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HAL을 활용한 사회과 수업 개선 방안 -초등사회과 4학년 소단원「사회의 다양성과 소수자의 권리」지도안을 사례로-

        이정희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3 사회과수업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초등사회과 수업계획 단계에서 수업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안하 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소단원 수준의 사회과 지도안을 HAL(Holistic Analysis of Lessons)을 활용하여 분석한 후 과제를 추출하고, 그 개선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수업계획 단계 에서의 반성적 매커니즘을 제시하였다. 학생의 사회인식 변용을 위해 사회과 수업 계획 단계 에서 고려해야할 수업 개선 포인트로 소단원 전체의 교수 학습 과정의 조직화, 학생 실태나 대체적 개념틀의 반영, 교사의 개념틀과 지식의 구조를 명시화 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그러 나 본고에서 개선안으로 제안한 지도안은 수업이 개발된 지역과 다른 지역의 학생 실태 조 사 결과를 토대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다. 개선의 포인트를 고려하여, 수업을 실천할 학교나 학급의 실정에 맞게 재구성하여 계획할 필요가 있 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시스템사고를 활용한 초등사회과 교육 방안 모색

        이경윤(Lee, Kyung Yoon),조의호(Jo, Eui Ho),한춘희(Han, Choon Hee)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1 사회과수업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지금까지 사회과에서 사회 문제를 비판적으로 사고하여 합리적 시민성의 함양을 목표로 하였지만, 복잡한 문제의 변수 사이의 순환적인 관계를 이해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 중 하나로 시스템사고에 주목하였다. 시스템사고를 통해 사회 문제에 관여된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문제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최적의 문제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시스템사고의 의미와 방법을 알아보고, 시스템사고를 적용한 초등사회과 수업모델을 제시하였다. 시스템사고를 적용한 사회과 수업 단계는 ‘문제 확인 -> 기본 지식 습득 -> 시스템모델 설계 -> 시스템모델 검토 -> 해결책 제안 및 실행, 반성’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모델을 적용하여 성취기준 [6사08-05]가 구현된 초등 6-2 교과서 2단원 내용 중 지구촌 환경 문제의 해결방안을 탐색하는 4차시 분량에 해당하는 부분을 재구성하였다. This study began with a sense of problem that Social Studies have so far aimed at cultivating rational citizenship, but there was a limit to systematically understanding complex problems and specifically suggesting solutions. The researcher paid attention to system thinkings as one of the alternatives to solving this problem. Students can understand the problem in depth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social problems through systems thinking and find a problem-solving method based on this.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meaning and method of systems thinking were investigated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an elementary social studies class model applied with systems thinking was presented. The social studies class stage applying systems thinking is confirmation of problems -> acquisition of basic knowledge -> system model design -> review of system model -> suggestion, implementation, and reflection of solutions . The instructional lessons applying this model in this study correspond to the 15-17th session of Unit 2 of the elementary 6-2 textbook. In this study, by applying this model,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4th hour of searching for solutions to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was reconstructed from the contents of the second part of the 6-2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where the achievement standard [6S08-05] was realized.

      • 초임교사의 사회수업 이야기 -소수자수업을 중심으로-

        신봄빛나래,심한결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5 한국사회과수업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5

        학부시절 ‘사회과수업이 가장 힘들다’며 푸념하는 다른 과 친구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나는 ‘사회심화과정’전공이라는 자만감내지 안도감으로 묘한 뿌듯함을 느꼈다. 그러나 이러한 나의 자만심은 학교에 발령을 받은 후 급속도로 깨지고 말았다. 나 역시‘사회수업이 가장 어렵구 나!’를 연신 체감해야만 했기 때문이다. 나는 사회수업의 어려움을 체감함과 동시에‘과연 이렇 게 사회수업을 해도 되는 것일까? 나름 학부 4년 동안 사회과교육 전공자로서 관련 심화과정 강의를 들었으며 적지 않은 내용을 배우고 고민한 바 있는데...’라는 자책 섞인 두려움 또한 느껴야만 했다. 이러한 와중에 나는 사회과수업에서도 다루기 쉽지 않은 주제 중 하나인 소수자수업과 맞닥 뜨렸다. 바쁘다는 핑계로 스스로를 위안하며, 나는‘어떻게 소수자를 가르쳐야 할까?’란 고민보 다는 ‘어떻게 미리 만들어 놓은 좋은 자료를 구할까?’라는 계책만 궁리했다. 여러 사이트에서 얻은 ‘이미 잘 만들어진 자료’를 아이들에게 소개하며 나의 영혼(?)없는 ‘소수자’수업은 무사히 그리고 빠르게 지나갔다. 그러나 그러한 수업을 하는 내내 그리고 종이 친 후에도 나는‘소수 자를 이렇게 가르쳐도 되는 것일까? 나는 아이들에게 유의미한 울림을 단 하나라도 주었는 가?... 이건 결코 내가 꿈꿨던 좋은 수업이 아닌데...’ 라는 자책감과 반성에 빠졌다.

