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빅데이터 시대의 비평이론

        이택광(Taek-Gwang Lee) 한국비평이론학회 2022 비평과이론 Vol.27 No.3

        이 논문은 신자유주의와 세계화, 그리고 그에 따른 빅데이터 자본주의의 출현에 대응하기 위한 비평이론의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후 비평이론의 전개에서 프랑스철학이 갖는 위상을 점검하고, 비평이론이 곧 ‘비평의 욕망,’ 또는 ‘욕망하는 비평’의 문제라는 점을 규명할 것이다. 이런 ‘비평의 욕망’은 정세와 무관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1980년대 CIA보고서가 명확하게 보여준다. 프랑스 철학은 글로벌 자본주의의 가속화에 대응하기 위한 신좌파의 이론을 만들어내고자 했지만, 불가항력적인 정치경제적 조건의 변화는 지식인의 퇴거와 이론의 쇠퇴로 이어졌다. 이런 급속한 변화의 기저에 놓인 것은 인지 자본주의의 출현과 이를 더 정교화한 감시 자본주의의 등장이다. 이 논문은 이런 맥락에서 인지 자본주의와 감시 자본주의의 관계를 밝히고, 이런 조건에서 비평이론의 역할이 무엇인지 묻고자 한다. 결국 비평이론은 정치적인 문제이기에, 비평의 욕망은 감시 자본주의의 빅데이터 경제를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을 넘어, 그에 대응하는 대안의 현행화를 도모하는 지적 운동일 수밖에 없음을 강조할 것이다. This essay discusses the rise of neoliberalism and globalization and its effects on the reconstruction of critical theory. This consideration will be about how the desire for critical theory, or the desiring critique, could intervene in the cognitive or surveillance capitalism phase based on big data technology. For this purpose, I will clarify the fact that the revival of critical theory should be the reconsideration of French philosophy (or French theory) and its political foundation since the 1950s. The vital link between critical theory and political conjunctures is revealed in the CIA’s report on French philosophy in the 1980s. The failure of radical French philosophy led to the decline of intellectuals and the reification of critical theory. I will relate this situation to the advent of cognitive or surveillance capitalism and its changed mode of accumulation. My conclusion will focus on the role of critical theory in understanding the function of big data capitalism and imposing its political implication on the celebration of technological advances.

      • KCI등재

        블렌디드 러닝을 위한 한국학 교수요목 설계에 관한 연구

        진대연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4 No.-

        The range of Korean studies education is so wide that it can be called education on ‘everything related to Korea’, and the scope of contents that can be dealt with accordingly is also diverse. However,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re very important because classes considered as the core of educational activities must be designed on the basis of the syllabus and lesson plans for efficiency. And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or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inevitably reflected in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the direction of Korean studies education should be in rela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future and to share some specific issues. In particular, as educational contents, Korean studies should be approached as regional studies from international perspectives rather than national studies from domestic perspectives. And learner-centered education of Korean studies can start from the awareness of the needs for hybrid methods in which learners’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relatively) are bound to have a greater proportion than teachers’ control or guidance. In this paper, the paradigm shift in contents and methods for Korean studies education is discussed (Chapter 2), the results of needs analysis for designing syllabus of Korean studies are presented (Chapter 3), and a series of syllabus development processes of Korean studies for blended learning are illustrated (Chapter 4). Each chapter of this paper consists of the contents conducted by literature review, cultural domain analysis,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methods. Since the development of a syllabus or curriculum cannot be accomplished in a short period of time, this paper aims only to share the processes so far and the remaining steps are left as a future task. 한국학 교육은 ‘한국과 관련된 모든 것’에 대한 교육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폭이 넓고 그에 따라 다룰 수 있는 내용의 범위도 다양하다. 그런데 교육 행위의 핵심으로 간주되는 수업은 효율성을 전제로 교수요목과 수업계획을 설계해야 하므로 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에는 교수자 또는 교육기관의 관점이 반영될 수밖에 없다. 이 글은 앞으로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한국학 교육의 방향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를 살피고 몇 가지 구체적인 사안을 공유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교육 내용으로서 한국학은 국내적 시각의 국학이 아니라 국제적 시각의 지역학으로 접근해야 하며, 학습자 중심의 한국학 교육을 위해서는 교수자의 통제나 지도보다는 학습자의 참여와 활동이 (상대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할 수밖에 없는 하이브리드 방식의 교육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본론에서는 한국학 교육 내용과 방법의 패러다임 전환(Ⅱ장)에 대해 논의하고 한국학 교수요목 설계를 위한 요구 조사(Ⅲ장) 결과를 제시한 후 블렌디드 러닝을 위한 한국학 교수요목 개발 과정(Ⅳ장)을 소개하였다. 본론은 장별로 각각 문헌 고찰, 문화 영역 분석, 수업 컨설팅 방법에 따라 수행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교수요목 또는 교육과정의 개발이 단시간에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것을 전제로 이 글에서는 그간의 과정을 공유하는 것에 의의를 두며 남아 있는 단계를 마저 수행하는 것은 차후의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 문학교육 활성화를 위한 한국어 교사 양성과정의 교과과정 개선방안

