 중소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설 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결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에 적용하여 개별 요소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이를 검정하 였다. 또한 산학협력 체결 기업과 미체결기업 간의 기술 혁신성과를 비교함으로써 중소벤처기업의 산학협력 활용능 력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수립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통한 개별 항목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공동장비 활용협력, 기술인력 지원 및 교류협력, 공동 기술개발 및 기술지도 협력 모두 기업가 역량에 큰 영향력을 미쳤으나, 지식흡수 능력에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최종적으로 기업가 역량과 지식흡수 능력 중 기업가 역량만 기술혁신 성과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위의 요소들이 업종별, 제품성장 단계별로 미치는 영향은 기업가 역량에는 동일하게 나타나고 다른 요소들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산학협력에 대한 다른 전략이 마련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산학협력 체결 기업은 미체결 기업에 비해 기술개선, 신제품 개발 건수, 공정개선 건수의 항목이 산학협 력 미체결 기업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effect of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on the technical innov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A survey was conducted on about 1,100 businesses located in the Sihwa-Banwol industrial estate to analyze the consequence of three factors of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the joint use of equipments, technological support of universities to businesses, and cooperative technological development through technical guidance—on entrepreneurial capability and their knowledge-absorption ability, and ultimately on their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validity of the survey result was test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the basis of the comparison between companies which have participated in academy-industry cooperation and companies which have not, this paper suggests that venture businesses should take advantage of the cooperation with universities to boost their competitiveness. The analysis of the three individual factors of the academy-industry cooperation based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s that all of them have remarkable influence on entrepreneurial capability, but that they don’t have as much impact on businesses’ knowledge absorption ability. However, the outcom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of businesses is primarily influenced by entrepreneurial capability rather than their knowledge absorption ability. The survey also shows that the three factors of the cooperation have an equal impact on the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regardless of their business type or their products’ growth stages. As the companies involved in academy industry cooperation outweigh other businesses, in term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numbers of new product development, and the numbers of their process improvement cases, this paper argues that new strategies should be taken for the businesses to fully take advantage of academy-industry cooperation.

      • KCI등재

        대학 기술이전의 공간적 특성과 지역 내 기술이전에 대한 LINC+ 효과 분석

        이은혜 한국산학기술학회 202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5 No.3

        이 연구는 2015-2018년 ‘대학 산학협력 실태조사’를 비롯한 다양한 출처의 자료를 사용하여 4년제 대학의 기술이전 현황 및 공간적 특성과 함께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이하 LINC+) 1단계 산학협력고도화 유형이 대학의 지역 내 기술이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대학의 기술은 대학 소재지 기관으로 이전된 비율이 가장 높아 지리적 근접성이 기술이전의 공간적 패턴을 형성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도권 산업체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강원권 및 충청권 대학과는 달리, 대경권과 동남권은 권역을 중심으로 지역 대학과 지역 산업 간의 기술이전 네트워크 결속이 강한 것으로 나타나 지역별로 기술이전의 공간적 구조에 차이를 보였다. LINC+ 산학협력 고도화형은 수도권 대학의 기술이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으나, 비수도권 참여대학의 권역 내 기술이전 건수는 평균 47.4%, 시·도 내 기술이전 건수는 35.5% 증가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수도권 대학에서는 LINC와 네트워크 자산이 지역 내 기술이전에 긍정적 영향을, 교원의 학술활동은 부정적 영향을 주고, 비수도권 대학에서는 민간 연구비와 특허출원, 기술이전·사업화 전담인력이 긍정적인 영향을, 기술지주회사는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 중국, 일본 철도연구기관 특허 및 논문실적 비교분석

