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검정제도 시행에 따른 초등사회과 교과서 구성체계 및 내용변화 양상 분석 : 2022년 적용 예정인 초등사회과 3-4학년군 검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나경훈 ( Na¸ Kyunghu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1 시민교육연구 Vol.5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검정제도 시행에 따라 2022년에 처음으로 적용 예정인 초등사회과 검정교과서의 구성체계와 내용변화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심의를 거쳐 초등사회과 검정 교과서로 합격한 11종의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체계의 내용 조직 측면에서는 큰 변화를 찾기 어려웠다. 둘째, 구성체계의 내용 전개 방식에서는 일관성에서 벗어나 교과서별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구성체계의 활동 구성 부분에서는 학생들의 흥미를 끌고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한 다양한 활동 자료를 제공하고자 노력하였다. 넷째, 교과서의 내용변화 측면에서는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검정 교과서의 질적인 향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초등교사들이 교과서를 판단할 수 있는 분석 기준을 공유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연수를 확대하여야 한다. 둘째, 내용 중심의 교육과정에서 탈피하여 국가 수준 교육과정 구속력을 낮추어야 한다. 셋째, 만들어가는 교과서로서 교과서 수정·보완 시스템이 확충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nit framework and content change aspect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authorized textbooks that will be applied, for the first time in 2022,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authorization system. For this purpose, 11 types of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were analyzed after deliberation by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difficult to show a significant change as part of content organization of the unit framework. Second, the content development method of unit framework deviated from consistency and showed differences between textbooks. Third, in the activity composition part of the unit framework, it tried to attract students' interest and provide various activity materials capable of self-directed learning. Fourth, in part of changes in the contents of textbooks, it was difficult to present a new alternative that could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curriculum.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 quality of authorized textbooks in the future. First, it is necessary to share the analysis criteria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judge textbooks and expand the training programs to utilize them. Second,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binding force of the national curriculum away from the content-based curriculum. Third, the textbook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system should be expanded as a textbook to be made.

      • KCI등재

        초등사회과교육과정 전개에 따른 사회적 역할 교육내용의 변화

        전희옥 ( Hee Ok Ju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9 시민교육연구 Vol.4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사회과교육과정 전개 과정 속에 나타난 교육과정 시기별 사회적 역할 교육 내용의 적용비중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를 기초로 초등사회과교육에서 사회적 역할 교육의 문제 극복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한 내용으로 먼저, 초등사회과교육과정 사회적 역할 교육내용 분석을 위한 이론적 논의를 실시하였다. 아울러 초등사회과교육과정 전개에 따른 사회적 역할 교육내용 분석하였다. 끝으로 초등사회과교육과정에서 바람직한 사회적 역할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초등사회과교육에서 바람직한 사회적 역할 교육의 방향으로 다음 몇 가지 사항을 제시할 수 있다. 먼저, 교육과정 시기별 반영비중의 격차 문제 해소를 위하여 교육과정 시기별 일회적·단절적인 내용 선정·조직의 문제를 극복하고 일관성을 유지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 각 시기의 교육과정 개발 관련 문서의 체계적 보관·관리 강화가 필요하다. 둘째로, 사회적 역할 내용의 상대적 비중 확대와 아울러 전 학년에 걸쳐 각 영역을 균형 있게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실생활에 유익한 내용을 소홀히 하는 교육과정의 변화, 추상적인 지식의 암기 중심으로부터 수행중심 평가·선발관 강화로 변화가 요청된다. 무엇보다, 교실에서 원활한 교육 실현을 위해 사회과 교사교육 기관의 교육과정에서 사회적 역할 교육방법에 대한 적용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Social role related curriculum contents factors changes(1946~2007) in the prim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has been analyzed in this articl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by analyzing social role related curriculum contents factors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each curriculum stages, as a result, to discover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organization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to make a contribution to organizing of social roles education contents in the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important to take a balance between knowledge, skill, value-belief contents factors concerning social roles in the primary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contents organization. Secondly, we need to include the useful contents for the actual lives in selecting social studies curriculum contents. Thirdly, we had better change a point of view from memory concentrated test tendency to performing centered evaluation. Fourthly, it is necessary to make the harmony between many kinds of the social role in the contents arrangements, and to improve the teaching competency of the teacher by strengthening and expanding the social roles curriculum in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초등 사회과에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토의,토론 수업의 양상 연구