        신윤경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4 No.-

        Recently, the status of Korean literature came up in conversation and there have been extensive discussions. And, it’s very clear that Korean literature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one of the best teaching materials not only as a tool for communication but for individual growth. To strengthen the Korean literature statu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revitalize its usage actively,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eachers. Because, diverse and creative Korean literature classes can be possible depending on capability and flexibility of teachers as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not a national level standard education course. Therefore, it’s the fastest way to review the courses for prospective teachers and generate better alternatives. First, I reviewed Korean literature classes in the degree and non-degree education programs for prospective teachers. The review results show that current classes in 4 categories are lack of systematic educational contents and classes in the category, which are designed to provide literature education theory, are rarely offered. Also, diverse study materials should have been developed and wide range of prospective teachers’ capability also should have been consider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literature education theory as soon as possible and standardize systematic class curriculums by subjects in the category 3 and 4. Additionally, study material reflecting the above direction should be developed and there should be a separate education course for foreign prospective teachers. To realize all of the above, cooperation and active knowledge exchange with experts is very much required. 최근 문학의 위상이 화제로 떠오르고 여러 가지 논의가 오가지만,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은 단순한 의사소통을 넘어서 개인적 성장까지 이룰 수 있는 최고의 자료임은 확실하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의 위상을 좀 더 공고히 하고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들에게 집중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한국어 교육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이 아니라서 교사의 역량과 융통성에 따라 수업의 다양성을 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들을 양성하는 교육과정의 내용을 점검하고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가장 확실하고도 빠른 길이라고 할 수 있다. 먼저, 한국어 교사를 양성하는 학위·비학위 과정의 문학 수업을 점검했다. 현재 4영역에 개설되는 수업은 체계적인 교육 내용이 마련되지 않았고, 실제 문학 교육론 수업을 할 수 있는 3영역의 과목은 개설이 드물었다. 또한, 학습자 편차의 문제와 적절하고 다양한 교재 개발이 미흡하다는 점도 있었다. 이에 문학 교육론의 이론적 체계를 시급히 마련하고, 3,4 영역의 과목별 교육 내용을 규범화해야 한다. 또한, 이런 내용이 반영된 교재가 개발되어야 하고,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교육과정이 따로 개설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앞으로 전문가들의 협조와 의견 공유가 절실하다.

      • KCI등재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여성결혼이민자의 타자성 - 『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를 중심으로 -

        김미정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6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3 No.-