        백승현,이윤주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6

        The governments of Korea, China, and Japan have operated comprehensive research institutes for railway technologies.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KRRI), China Academy of Railway Sciences Corporation Limited (CARS), and Railway Technical Research Institute (RTRI) are representatives of comprehensive railway research institutes in each country. KRRI was found to be the most advanced in the quantitative competitiveness of patents. In terms of qualitative competitiveness, KRRI has strength in civil engineering, whereas RTRI has strength in electricity. KRRI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efforts in securing competitiveness in overseas property rights. By comparing the publication of papers, CARS published the most papers. On the other hand, from 2015, KRRI showed an upward trend and published the most papers. By examining the impact of the papers by the citation, KRRI was found to have higher competitiveness than the other two institution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perform big data analysis on patents and papers of the three organizations, derive the key research areas and promising technology areas for each institute, and establish a mid-to-long-term development plan for railway technology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한국, 중국, 일본 정부는 철도에 대한 종합연구기관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중국철도과학연구원, 일본철도종합기술연구소는 각 국가의 대표적인 철도종합연구기관으로서, 철도원천기술 및 시스템기술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이 기관들은 특허와 논문 실적을 지속적으로 도출하고 있으며, 특허 및 논문을 통해 각 기관들의 연구성과를 비교 분석할 수 있다. 윈텔립스 DB를 이용하여 2000년 이후 공개특허를 비교한 결과, 특허의 양적 경쟁력에서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1,923건으로 가장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고, 질적 경쟁력에서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토목분야의 특허시장지수가 1.04, 특허영향력지수가 1.33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일본철도종합기술연구소가 철도전력분야 특허시장지수가 1.16, 특허영향력지수가 1.32로 높게 나타났다. 세 기관 모두 자국 특허출원 비중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상대적으로 PCT 출원 108건 등 해외 지식재산권 경쟁력 확보노력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copus DB를 이용하여 논문발표를 비교한 결과, 중국철도과학연구원이 1,527건으로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하였지만, 2015년부터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매년 100건 이상의 논문을 발표하며 가장 많은 실적을 나타냈다. 피인용도를 중심으로 논문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의 논문영향력지수가 0.45로서 두 기관보다 높은 경쟁력을 갖고 있었다. 향후 세 기관의 특허․논문 정보에 대한 텍스트마이닝 등 빅데이터분석을 활용하여, 기관별 중점연구영역 및 유망기술분야를 도출하고, 과학적 증거에 기반한 철도기술개발 중장기발전계획 등의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기술마케팅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분석

        황남구(Hwang, Nam-Gu),오영호(Oh, Young-Ho),김경진(Kim, Kyoung-J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7

        본 논문의 연구 목표는 대학의 기술마케팅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이를 위 해서 2006년부터 2008년까지 기술이전 실적이 있는 207개 대학의 실적을 9개 가설로 검증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과학기술 인프라(연구비, SCIE 게재 논문 수), 특허관련 보상제도(출원, 등록), 특허 건수(출원, 등록), TLO 직원(기술 이전 계약담당자 수, 산업체근무경력), 기술 이전 보상제도(연구자, 기여자) 및 인식(대학 경영층, 산업체)이 기술이전 성과인 기술료 수입금액 창출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구조 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과학기술 분야 연구비가 많을 수로 연구 역량이 높으며 특허 건수 확보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에서 시행하는 출원 및 등록 특허에 대한 연구자들의 보상 제도는 연구자들의 연구 성과물을 특허로 출원하는데 동기를 부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대학의 특허 보 유건수가 증가하면 기술이전 대상이 많아지므로 기술이전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기술이전 전문 인력(기술거 래사, 기업기술가치평가사, 변리사 등) 수도 늘어나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 보유 특허 수의 증가로 기 술이전이 확대되면 기술료 수익의 증가에 따라 연구자와 기여자의 보상이 늘어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 기술이전 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여 실증적으로 검증을 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현재 기술이전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대학들에게 밀접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에 대하여 정부의 산학협력 실태조사에 제출된 공식적인 자료에 대한 분석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이 선행연구들과의 차별성이 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uccess of technology marketing by Korean universities. The total of 207 universities which successfully made technology transfers from 2006 to 2008 was examined to test the nine hypotheses. For the purpose of testing the hypotheses, technology infrastructure (research costs and the number of SCIE papers), the compensation system for the patents (application and registration), the number of patents (application and registration), TLO staff (the number of people in charge of technology transfer and the job experience in industries), the compensation system for technology transfers (researchers and contributors), and attitudes of university management and industries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ethods to figure out their effects on the revenues of technology transfe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echnology infrastructures of universitie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securing patents. As the university research cost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are increases, the research capabilities are enhanced and this a larger number of researchers are conducted. Second, this research shows that compensation systems for patent application and registration in universities have motivated researchers to take out patents for the outputs of their research. Third, the number of patents universities posses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echnology transfer.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tents universities possess implies an increase in the diversity and excellence of the target technologies for transfer. Fourth, the number of patents universities possess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LO staff. The number of experts in charge of technology transfer including technology dealers, valuation analysis and patent attorneys should be increased as target technologies for transfer increase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patents possessed. Because the technologies are transferee from universities to businesses, businesses (job) experience of TLO staff in industries are also important. This research is meaningful because it has identified the factors affecting the results of technology transfer by employing structural equation methods. In particular, an official governmental survey data for the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were analyzed systematically in terms of technology infrastructure, compensation systems related to patents, the number of patents, TLO staff, compensation systems for technology transfer, and attitudes of university management and industries. All these facts might could differentiate this study from the previous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