        정문성 ( Moonseong Jeong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5 시민교육연구 Vol.4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사회과수업에서 디지털교과서 활용 토의·토론 수업이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초등 사회과 5학년 수업을 관찰하고, 참여한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면접 조사를 하였다. 이를 토대로 사회과 토의·토론 수업에서 브룩필드와 프레스킬(Brookfield & Preskill, 2005)의 토의·토론 9가지 성격이 어떻게 반영되는지, 15가지 이점은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지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토의·토론의 성격은 첫째, 구조적인 쉬운 참여로 수업에 초청받는 호의를 경험했고, 다른 학생의 의견에 귀 기울이지 않을 수 없는 구조 때문에 겸손한 태도와 학습공동체로서 감사함을 느꼈다. 둘째, 또 다른 학습기능을 확장하게 해서 말하고, 쓰고, 읽는 등 역동적 학습을 경험하였다. 셋째, 통제와 자율의 조화가 이루어졌다. 다음으로 토의·토론의 이점 15가지도 다음과 같은 모습으로 나타났다. 첫째, 다양한 의견의 공유와 다양한 관점을 확인하고, 이러한 활동의 반복은 다양한 의견에 관용적 태도를 길러주었다. 둘째, 개인의 의견을 피력할 수 있는 기회와 동료의 피드백을 받는 기회가 많아서 의사소통 능력을 길러주었다. 셋째, 글과 말의 병행은 빠른 속도와 많은 양의 의사소통을 이루게 했고, 검색기능 사용으로 지적 명쾌함을 경험하였다. 넷째, 학습 주의력을 강화시키고, 다른 학생에 대한 존중과 공감을 이끌어내었다. 다섯째, 1인 1디지털교과서는 민주적 과정의 학습과 협력적 배움을 경험하게 하였다. 여섯째, 모둠이 함께 협력해서 자기 팀의 주장의 근거를 만드는 경험은 공동창조의 경험, 그러한 자료나 근거를 종합하고 융합하는 경험을 갖게 해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discussions and debates in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by the using digital textbook aspect. For these purpose, 5th grade social studies classroom was observed. An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2 teachers and 2 students using the digital text. Based on it, the study was focused on ‘practicing the dispositions of democratic discussion(9 dispositions of discussion and debate)’and ‘15 benefits of discussion’. And the study was analyzed how ‘practicing the dispositions of democratic discussion’ and ‘15 benefits of discussion’ were reflected and expressed in discussions and debates activities by the using digital textbook. The findings of ‘9 dispositions of discussion and debate’ were as the following: First, because of structured ‘participation’, the students experienced ‘hospitality’ as inviting class. And because the student had to pay attention to other suggestion(mindfulness), they experienced ‘humility’ and ‘appreciation’ as studying community. Second, they had experience to have dynamic learning by reading, listening, speaking etc. with extending of learning function. Third, there was harmonies of control and autonomy. Next, the findings of ‘15 benefits of discussion and debate’ were as the following: First, the students could check sharing of diverse opinions and views. And these activities are helpful to develop attitude of tolerance. Second, because of the feedback system among students, the communication ability was developed. Third, because of a lots of writing and speaking, there were a number of communication. And they experienced intellectual clarity by search function. Fourth, the power of learning attention was strengthened and the students felt sympathy and respect with other students. Fifth, because of one-student, one-digital text, the students experienced learning of democratic process and cooperative learning. Sixth, because of group activities, the students could experience of cocreators of knowledge. And they used skill of synthesis and integration.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들의 사회과 교과 성격 이해에 관한 연구 : 목표 , 방법 , 내용 이해의 일관성을 중심으로