        As the number of international marriage increases sharply, migrated female emerged as a staple part of our society. Therefore, the difficulty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have about sociocultural adaptation became remarkable social issue, and necessities for social unification and foreigner protection are arising. In this situation, Korean language has an equal effectiveness with their mother language as a language of life rather than just second language. So, this leads to a focal focu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especially on the role of its base-material, the textbook. However, reminding the textbook not only has function of language acquisition but also includes indigenous culture, ideological connotation and more of the country, text for foreigner needs ti be approached discreetly on its range of leverage because it embedded implicitly with one group's indigenous culture and social operational mechanism at the bottom. Textbooks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had been generally reedited from 2010, and made positive changes from skill-integrated text to skill-separated text and from uni-culture to inter-culture, but there was no change on marginalization of migrant women in the aspect of sociocultural area and gender in both texts before reediting and after. This paper, hence, looked into “Korean language with the marriage immigrant”, which was pu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nd analyzed ‘othernes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 which is implied in textbook. First, I could figure out migrant women's social status and self-identity through their activity space and interlocutor while analyzing their otherness. Since their activity space is narrow-ranged such as countryside and neighbor area and even worse to house mostly, I found out that they, indeed, was being socially and economically othered in Korean society. Moreover, I witnessed they were left as gendered others as being forced to take patriarchal system repeatedly by their mother-in-law, who is a bearer of Korean culture, and other surroundings. To solve the aforementioned problems, changing perception of the neighbors and surroundings about female married immigrants would be the first and foremost task in the aspect of social safety net. Therefore, if possible, the textbook and continuous program which their husbands, kids, and parents-in-law can participate together and/or their neighbors can associate, need to be developed. In addition, the textbook has to be composed in a way deviating from compelling them to assimilate into unreciprocated Korean culture, but respecting culture and history of other nations, and simultaneously expanding intercultural exchang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pread the non- dichotomy gender conception of occupation along with various textbook which enables them to get vocational education for feeling settled, improving their self-esteem, and having stable economic life in Korea. When immigrants of our society secure their economic power through labor and find their social identity with recognition of people nearby by strengthening these practical alternatives, multicultural social integration would be made, and these immigrants' competence would be exhibited its new social power as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assets. 국제결혼이 급증하면서 이주여성이 우리 사회의 주요한 일원으로 등장하고 있다. 그러기에 여성결혼이민자들이 겪는 사회·문화적 적응의 어려움이 문제화 되면서 외국인의 보호와 사회통합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중에 여성결혼이민자들에게 한국어는 제 2의 언어라기보다 생존의 언어로서 모국어와 등가의 효용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한국어 교육이 중요시되고 그 기본기재인 한국어 교재가 담당하는 역할은 어느 것보다도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한국어 교재는 단순히 언어학습의 기능만을 갖는 것이 아니고 그 나라의 문화 및 사상 등을 포함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기저에 한 집단의 고유문화와 사회의 작동 기제가 암암리에 투영되어 있어서 파급 효과가 크므로 조심스럽게 접근해야한다.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교재는 2010년을 기점으로 전면적 개편이 이뤄져 통합적 텍스트에서 영역 강화적 텍스트로, 동일문화에서 상호문화로의 비교적 긍정적인 변화가 파악되었지만 개편 이전이나 이후 모두 사회·문화적, 젠더적인 면에서 이주민여성을 주변화하는 내용에는 커다란 변화가 없었다. 이에 본고는 국립국어원에서 출간한 『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를 살펴보면서 교재에 함의되어 있는 여성결혼이민자의 타자성을 분석해 보았다. 먼저 여성결혼이민자가 활동하는 공간 및 대화 상대자를 통해서 그들의 사회적 위상 및 정체성을 가늠할 수 있었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행동반경은 농촌 및 그 주변지역이고 더 나아가 집안을 위주로 한 제한적 공간으로서 그들이 한국사회에서 사회적 ·경제적으로 소외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런가하면 한국 문화의 담지자 및 전수자의 역할을 맡고 있는 시어머니 및 주위 환경에 의해 한국식 가부장적 문화가 반복적으로 주입되면서 여성결혼이민자가 젠더적으로 타자화 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결혼여성이민자에 대한 주변 및 이웃의 인식을 전환하는 것이 사회안전망 차원에서도 중요한 과제이므로 가능하다면 남편과 아이, 시부모가 공동으로 참여하거나 이웃과의 연계활동도 할 수 있는 교재와 지속적인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 교재는 한국의 일방적인 문화에 동화를 강요하는 방식을 벗어나 상대국가의 문화와 역사를 존중하면서 상호 문화교류를 확대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여성결혼이주민들이 정착감과 자존감을 높일 수 있고 한국에서의 안정된 경제생활을 위해 직업교육을 받을 수 있는 다양한 교재와 더불어 젠더 분업적이지 않은 직업 관념의 확산도 필수적이다. 이러한 실천적 대안이 강화됨으로써 우리 사회의 이주민들이 노동을 통해 경제력을 확보하고 주변 사람들의 인정을 통해 사회적 정체성을 확보할 때 다문화적 사회통합은 가까워질 것이고 이민자의 역량은 국가경쟁력이자 자산으로 새로운 사회적 힘을 발휘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1970년대 초 한국소설의 미군기지(촌) 재현 양상 연구