      • 사회과 수업에서의 갈등해결 수업모형에 관한 연구

        이지혜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4 사회과수업연구 Vol.2 No.1

        갈등문제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건설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은 시민의 중 요한 능력이다. 따라서 민주시민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는 사회과에서 갈등해결과 관련된 교육은 매우 중요한 영역이다. 그러나 사회과에서의 갈등해결에 관한 수업은 의사결정이나 논쟁문제 교육의 일환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갈등해결과 밀접한 연관 이 있는 Oliver와 Shaver의 법리모형, Banks의 의사결정모형, Woolever와 Scott의 의사결정모형, Engle과 Ochoa의 의사결정모형, Stahl의 에피소드 의사결정 모형의 주요한 특징을 살펴보고 이 를 바탕으로 하여 사회과 수업에 활용 가능한 갈등해결 수업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 구에서 제시된 수업모형은 갈등해결에 이르는 전 과정을 포함하고 있으며, 대화를 통한 합리 적 합의에 이를 수 있는 갈등해결 방법을 도출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또한 개인적 갈등문 제 뿐만 아니라 사회적 갈등문제와 관련된 수업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

      • 수업 구성원간의 ‘소통을 위한 매체’로서 칠판 활용에 관한 사례 연구

        김보미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3 사회과수업연구 Vol.1 No.1

        세계 어느 곳이든, 칠판은 교실 공간을 구성하는 필수요소 중 하나다. 오래 전부터 칠판은 수업과정에서 구성원들이 소통하는 매개체였으며, 최근에는 기술 발달에 힘입어 그 형태와 기능을 다양화 하고 있다. 오늘날 한국의 학교 현장에서는 ICT 보다 일반칠판을 많 이 활용하는 수업은 구시대적이라고 평가받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교 실의 정보 인프라가 비교적 잘 구축되어 있는 한국에 비하여, 한국을 롤 모델로 최근 학교 급 별 정보 인프라를 구축하기 시작한 일본에서는 조금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양국의 초등 사회과 수업 중 유사한 주제를 바탕으로 구성된 사례를 들어, 수업 중 칠판의 활용 및 그 의미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하여 디지털 첨단기술과 아날로그적 수업기 술을 음미하고, 구성원의 소통이 살아있는 사회과 수업을 위한 매개체로서 ‘칠판’을 재해석 하고 활용해야 하는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 초등 사회과 교실 역사수업의 구조와 실제

        주웅영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3 사회과수업연구 Vol.1 No.2

        교실 교과수업은 학교교육의 중핵적 위치에 있고, 학교교육의 기본적 토대라고 할 수 있다. 이 교실수업을 규정하고 안내하는 중심적 역할은 각 교과의 교육과정이 수행하고 있 다. 학교교육의 교실수업을 바꾸려고 하는 나라는 무엇보다 먼저 교육과정을 개정하는 작업 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초등학교 사회과 교실 역사수업의 경우에도 사회과 교육과 정의 개정에 의해 교실수업의 모습은 달라질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사회과 교육과정이 교실 역사수업에서 어떻게 기능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한 작업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과 교육과정은 목표-내용-방법-평가의 4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영역들은 상호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는 동시에 상호작용하는 영역들이므로 교실 역사 수업에서 일관성이 유지되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사회과 교육과정은 목표에 해당하는 성취 기준이 정해지고, 내용선정이라고 할 수 있는 주제선정이 이루어지며, 교수?학습방법인 수 행활동이 이루어지며, 평가에서 중요한 진단평정이 이루어질 때에만 교실 역사수업에서 제대 로 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교실 역사수업에서 이들 기능이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교 육과정을 재구성하는 작업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되어도 지나치지는 않을 것이다.

      • 사회과 수업 컨설팅 매뉴얼 개발 및 적용

        이범기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3 사회과수업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사회과 수업 컨설팅에 필요한 사회과 컨설팅 내용을 추출하여 컨설팅 단 계에 따라 체크리스트로 유목화한 매뉴얼을 구안하여 사회과 수업 컨설팅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해 보고자 하는 질적 사례 연구이다. 이 연구 수행을 위해 사회과 수업 분석과 관련된 연구 결과물을 재구성하여 매뉴얼 초안을 작성하였고, 이를 서울특별시교육청의 위촉을 받아 2010학년도 초등사회수업지원단으로 활 동하고 있는 사회과 수업 전문가의 자문 결과를 반영하여 사회과 수업 컨설팅 매뉴얼을 구 안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매뉴얼을 수업 컨설팅 도구로 활용하여 컨설팅 실사례에 적용하 였으며, 컨설팅 과정에서 매뉴얼이 갖는 효과 분석에 관하여 유의미한 결론을 얻을 수 있 었다.