        박성혁,노영주 한국사회과교육학회 1999 시민교육연구 Vol.3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들이 사회과의 교과 성격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분석해 봄으로써, 초등학교의 사회과 교육에 대한 실천적 시사를 얻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전북 지역에 재직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 179명을 연구 대상으로 표집하여, 초등사회과의 성격에 대한 그들의 이해를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설문은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사회과의 목표에 대한 이해, 사회과의 교수-학습 전략에 대한 이해 그리고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를 묻는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목표 측면을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은 일반적으로 사회과는 시민성 전달이라는 관점, 사회과학 교육이라는 관점 그리고 반성적 탐구로서의 관점을 동시에 추구해야 하는 교과로 이해하고 있었다. 둘째 교수-학습 전략 측면을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은 일반적으로 사회과는 반성적 탐구로서의 사회과 관점을 많이 반영하는 교수 방법이 다른 입장의 방법보다 더욱 중요한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셋째 학습 내용 측면을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은 일반적으로 사회과는 반성적 탐구로서의 사회과 관점을 많이 반영하는 학습 내용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이런 결과를 보면 사회과 교과의 성격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이해 양태는 목표, 방법 그리고 내용의 3측면에서 일관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se the conception about the nature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of primary school teachers, and to seek significances in the area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For this study, 179 primary school teachers were sampled to survey and analyse their conceptions about the nature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Questionnaires included teachers' conception about the object,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the learning content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o Analysing in the object's aspect, primary school teachers generally have such conception about the object that elementary social studies should pursue objects from the viewpoint of citizenship transmission model, social sciences model, reflective thinking model simultaneously. o Analysing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s aspect, primary school teachers generally have such conception about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hat the strategy from the viewpoint of reflective thinking model is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s. o Analysing in the learning content's aspect, primary school teachers generally have such conception about the learning content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hat the learning content from the viewpoint of reflective thinking model is relatively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s. o Consequently, primary school teachers generally have inconsistent conception about the object,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the learning content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ICT 활용 사회과 경제 문제해결학습의 모형과교수-학습 사례 개발

        최병모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6 시민교육연구 Vol.38 No.4

        The Development of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 Technology) Using Economy Problem-solving Model in the Social Studies was verified in this the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y making the ICT Using in the Economy Problem-solving method and it's lesson in the social studies, as a result, to make a contribution to adapting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o making the good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Korean social studies class room.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firstly, theoretical background of ICT Using Economy Problem-solving Model in the Social Studies and it's lesson model has been made. Secondly, the good case(why famous sports stars do they make much money?) of the ICT Using Economy Problem-solving Model in the Social Studies. And, the using direction of ICT Using Economy Problem-solving Model in the Social Studies was presented. In conclusion, We must continuously try to develop and adapt ICT Using Economy Problem-solving method models for the purpose of the progress in Economy Problem-solving skill. Key Words: the social studies, Problem-solving method,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 Technology) 이 논문의 목적은 ICT 활용을 통한 사회과 경제 문제해결교수-학습 모형 사례를 개발・제시함으로써 학교 사회과 경제교육에서 문제해결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ICT의 활용방법을 개발하고 실천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며 이를 바탕으로 학교 사회과 경제교육의 발전에 기여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ICT 활용을 통한 사회과 경제 문제해결학습 원리 및 교수학습과정의 정리와, 사회과 경제교육에서 ICT 활용 수업의 특징과 의의 검토, ICT 활용을 통한 사회과 경제 문제해결학습 모형 개발 제시, 교수-학습 계획과 수업지도안 측면에서 ICT 활용을 통한 초등사회과 경제 문제해결학습형 사례를 개발, 제시하였다. 특히 사회과 경제교육에서 문제해결 교수-학습과정은 학습자의 사고과정에 근거하여 보통 문제 상황 제시 - 문제설정 - 추론(원인 확인과 가설) - 증거탐색(실험) - 일반화- 적용 - 참여 등의 단계를 설정하였다. 또한 수업지도안의 실제 부분에서는, 문제해결수업단계별 학습내용과 한습문제 도달목표를 중심으로 교사와 학생의 ICT 활용 활동을 상세히 하여 가상 시나리오를 진술하였다. 평가 부분에서는 지식, 기능, 가치태도, 참여 영역으로 각각 나누어 평가 기준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주요어: 사회과교육, 경제문제해결학습, 정보, 의사소통, 기술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