        오창은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2 No.-

        In the early 1970s, Korean novelists actively wrote about the U.S. Army bases (villages). They narrated U.S. Army bases (villages) so as to conduct cultural politics pointing to the center from the recent-modern peripheral areas. In the 1970s, KATUSA within the U.S. Army bases and women in the U.S. Army base villages represented the recent modern peripherals of Korea, and showed the recent-modern negative ideologies of Korea which was then at the bottom of the world system. Korean male novelists, when they looked at the women, showed strong desire for equality as recent-modern ideology as well as revealing anxiety and sense inferiority of intellectuals. Noteworthy Korean novels about the U.S. Army bases (villages) include Jo Jeong-rae’s 「Tiger Major」(1973), Sin Sang-ung’s 「Diary of Wrath」(1972), and Jo Hae-il’s 「America」(1972). Jo Jeong-rae, in「Tiger Major」, illustrated Korean troops who had equal competence and rights with American soldiers by presenting Korean army officers and KATUSA within the U.S. Army bases. Jo Jeong-rae tried to romantically overcome their sense of inferiority and inequality through the theory of excellent ability and the theory of heroic leaders. Sin Sang-ung, in 「Diary of Wrath」, criticized Koreans’ inner colonialist perception and U.S. military’s occupation unit viewpoint. Sin Sang-ung responded to U.S. military stationing in Korea which disgraced the equalitarian world view as recent-modern universality with the emotion of ‘anger and wrath.’ Jo Hae-il, in「America」(1972), attempted to overcome Korean males’ helplessness feeling about women in the Army bases with sympathy. Jo Hae-il, in describing the situations of residents in Army base villages, defined them as surviving cowards. They endured the hidden darkness of Korean modernization by taking on the share of suffering. Jo Jeong-rae, Sin Sang-ung, Jo Hae-il, etc. were young writers who were born in the second half of 1930s to early 1940s. They underwent April 19 Revolution and June 3 Korea-Japan Talks Opposition, thus allowing themselves to be inclined to be nationalist democratic. Relatively autonomous print media such as 『Hanyang』, 『Sanghwang』, and『Sedae』were published, offering a wider range of stage for writers to publish works critical of recent-modern system and Korean reality. In this context, the writers in the 1970s began to see the stationing of U.S. Army bases as the intrusion on recent-modern equality. They also saw the history of Korea as the history of disgrace, reinforcing their relative and objective preception of U.S. This movement was the starting point of the explosive spread of anti-America perception in Korea in the 1980s. Intellectual writers in the 1970s illustrated the U.S. Army bases (villages) in a bid to reconstruct the relationship between U.S. as the central nation and Korea as the peripheral nation. This enabled them to own the center again from the peripheral area and thus to fully describe the operation pattern of the exclusivity and violence of the recent-modern system. In particular, the writers’ illustration of the U.S. Army bases (villages) in the 1970s led to the reinforcement of national emotion, then prompting intellectual writers to reinforce the relative objection and subjection of the U.S. and the U.S. Army. 1970년대초 한국 작가들은 미군기지(촌)을 서사화함으로써 근대의 주변에서 중심을 가리키는 문화정치를 수행했다. 1970년대 미군기지 내의 카투사 및 미군기지촌 여성들은 한국 근대의 주변부성을 현시할 뿐만 아니라, 세계체제의 하위체제에 위치한 한국 근대의 부정적 이데올로기를 내파하는 존재들이었다. 이들을 바라보는 한국 남성 작가들의 시선은 지식인의 불안의식과 열등감, 그리고 근대 이데올로기로서의 평등권에 대한 강한 열망을 드러냈다. 미군기지(촌)을 형상화한 주목할 만한 소설로 조정래의 「타이거 메이져」(1973), 신상웅의 「분노의 일기」(1972), 조해일의 「아메리카」(1972)를 꼽을 수 있다. 조정래는 「타이거 메이져」에서 한국군 장교와 카투사를 내세워 미군과 대등한 능력과 권리를 지닌 한국군을 형상화했다. 조정래는 열등감과 실재하는 불평등을 ‘실력론’과 ‘영웅적 지도자론’을 통해 낭만적으로 극복하려 했다. 신상웅은 「분노의 일기」에서 한국인의 내면에 자리한 식민주의적 인식과 미군의 점령군적 관점을 동시에 비판했다. 신상웅은 근대적 보편성으로서 평등주의적 세계관이 한국 내 미군 주둔으로 인해 짓밟히는 상황에 대해 ‘화와 분노’의 감정으로 대응했다. 조해일은 「아메리카」(1972)에서 기지촌 여성의 상황에 대해 한국 남성으로서 느끼는 ‘무력감’을 ‘공감’으로 변화시키려는 시도를 했다. 조해일은 기지촌 거주민의 상황을 ‘살아남은 자의 비겁함’으로 규정했고, 그들은 ‘고난의 몫’을 감당함으로써 ‘한국 근대화’의 은폐된 어둠을 견뎌내고 있다고 했다. 조정래·신상웅·조해일 등은 1930년대 후반과 40년대초에 출생한 젊은 작가들이었다. 이들은 4·19혁명과 6·3 한일회담반대투쟁을 경험함으로써 민족주의적 성향을 갖고 있었다. 매체 환경적 측면에서는 『한양』, 『상황』, 『세대』 등과 같은 잡지들이 간행됨으로써, 작가들이 근대체제와 한국현실을 비판하는 작품을 발표할 수 있는 장이 넓어졌다. 이러한 맥락에서 1970년대 작가들은 미군기지 주둔을 근대적 평등권의 침해로 바라보기 시작했고, 한국의 역사를 ‘오욕의 역사’로 바라봄으로써 ‘미국에 대한 상대적이면서도 객관적인 인식’을 강화해나갔다. 이것이 1980년대 한국내 반미인식의 폭발적 환산의 출발점이 되었다. 1970년대 지식인 작가들은 미군 기지(촌)을 형상화함으로써 중심국인 미국과 주변국인 한국의 관계를 재구성하려 했다. 이는 주변에서 중심을 다시 사유함으로써, 근대체제의 ‘배제와 폭력’의 작동양상을 묘파하는 효과를 낳기도 했다. 특히, 1970년대 작가들의 미군 기지(촌) 형상화는 민족적 정서의 강화로 이어져, 지식인 작가들의 ‘미국과 미군’의 상대적 객관화와 주체성의 강화로 이어졌다.