      • KCI등재

        성립기 사회과 교수·학습론의 전개와 특징, 1945-1955

        남호엽(Ho Yeop Nam)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2 사회과수업연구 Vol.10 No.2

        이 연구는 우리나라 사회과 성립기에 나타나고 있는 교수·학습론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이 시기는 신생 교과의 계몽기와 교육과정 개조 운동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앞의 시기는 해방 이후부터 1940년대 말까지에 해당하며, 사회과 교수요목의 해설이라는 차원에서 사회과수업 방법의 안내가 행해졌다. 그 당시 수업방식이 독본식 수업형태로 한계가 있었는 바, 그 대안의 모색은 문제해결학습의 아이디어였으며, 이러한 문제해결학습론의 실체를 러그의 사회과 수업론 측면에서 소개하기도 했다. 교육과정 개조 운동 시기는 1950년대 시작 무렵부터 1955년 1차 교육과정 공표 시기까지이며, 현장 교사들의 중핵 교육과정 구성과 실천에 초점이 있었다. 중핵교육과정으로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할 때, 핵심적인 교과는 사회생활과였고, 학생들이 지역사회 생활교육의 과정으로 사회인식활동을 하도록 했다. 두 시기 동안의 공통점으로 사회과수업은 단원학습의 과정 속에서 문제해결을 능동적인 참여활동으로 시도하도록 했다는 점이다. 차이점은 신생 교과의 계몽기보다는 교육과정 개조 운동 시기가 현장 교사 개개인들의 능동적인 실천을 시도하였다는 점에 주목해 본다. This research examined the logic of teaching and learning that appeared in the establishment period of Korean social studies. This period can be divided into the period of enlightenment of social studies as a new subject(1945-1949) and the period of the curriculum reform movement(1950-1955). In the former period, the social studies teaching method was limited to the form of textbook-reading instruction, and the search for an alternative was the idea of problem-solving learning, and the principle of this problem-solving learning theory was introduced in terms of Harold Rug's social studies theory. In the period of the curriculum reform movement, the focus was on the composition and practice of the cor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organized the school curriculum as a core curriculum, the core subject was social studies, and students were required to engage in social cognition activities as the process of life education in their community. The commonality between the two periods is that learners were actively involved in problem-solving learning in the process of social studies unit learning. The difference is that the period of the curriculum reform movement encouraged the active educational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ather than the enlightenment period of the new subject.

      • KCI등재후보

        체화인지론 기반 사회과 활동 중심 수업의 적용 가능성 탐색

        한동균(Han Dong kyun)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9 사회과수업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안한 체화인지론 기반 사회과 활동을 실제 현장에 적용해봄으로써 이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실제 현장에서 예상치 못한 상황을 감각적으로 대처해가며 보다 나은 활동 방안을 탐색하는 과정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두 번에 걸쳐 체화인지론에 기반한 사회과 활동을 적용해보고 그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동료 연구자와 함께 동일한 활동을 적용하고 성찰해봄으로써, 보다 나은 활동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실천을 통해 이론적이고 형식적인 지식이 학생들의 삶과 만나는 상황을 이루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수업 실천 속에서 체화된 경험은 이야기를 통해 현상 그대로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무엇보다 학생들은 자신의 몸으로서 느끼는 수업을 매우 흥미로워했다. 또한 교사의 발문을 통해 수업 활동과 사회과 개념을 관련짓기도 하였다. 하지만 두 번의 수업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학생들이 수업 활동과 실제의 삶을 연결 짓지 못하는 경우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의 실천 과정에서 나타난 미흡한 점들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이처럼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구안한 수업 방법이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지를 살펴보는 실험적 성격을 띠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체화인지론에 기반한 사회과 활동을 실제 현장에서 적용해보고 그 가능성을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추후에도 실천적인 교육적 숙고와 체화된 행위, 그리고 성찰을 통해 보다 완성도 높은 사회과 활동 중심 수업을 모색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proposed activity-based lessons in social studies based on the embodied cognition theory to the actual field. The purpose of the project was to show the process of sensitively coping with unexpected situations and exploring better ways of activity in the field application process. To this end, we applied social studies and activities based on the embodied cognition theory on two occasions and analyzed the results. We also tried to find better ways to do it by applying and reflecting on the same activities with fellow researchers. And the experience of this classroom practice was to show the status quo through the story. As a result, most of all, the classes students feel as their bodies are very interesting. It also related activities and social and social concepts in class through teacher s questioning. However, despite the two-time classroom practice, students were still found to be unable to connect their activities with their real life. As such, this study has an experimental nature to examine whether the method of teaching designed through prior study is field applicable. Neverthele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social studies and activities based on the embodied cognition theory were applied in actual field and explored their potential.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activities through practical educational deliberation, embodiment, and refl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