      • KCI등재

        한국계 미국인(Korean American) 작가의 소설에 나타난 경계의 문제와 자아 찾기 -이창래 『생존자』와 이민진 『파친코』를 중심으로-

        전영의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9 No.-

        본 논문은 이창래의 『생존자』, 이민진의 『파친코』를 통해 혼종적 사회에서 한국계 미국인(Korean American) 작가들이 바라본 한국계 미국인(Korean American)과 자이니치(Zainichi)의 탈경계적 자아 찾기에 대해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창래와 이민진은 미국 사회와 문화, 교육, 제도 안에서 자란 1.5세대 한국계 미국인임에도 불구하고 한국 역사, 사회와 문화, 정체성의 문제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한다. 텍스트의 인물을 통해 한국계 미국인, 한국계 일본인으로서 미국인, 한국계 일본인 등 디아스포라로서 인간의 존재가치 유무, 경계인들의 정체성 문제에 대해 화두를 던지고 있다. 유사한 창작동기를 가진 두 작가는 『생존자』와 『파친코』를 통해 1900년대 초부터 1980년대까지 한국계 미국인(Korean American)과 자이니치(Zainichi)라는 경계적 인물들의 삶과 정체성, 그리고 혼종성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런 지점들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기에 충분히 비교연구 대상이 될 수 있다. 혼종적 사회에서 경계인으로서 인물들은 적응, 선택, 패싱, 회피, 순응 등 다양한 삶의 방식을 택하면서 생존해 나간다. 『파친코』는 4대에 걸친 자이니치들의 삶을 통해 이들이 적극적 선택의지를 가지고 문화에 내재 된 혼종성을 넘어 이분법적인 경계 안에서 ‘자이니치로 산다’는 스스로의 정체성, 제3의 가능성을 찾는 것을 보여준다. 『생존자』는 세 인물의 시점이 교차하면서 이들이 겪은 사건을 중심으로 인간의 존재가치 유무, 경계인의 정체성에 대해 자문한다. ‘아들 찾기’라는 명목으로 솔페리노 예배당까지 여행 동안 스스로, 그리고 서로에 대한 이해와 용서, 위로, 고통을 헤아리고 있다. 선자는 남편 이삭, 아들 노아, 어머니 양진의 죽음 이후 자신을 얽매던 모성을 넘어 동지적 의리 관계를 맺는 경희에게 돌아감으로써 자신의 여정을 끝맺는다. 경희와의 관계 안에서 존재의 의미를 깨닫고 돌봄과 연대를 통해 자신들의 자아 공간을 완성한다. 이들이 자이니치로서 새로운 정체성을 만들며, 당당하게 살아가는 것이야말로 세계 내 존재로서 현존하는 것이자 탈영토화한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준은 자신의 죽음에 직면해가면서 한국전쟁 때 기찻길에서 죽어가던 동생, 자신의 외면으로 죽은 아들 니콜라스, 민을 구하기 위해 불타는 예배당으로 뛰어들던 실비 그리고 현재 자신의 운명에 끼어들게 만든 헥터까지, 이들에게 용서를 구하고 그동안 용서를 구하지 못했던 자신을 용서한다. 실존에 대한 책임을 느끼고, 현존재로서 자아 찾기를 통해 자신의 내적 공간을 탈영토화한다. 이런 점에서 두 소설은 경계인으로서 자아 찾기에 관한 내용이지만 『파친코』는 국적, 인종, 성소수자, 부와 빈곤의 경계에서 정체성의 문제에 대해, 『생존자』는 이를 넘어 인간 본연의 존재 문제, 인간(human)으로서 정체성의 문제에 관해 고민한다. 전자는 관계를 통해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고 탈영토화해가는 공간을 획득한다면 후자는 아들을 찾아가는 과정 안에서 기억과 대화를 통해 자신의 공간을 탈영토화해가며, 결국 죽음으로서 관계를 절연하고 자신의 존재를 증명한다. 서사의 중심이었던 『파친코』의 선자와 『생존자』의 준은 우리의 현대사를 치열하게 살아온 인물이자, 인간적 소통 안에서 서로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한 자들을 대변한다. 이런 점에서 경계인으로서 살아가면서 엄마라는 굴레를 벗고 인간과의 ...

      • KCI등재

        피터리의 History of Korean Literature에 인용된 한국 현대시의 번역에 대한 오류 분석-그 분포와 특성을 중심으로-

        양소진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2 No.-

        Peter Lee’s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Korean literature classes in overseas universities. Although Korean literature is worthy of being the only English document describing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from classical literature to modern literature, Korean literature has become a subject of earnest study by foreign scholars and has achieved remarkable achievements in quantity and quality. It is necessary to try full-scale research. In particular, Peter Lee’s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suggests that there is no citation of Korean works at all. In this discussion, we tried to analyze all of the errors in translations in poems in the early twentieth-century poetry chapter among the poems translated into English. This study is divided into two kinds of errors which occur in the rhyme and the image. 피터리의 History of Korean Literature는 해외의 대학에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한국 문학 수업의 교재로, 고전문학에서부터 현대문학까지 한국 문학사를 방대하게 서술하고 있는 유일한 영문서로서 그 가치를 갖는다. 한국 현대 문학이 해외의 학자들에게 본격적인 연구의 대상으로 확산되는 현실을 상기할 때, 해외의 한국 문학 연구과 교육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요구된다. 특히 피터리의 History of Korean Literature에는 현대 문학 인용에서 한글 원문이 전혀 없다는 점이 시사하는 바는 크다. 본 논의에서는 영문으로 번역되어 실려 있는 시들 중 CHAPTER 18 Early twentieth-century poetry 장에 있는 시에서 번역의 오류를 모두 분석하고자 하였다. 발터 벤야민이 번역에 대한 전제로 제시한 시의 모험을 원문과 번역문의 비교하여 분석하여, 오류에 대한 기준으로 삼았다. 전체를 반복에서 발생하는 오류와 의미에서 발생하는 오류로 나누고 이러한 각각 주제와 정조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전자는 모두 김소월의 시에서 나타났는데, 원문의 가정의 반복이 생략됨으로써 번역문에는 정감의 적층, 점층 그리고 비약의 애상이 급격히 감소하였고, 호명, 감탄, 부호의 반복 생략으로 인해 “나”와 님을 교차하며 점층되어 결국에는 죽음과 같은 고통으로까지 상승하는 비통의 사랑이 현격히 반감되었다. 후자는 김소월, 이육사, 임화, 최남선, 이상의 시에서 나타났는데, 시어가 의미가 다른 시어로 변형되거나, 삭제되거나, 없던 시어가 첨가되면서, 원문의 시적 모험과 번역문의 시적 모험 사이의 친화성이 감소되거나 부재하는 경우들로 정리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의 결과로, 피터리의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중 CHAPTER 18 Early twentieth-century poetry에 인용된 번역문에서 주요 인용문의 약 50%가 되는 6개의 시에서 시의 주요 정감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정리할 수 있었다. 이 중 대다수의 오류가 원문과 번역문 사이의 친화성이 현격히 소실되거나 사라지는 번역으로 시적 모험을 전달하기 어려운 오류임을 밝혔다. 즉, 한 장의 인용 중 반 이상의 번역문에서 주요한 오류가 나타났으므로, 피터리의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중 CHAPTER 18 Early twentieth-century poetry에 인용된 번역문의 오류는 과반수에 준하는 수준으로 분포하며, 시의 주요 정감을 해치는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해외 한국 문학 교육의 현황과 미래를 논의하는 데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Nature, Postmodernism, and Writing : L'Ecriture Naturelle Engendered

        김연만(Yeonman Kim) 한국비평이론학회 2005 비평과이론 Vol.10 No.1

        포스트모더니즘과 생태비평이 작금의 문학 비평에 있어서 중요한 두 문예 사조임을 볼 때, ‘포스트모던 생태비평’ 혹은 ‘생태비평적 포스트모더니즘’이란 기치하에 두 이론 간의 교차점을 생각해 보는 것은 유익한 생각거리를 제공해 준다. 본 논문은 포스트모더니즘과 생태비평 간의 이론적 상호전용 가능성을 찾아보고자하는 시도에서 출발하여, 심층생태학, 생태여성주의, 포스트모더니즘, 계몽주의 사상, 구조주의 및 후기구조주의 등과 같은 여러 관련 이론들을 비교·검토하는 과정을 거쳐, 언뜻 특별한 상관성이 없어 보이는 듯한 포스트모더니즘과 생태비평이론 간의 교차로가 이 둘을 아우르는 새로운 형태의 글쓰기에서 발견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서구 문화에 오랫동안 팽배해왔던 논리를 글쓰기의 제일 중요한 요소로 여기는 이성주의적 글쓰기 전통은 오늘날 인습적 계몽주의를 바탕으로 한 로고스중심주의(logocentrism)에 기인한다는 이유로 후기구조주의 학자를 비롯한 일련의 포스트모더니즘 사상가에게 많은 비판을 받는다. 헬렌 식수(Hélène Cixous)와 줄리아 크리스테바(Julia Kristeva)와 같은 일군의 프랑스 비평가들에 의해 제시된 해방적 글쓰기의 한 유형인 ‘여성적 글쓰기(écriture féminine)’는 그러한 이성중심적 글쓰기에 대한 비판적 담론의 좋은 예시가 된다. 이러한 여성적 글쓰기 이론에 생태비평적 요소를 가미하고, 아물러 도가의 ‘자연(自然)’에 대한 정의 및 제반 관련 사상을 차용함으로써, 지나친 로고스중심 주의식 글쓰기에 대한 비판을 생태비평적 관점에서 발전시켜 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자연적 글쓰기(écriture naturelle)’라 칭할 수 있는 인습적인 형식과 이성의 틀에서 벋어난 자연성이 보다 부각된 형태의 글쓰기가 서구 수사학 전통과 그 영향 하에 있는 문화권에 필요하다. 자연적 글쓰기는 지나친 이성중심주의적 계몽주의를 비판하는 포스트모더니즘과 자연성이 결여된 현대 문명을 애통해 하는 생태비평의 기조 사상을 동시에 담을 수 있다. 이에 자연적 글쓰기는 서구의 인습적인 선형적 글쓰기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서 이성중심적 사고 및 글쓰기 체계에 자연성을 불어넣어주는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 KCI등재

        디지털 공간에 구현된 한식―《용과 같이(龍が如く)》시리즈 속 음식과 정체성의 서사

        이은우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5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105 No.-

        본 연구는 일본 게임 프랜차이즈 시리즈 《용과 같이》를 통해 한식이 게임 내에서 어떻게 재현되며, 이를 통해 한식 및 (재일)한국인에 대한 일본 사회의 인식이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용과 같이》 시리즈는 장소성에 기반하여 사실적이고 밀도 높은 세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게임 속 음식 콘텐츠 역시 이러한 연장선에서 세밀하게 재현되며, 단순한 체력 회복을 위한 도구를 넘어 서사 전개와 캐릭터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로 기능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한식 관련 콘텐츠는 또한 한국 혹은 (재일)한국인이라는 국가와 민족 정체성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로 기능한다. 시리즈는 도쿄, 오사카, 요코하마 등에 위치한 다양한 한식당의 인테리어, 메뉴 구성, 설명 등을 통해 현실의 장소성을 사실적으로 구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플레이어가 가상 세계 속에서 음식 관광이라는 실제와 유사한 문화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용과 같이》 시리즈의 비교적 초기부터 등장하는 한식 관련 콘텐츠는 최근작인 <용7> 이후부터 두드러지게 증가하였다. 한식당이라는 장소를 통해 한국어의 문자와 음성을 노출하고, 코리아타운이라는 장소성을 드러내는 등 한식은 게임 내 보이지 않는 (재일)한국인의 존재를 가시화한다. 이러한 변화는 시리즈가 다루는 핵심 서사의 탈야쿠자화가 진행되면서 캐릭터가 다변화되고, 여기에 K-컬쳐의 영향력이 증가하면서 (재일)한국인 캐릭터들이 새롭게 등장하고 활약하면서 비롯된다. 《용과 같이》 시리즈에 등장하는 한식당은 ‘한국―(재일)한국인―일본인’으로 구성된 거대한 시장과 미각의 스펙트럼 안에서 다양한 아비투스를 이루고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재일)한국인의 정체성에 한국과 일본의 민족성이 공존하듯 게임 속 한식당과 한식의 메뉴 구성 방식에도 특유의 혼종성이 반영된다. 특히 김치는 게임 내에서 한식의 상징적 기호로 자리 잡으며, 한식이 단순한 음식 그 이상으로 인식됨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이다. 그러나 게임 내에서 김치의 핵심 재료로 일본 자생 고추 품종인 ‘오니노츠메’를 사용하는 설정은 한식의 정체성을 왜곡할 수 있는 논쟁적 요소로 작용한다. 이는 음식이 국가적ㆍ민족적 정체성을 드러내는 중요한 기호이며 게임이 재현하는 풍경이 현실 세계의 사회적ㆍ정치적 의미를 담아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레비스트로스의 개념에 따라 한식의 조리 방식을 분석한 결과, 게임 속 한식은 야만과 문명, 소멸과 재생이라는 이항 대립 구조 속에서 서사적 의미를 부여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용과 같이》 시리즈 속 한식 재현은 일본 내 (재일)한국인에 대한 시각과 한식이 일본에서 지니는 문화적 위상을 드러내는 사례로써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게임 속에서 한식은 표면적으로는 체력 회복을 위한 수단이 되지만, 이면적으로는 일본 사회가 바라보는 한국과 (재일)한국인의 정체성을 함축적으로 표현하는 기호로 기능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게임 콘텐츠가 현실 세계의 사회적 인식과 문화적 정체성을 어떻게 재구성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한 사례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how Korean cuisine is portrayed within the Japanese Game Franchise Series Like a Dragon(龍が如く) and how this reflects Japanese society’s perception of both Korean cuisine and Zainichi Koreans. A distinctive feature of Like a Dragon(龍が如く) series is its realistic and densely detailed world-building, grounded in the sense of place. The game’s food-related content aligns with this characteristic, intricately replicating various dishes and venues. Notably, food in the game serves not only as a means of restoring health but also as a key element in narrative progression and character identity formation. Korean cuisine-related content serves as an important symbolic element, representing the national and ethnic identities of Korea and Zainichi Koreans. The series meticulously recreates real-life settings by replicating the interior design, menu offerings, and descriptions of Korean restaurants located in Tokyo, Osaka, and Yokohama. This approach allows players to engage in a cultural experience akin to culinary tourism within a virtual world. From its earlier installments, the series has featured Korean cuisine, but this presence has become increasingly prominent since Like a Dragon 7. The portrayal of Korean restaurants, complete with visible Korean text and audio, highlights the existence of Zainichi Koreans within the game’s narrative. This shift coincides with the series’ move away from its original Yakuza-centric storyline, introducing more diverse characters and reflecting the growing influence of K-culture, leading to the emergence of new Zainichi Korean characters. The Korean restaurants depicted in the Like a Dragon(龍が如く) series demonstrate a diverse range of culinary offerings and cultural hybridity, reflecting the shared ethnic identities of Koreans and Japanese among Zainichi Koreans. Notably, the menus and their composition in the game signify differing national and ethnic identities. Korean cuisine, particularly kimchi, becomes a symbolic marker of Korean identity, representing something more than mere sustenance. Kimchi, in particular, occupies a central position as a symbolic icon of Korean cuisine in the game. However, the depiction of kimchi’s key ingredient as a fictional Japanese chili pepper variety called “Oni no Tsume” raises concerns about potential distortion of Korean culinary identity. This indicates the game’s potential to convey social and political meanings that extend beyond its virtual landscape. Moreover, analyzing the cooking methods of Korean cuisine in the game through the lens of Lévi-Strauss’s theory reveals the binary opposition of civilization versus savagery, as well as the themes of destruction and regeneration. The study confirms that Korean cuisine in the game is imbued with narrative significance within this framework. In conclusion, the portrayal of Korean cuisine in the Like a Dragon(龍が如く) series holds significant meaning as a reflection of Japanese perspectives on Zainichi Koreans and the cultural status of Korean cuisine in Japan. Within the game, Korean cuisine functions as more than a tool for restoring health—it serves as a symbol encapsulating the identity of Koreans and Zainichi Koreans as perceived by Japanese society.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how game content can reconstruct social perceptions and cultural identities in the real world.

      • KCI등재

        방법으로서의 세계문학 -1970년대 외국문학/민족문학 담론과 (탈)후진성 인식을 중심으로-

        박연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4 No.-

        This article recounts the literary discussion on the backwardness of Korea after hearing the news that Korea's international status has been upgraded from developing countries to developed countries in 2021. The determination of the status of developed countries in Korea is the result of the categories and standards of UNTAD (UNTAD) member states, and since then, the concept of "third world" has been commercialized and the psychological geography of developed countries has been solidified. In order to examine the boom phenomenon of the third world theory, the topography and characteristics of national literature and foreign literature discourse have been examined so far. This overlaps with the process of preparing discourses and media by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foreign literature after liberation as foreign literature majors began to criticize Korean literature in earnest since the 1960s. In particular, the composition and perspective of national literature-world literature, which have been continuously discussed in the academic journal, cannot be irrelevant to the prosperity of the branch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the 1970s, after liberation, first-generation Korean writers such as Kim Dong-wook created an opportunity to systematize the theory and methodology of foreign literature research through the Korean Comparative Literature Society (1959). The institutional search and practice of renewing the status of Korean literature in the unit of comparative literature was due to the judgment that the complex of acceptance of foreign literature has been overcome to some extent. In the history of Korean intelligence, the sad imagination and discourse of world literature and Korean literature were possible by a third world perspective. From the center of Western literature, the possibility of world literature can only be discussed in the vertical relationship between propagation and acceptance, but from a third world perspective, Korean literature and world literature have a horizontal relationship. For this reason, Baek Nak-cheong explained that literature in developed countries is part of potential third-world literature, and then stressed that what is popular is the universality of world literature. However, for Kim Woo-chang, the inherent universality assumed in the third world theory is only an aesthetic imagination. The universality of literature is understood as a totality that is not fixed than the relationship and structure of national literature-world literature itself. The literature theory of those who aimed for world literature and its issues persisted as a possibility and method of universalizing the backwardness of Korean literature.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efforts to converge into totality and institutional and discourse practices that resist structural contradictions were operated from the perspective of backwardness. 이 글은 2021년에 한국의 국제적 위상이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 그룹으로 격상되었다는 소식을 접하며 (탈)후진성에 대한 문학적 논의를 재론한 것이다. 한국에 대한 선진국의 지위 결정은 운크타드(UNTAD, 유엔무역개발회의) 회원국의 범주와 기준에 따른 결과인데, 이후부터 ‘제3세계’ 개념이 상용되고 (탈)후진국의 심상지리가 공고해졌다. 이러한 제3세계론의 붐 현상을 살피기 위해 지금까지 민족문학과 외국문학 담론의 지형과 성격을 살폈다. 이는 1960년대 이후 외국문학 전공자들의 한국문학 비평이 본격화되면서 해방후 1세대 국문학자와 외국문학자들이 한국문학의 탈후진성의 과제에 천착해 담론과 매체를 마련하는 과정과 중첩된다. 특히 학술장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된 민족문학-세계문학의 구도 및 시각은 비교문학이라는 분과 학문의 번성과 무관할 수 없는데, 1970년대에 이르러 김동욱 등의 해방후 1세대 국문학자들은 <한국비교문학회>(1959)을 통해 외국문학 연구의 이론과 방법론을 체계화하는 계기를 만든다. 비교문학의 단위에서 국문학의 위상을 갱신하는 제도적 모색과 실천은 외국문학의 수용에 대한 콤플렉스가 어느 정도 극복되었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한국 지성사에서 세계문학과 한국문학의 유비적 상상 및 담론은 제3세계적 시각에 의해 가능한 일이었다. 서구문학 중심에서 보면 전파와 수용의 수직적 관계에서만 세계문학의 가능성을 논의할 수 있지만, 제3세계적 시각에서 보면 한국문학과 세계문학은 수평적인 관계를 이룬다. 그런 까닭에 백낙청은 선진국의 문학을 잠재적인 제3세계 문학의 일부라고 설명한 후 민중적인 것이야말로 세계문학의 보편성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김우창에게 제3세계론에서 상정된 내재하는 보편성이란 하나의 미적 가상에 불과하다. 세계문학을 지향한 이들의 문학론과 그 쟁점은 한국문학의 후진성을 보편화의 가능성이자 방법으로서 지속되었다. 전체성으로 수렴되기 위한 노력과 구조적인 모순에 저항하는 제도적, 담론적 실천이란 탈후진성의 시각에서 작동된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